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송정역

(송정리역에서 넘어옴)
광주송정
주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노선 호남고속선 182.4 km
호남선 185.7 km
경전선 277.7 km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8.0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광주교통공사

광주송정역(光州松汀驛)은 광주광역시 광산구 송정동에 있는 호남선광주 도시철도 1호선철도역이다. 한국철도공사의 그룹대표역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913년 10월 1일 '송정리역' 개업

송정리역 1913.PNG

1일 개통식을 거행하는 호남선 중 송정리역의 전경 - 대한매일신보 1913년 10월 01일

정읍역 - 나주역 공사 구간 중 나주역 - 송정리역 구간을 1913년 10월 01일 우선 개통했다. 호남선 송정리역 - 목포역 구간이 개통하였다.

  • 1914년 1월 11일 정읍역-송정리역간 35.5리의 철도망 공사 완료로 호남선 정식 개통
호남영업개시. 11일부터 호남전선의 영업을 개시하여 기보[1]한바 당일은 정무총감 山縣伊三郞이 시승할터이나 정무총감[2]이 많이 바빠(다망) 중지하고 철도국에서는… - 대한매일신보 1914년 1월 11일

송정리역 1917 02.jpg

1917년의 송정리역 앞


  • 1921년 4월 남조선철도주식회사에 의해 광주역과 송정리역이 이어져

송정리역 1917.PNG

다음 기사에 관련 내용이 나와있다. 궁금하면 한 번쯤 읽어보시라. 해당 기사엔 송정5일장에 관한 내용도 함께 제시되어있다. http://news.gwangsan.go.kr/news/articleView.html?idxno=253

송정리 ~ 광주간 철도는 1921년 4월에 착공. 광주역은 1922년 7월 완공.

  • 1927년 송정리역 개축

1927년 2월 25일 도의회에서 송정리역 개축에 관한 건의안이 나왔다. 이 건의안은 광주현으로 보내졌다. 이 사실을 통해 봤을 때 이미 1920년대 후반에 들어서 송정리역이 광주의 실질적인 생활권 안에 들어왔으리라고 추측된다. 송정리역이 이 당시까지 처리했던 물동인원과 화물처리량은 423828명, 화물 45000톤 정도로 그 비중이 많고 또한 송정리역이 전남선호남선의 분기점이라 그 중요도가 높다는 근거를 들어 송정리역 개축안이 제시되었다.

  • 20세기 초 교통의 허브였던 송정리역

지금이야 지하철 타면 광주송정역까지 금방이지만 그 때의 거리개념은 지금과 많이 달랐다. 광주역에 비해 송정리역은 (그 당시 사람 기준으로/현대 사람들도 송정역이 멀다고 불평하는게 코미디이긴 하지만;;;) 아주아주 멀리 떨어진 말그대로 아주 외딴 곳에 떨어져 있는 역처럼 여겨졌다. 송정리역은 멀리 떨어진 곳에 있는 역으로 사람들에게 인식되어왔지만 송정리역을 이용했던 광주 사람들이 의외로 꽤 많았다고 한다. 일단 송정리역이 호남선이라는 핵심 간선 철도망에 있는 역이기 때문에 철도 이용에 있어서는 광주역에 비해 송정리역이 더 편리하고 철도 이용이 용이했다. 그렇기 때문에 광주에서 송정리역을 이용하고자 했던 사람들이 많았고 이것이 바탕이 되어 광주의 운수업과 교통 관련 사업이 발전하기 시작했다. 즉 광주의 운수업과 교통 사업은 광주 도심과 송정리역을 잇는데에서 시작한 것이다. 물론 광주에서 송정리역까지 걸어서 다니던 사람들도 있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운수업과 교통 사업을 하던 이들이 제공하던 교통 서비스를 이용해 편리하게 송정리역까지 왔다갔다 했다. 이를 뒷받침 하듯 당시 송정리역 앞에는 많은 수레, 마차들이 모여있었다고 한다. 해방 이후에도 송정리역의 교통 허브로서의 역할은 크게 다름이 없었다. 광주의 도시간 교통망을 양분했던 2대 회사인 광주여객(현 금호고속의 전신)과 금성여객 역시 1940년대 후반 송정리역을 핵심공략지역으로 삼아 버스사업을 전개하였다.

철도선이 송정~광주간에 놓이기 전 광주~송정간 여객수송은 자동차, 우마차, 인력거가 담당했다. 일본인 가토(加藤)자동차부가 운영한 승용차 2대는 편도 75전을 받고 영업을 했다. 인력거는 50전이었으며 1시간 30분만에 광주에 도착했다. 마차도 손님을 실어날랐는데 쇠바퀴 수레마차는 35전, 고무바퀴마차는 45전으로 1시간가량에 달려 인력거보다는 빨랐다. 송정리에는 화물차와 소수레 운송점들이 들어서는 등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해 1916년 송정면 인구는 9천235명으로 광주면인구 1만948명에 육박해왔고 땅 값도 광주읍내 땅값에 육박했다. - 김정호의 광주 역사산책
  • 한국전쟁 당시 송정리역

송정리역 1950.jpg 송정리역 1951.PNG


  • 1968년 2월 7일 경전선이 송정리역과 이어져
경전선은 영남과 호남을 대전을 거치지 않고 남해안을 따라 철도로 직결한다는 점에서 일제시대부터 꾸어온 꿈이 이제야 실현된 것. 해방후의 철도건설이 주로 무연탄이 있는 산속을 향해서만 깔려오던 기차길이 교통편의를 가장 큰 목표로 선로가 개통되기는 이 경전이 가장 큰 공사라고 철도청 시설국장 신유섭씨는 장담한다. … 이번에 전구간이 개통, 경전선의 이름을 경남의 삼랑진에서 전남의 송정리까지(323km)로 범위를 넓혀 부르기로 했다. - 경향신문 1968년 2월 7일

1968년 1월 16일 철도청 고시 제5호에 의거 삼랑진 ~ 송정리 구간 철도망이 경전선에 편입되었다.

  • 1970년 북송정삼각선, 호남선, 경전선 항공 촬영

송정리역 1970.jpg

회색 도로 옆에 곧게 뻗어 삼각형으로 갈라지는 부분이 경전선북송정삼각선이다.

  • 1977년 송정리역 사진

송정리역 1977.JPG


  • 1989년 북송정삼각선, 경전선 항공 촬영

송정리역 1989.jpg

아래 두갈래로 나뉜 철길이 북송정삼각선이다. 철길이 사진 위쪽 송정고가차도에서 왼쪽으로 휘어져있는데 1989년 당시는 경전선 광주도심구간 철도이설사업이 이루어지기 전이라 저 선로가 바로 광주역으로 방면으로 이어져 있었다. 지금은 송정고가차도 인근의 동송정신호장에서 경전선광주선이 분기된다.

송정리역 1989 02.jpg

왼쪽에 두 방향으로 갈라진 철길이 북송정삼각선이다. 사진 가운데 나무 많은 언덕은 송정공원이다.

  • 1999년 송정리역 항공 촬영

송정리역 1999.jpg

송정리역 1999 02.jpg


  • 2008년 4월 11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송정리역 개통


  • 2009년 4월 1일 송정리역이라는 역명이 광주송정역이라는 역명으로 개칭됨
…그런데도 송정리역 이용객이 광주역에 미치지 못한다. 광주역은 알아도 송정리역은 모르는 외지인이 많아서다. 송정리역은 KTX 정차역 중 유일하게 농촌지역 간이역이나 어울리는 명칭이다. 광주시민이나 광주 사정에 밝은 사람이 아니면 송정리역이 광주시에 소재한 두 번째로 큰 역이라는 것을 알지 못한다. 더구나 인터넷으로 광주 가는 철도편을 찾는 사람은 송정리역을 찾기가 쉽지 않다. 설사 어렵게 찾아내도 도심에 있는 역이 아니라 변두리 한 쪽에 치우친 역쯤으로 생각한다. … 그렇더라도 송정리역을 광주송정역으로의 명칭 변경은 서둘러야 한다. 당장 현실적으로 광주 관광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 송정리역의 존재를 모르는 외부인들에게 광주로 가는 편리한 교통정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더 나아가 물류와 승객수송에도 효과가 크다. … 도시발전과 교통시스템 합리화를 위해서도 꼭 필요하다. 시간절약과 비용절감 등 경제적인 면에서도 효과가 크다. 송정리역을 광주송정역으로 개명하는데 뜻을 모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시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성원을 바란다. - 2008년 9월 1일 광주시의회 의장이 무등일보를 통해 시민들에게 기고

기존의 송정리라는 역명이 광주송정으로 바뀌었다. 아직도 나이드신 분들은 광주송정역을 옛 명칭인 송정리역으로 부르신다.

  • 2013년 7월 23일 광주 도시철도 1호선 역명을 광주송정역으로 변경

광주 1호선 역명은 조금 뒤늦게 바뀌었다.[3]


  • 2015년 2월 17일 광주송정역 선상 역사 개장

GwangjuSongjeong Station.jpg

호남고속선 개통에 대비해 광주송정역 역사가 신축되었다. 선상 역사로 건설되었으며, 기존의 임시 역사는 일반인에게 폐쇄되어 현재 전기사업소 건물로 쓰이고 있다.

인프라[편집 | 원본 편집]

광주송정역 전기차 충전센터[편집 | 원본 편집]

전기자동차 충전소 알림 서비스에 뜨지 않는다. 환경부에서 설치한 충전소가 아니라 한국전력코레일 등이 공동협약으로 설치한 전기차 충전센터이기 때문이다. 알림 서비스에 뜨지 않아도 실제로 광주송정역에 가면 전기차 충전센터가 있다.

광주송정역 렌터카[편집 | 원본 편집]

  • 24시간 대여 7만 5000원
  • 문의전화 : 062-942-0788

광주송정역 카셰어링[편집 | 원본 편집]

  • 시간당 7,700원, 24시간은 7만 7000원. 유류비 1km당 190원 청구.
  • 문의전화 : 1644-0520

광주송정역 주차장[편집 | 원본 편집]

  • 30분 1000원, 10분 경과시 400원씩 추가
  • 1일 10000원

연계 교통[편집 | 원본 편집]

도시철도[편집 | 원본 편집]

광주 도시철도 1호선
평동 도산 광주송정역 송정공원 공항 김대중컨벤션센터
(마륵)
상무 운천 쌍촌 화정
3.5분 1.5분 0 2분 4분 7.5분 9분 11분 12.5분 14분
농성 돌고개 양동시장 금남로5가 금남로4가 문화전당
(구 도청)
남광주 학동·증심사입구 소태역 녹동역
15.5분 17.5분 19분 21분 22.5분 24분 25.5분 27분 29분 34분
배차간격 5분 ~ 15분 자세한 정보는 광주 도시철도 1호선을 참조하세요.
  • 한줄요약 : 금남로 셔틀. 주말에 타보면 안다. 평동역도산역에선 얼마 타지도 않던 사람들이 광주송정역에선 우루루루루루 탑승해서는 농성역에서 일부 내리고 금남로4가역에서 그 사람들이 다 내린다. 기존에는 광주역이 시내쪽 수요를 담당했으나, 광주역의 KTX가 끊긴 이후 광주송정역으로 사람들이 몰리며 발생하는 현상이다.
  • 광주종합버스터미널에 갈 승객들은 농성역에서 내리자. 전동차 내 안내방송으로 '광주종합버스터미널로 갈 승객들은 화정역에서 내리라'고 방송을 할텐데 믿지 말자. 화정역에서 내려 터미널까지 걸어가는 것이 농성역에서 내려 터미널까지 걸어가는 것보다 더 멀고 힘이 든다. 참고로 주의할 점이 지하철을 타고 농성역에서 하차해도 터미널까지 족히 1km는 걸어야 한다. 본인이 걷기를 잘하고 이왕 터미널까지 걸어갈 겸 광주 구경도 할 생각이 있다면야 굳이 농성역에서 내린다음 유스퀘어까지 걸어가는 것을 말리진 않겠다. 다만 때가 걷기 싫어지는 여름철이라고 한다면 터미널 바로 앞까지 자신을 데려다주는 시내버스를 타고 가는 것이 현명하다.
  • 금남로충장로에 갈 계획이 있다면 인정사정 볼 것 없이 무조건 지하철을 타는 것을 추천한다. 버스와의 속도전과 쾌적함 싸움에서 절대적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하철이 금남로 셔틀일 수밖에 없는 이유
  • 일부 동에서는 버스를 타고 가까운 도시철도역에서 환승을 해 광주송정역까지 가는 것이 시간적으로 큰 이득이 될 수도 있다. 운좋게 교통수단 배차가 본인 움직임에 맞춰 딱딱 맞아주기만 한다면, 무환승 버스 탑승으로 광주송정역 가는데 걸리는 시간의 절반 시간만으로 광주송정역에 갈 수가 있다. 무엇보다도 버스는 신호등이라는 변수(이자 장애물)가(이) 있기 때문에 열차 놓치기 싫으면 지하철 시각표를 함께 확인해 버스에서 지하철로 빠른 환승을 한 뒤 제시간에 역에 정시 도착하는 것이 좋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편집 | 원본 편집]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송정역 정류장 버스 목록 및 배차간격
송정 19 송정 29 송정 98
9분 9분 9분
송정 33 진월 75 임곡 90 송정 93 송정 96 송정 97
19분 55분 105분 165분 75분
송정 99 송정 100 선운 101[4] 송정 296 송정 197 임곡 290
205분 25분 65분 110분 230분
공항 1000 마을 701 마을 720-1 진곡 196[5] 좌석 02
15분 120분 160분 15분 18분
급행 또는 직행 좌석 간선 지선 공항 마을
  • 좌석 02번 버스는 직행좌석버스다. 최신예 기종의 최고등급 버스만을 투입하며 광주광역시의 핵심 지역을 바로 이어준다. 이런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요금이 창렬버스라 광주 시민들도 거의 이용을 안한다. 시내버스 주제에 직행02번 노선 단독으로 독자적인 요금 체계를 가지고 있다. 광주만의 KTX 리무진 버스라고 부를 수 있을 듯.
  • 좌석 02번에 돈 쓰기 아깝다면 그 아래 하위급 버스로 공항버스 1000번을 추천하다. 광주광역시의 핵심지역을 이어줄 뿐만 아니라, 최신은 아니더라도 최고등급 버스가 투입되며, 요금도 일반 시내버스랑 똑같이 받는다! 단 버스 면허가 공항버스 면허라 환승할인이 안 된다는 점 주의. 좌석 02번은 텅텅 비어다니는데 반해 공항 1000번은 광주 시민들도 애용해 출퇴근시간대에 간혹 북적북적 거린다.
  • 송정 196번은 일방으로만 운행하는 버스다. 광주송정역 역사 기준 길 건너편 승강장에서만 탑승 가능하다.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심야)[편집 | 원본 편집]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광주송정역 정류장 심야버스 목록 및 출발시각
좌석02 상무22
23시 11분, 0시 11분 광주송정 출발 / 금요일, 토요일 운행
급행 및 좌석 간선
  • 상하행 각각 2회씩, 총 4회 이동. 해당 시각대에 광주송정역 버스 정류장에서 두 노선의 상하행 심야 버스를 탑승할 수 있다.

광주광역시 시티투어 버스[편집 | 원본 편집]

나주시 시내버스[편집 | 원본 편집]

나주시 시내버스 광주송정역 정류장 버스 목록 및 배차간격
160 160 (나주보건소, 나주역 경유) 1160 600 (덕림 경유) 600 (용산 경유)
- - - - -
601 (승촌보 - 덕림 경유) 601 (승촌보 -용산 경유) 601 (학산 - 덕림 경유) 601 (학산 - 용산 경유) 602 (양천 경유)
- - - - -
603 (학산 경유)
-
광신고속 운영 나주교통 운영
  • 광주송정역 버스정류장에 정차하는 나주시 시내버스들은 모두 나주터미널 종착이다. 다시로 가실 분은 나주시 시내버스를 타고 나주터미널로 간 다음 다시가는 버스로 환승하거나, 광주송정역에서 다시역에 정차하는 무궁화호 열차를 탈 것.
  • 나주시 시내버스는 특이하게도 진행하다가 나주시에 도달하면 항상 나주터미널로 우회해 터미널을 필수로 경유한다. 즉 나주에 갈 일이 있으면 일부 남평 경유해 이양이나 명봉까지 가는 버스를 제외한 아무 나주 버스나 타도 나주터미널에 갈 수 있다는 이야기다. 반대로 나주터미널만 가면 거의 모든 나주시 시내버스를 탈 수 있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 나주시 시내버스는 예상외로 진짜 먼 곳까지 간다. 나주 도심을 넘어 훨씬 먼 곳까지 갈려고 나주 버스를 탔는데 나주터미널에서 사람들이 다 내리고 기사님이 버스에서 내려도 일단 요금을 냈다면 절대 내려선 안 된다.(나주터미널 종착 버스는 내려야 한다. 나주 넘어 다른 곳 까지 가는 버스를 탔고 이미 그곳까지 가는 시계외요금을 냈다면 그냥 가만히 앉아있자.) 나주터미널은 일종의 휴게소 역할이라 나주터미널에서 내릴 사람은 터미널에서 내리고 계속 갈 사람은 계속 자리에 착석해 있다. 기사님이 내리는 이유는 쉬기 위해서며, 5분정도 나가서 스트레칭을 하시거나 담배를 피러 가시거나, 간식을 먹으러 나가있다. 시간이 지나면 다시 버스로 돌아와 나주 너머 다른 군까지의 운행을 시작한다.
  • 나주시 시내버스를 타면 기사님께 어디까지 가는지 물어야(예 : 광주시내요. / 혁신도시 갑니다. / 나주터미널 / 아저씨 다시 가요? 다시 찍어주세요 등) 한다. 그래야 기사님이 시계외요금을 책정해 교통카드 단말기를 조작하신다. 기사님이 단말기를 조작한 이후에 교통카드를 찍어야 시계외요금이 제대로 계산된다.
  • 광신고속 운영 버스는 보라색 도색으로 되어있어 한눈에 알아볼 수 있고, 나주교통 운영 버스는 노란빛 도는 주황색 도색에 버스 상단부에 큰 글자로 나주교통이라 쓰여있다.
  • 광주송정역에서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를 가는 버스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좌석 02와 나주시 시내버스 1160 두 가지가 있다.

전라남도 순환버스[편집 | 원본 편집]

빠르게 가는 길 공략[편집 | 원본 편집]

광주송정역에서 핵심 지역 빠르게 가기
광주-KIA 챔피언스 필드 역 맞은편 '광주송정역' 버스 정류장에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송정 98' 탑승 ->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58분 ~ 59분
역 맞은편 길로 이동 -> 북쪽으로 도보 이동 후 '영광통' 버스 정류장에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일곡 38' 탑승 ->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53분 ~ 54분
도시철도 '광주송정역'에서 도시철도 '금남로5가역'으로 이동 -> 4번 출구로 나온 뒤 '광주일고' 버스 정류장에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운림 51', '일곡 38', '첨단 95'로 환승 -> '광주기아챔피언스필드'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41분
금남로 역 맞은편 '광주송정역' 버스 정류장에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송정19' 탑승 -> '광주일고'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51분
역 맞은편 '광주송정역' 버스 정류장에서 나주시 시내버스 '160번' 탑승 -> '광주일고'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42분 ~ 50분
도시철도 '광주송정역'에서 도시철도 '금남로4가역', '금남로5가역'으로 이동 20분 ~ 40분
광주종합버스터미널 (유스퀘어) 역 맞은편 '광주송정역' 버스 정류장에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좌석02' 탑승 -> '광천터미널'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34분 ~ 42분
역 맞은편 길로 이동 -> 북쪽으로 도보 이동 후 '영광통' 버스 정류장에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일곡 38' 탑승 -> '광천터미널'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47분 ~ 50분
도시철도 '광주송정역'에서 도시철도 농성역으로 이동 -> 5번 출구로 나온 뒤 북쪽 방향으로 22분간 걸어감 36분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역 맞은편 '광주송정역' 버스 정류장에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좌석02' 탑승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51분 ~ 1시간
역 맞은편 '광주송정역' 버스 정류장에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송정 98' 탑승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1시간 15분
도시철도 '광주송정역'에서 도시철도 문화전당역으로 이동 30분 ~ 35분
양림동 근대역사문화마을 역 맞은편 '광주송정역' 버스 정류장에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좌석02' 탑승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 정류장 남쪽으로 약 1km 이상 도보로 이동 1시간 14분
도시철도 '광주송정역'에서 도시철도 금남로4가역으로 이동 -> 도시철도 금남로4가역과 연결된 금남로 지하상가를 관통해 '충장치안센터' 버스 정류장으로 도보 이동함 -> '충장치안센터' 버스 정류장에서 광주광역시 시내버스 '금남55' 탑승 -> '양림교' 버스 정류장에서 하차 39분 ~ 48분
도시철도 '광주송정역'에서 도시철도 남광주역으로 이동 -> 역 서쪽으로 약 1km 도보로 이동 43분 ~ 47분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지상 광주송정역[편집 | 원본 편집]

광주송정
11번 승강장에 정차하고 있는 120000호대 KTX-산천
주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201
노선 호남고속선 182.4 km
호남선 185.7 km
경전선 277.7 km
관할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1913년 10월 1일
코드 36
승강장 5면 10선

광주송정역 배선도 V1.jpg

시설[편집 | 원본 편집]

옛날에 지상에서 3·4번 승강장으로건너가기 위해 임시 건널목이 우측 예비선로에 설치되었는데 선상역사 개장 이후 임시 건널목은 다시 해체되어 사라졌다.

지하 광주송정역 (1호선)[편집 | 원본 편집]

광주송정
주소 광주광역시 광산구 상무대로 지하201-99
번호  117 
노선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8.0 km
관할 광주교통공사
개업일 2008년 4월 11일
승강장 2면 2선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시설[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편집 | 원본 편집]

경유 노선 목록
오송 방면
정읍 50.5 km
광주송정 (종점)
대전조차장 방면
북송정 1.7 km
광주송정 목포 방면
노안 9.3 km
삼랑진 방면
동송정 2.7 km
광주송정 (종점)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광주 도시철도[편집 | 원본 편집]

1호선
녹동 방면
 116  송정공원
 117  광주송정역 평동 방면
 118  도산

여객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종류 노선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KTX 호남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호남선 행신 - 서울 - 용산 - 광명 - 천안아산 - 오송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SRT 호남선 수서 - 동탄 - 평택지제 - 천안아산 - 오송 - 공주 - 익산 - 정읍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ITX-마음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ITX-새마을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몽탄 - 일로 - 목포
무궁화호 호남선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
경전선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6]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경전선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호남선 광주 - 극락강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남도해양열차 경전선 부산 - 구포 - 물금 - 삼랑진 - 진영 - 창원중앙 - 마산 - 진주 - 북천 - 하동 - 광양 - 순천 - 벌교 - 득량 - 보성 - 명봉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각주

  1. 이미 보도함
  2. 일부 글자가 훼손되어 추측해 적었다.
  3. 광주광역시고시 제2013-121호
  4. 송산유원지 가는 버스와 인광병원 가는 버스 두 가지가 존재한다. 광주송정역에서 광주 도심가는 길은 두 버스 다 동일하다. 광주송정역을 벗어나 시 외곽으로 가는 101번 버스는 서울 지하철 5호선처럼 중간에 행선지가 두 곳으로 나뉜다.
  5. 일방으로만 운행. 광주송정역 광장 기준 길 건너편 승강장에서만 탑승 가능.
  6. 부전~목포 구간 열차는 미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