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야선

가야선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0212
구간 사상 ~ 범일
영업거리 8.3 km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1944년 6월 10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ATS, ATP

가야선은 사상역과 범일역을 연결하는 철도 노선이다.

가야역, 가야차량사업소, 부산철도차량정비단와 연결되고, 경부선에 문제가 생기면 우회선 기능을 한다. 또한, 부전역 방향의 부전선과도 연결되기 때문에 부전역 발착 열차는 여기를 지나간다. 덤으로, 2004년 12월에 전 구간이 복선 전철화되었으며, 화물열차의 통행량 분산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원래 명칭은 부산조차장선이었지만, 1955년 9월 1일 가야선으로 이름을 바꾸었다.[1]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km 정거장 연계 노선
0.0 사상 경부선 (연결)
부전마산선 (연결) (예정)
주례
5.1 가야 부전선 (연결)
8.3 범일 동해선 (연결)

각주

  1. 교통부고시 제432호 (1955년 8월 30일)
대한민국 철도 노선
사업용철도
고속 경부고속(지선) 호남고속 수서평택고속(지선)
준고속 경강(지선)
(원주~강릉)
서해(지선)
(홍성~송산)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중부내륙 춘천속초
일반 경인(지선) 경부(지선) 경의(지선) 호남(지선) 경원
충북 경전(지선) 장항(지선) 전라(지선) 경춘(지선)
동해(지선) 중앙(지선)
(안동~경주)
영동(지선) 경북(지선) 태백(지선)
안산(지선) 과천 분당(지선) 일산 신분당
서해(지선)
(대곡~원시)
인천공항(지선)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진접선 GTX A
동탄인덕원 신안산 남부내륙 GTX B GTX C
도시철도
서울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우이신설
신림 동북 위례 위례신사
인천 1호선 2호선
부산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사상하단
오륙도
대구 1호선 2호선 3호선 엑스코
광주 1호선 2호선
대전 1호선 2호선
경기도 하남 별내 도봉산옥정
기타 부산김해 의정부 용인 인천공항 자기부상 김포
양산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