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 도시철도 3개 노선을 운영하는 공기업. 대구 도시철도 1호선이 한창 공사중이던 1995년에 설립된 '지하철 운영 기획단'을 기원으로 한다. 지금의 이름으로 바꾼건 2008년.
돈 없기로 소문나 있는데, 부산교통공사처럼 직접 공사를 집행하는 것도 있고[1] 국비 지원을 거의 못 받는 지경이라 그렇다. 거기에 대구 지하철 참사로 인해 지하철 자체를 기피하는 사람도 많아 이용객이 저조한 편.
관리역
|
소속역
|
역 수
|
1고객센터
|
진천관리역
|
설화명곡역, 화원역, 대곡역, 진천역, 월배역, 상인역, 월촌역
|
7
|
송현관리역
|
송현역, 서부정류장역, 대명역, 안지랑역, 현충로역, 영대병원역, 교대역
|
7
|
중앙로관리역
|
명덕역(1호선), 반월당역(1호선), 중앙로역, 대구역, 칠성시장역
|
5
|
동대구관리역
|
신천역, 동대구역, 동구청역, 아양교역, 동촌역, 해안역, 방촌역
|
7
|
신기관리역
|
용계역, 율하역, 신기역, 반야월역, 각산역, 안심역
|
6
|
2고객센터
|
강창관리역
|
문양역, 다사역, 대실역, 강창역, 계명대역, 성서산업단지역, 죽전역, 감삼역
|
8
|
용산관리역
|
이곡역, 용산역, 두류역, 청라언덕역(2호선), 반월당역(2호선)
|
5
|
대구은행관리역
|
내당역, 반고개역, 경대병원역 대구은행역, 범어역, 수성구청역, 만촌역, 대공원역
|
8
|
신매관리역
|
담티역, 연호역, 고산역, 신매역, 사월역, 정평역, 임당역, 영남대역
|
8
|
3고객센터
|
동천역
|
칠곡경대병원역, 학정역, 팔거역, 동천역, 칠곡운암역, 구암역
|
6
|
매천시장역
|
태전역, 매천역, 매천시장역, 팔달역, 공단역, 만평역
|
6
|
청라언덕역
|
팔달시장역, 원대역, 북구청역, 달성공원역, 서문시장역, 청라언덕역(3호선)
|
6
|
수성구민운동장역
|
남산역, 명덕역(3호선), 건들바위역, 대봉교역, 수성시장역, 수성구민운동장역
|
6
|
수성못역
|
어린이회관역, 황금역, 수성못역, 지산역, 범물역, 용지역
|
6
|
각주
- ↑ 1호선의 경우 대구광역시 건설본부가 완공한 것을 인수하면서 채권도 같이 인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