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김대중
Kimdeajung pic.jpg
공식 초상화
인물 정보
본명 김대중(金大中)
다른이름 세례명: 토마스 모어
출생 1924년 1월 6일
조선 전라남도 무안군 하의면 후광리 하의도[1]
사망 2009년 8월 18일 (85세)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국적 대한민국
학력 목포상업고등학교
직업 정치인
종교 천주교
배우자 이희호
가족 김운식, 母 장수금
장남 김홍일, 차남 김홍업, 3남 김홍걸
대한민국의 제15대 대통령
임기 1998년 2월 25일 ~ 2003년 2월 24일
국무총리 김종필 (1998. 8. 18.~2000. 1. 12.)
박태준 (2000. 1. 13.~2000. 5. 18.)
이한동 (2000. 6. 29.~2002. 7. 10.)
김석수 (2002. 10. 5.~2003. 2. 26.)
전임 김영삼 (제14대)
후임 노무현 (제16대)

김대중(金大中, 1924년 1월 6일 - 2009년 8월 18일)은 대한민국의 민주화 운동가, 인권 운동가, 제15대 대통령이다. 정부의 명칭은 국민의 정부였으며 현재까지 2000년 노벨 평화상을 수상하여 대한민국에서 유일한 노벨상 수상자이다.

대한민국 헌정사상 선거를 통해 정권을 교체한 최초의 대통령이다. 햇볕 정책과 그 과정에서 처음 성사된 남북정상회담6·15 남북공동선언으로 유명하다. 이 시기에 외환 위기 극복, 한일 월드컵도 있었지만, 서해 교전(제2연평해전)과 카드 대란으로 구설수에 올라야만 했다.

임기 중 전임자 김영삼 전 대통령처럼 아들이 비리를 저질러 대국민 사과를 하였고, 퇴임 이후 참여정부 시절에 불법 대북 송금 사건으로 또 한 차례 구설수에 올라야만 했다. 이 때문에 새천년민주당에서 나온 정치인들이 열린우리당을 창당하고 흑화한 민주당은 한나라당, 자유민주연합과 연합해 노무현 대통령 탄핵 소추 사건을 일으켰다. 이는 민주당계 정당이 오늘날까지 동교동계친노로 갈라 싸우는 빌미가 되고 말았다. 정작 대북 송금 사건 당시 김대중 전 대통령은 노무현 대통령이 내린 결단에 지지와 격려를 아끼지 않았다고 한다.

1971년 제7대 대통령 선거에서 "이번 선거에서 지면 총통정이 시작될 겁니다!"라고 말하며 유신체제을 예언(?)한 것으로 유명하다. 이에 반해 당시 박정희 대통령은 "이번에 여러분께 마지막으로 표를 달라고 하겠습니다!" 라고 했다고 했는데 결과는 둘 다 맞는 말이 되어 버린 씁쓸한 역사가 기록되었다.

좋은 일본 문화를 받아들여 일본보다 앞서자는 극일(일본을 극복하자)[2] 성향을 가지고 있었다.

특이기록[편집 | 원본 편집]

  • 한국 역대 최단임 국회의원 재임 기록을 갖고 있다. 1961년 5월 13일 재·보궐선거에서 강원도 인제군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는데 당선증을 받은 이튿날 5·16 군사정변이 일어나 정치활동 금지조치로 의원직을 박탈당하여 이때 같이 선출된 동료의원 4명과 함께 재임일수 1일을 기록하였다.
  • 1964년 4월 21일, 동료 의원 김준연이 내민 구속동의안 처리를 막기 위해 5시간 19분 동안 연설하는 무제한 토론(필리버스터)을 감행하여 김준연 구속동의안 처리를 저지한다. 이는 1969년까지 한국 역사상 필리버스터 최장연설 기록이며, 1969년 8월 29일 박한상 의원이 삼선 개헌을 막기 위해 10시간 5분동안 발언하면서 깨지게 된다. 다만 박한상 의원의 무제한 토론은 삼선 개헌을 못 저지하였기 때문에 사람들은 대개 김대중의 무제한 토론만 기억한다.[3]

소속정당[편집 | 원본 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관련 문서[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현재 대한민국 전라남도 신안군 하의면 후광리 하의도
  2. 강약약강이라는 일본의 특성 때문에 극일은 일본보다 앞서야 일본의 전쟁 범죄에 대한 사과를 받아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당장은 친일이지만 끝내 일본을 넘어서자는 라이벌 의식을 가진다.
  3. 참고로 필리버스터는 유신헌법과 함께 한국 정치계에서 사라졌는데, 국회법상 국회의원이 국회에서 연설할 때, 그 제한 시간을 15분으로 규정했기 때문이다. 이후 2013년 예외를 두는 법안이 발효되어 가능해졌다.
헌정체제 제1공화국 제2공화국 제3공화국 제4공화국
대선
(년도)
제1대
(1948)
제2대
(1952)
제3대
(1956)
3·15(1960)
제4대(1960)
제5대
(1963)
제6대
(1976)
제7대
(1971)
제8대
(1972)
제9대
(1978)
제10대
(1979)
당선자 이승만 윤보선 박정희 최규하
헌정체제 제4공화국 제5공화국 제6공화국
대선
(년도)
제11대
(1980)
제12대
(1981)
제13대
(1987)
제14대
(1992)
제15대
(1997)
제16대
(2002)
제17대
(2007)
제18대
(2012)
제19대
(2017)
제20대
(2022)
당선자 전두환 노태우 김영삼 김대중 노무현 이명박 박근혜 문재인 윤석열
취소선은 무효 선거, 탄핵, 기울임체는 간접 선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