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백선 | |
---|---|
종류 | 일반철도(지선) |
번호 | 31501 |
구간 | 예미 ~ 조동 |
영업거리 | 9.6 km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KORAIL) |
개통일 | 1957년 3월 9일 |
시설 정보 | |
궤간 | 1,435 mm (표준궤) |
선로 | 1 |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
신호 | ATS |
함백선은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의 예미역과 조동신호장을 이어주는 철도로 태백선의 우회노선으로 취급하기도 한다. 본래는 예미역에서 함백역까지만 들어가는 선로였으나 함백터널의 공사 이후 태백선 선로의 용량을 늘려주는 노선으로 운전취급을 하고 있다. 운영행태가 일종의 복선과 비슷하지만 정확하게 보면 단선 2개를 거의 평행하게 연결해 놓은 병행단선의 모습이다. 무게 때문에 태백선의 험악한 30‰을 넘나드는 경사가 부담스러운 화물열차의 경우 이쪽이 상대적으로 경사가 덜하기 대문에(그래도 20‰은 가뿐히 넘겨준다) 이쪽 노선을 종종 이용하는 편이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
0.0 | 예미 | 태백선 (연결) |
5.2 | 함백 | |
9.6 | 조동 | 태백선 (연결) |
각주
- ↑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대한민국 철도 노선
| |||||
---|---|---|---|---|---|
사업용철도 | |||||
고속 | 경부고속(지선) | 호남고속 | 수서평택고속(지선) | ||
준고속 | 경강(지선) (원주~강릉) |
서해(지선) (홍성~송산) |
중앙(지선) (청량리~안동) |
중부내륙 | 춘천속초 |
일반 | 경인(지선) | 경부(지선) | 경의(지선) | 호남(지선) | 경원 |
충북 | 경전(지선) | 장항(지선) | 전라(지선) | 경춘(지선) | |
동해(지선) | 중앙(지선) (안동~경주) |
영동(지선) | 경북(지선) | 태백(지선) | |
안산(지선) | 과천 | 분당(지선) | 일산 | 신분당 | |
서해(지선) (대곡~원시) |
인천공항(지선) | 경강 (시흥~성남·성남~여주) |
진접선 | GTX A | |
동탄인덕원 | 신안산 | 남부내륙 | GTX B | GTX C | |
도시철도 | |||||
서울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5호선 |
6호선 | 7호선 | 8호선 | 9호선 | 우이신설 | |
신림 | 동북 | 위례 | 위례신사 | ||
인천 | 1호선 | 2호선 | |||
부산 | 1호선 | 2호선 | 3호선 | 4호선 | 사상하단 |
오륙도 | |||||
대구 | 1호선 | 2호선 | 3호선 | 엑스코 | |
광주 | 1호선 | 2호선 | |||
대전 | 1호선 | 2호선 | |||
경기도 | 하남 | 별내 | 도봉산옥정 | ||
기타 | 부산김해 | 의정부 | 용인 | 인천공항 자기부상 | 김포 |
양산 | |||||
기타 노선은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목록을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