대구광역시

대구광역시청
  • 영어: Daegu Metropolitan City

대구광역시(大邱廣域市)는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다. 지리적으로 동으론 경산시와 마주해있고, 서로는 성주군고령군, 남으로는 경상북도 청도군, 경상남도 창녕군이, 북으로는 칠곡군, 군위군, 영천시와 마주해 있다. 서울특별시, 부산광역시에 이어 영남권 제 2의 도시이자, 전국 제 3의 도시이다. 다만 인구상으로는 서울, 부산, 인천에 이어 4번째다. 이는 2000년대 들어 인천에게 인구 수를 추월당했으나〈대구직할시 및 인천직할시 설치에 관한 법률〉(법률 제3424호, 1981년 4월 13일), 행정구역코드(대구광역시 KR-27, 인천광역시 KR-28)에 따라 부여된 의전 서열 순서(서울 - 부산 - 대구 - 인천 - 광주 - 대전 - 울산 - 세종)에 근거하여 제3의 도시라고 한다.

1601년 경상감영 시절부터 시작해 1896년 경상남북도 분도 이후 120년 동안 경상북도청 소재지였다. 도청은 당초 2014년 연말에 안동예천에 걸친 경북도청신도시로 이전할 계획이었으나 이듬해 7월로 연기되고, 다시 11월로 연기되고, 11월이 되자 2016년 2월까지 연기되었고, 마침내 16년 2월 22일 경북도청신도시로 이전하였다. 기존 도청 부지는 대구광역시청 별관으로 사용하고 있다.

지명의 유래[편집 | 원본 편집]

대구의 신라어 지명은 달벌이었다. 달은 높다, 크다의 뜻을 갖게하는 접사였고 벌은 벌판을 뜻하는 명사이다. 신라 경덕왕 때 넓은 땅이라는 뜻을 그대로 한자로 바꾸었는데 그게 바로 대구(大丘)였다. 丘는 언덕, 땅을 나타내는 한자다. 조선시대 정조 때에는 이 丘자가 공자(孔子)의 생전 이름(孔丘)과 같다고 하여 丘를 비슷한 뜻의 邱로 바꾸게 된다. 이 대구(大邱)가 오늘날까지 내려오게 된다.

지리[편집 | 원본 편집]

경상북도와 경상남도의 중앙에 위치해 있다.

대구광역시청 기준

위도 북위 35.871416
경도 동경 128.600760
면적 884.46km²

기후[편집 | 원본 편집]

대표적인 분지형 지형으로서 여름철 고온 현상이 전국적으로 유명하다. 폭염 뉴스를 접하면 대구광역시의 온도는 빠지지 않고 등장할 정도. 우리나라 최고 기온이 1942년 8월 1일 40.0℃, 대구에서 세워졌다고 한다. 다만 42년 기록으로 현재까지도 40도 이상 올라갈 것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는데 평년값 기온을 보자면 너무 그렇지는 않으니 참고 정도로만 보자.[1]

이런저런 대외적인 알려진 기후로 인해 '불의 도시 대구', '대프리카(대구+아프리카)' 등 여러 가지로 불리고 있다. 실제로 아프리카나 중동에서 온 사람들마저 못 버티는(...) 기후인 듯 하다. 이는 건조한 아프리카와 달리 대구는 습하기 때문.[2]그러나 대구가 타 지역에 비해 많이 더운 건 사실이지만 오히려 서울이 기온이 더 높은 경우가 있다.[3]

그런데 이런 고온에도 불구하고 폭염에 의한 사망률은 천만 명당 6.9명 정도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비율이다.[4][5] 다른 지역은 광주 11.6명, 부산 12.2명, 대전 17.7명, 서울 19.8명, 인천 23.6명 이다. 화염 내성

또한 대구는 대표적인 소우지(小雨地)인데 대구나 그 근처에서 군생활을 보내게 된다면 제설 작업은 다른 나라 이야기로 들릴 것이다.

교육[편집 | 원본 편집]

2015년 수능당시 전국의 12명의 만점자 중 4명의 만점자가 나온 경신고등학교가 유명하며[6] 대학교는 대표적으로 지방거점국립대학교인 경북대학교, 대구교육대학교(대구교대), 계명대학교 (성서캠퍼스)가 있다. 영남대학교도 대구권이자 대구 도시철도 2호선에 연결되어서 대구의 대학교로 알려져 있지만 엄밀히 말하면 영남대학교는 경상북도 경산시 소속이다. 다만 영남대학교병원은 대구 남구에 위치해 있다.

나이드신 대구 사람들은 경북대학교를 높게 쳐주는 경향이 있으며 대구교대 역시 상당한 수준을 자랑하며 그 다음으로 영남대를 높게 쳐준다고 한다. 1990년대 초반까지만 해도 대구가톨릭대학교의 전신인 효성여자대학교도 위상이 꽤 높았으나 대구효성가톨릭대(약칭 효가대)를 거쳐 대구가톨릭대로 변경된 지금은 위상이 많이 떨어졌다.

교통[편집 | 원본 편집]

철도[편집 | 원본 편집]

대구 철도 교통의 핵심인 동대구역서울역에 이어 전국 2위의 이용객을 자랑한다. 역 규모로도 전국적으로 손꼽히는 대형이고, 예전에는 동대구역 착발 KTX가 있었으니 그 수요도 확실하다. 경부선, 경부고속선, 대구선, 동해남부선, 경전선, 경북선 등의 모든 여객 열차가 동대구역에 정차한다. 현재 이 역과 연계하여 동대구복합환승센터가 건설되었으며, 추후 철도, 도시철도, 고속버스, 시외버스, 시내버스를 아우르는 교통의 핵심지가 될 예정.

동대구역의 확장 때문에 대구역이 콩라인이 되버렸으나 실상 동대구역은 대구 중심가에 위치한 대구역이 확장이 힘들어 당시로선 외곽지역에 건설한 대체역이었는데 본격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빼낸 상황이 되어버렸다. 그래도 대구역 역시 경부선의 일반열차들은 대부분 정차하는 상황이다. 아무래도 시내 중심가에 가까워서 배후수요가 동대구역에 완전히 흡수되지는 않았기 때문이다. 대구역은 롯데백화점이 입점하여 민자역사로 운영중이다.

또한 지하철 1호선 하양 연장과 대구권 광역철도 건설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는 대구의 광역 생활권인 경산·칠곡·구미 지역의 교통을 개선하기 위한 사업이다. 대구권 광역철도는 부산동해선처럼 도시통근형 전동차를 운용할 예정이다.

도로[편집 | 원본 편집]

경부고속도로, 중앙고속도로, 익산포항고속도로, 광주대구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대구부산고속도로가 관내를 지난다. 도로교통도 철도만큼이나 편리한 상황이며 중부내륙고속도로의 개통으로 수도권으로 접근성이 더욱 좋아졌다.

고속버스[편집 | 원본 편집]

이름과 위치가 실제로 다른 곳들이 많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 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북구 노원동에 위치. 동대구복합환승센터에서 출발한 고속버스들의 중간정류소다.
  • 북부정류장 : 서구 비산동에 위치. 경북 북부, 강원권, 충북으로 가는 버스들이 주로 있다.
  • 서부정류장 : 남구 대명동에 위치. 경북 서부, 충청권, 호남권으로 가는 버스들이 주로 있다.
  • 남부정류장 : 수성구에 위치해 있었으나,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완공 이후 통폐합되었다. 통폐합되기 전에는 경북 청도와 경산으로 가는 버스들이 출발했었다.
  • 동부정류장 : 동구에 위치해 있었으나,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완공 이후 통폐합되었다. 통폐합되기 전에는 강릉, 포항, 영덕 등 동해안 방향으로 가는 버스들이 주로 출발했었다.
  • 대구고속버스터미널 : 동구에 위치했었다. 버스 회사 별 터미널 건물이 달랐었다.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완공 이후 그쪽으로 통폐합되었다.
  • 동대구복합환승센터 : 동구에 있던 남부정류장, 동부정류장, 대구고속버스터미널을 통합하고 동대구역과 도시철도 동대구역과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신세계백화점과 같이 지어진 환승센터다.

정류장들의 이름과 실제 위치가 다른 이유는 건물의 위치 기준이 아닌, 버스가 주로 가는 방향(출발, 도착지점)을 기준으로 설정 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7]

도시철도[편집 | 원본 편집]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 도시철도 2호선, 경전철이자 전국에서 최초로 모노레일로 된 도시철도인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이 개통했다. 도시철도는 대구 부도심과 베드타운에서 대구 시내로 향하는 대구 교통의 핵심 중 하나다.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은 달서구 중 상인, 월배, 월성 지역과 동구 중 동대구역과 신서혁신도시를 대구 도심으로 이어준다. 대구 도시철도 2호선은 달구벌대로를 따라 만들어져 다사, 성서 지역과 수성구 시지지구와 경산 일부를 대구 시내와 연결하고, 경산에 있는 영남대 등 대학교 등하교를 담당하고 있다. 대구 도시철도 3호선은 북구 칠곡, 공단 지역과 수성구 범물동, 지산동을 대구 시내와 연결해 주고 있다. 서구는 3개의 노선을 가지고 있으나 상당히 소외감을 느끼고 있다. 이유는 해당 자치구의 중심지를 지나지 않고 외곽으로 살짝 걸치는 수준이라 도시철도의 효과를 제대로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항공[편집 | 원본 편집]

대구국제공항이 존재한다. 공군기지에 셋방살이는 하는 형국이며 KTX의 영향으로 국내선 수요는 그닥 기대할 정도는 아니다. 국제선은 예전에는 중국 일부와 전세기가 뜰 경우에만 일본에 갈 수 있었지만 티웨이항공이 대구국제공항을 포커스 시티로 정하면서 국제선 노선이 확대되고 에어부산도 이에 합류하면서 지금은 한국항공공사에서 운영하는 공항중에서 적자를 기록하지 않는 흑자 공항이 되었고, 제주국제공항보다 국제선 편수가 많은 공항이 되었다.

군사[편집 | 원본 편집]

북구 칠곡 방면으로 제 50보병사단이 위치하고 있고 수성구부근에 제 2작전사령부가 위치하고 있다. 또한 남구 대명동에 주한미군이 있으며 동구 부근에는 K-2 기지가 있는데 상당한 소음으로 민원이 끊이지 않는 원인이기도 하다.

도시개발[편집 | 원본 편집]

대구광역시는 도시를 개발하고 싶어도 이미 개발이 가능한 곳 대부분이 개발되어 도시개발이 어렵다. 현재 신도시 개발은 미개발된 지역이나 인프라가 많이 부족한 곳 혹은 그린벨트 지역의 중심인데 상황이 이렇다보니 대부분 대구 중심에서 대다수 멀리 떨어진 위치에 있다. 대구의 도시개발에는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이 추진하는 도시개발과 따로 추진해서 개발하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이 추진하는 개발사업은 아래 문서를 참조하자.

경제자유구역관할 사업 외에 금호택지지구연경지구가 있으며 대구는 현재 달성군 구지면에 위치한 대구국가산업단지 주변을 개발 중인데 특히 국가산업단지는 대구에게 있어서 꽤 오래된 염원이기도 한데 이는 구미, 여수와 같은 국가산업단지를 통한 다시 한번 경제성장의 밑거름 토대를 마련하는 동력을 만들기 때문.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편집 | 원본 편집]

大邱慶北經濟自由區域 / Daegu-Gyeongbuk Free Economic Zone: DGFEZ

대구경북경제자유구역은 정부에서 대구광역시 / 경상북도 지역에 관할하여 추진중인 경제자유구역이다.이들이 주관하는 사업으로는 그린벨트수성구 수성알파시티와 유가면/현풍면에 위치한 테크노폴리스가 있으며 현재 이시아폴리스가 가장먼저 사업이 완료된 상황이다.

자세한 건 문서 참조

이시아폴리스[편집 | 원본 편집]

Esiapolis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도시, 자세한 건 문서 참조

신서혁신도시[편집 | 원본 편집]

신서혁신도시 / 新西革新都市 / Sinseo Innovation City


대구광역시 동구에 있는 혁신도시, 자세한 건 문서 참조

테크노폴리스[편집 | 원본 편집]

TECHNOPOLIS

대구광역시 달성군 유가면/현풍면에 위치한 도시, 자세한 건 문서 참조

수성알파시티[편집 | 원본 편집]

壽城알파시티 / Suseong Alpha City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한 도시, 자세한 건 문서 참조.

스포츠[편집 | 원본 편집]

스포츠 팀[편집 | 원본 편집]

과거 스포츠 팀[편집 | 원본 편집]

개최 대회[편집 | 원본 편집]

상징물[편집 | 원본 편집]

  • 시화 : 목련
  • 시목 : 전나무
  • 시조 : 독수리

역대 대구광역시장[편집 | 원본 편집]

소속 기초자치단체[편집 | 원본 편집]

2023년 7월 1일 경상북도 군위군을 자치군으로 편입한다.

출신 인물[편집 | 원본 편집]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평년값 자료 (30년) 대한민국 기상청
  2. 아프리카 출신들도 "대구 날씨는 못 견디겠어요!" 매일신문, 2013.07.16
  3. #
  4. 보도자료(hwp 파일) 기상청, 2012.7.31, 인명피해가 가장 많은 기상재해는 ‘폭염’
  5. 김지영, 이대근, Jan Kysely. (2009). 한국 주요도시의 폭염에 대한 기후 순응도 특성. 대기, 19(4), 309-318.
  6. 수능 만점자 12명 중 4명이 대구 경신고…어떤 학교길래?
  7. [1]대구일보, 2014.10.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