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정 | |
---|---|
소재지 | 경기도 군포시 군포로 750 |
번호 | P149 443 |
노선 |
경부선 27.5 km 안산선 0.0 km 과천선 0.0 km |
관할 | 한국철도공사 수도권광역본부 |
개업일 | 1988년 10월 25일 |
코드 | 829 |
승강장 | 3면 8선 (통과선, 주박선 포함) |
경기도 군포시에 있는 전철역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과 수도권 전철 4호선의 환승역이다. 분당선이 수원까지 연장되기 전까지 수도권 전철 최남단의 환승역이었으며, 9호선 김포공항역이 개통하기 전까지 최고 개념환승역의 타이틀을 차지하고 있던 역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88년 10월 25일: 안산선 금정 ~ 안산 구간 개통과 함께 배치간이역으로 개업[1] 1호선(당시 국철) 운행 개시
- 1993년 1월 15일: 과천선 금정 ~ 인덕원 구간 개통 및 과천선 직결열차 운행 개시
- 1994년 4월 1일: 4호선 열차 정차 개시
- 2003년 4월 30일: 국철 안산선-경부선 직결 계통 운행 종료
- 2019년 12월 30일: 1호선 급행열차 정차 개시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역 구조[편집 | 원본 편집]
원래에는 승강장 남부에만 역사와 출입구가 있었지만 시내버스가 많이 정차하는 교차로쪽으로 가기 쉽게하기 위해 북부역사를 만들었다. 남부역사와 북부역사는 오직 승강장을 통해서만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원하는 출구로 나가기 위해서는 계단 옆 안내문을 확인해야 한다.
승강장 구조[편집 | 원본 편집]
경부1선(열차선)에는 승강장이 없고, 경부2선(전철선)과 과천선·안산선 측에만 승강장이 있다. 원래 금정역은 경부선 복복선화 당시 지금보다 약간 남쪽에 계획된 역이었다. 다만 주변 개발이 미진해 수요가 없어 쌍섬식 승강장을 설치는 해놨는데 역을 개통하지는 않았었다. 그러던 것이 1980년대 안산, 시흥 일대를 공단화(시화공단)하는 계획이 추진되면서, 공단으로의 통근객을 나르고, 화물을 인입할 노선을 계획하게 되는데, 그게 안산선이다. 때문에 쌍섬식 승강장은 철거되고, 현재의 위치에 경부선 전철선에서 분기하는 역을 만들었고, 그래서 현재의 구조가 갖춰지게 된 것이다. 다만 반복운전 등 때문에 하행선 방향에는 반복선과 승강장(5·6번 승강장)이 하나 더 설치되어 있으며, 과거에는 4호선 열차가 해당 선로와 승강장으로도 많이 정차를 했었다. 현재는 반복 열차가 없어졌고, 해당 선로는 야간 주박 용도로만 사용되기 때문에 더 이상 문제될 부분은 없다. 스크린도어는 1~4번 승강장에만 설치되어 있다.
(안산선 주박선)
|
6번
|
5번 사용하지 않는 승강장
|
4번
|
3번
|
2번
|
1번
|
급행 정차[편집 | 원본 편집]
많은 사람들이 금정역이 환승역임에도 불구하고, 급행이 서지 않는다는 불만을 많이 표출하는 편이었다. 특히 금정역이 1호선과 4호선의 환승역이면서 미래에 GTX-C선도 정차할 계획이 잡혀있는 이유로 군포 지역 주민들의 숙원 사업이었고 정치권도 가세하면서 오랜 기다림 끝에 2019년 12월 30일 부터 급행열차가 정차하는 역으로 변모하였다.[2] 이는 수도권 전철 급행을 늘리려는 정부의 기조와 함께 군포역에 대피선을 설치하는 예산이 통과되면서 사업이 급진전된 결과이다. 급행 정치 이전에는 급행 정차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도 존재했었고, 그 중 완행 대피가 불가하다는 이유가 가장 크게 거론되었지만 군포역에 대피선이 설치되면서 문제가 해결된 것.
다만, 이로 인해 급행(A형)은 전구간 완행 선로와 같은 2선을 사용하게 되었고, 앞의 완행열차에 막혀 진행이 가로막히면 급행열차도 줄줄이 서행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나, 그럼에도 금정역은 환승역인 데다 자체 유동 인구도 많으니 급행열차 정차는 단시간에 성공적으로 정착하였다.
환승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 | ||||||
---|---|---|---|---|---|---|
목적지 | ||||||
1호선 | 4호선 | |||||
광운대 방면 |
신창 방면 |
당고개 방면 |
오이도 방면 | |||
출발지 | 1호선 | 광운대 방면 | - | 2-3 | 모든 문 | 2-3 |
신창 방면 | 9-2 | - | 9-2 | 모든 문 | ||
4호선 | 당고개 방면 | 모든 문 | 2-3 | - | 2-3 | |
오이도 방면 | 7-1 | 모든 문 | 7-1 | - |
개념환승이라고 불리는 이유는 전술한대로, 분기역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이다. 때문에 자연스럽게 경부선측과 승강장을 맞대게 되어, 비슷한 방향(1호선 남행 → 4호선 남행, 1호선 북행 → 4호선 북행)에 대해서는 맞은편 승강장에 들어오는 열차를 이용하면 되는 구조라 많은 이점이 있었다. 다만, 역방향에 대해서는 여전히 승강장을 건너야 하는 문제가 있으며, 이러한 구조는 김포공항역 같이 복층형 구조로 해소가 가능한데, 지상역에 쓰려면 복선 승강장과 고가를 따로 얹어야 하는 등 효율이 별로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주변 정보[편집 | 원본 편집]
역사 서쪽으로는 산본신도시의 안양[3] 지구(안양산본)와 이어져있다.
반면 역사 동쪽은 공업 지역(군포공단)이며, 안양천과 군포천(살짝 남쪽에서 합류)이 바로 앞에 흐르고 있다. 또한 LS타워(LS그룹 본사)가 위치해 있다.
역 인근에는 경기서남부지역의 유일한 TCG 매장인 금정 배틀시티가 있다. 금정 배틀시티 개업초기에는 금정역 5번출구 바로 옆 건물에서 영업하였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야외매장의 문을 닫고 본매장만 영업하다가 2021년 5월경 인근의 더 넓은 장소로 이전하게 되었다.
버스[편집 | 원본 편집]
서쪽 출구 일대는 버스 환승객이 꽤 있는 편이다. 금정역 삼거리를 기준으로, 산본천로 방향 승강장은 북부 역사와 가까우며, 군포로 방향 승강장은 남부 역사와 가깝다. 산본천로 방향 승강장은 주로 산본신도시로의 버스들이, 군포로 방향 승강장은 대야미, 화성, 향남 방면 버스들이 주로 이용한다.
주변 버스 승강장 정보 | |
---|---|
승강장 | 행선지 |
금정역.서진산업 [엘에스로, 역 동쪽] | |
26-127 | 1·2번 출구쪽 보도 / 경기 시내일반 안양 5 고천 방면, 수원 64 동탄 방면, 광주 65 광교 방면 |
26-123 | 횡단보도 맞은편 / 경기 시내일반 안양 5 영등포 방면, 수원 64 안양역 방면, 광주 65 안양역 방면 |
금정역 [군포로, 역 서쪽] | |
26-112 (40-090) |
3번 출구 쪽 보도 / 경기 시내일반 안양 20 신대방역 방면·경기 일반좌석 화성 340-1 회차 경기 마을버스 군포(1 가야5단지 방면, 2 둔전초교 방면) 서울 지선버스 5531 노들역 방면, 5624 구로디지털단지역 방면 |
26-111 (40-092) |
4번 출구 쪽 보도 / 경기 시내일반 안양 20 대야미역 방면, 화성(330 서신 방면, 330-1 마도 방면)·경기 일반좌석 화성 340-1 향남 방면 경기 마을버스 군포(1, 2 금정가구거리 방면, 10 오전동 방면) 서울 지선버스 5531 군포공영차고지 방면, 5624 복합화물터미널 방면 |
금정역 [산본천로, 역 서쪽] | |
26-098 (40-060) |
5번 출구에서 좌회전 / 경기 시내일반 안양(3-1 철산역 방면, 8-2 광명역 방면, 11-2 갯마을 방면, 11-5 갯마을 방면, 15 창박골 방면, 15-2 창박골 방면, 88 충훈부 방면, 917 잠실운동장 방면), 안산 31-7 부천역 방면 경기 직행좌석 3030 신사역 방면·경기순환버스 8407 일산 방면 |
26-167 (40-070) |
6번 출구 쪽 보도 / 경기 시내일반 안양(3-1 월암 방면, 8-2 고천 방면, 11-2 군포보건소 방면, 11-5 군포공영차고지 방면, 15 금강아파트 방면, 15-2 제일모직 방면, 87 왕곡동 방면, 88 오금동 방면, 917 군포보건소 방면), 안산 31-7 오금동 방면 경기 직행좌석 안양 3030 군포보건소 방면·경기순환버스 8407 산본역 방면 |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 ||
---|---|---|
청량리 방면 P147 안양 |
P149 금정 천안·신창급행 |
신창 방면 P153 성균관대 |
광운대 방면 P148 명학 |
P149 금정 완행 |
서동탄 · 신창 방면 P150 군포 |
4호선 | ||
당고개 방면 442 범계 |
443 금정 | 오이도 방면 444 산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