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궤(廣軌, broad gauge)는 표준궤(1,435mm)보다 레일의 너비(궤간이라고 한다)가 넓은 철도 선로를 뜻한다. 특정한 규격이 정해져 있는 것은 아니고 그냥 저 궤간보다 넓으면 싸잡아 다 광궤라고 부른다.
특징[편집 | 원본 편집]
- 표준궤와 미호환
- 크게, 더 크게
- 차량의 한계폭이 표준궤보다 넓어지고, 노반이 펑퍼짐해지면서 축중도 늘어나고 롤링을 억제할 수 있어 차량의 고속화·대형화가 쉽다. 이는 표준궤보다 더 많이 싣어 나를 수 있다는 것을 뜻한다. 물론 크게 만드는 만큼 돈은 더 들어간다.
- 단, 크게 지을수록 선형은 곧게 잡아야 하기 때문에 토목 비용이 크게 증가하며, 광활한 평야가 계속 이어지는 시베리아 횡단철도 같은 게 아니면 선형을 뽑아내는 게 많이 어렵다. 다만 시베리아 횡단철도는 연선의 지반이 매우 약해 표준궤로 지으면 노반을 더 많이 보강해야 해서 오히려 돈을 많이 절약한 케이스.
종류[편집 | 원본 편집]
- 독일 전차 궤간: 차량 규격은 표준궤를 사용하는 다른 독일 노면 전차와 사실상 동일하여 대차만 미세 조정하여 차돌리기가 가능하다.
- 1,520 mm (4 ft 1127⁄32 in): 러시아 광궤. 시베리아 횡단철도에서 사용중인 궤간이다. 사실 이 광궤를 채용한 이유 중 하나는 시베리아 지역에 연약 지반이 널리고 널려서 당시 기술로 표준궤를 깔았다가는 노반이 내려앉는 불상사가 곳곳에서 발생할 수 있었기 때문. 러시아 이전에는 남북전쟁기 미국 남부연합 지역에서 널리 사용되었다. 이 외에는 구 소련의 역사를 거친 카자흐스탄, 우즈베키스탄 등 중앙아시아의 일부 국가에서도 사용 중이다.
- 1,524 mm (5 ft): 5피트 궤간으로, 핀란드에서 사용한다. 러시아 궤간과는 상호 호환이 되는 수준으로, 사실 단위 상으로는 이 쪽이 조금 더 자연스러워 보이긴 한다.
- 1,588 mm (5 ft 21⁄2 in): 펜실베이니아 트롤리 궤간. 대표적인 광궤 규격은 아니나, 펜실베이니아주의 지역 철도와 노면전차에게는 이 궤간이 사실상의 표준궤이다. 다른 광궤 노선이 표준궤로 개궤되거나 폐지되는 동안에도 하술할 인도 궤간과 함께 여전히 미국에서 사용되는 광궤이다. SEPTA, 피츠버그 T, 뉴올리언즈 전차 등이 여전히 사용한다.
- 1,600 mm (5 ft 3 in): 아이리시 궤간. 주로 아일랜드에서 사용한다.
- 1,668 mm (5 ft 521⁄32 in): 이베리아 궤간. 이름 그대로 이베리아 반도의 철도에서 사용 중인 광궤이다.
- 1,676 mm (5 ft 6 in): 인도 궤간, 혹은 인디안 궤간이라 부르는 것. 인도,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스리랑카 등 구 영국령 인도 식민지에서 널리 쓰이고 있으며, 의외로 미국(샌프란시스코 BART), 아르헨티나 등지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이베리아 궤간과 호환이 가능하다.
- 2,140 mm (7 ft ¼ in): 영국의 브루넬(Isambard K. Brunel)이 창안한 광궤로, 보통 이 수준부터 '초광궤'라고 부른다. 초창기 영국 그레이트 웨스턴 철도(GRW)에 쓰였으나, 스티븐슨 궤간이 표준궤로 지정되면서 쓰이지 않게 되었다.
- 3,000 mm: 브라이트슈푸어반(Breitspurbahn)이라고 불렸던 히틀러의 크고 아름다운 철도 건설계획. 망상으로 끝나서 다행이다.
한국의 광궤 철도[편집 | 원본 편집]
한국은 표준궤를 쓰도록 건설규칙에서 정하고 있으나, 도시철도건설규칙에서 경전철은 고무차륜에 한해 최대 1,700mm까지 광궤를 쓸 수 있도록 예외를 두고 있다. 아래 노선들 역시 고무차륜 차량을 사용하고 있다.
- 현재 운행 노선
- 추후 개통 노선
- 양산 도시철도
- 부산 도시철도 5호선(사상하단선)
- 광주 도시철도 2호선
각주
철도 궤간 분류
| ||
---|---|---|
1435mm 미만 | 협궤 | |
1435mm | 표준궤 |
|
1435mm 이상 | 광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