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의 철도/연표: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단위 수정)
 
(사용자 8명의 중간 판 4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9번째 줄: 9번째 줄: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선|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선|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선|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선|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 mm)의 [[표준궤]]로 정함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mm)의 [[표준궤]]로 정함
*[[1897년]]
*[[1897년]]
**[[1월 15일]] : 궤간을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동일한 5척(1524 mm)의 [[광궤]]로 개정
**[[1월 15일]] : 궤간을 [[시베리아 횡단철도]]와 동일한 5척(1524mm)의 [[광궤]]로 개정
**[[3월 22일]] : [[경인선]] 공사 착공
**[[3월 22일]] : [[경인선]] 공사 착공
**[[5월 12일]] : 모스가 5만$의 교부금을 받고 경인선을 건설 후 경인철도인수조합(일본 자본)에 양도하기로 계약
**[[5월 12일]] : 모스가 5만$의 교부금을 받고 경인선을 건설 후 경인철도인수조합(일본 자본)에 양도하기로 계약
27번째 줄: 27번째 줄:
**[[6월 30일]] : 프랑스 피브릴르사의 [[경의선|경의철도]] 부설권 소멸
**[[6월 30일]] : 프랑스 피브릴르사의 [[경의선|경의철도]] 부설권 소멸
**[[7월 8일]] : 한국정부{{ㅈ|대한제국정부를 의미}}, [[경의선|경의철도]] 부설권을 박기종이 창립한 대한철도회사에 특허
**[[7월 8일]] : 한국정부{{ㅈ|대한제국정부를 의미}}, [[경의선|경의철도]] 부설권을 박기종이 창립한 대한철도회사에 특허
**[[9월 18일]] : [[노량진역|노량진]]-[[인천역|인천]]간 33.8 km구간의 [[경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개시함.{{ㅈ|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증기기관차 4대, 객차 6량, 화차 28량, 7개역 119명의 직원으로 한국철도 운행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9월 18일]] : [[노량진역|노량진]]-[[인천역|인천]]간 33.8km구간의 [[경인선]]이 개통되어 영업을 개시함.{{ㅈ|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증기기관차 4대, 객차 6량, 화차 28량, 7개역 119명의 직원으로 한국철도 운행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1900년대==
==1900년대==
51번째 줄: 51번째 줄:
**[[9월 14일]] : 마산선을 군용철도로 부설 착수함을 일본공사가 한국정부에 통지
**[[9월 14일]] : 마산선을 군용철도로 부설 착수함을 일본공사가 한국정부에 통지
*[[1905년]]
*[[1905년]]
**[[1월 1일]] : [[경부선]] 경성-초량간 전구간 운수영업 개시. 당시 노선 길이는 총 445.6 km였음
**[[1월 1일]] : [[경부선]] 경성-초량간 전구간 운수영업 개시. 당시 노선 길이는 총 445.6km였음
**[[1월 26일]] : [[경의선]] 평양-신의주간 궤도 부설 준공
**[[1월 26일]] : [[경의선]] 평양-신의주간 궤도 부설 준공
**[[2월 5일]] : [[경의선]] [[용산역|용산]]-[[개성역|개성]] 구간 개통
**[[2월 5일]] : [[경의선]] [[용산역|용산]]-[[개성역|개성]] 구간 개통
62번째 줄: 62번째 줄:
**[[9월 11일]] : [[경부선|경부철도]]와 일본 철도의 연대운수 실시
**[[9월 11일]] : [[경부선|경부철도]]와 일본 철도의 연대운수 실시
**[[11월 10일]] : [[경부선|경부철도]]와 군용철도인 [[경인선]] [[용산역|용산]]-[[평양역|평양]]간 연락운수 개시
**[[11월 10일]] : [[경부선|경부철도]]와 군용철도인 [[경인선]] [[용산역|용산]]-[[평양역|평양]]간 연락운수 개시
**[[12월 22일]] : 일제, [[통감부]]를 설치{{ㅈ|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날짜/출력|1906-2-1}}이다.}}하여 국내 철도 통합운영을 추진하였다. 이는 [[을사늑약]] 이후 한반도를 본격적으로 집어삼키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었다.
**[[12월 22일]] : 일제, [[통감부]]를 설치{{ㅈ|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1906년]] [[2월 1일]]이다.}}하여 국내 철도 통합운영을 추진하였다. 이는 [[을사늑약]] 이후 한반도를 본격적으로 집어삼키기 위한 작업의 일환이었다.
*[[1906년]]
*[[1906년]]
**[[1월 4일]] : [[경인선]]에서 일반인의 탑승 및 탁송화물 취급 개시
**[[1월 4일]] : [[경인선]]에서 일반인의 탑승 및 탁송화물 취급 개시
84번째 줄: 84번째 줄:
*[[1910년]]
*[[1910년]]
**[[10월 15일]] : [[용산역|용산]]-[[원산역|원산]]간 [[경원선]] 철도 기공식
**[[10월 15일]] : [[용산역|용산]]-[[원산역|원산]]간 [[경원선]] 철도 기공식
**[[10월 16일]] : [[평양역|평양]]과 진남포를 연결하는 [[평남선]] 철도가 영업 개시(당시 영업거리 55.3 km)
**[[10월 16일]] : [[평양역|평양]]과 진남포를 연결하는 [[평남선]] 철도가 영업 개시(당시 영업거리 55.3km)
*[[1911년]]
*[[1911년]]
**[[6월 1일]] : [[한강철교]] A선 준공
**[[6월 1일]] : [[한강철교]] A선 준공
115번째 줄: 115번째 줄:
**[[11월 1일]] : [[충북선]]의 [[조치원역|조치원]]-[[청주역|청주]] 구간이 [[사설철도]]로 개통
**[[11월 1일]] : [[충북선]]의 [[조치원역|조치원]]-[[청주역|청주]] 구간이 [[사설철도]]로 개통
*[[1922년]]
*[[1922년]]
**[[7월 1일]]남조선 철도 [[광주선]] [[송정리역|송정리]]-[[광주역|광주]]간 개통, [[경전선]] [[송정리역|송정리]]-[[순천역|순천]]간 134.6 km 개통
**[[7월 1일]]남조선 철도 [[광주선]] [[송정리역|송정리]]-[[광주역|광주]]간 개통, [[경전선]] [[송정리역|송정리]]-[[순천역|순천]]간 134.6km 개통
*[[1923년]]
*[[1923년]]
**[[1월 1일]] : 남대문역을 [[서울역|경성역]]으로 개칭
**[[1월 1일]] : 남대문역을 [[서울역|경성역]]으로 개칭
**[[7월 1일]] : [[광주선]] [[송정리역|송정리]]-[[광주역|광주]]간 14.9 km구간 개통
**[[7월 1일]] : [[광주선]] [[송정리역|송정리]]-[[광주역|광주]]간 14.9km구간 개통
**[[12월 1일]] : [[경전선|경남선]] [[마산역|마산]]-[[진주역|진주]]간 70 km구간 개통
**[[12월 1일]] : [[경전선|경남선]] [[마산역|마산]]-[[진주역|진주]]간 70km구간 개통
*[[1924년]]
*[[1924년]]
**[[8월 1일]] : [[금강산선]] [[철원역|철원]]-[[김화역|김화]]간 28.6 km 개통
**[[8월 1일]] : [[금강산선]] [[철원역|철원]]-[[김화역|김화]]간 28.6km 개통
*[[1925년]]
*[[1925년]]
**[[4월 1일]] :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의 위탁경영을 해제하고 조선총독부의 직접경영으로 전환, 동시에 산하에 철도국을 설치함. 직영 환원시 철도의 총 연장은 2,092 km였다.
**[[4월 1일]] : [[남만주철도주식회사]]의 위탁경영을 해제하고 조선총독부의 직접경영으로 전환, 동시에 산하에 철도국을 설치함. 직영 환원시 철도의 총 연장은 2,092km였다.
**[[9월 30일]] : [[서울역|경성역]]의 역사 신축 준공. 이 역 건물은 현재의 서울역 구역사이다.
**[[9월 30일]] : [[서울역|경성역]]의 역사 신축 준공. 이 역 건물은 현재의 서울역 구역사이다.
**[[10월 15일]] : [[서울역|경성역]] 신축역사에서 영업개시
**[[10월 15일]] : [[서울역|경성역]] 신축역사에서 영업개시
151번째 줄: 151번째 줄:
**[[5월 1일]] : [[영등포역]]을 남경성역으로, [[청량리역]]을 동경성역으로 바꿈
**[[5월 1일]] : [[영등포역]]을 남경성역으로, [[청량리역]]을 동경성역으로 바꿈
*[[1939년]]
*[[1939년]]
**[[7월 25일]] : [[경춘선]] 성동-[[춘천역|춘천]]간 93.5 km구간 개통
**[[7월 25일]] : [[경춘선]] 성동-[[춘천역|춘천]]간 93.5km구간 개통


==1940년대==
==1940년대==
163번째 줄: 163번째 줄:
**[[8월 16일]] : 일본 집권층과 철도 업무 접수를 위한 한국 직원 간 대책협의. 당시 철도 종사원 79,000명 중 일본인 종사원은 23,000명이었다
**[[8월 16일]] : 일본 집권층과 철도 업무 접수를 위한 한국 직원 간 대책협의. 당시 철도 종사원 79,000명 중 일본인 종사원은 23,000명이었다
**[[9월 6일]] : 미 육군 해밀턴 중령이 군정청의 교통국장에 취임. 동년 12월 1일까지 재임한다
**[[9월 6일]] : 미 육군 해밀턴 중령이 군정청의 교통국장에 취임. 동년 12월 1일까지 재임한다
**[[10월 27일]] : 일본일 철도 종사원을 모두 사직시킴.{{ㅈ|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 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 km, 영업거리 2,642 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10월 27일]] : 일본일 철도 종사원을 모두 사직시킴.{{ㅈ|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km, 영업거리 2,642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1946년]]
*[[1946년]]
**[[1월 1일]] : 교통국을 운수국으로 개칭
**[[1월 1일]] : 교통국을 운수국으로 개칭
**[[5월 17일]] : 군정령 제75호에 따라 사설철도 및 부대사업 일체를 국유철도에 합병하였다.{{ㅈ|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 km, [[협궤]]구간 125.3 km였다.}}
**[[5월 17일]] : 군정령 제75호에 따라 사설철도 및 부대사업 일체를 국유철도에 합병하였다.{{ㅈ|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km, [[협궤]]구간 125.3km였다.}}
**[[9월 23일]] : 철도총파업(10월 1일 해제)
**[[9월 23일]] : 철도총파업(10월 1일 해제)
*[[1947년]]
*[[1947년]]
183번째 줄: 183번째 줄:
**[[10월 8일]] : 부산-서울간 철도 완전개통으로 복귀, 철 열차 운행(112열차), 서울, 용산지구 철도기관 완전 수복
**[[10월 8일]] : 부산-서울간 철도 완전개통으로 복귀, 철 열차 운행(112열차), 서울, 용산지구 철도기관 완전 수복
*[[1951년]]
*[[1951년]]
**[[1월 4일]] ; 서울지구 중공군의 개입으로 완전 철수{{ㅈ|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 m(6%), 선로 329,480 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 m(12%), 노반 100,000 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1월 4일]] ; 서울지구 중공군의 개입으로 완전 철수{{ㅈ|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m(6%), 선로 329,480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m(12%), 노반 100,000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6월 12일]] [[한강철교]] A선 복구공사 준공
**[[6월 12일]] [[한강철교]] A선 복구공사 준공
*[[1952년]]
*[[1952년]]
195번째 줄: 195번째 줄:
**[[6월 1일]] : 동란 이후 UN군이 장악하고 있던 철도 운영권을 인수
**[[6월 1일]] : 동란 이후 UN군이 장악하고 있던 철도 운영권을 인수
**[[8월 15일]] : 서울-부산간 특급 [[통일호]] 운행. 이 당시 운행시간은 9시간 30분ㅇ 소요되었다.
**[[8월 15일]] : 서울-부산간 특급 [[통일호]] 운행. 이 당시 운행시간은 9시간 30분ㅇ 소요되었다.
**[[9월 15일]] : [[문경선]] [[점촌역|점촌]]-[[가은역|가은]]간 22.5 km개통
**[[9월 15일]] : [[문경선]] [[점촌역|점촌]]-[[가은역|가은]]간 22.5km개통
*[[1956년]]
*[[1956년]]
**[[1월 16일]] : [[영동선|영암선]] 전통식을 [[동점역]] 구내에서, [[태백선|영월선]] 개통식을 [[영월역]] 구내에서 시행
**[[1월 16일]] : [[영동선|영암선]] 전통식을 [[동점역]] 구내에서, [[태백선|영월선]] 개통식을 [[영월역]] 구내에서 시행
**[[6월 14일]] : 충남선을 [[장항선]]으로, 경기선을 [[안성선]]으로, 경전남부선을 [[경전선|진주선]]으로, 경전서부선을 [[광주선]]으로 각 선 명칭 개정
**[[6월 14일]] : 충남선을 [[장항선]]으로, 경기선을 [[안성선]]으로, 경전남부선을 [[경전선|진주선]]으로, 경전서부선을 [[광주선]]으로 각 선 명칭 개정
*[[1957년]]
*[[1957년]]
**[[3월 9일]] : [[함백선]] [[영월역|영월]]-[[함백역|함백]]간 22.6 km구간이 개통, 이후 이 구간의 대부분은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3월 9일]] : [[함백선]] [[영월역|영월]]-[[함백역|함백]]간 22.6km구간이 개통, 이후 이 구간의 대부분은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7월 5일]] : 한강교량 복선 C선 복구공사 완성으로 개통식, 동시에 기존에 먼저 복구되었던 A, B선의 노후로 {{날짜/출력|1969-6-28}}까지 C선만을 사용하였다.
**[[7월 5일]] : 한강교량 복선 C선 복구공사 완성으로 개통식, 동시에 기존에 먼저 복구되었던 A, B선의 노후로 [[1969년]] [[6월 28일]]까지 C선만을 사용하였다.
**[[8월 30일]] : 특급 통일호 종전 운행시간 9시간을 7시간으로 단축
**[[8월 30일]] : 특급 통일호 종전 운행시간 9시간을 7시간으로 단축
**[[11월 10일]] : 직통열차 26개 편성에 지정좌석제 실시
**[[11월 10일]] : 직통열차 26개 편성에 지정좌석제 실시
216번째 줄: 216번째 줄:
**[[7월 8일 ]] : [[경부선]]에 PC침목 부설 개시
**[[7월 8일 ]] : [[경부선]]에 PC침목 부설 개시
*[[1961년]]
*[[1961년]]
**[[6월 30일]] : [[서울교외선|능의선]] [[능곡역|능곡]]-[[가능역|가능]]간 26.5 km 개통
**[[6월 30일]] : [[서울교외선|능의선]] [[능곡역|능곡]]-[[가능역|가능]]간 26.5km 개통
*[[1962년]]
*[[1962년]]
**[[1월 1일]] : [[철도법]]이 전문 92개조 2개 부칙으로 공포되었다.
**[[1월 1일]] : [[철도법]]이 전문 92개조 2개 부칙으로 공포되었다.
223번째 줄: 223번째 줄:
*[[1963년]]
*[[1963년]]
**[[5월 17일]] : 영암선, 철암선, [[삼척선]], [[동해북부선]]을 통합하여 [[영동선]]으로 명명함
**[[5월 17일]] : 영암선, 철암선, [[삼척선]], [[동해북부선]]을 통합하여 [[영동선]]으로 명명함
**[[5월 30일]] : [[영동선]] [[통리역|통리]]-[[심포리역|심포리]]간 8.5 km의 황지본선이 개통되면서 [[인클라인]]의 필요성이 사라짐. 황지본선은 8 km이상을 더 돌아가는 길임에도 불구하고 인클라인 대비 수송량을 엄청나게 향상시켰으며, 이후 [[솔안터널]]이 개통될 때까지 영동선의 수송을 감당하게 된다.
**[[5월 30일]] : [[영동선]] [[통리역|통리]]-[[심포리역|심포리]]간 8.5km의 황지본선이 개통되면서 [[인클라인]]의 필요성이 사라짐. 황지본선은 8km이상을 더 돌아가는 길임에도 불구하고 인클라인 대비 수송량을 엄청나게 향상시켰으며, 이후 [[솔안터널]]이 개통될 때까지 영동선의 수송을 감당하게 된다.
**[[8월 12일]] : [[서울역|서울]]-[[여수역|여수]]간 직통 급행열차 풍년호 운행
**[[8월 12일]] : [[서울역|서울]]-[[여수역|여수]]간 직통 급행열차 풍년호 운행
**[[8월 20일]] : [[서울교외선|능의선]] [[가능역|가능]]-[[의정부역|의정부]]간 5.4 km가 마저 개통되면서 운수영업 개시
**[[8월 20일]] : [[서울교외선|능의선]] [[가능역|가능]]-[[의정부역|의정부]]간 5.4km가 마저 개통되면서 운수영업 개시
**[[9월 1일]] : [[철도청]] 발족. 초대 철도청장에 박형훈, 철도청차장에 임승일 취임
**[[9월 1일]] : [[철도청]] 발족. 초대 철도청장에 박형훈, 철도청차장에 임승일 취임
**[[12월 31일]] : 철도청 휘장 새로 제정
**[[12월 31일]] : 철도청 휘장 새로 제정
234번째 줄: 234번째 줄:
**[[1월 27일]] : 철도간호학교 1기 졸업식
**[[1월 27일]] : 철도간호학교 1기 졸업식
*[[1966년]]
*[[1966년]]
**[[1월 19일]] : [[예미역]] 구내에서 [[예미역|예미]]-[[민둥산역|증산]]-[[고한역|고한]]간 30 km구간의 [[태백선|정선선]] 개통식이 거행되었다. 이 노선은 이후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1월 19일]] : [[예미역]] 구내에서 [[예미역|예미]]-[[민둥산역|증산]]-[[고한역|고한]]간 30km구간의 [[태백선|정선선]] 개통식이 거행되었다. 이 노선은 이후 [[태백선]]의 기반이 된다.
**[[1월 27일]] : [[경북선]] [[점촌역|점촌]]-[[예천역|예천]]간 28.9 km가 개통됨
**[[1월 27일]] : [[경북선]] [[점촌역|점촌]]-[[예천역|예천]]간 28.9km가 개통됨
**[[3월 11일]] : [[경부선]] 화물열차 수출호 운행 개시
**[[3월 11일]] : [[경부선]] 화물열차 수출호 운행 개시
**[[4월 1일]] : [[중앙선]]에 건설호, [[호남선]]에 증산호 특별 화물열차 운행
**[[4월 1일]] : [[중앙선]]에 건설호, [[호남선]]에 증산호 특별 화물열차 운행
**[[7월 21일]] : 특급 맹호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간 첫 운행. 이 때 주월 한국군 사령관인 채명신 장군에게 먕호 열차 명명판을 증정하였다.  
**[[7월 21일]] : 특급 맹호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간 첫 운행. 이 때 주월 한국군 사령관인 채명신 장군에게 먕호 열차 명명판을 증정하였다.
**[[7월 30일]] : 철도여행 기념 스탬프 제정
**[[7월 30일]] : 철도여행 기념 스탬프 제정
**[[11월 1일]] : 대한민국에 방한한 미국 존슨대통령이 특별열차를 이용하였다.
**[[11월 1일]] : 대한민국에 방한한 미국 존슨대통령이 특별열차를 이용하였다.
**[[11월 9일]] : [[경북선]] [[예천역|예천]]-[[영주역|영주]]간 29.7 km구간이 개통되었다.
**[[11월 9일]] : [[경북선]] [[예천역|예천]]-[[영주역|영주]]간 29.7km구간이 개통되었다.
*[[1967년]]
*[[1967년]]
**[[1월 20일]] : [[정선선|태백선]] [[민둥산역|증산]]-[[정선역|정선]]간 24 km의 구간이 개통됨. 이후 이 구간은 [[고한역|고한]]-[[태백역|황지]]간 구간이 개통되면서 [[정선선]]으로 명칭이 변경되게 된다.
**[[1월 20일]] : [[정선선|태백선]] [[민둥산역|증산]]-[[정선역|정선]]간 24km의 구간이 개통됨. 이후 이 구간은 [[고한역|고한]]-[[태백역|황지]]간 구간이 개통되면서 [[정선선]]으로 명칭이 변경되게 된다.
**[[3월 30일]] : [[철도고등학교]] 개교
**[[3월 30일]] : [[철도고등학교]] 개교
**[[8월 30일]] : [[서울역]]에서 [[증기기관차]]의 종운식 거행
**[[8월 30일]] : [[서울역]]에서 [[증기기관차]]의 종운식 거행
**[[9월 1일]] : 특급 [[비둘기호]] [[서울역|서울]]-[[부산진역|부산진]]간 첫 운행, 소화물 전용 급행열차 운행
**[[9월 1일]] : 특급 [[비둘기호]] [[서울역|서울]]-[[부산진역|부산진]]간 첫 운행, 소화물 전용 급행열차 운행
*[[1968년]]
*[[1968년]]
**[[2월 7일]] : [[경전선]] 개통식 거행. 기존에 있던 [[진주역|진주]]-[[순천역|순천]]간 80.5 km구간의 진주선과 [[광주선]] 중 [[순천역|순천]]-[[송정리역|송정리]]간 구간을 경전선에 통합함
**[[2월 7일]] : [[경전선]] 개통식 거행. 기존에 있던 [[진주역|진주]]-[[순천역|순천]]간 80.5km구간의 진주선과 [[광주선]] 중 [[순천역|순천]]-[[송정리역|송정리]]간 구간을 경전선에 통합함
**[[6월 7일]] : [[중앙선]] 망우사령실에서 [[CTC]](열차 집중 제어장치)의 시운전 실시
**[[6월 7일]] : [[중앙선]] 망우사령실에서 [[CTC]](열차 집중 제어장치)의 시운전 실시
**[[10월 22일]] : [[중앙선]] [[망우역|망우]]-[[봉양역|봉양]]간 CTC 및 [[경부선]] [[영등포역|영등포]]-[[대전역|대전]]간 ABS장치 개통식
**[[10월 22일]] : [[중앙선]] [[망우역|망우]]-[[봉양역|봉양]]간 CTC 및 [[경부선]] [[영등포역|영등포]]-[[대전역|대전]]간 ABS장치 개통식
257번째 줄: 257번째 줄:
**[[4월 5일]] : 열차자동정지장치 [[ATS]]가 [[경부선]]에 설치 완료됨. 이 당시 총 설치 공사비는 당시 금액으로 2억 7,400만원이었다.
**[[4월 5일]] : 열차자동정지장치 [[ATS]]가 [[경부선]]에 설치 완료됨. 이 당시 총 설치 공사비는 당시 금액으로 2억 7,400만원이었다.
**[[5월 15일]] : [[경부선]]과 [[호남선]]에 열차 무선전화가 개통되었다.
**[[5월 15일]] : [[경부선]]과 [[호남선]]에 열차 무선전화가 개통되었다.
**[[6월 20일]] : [[문경선]] [[진남역|진남신호소]]-[[문경역|문경]]간 10.6 km가 개통되면서 여객열차 3왕복이 신설되어 운행을 시작하였다.
**[[6월 20일]] : [[문경선]] [[진남신호소]]-[[문경역|문경]]간 10.6km가 개통되면서 여객열차 3왕복이 신설되어 운행을 시작하였다.
**[[6월 28일]] : [[경인선]] [[서울역|서울]]-[[인천역|인천]]간 복선 38.7 km구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이날 이전에 복구공사에 들어갔던 [[한강철교]]의 A, B선의 공사가 완료되었다.
**[[6월 28일]] : [[경인선]] [[서울역|서울]]-[[인천역|인천]]간 복선 38.7km구간이 개통되었다. 또한 이날 이전에 복구공사에 들어갔던 [[한강철교]]의 A, B선의 공사가 완료되었다.


==1970년대==
==1970년대==
271번째 줄: 271번째 줄:
**[[2월 25일]] : 서울 시내 철도 안내전화를 "칙칙폭폭"에서 딴 7788번으로 설치. 당시 전화번호는 42-7788, 22-7788, 93-7788번이었다.
**[[2월 25일]] : 서울 시내 철도 안내전화를 "칙칙폭폭"에서 딴 7788번으로 설치. 당시 전화번호는 42-7788, 22-7788, 93-7788번이었다.
**[[3월 17일]] : [[프랑스]]의 알스톰사에서 최초의 [[전기기관차]]인 [[8000호대 전기기관차]]를 도입하였다. 당시 도입 물량은 66량.
**[[3월 17일]] : [[프랑스]]의 알스톰사에서 최초의 [[전기기관차]]인 [[8000호대 전기기관차]]를 도입하였다. 당시 도입 물량은 66량.
**[[3월 31일]] : [[협궤]]인 [[수려선]] 73.4 km구간이 폐선되었다.
**[[3월 31일]] : [[협궤]]인 [[수려선]] 73.4km구간이 폐선되었다.
**[[9월 18일]] : 국제규격의 컨테이너 화물수송이 시작되었다.
**[[9월 18일]] : 국제규격의 컨테이너 화물수송이 시작되었다.
*[[1973년]]
*[[1973년]]
**[[2월 28일]] : [[태백선]] 구간의 [[정암터널]] 4,505 m가 순수 국내 기술진에 의해 관통됨. 정암터널은 국내 기술로 개통한 최초의 장대터널이다.
**[[2월 28일]] : [[태백선]] 구간의 [[정암터널]] 4,505m가 순수 국내 기술진에 의해 관통됨. 정암터널은 국내 기술로 개통한 최초의 장대터널이다.
**[[6월 20일]] : [[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제천역|제천]]간 155.2 km가 전철화 개통됨.
**[[6월 20일]] : [[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제천역|제천]]간 155.2km가 전철화 개통됨.
*[[1974년]]
*[[1974년]]
**[[1월 23일]] : 100만km {{ㅊ|고지달성}}무사고 첫 주파자 탄생.(이동진 기관사)
**[[1월 23일]] : 100만km {{ㅊ|고지달성}}무사고 첫 주파자 탄생.(이동진 기관사)
285번째 줄: 285번째 줄:
**[[4월 4일]] : 철도승차권 전화예약제 실시
**[[4월 4일]] : 철도승차권 전화예약제 실시
**[[10월 1일]] : [[노량진역]]에 철도시발기념비가 제막되었다.
**[[10월 1일]] : [[노량진역]]에 철도시발기념비가 제막되었다.
**[[12월 5일]] : [[동해역|북평역]]에서 산업선 전철{{ㅈ|[[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총 320.8 km}}의 전통식이 거행되었다. 같은 날 [[태백선]] [[고한역|고한]]-[[백산역|백산]] 및 [[영동선]] [[철암역|철암]]-[[동해역|북평]]간 구간이 개통되었다.
**[[12월 5일]] : [[동해역|북평역]]에서 산업선 전철{{ㅈ|[[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총 320.8km}}의 전통식이 거행되었다. 같은 날 [[태백선]] [[고한역|고한]]-[[백산역|백산]] 및 [[영동선]] [[철암역|철암]]-[[동해역|북평]]간 구간이 개통되었다.
*[[1977년]]
*[[1977년]]
**[[4월 6일]] : 대우중공업에서 국내 최초로 국산전동차{{ㅈ|[[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편성이 제작되어서 시험운행을 시작하였다.
**[[4월 6일]] : 대우중공업에서 국내 최초로 국산전동차{{ㅈ|[[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편성이 제작되어서 시험운행을 시작하였다.
**[[11월 11일]] : [[익산역|이리역]] 구내에서 [[이리역 폭발사고|화약 적재열차 폭발]]로 [[호남선]], [[전라선]]이 불통되었다. 당시 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만 59명, 중경상 1,300여명이 발생하고 철도인은 16명이 순직, 50여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상 최악의 철도 사고였다.
**[[11월 11일]] : [[익산역|이리역]] 구내에서 [[이리역 폭발|화약 적재열차 폭발]]로 [[호남선]], [[전라선]]이 불통되었다. 당시 이 사고로 인한 사망자만 59명, 중경상 1,300여명이 발생하고 철도인은 16명이 순직, 50여명이 중경상을 입는 사상 최악의 철도 사고였다.
**[[12월 15일]] : [[마산시]] 도시계획 촉진책으로 [[구마산역]], [[마산역]], [[북마산역]]을 통폐합하여 [[마산역|마산 3역 통합역사]] 준공 및 영업개시
**[[12월 15일]] : [[마산시]] 도시계획 촉진책으로 [[구마산역]], [[마산역]], [[북마산역]]을 통폐합하여 [[마산역|마산 3역 통합역사]] 준공 및 영업개시
*[[1978년]]
*[[1978년]]
**[[5월 5일]] : [[어린이날]]을 기념하여 [[대통령]] 지시사항으로 [[제주도]]와 [[흑산도]]에 [[증기기관차]]와 객차가 영구 전시된다.
**[[5월 5일]] : [[어린이날]]을 기념하여 [[대통령]] 지시사항으로 [[제주도]]와 [[흑산도]]에 [[증기기관차]]와 객차가 영구 전시된다.
**[[11월 10일]] : [[이리역 폭발사고]]로 무너졌던 [[익산역|이리역]]이 신축되었다.
**[[11월 10일]] : [[이리역 폭발|폭발]]로 무너졌던 [[익산역|이리역]]이 신축되었다.
*[[1979년]]
*[[1979년]]
**[[9월 18일]] : [[7300호대 디젤 기관차|국산 디젤기관차]] 첫 운행식. 이 차량은 [[현대로템|현대차량]]에서 미국 GM과 기술제휴로 제작한 기관차이다.
**[[9월 18일]] : [[7300호대 디젤기관차|국산 디젤기관차]] 첫 운행식. 이 차량은 [[현대로템|현대차량]]에서 미국 GM과 기술제휴로 제작한 기관차이다.


==1980년대==
==1980년대==
313번째 줄: 313번째 줄:
**[[6월 11일]] : 새마을호 승차권 검표제 폐지
**[[6월 11일]] : 새마을호 승차권 검표제 폐지
**[[7월 19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범내골역|범내골]]-[[범어사역|범어사]])
**[[7월 19일]] : [[부산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개통([[범내골역|범내골]]-[[범어사역|범어사]])
**[[11월 15일]] : [[호남선]] [[익산역|이리]]-[[정읍역|정주]간 43.9 km 개통식
**[[11월 15일]] : [[호남선]] [[익산역|이리]]-[[정읍역|정주]간 43.9km 개통식
*[[1986년]]
*[[1986년]]
**[[2월]] : [[철도고등학교]] 폐교
**[[2월]] : [[철도고등학교]] 폐교
**[[9월 2일]] : [[경원선]] 복선전철 [[광운대역|성북]]-[[의정부역|의정부]]간 13.1 km 개통
**[[9월 2일]] : [[경원선]] 복선전철 [[광운대역|성북]]-[[의정부역|의정부]]간 13.1km 개통
*[[1988년]]
*[[1988년]]
**[[1월 26일]] : [[철도박물관]] 개관
**[[1월 26일]] : [[철도박물관]] 개관
335번째 줄: 335번째 줄:
**[[11월 23일]] : [[경인선]] 복복선 기공식 및 [[영등포역|영등포]]-[[구로역|구로]]간 3복선 개통식 거행
**[[11월 23일]] : [[경인선]] 복복선 기공식 및 [[영등포역|영등포]]-[[구로역|구로]]간 3복선 개통식 거행
*[[1992년]]
*[[1992년]]
**[[6월 20일]]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구간(천안-대전간 57.8 km) 착공
**[[6월 20일]]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구간(천안-대전간 57.8km) 착공
**[[6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기공식
**[[6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기공식
**[[7월 10일]] : [[경부선]] CTC전통
**[[7월 10일]] : [[경부선]] CTC전통
345번째 줄: 345번째 줄:
*[[1994년]]
*[[1994년]]
**[[3월 15일]]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창립.
**[[3월 15일]]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 창립.
**[[4월 1일]] : [[과천선]] 복선전철 [[금정역|금정]]-[[사당역|사당]]간 15.7 km 전구간 개통. 그러나 이 구간은 희대의 막장구간인 [[꽈배기굴]]을 낳게 되었다.
**[[4월 1일]] : [[과천선]] 복선전철 [[금정역|금정]]-[[사당역|사당]]간 15.7km 전구간 개통. 그러나 이 구간은 희대의 막장구간인 [[꽈배기굴]]을 낳게 되었다.
**[[8월 1일]] : [[PC통신]]을 통한 철도정보안내 서비스 개시
**[[8월 1일]] : [[PC통신]]을 통한 철도정보안내 서비스 개시
**[[8월 3일]] : 중국산 [[증기기관차]] SY-11호 텐더형 도입
**[[8월 3일]] : 중국산 [[증기기관차]] SY-11호 텐더형 도입
**[[8월 21일]] : 주말관광열차로 [[증기기관차]]의 운행이 [[교외선]] [[서울역|서울]]-[[의정부역|의정부]]간 48.3 km구간을 [[무궁화호]] 객차 4량 편성으로 운행을 재개됨
**[[8월 21일]] : 주말관광열차로 [[증기기관차]]의 운행이 [[교외선]] [[서울역|서울]]-[[의정부역|의정부]]간 48.3km구간을 [[무궁화호]] 객차 4량 편성으로 운행을 재개됨
**[[12월 16일]] : [[경부고속철도]]의 객차 모형이 이듬해 1월 15일까지 한달간 [[서울역]] 광장에 전시됨
**[[12월 16일]] : [[경부고속철도]]의 객차 모형이 이듬해 1월 15일까지 한달간 [[서울역]] 광장에 전시됨
*[[1995년]]
*[[1995년]]
**[[4월 28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지하철]] 공사현장에서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 사고|가스 폭발 사고]]로 101명 사망, 145명 부상
**[[4월 28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지하철]] 공사현장에서 [[대구 지하철 공사장 가스 폭발|가스 폭발]]로 101명 사망, 145명 부상
**[[5월 1일]] : 열차 승차권의 [[신용카드]] 판매 실시(14개역 20개 창구)
**[[5월 1일]] : 열차 승차권의 [[신용카드]] 판매 실시(14개역 20개 창구)
**[[11월 20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창립(현 [[대구도시철도공사]])
**[[11월 20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 창립(현 [[대구도시철도공사]])
**[[12월 31일]] : 마지막 [[협궤]]노선이던 [[수인선]]의 열차 고별운행
**[[12월 31일]] : 마지막 [[협궤]]노선이던 [[수인선]]의 열차 고별운행
*[[1996년]]
*[[1996년]]
**[[1월 30일]] : [[일산선]] 복선전철 [[지축역|지축]]-[[대화역|대화]]간 19.2 km 개통
**[[1월 30일]] : [[일산선]] 복선전철 [[지축역|지축]]-[[대화역|대화]]간 19.2km 개통
**[[2월 27일]] : 드라마 [[모래시계]]의 인기에 힘입어 [[정동진역]]에 해돋이 관광열차가 운행되었다.
**[[2월 27일]] : 드라마 [[모래시계]]의 인기에 힘입어 [[정동진역]]에 해돋이 관광열차가 운행되었다.
*[[1997년]]
*[[1997년]]
**[[3월 13일]] : 탄력운임제 실시
**[[3월 13일]] : 탄력운임제 실시
**[[3월 28일]] : [[영동선]] [[영주역|영주]]-[[철암역|철암]]간 87 km구간의 전철화 개통 완료
**[[3월 28일]] : [[영동선]] [[영주역|영주]]-[[철암역|철암]]간 87km구간의 전철화 개통 완료
**[[5월 26일]] : [[한중공동승차권]] 발매협약 조인
**[[5월 26일]] : [[한중공동승차권]] 발매협약 조인
**[[6월 16일]] : [[경원선]]과 [[교외선]]에 [[통근형 통일호]]의 운행 개시
**[[6월 16일]] : [[경원선]]과 [[교외선]]에 [[통근형 통일호]]의 운행 개시
**[[11월 26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진천역|진천]]-[[중앙로역|중앙로]]간 10.3 km 개통
**[[11월 26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1단계 구간 [[진천역|진천]]-[[중앙로역|중앙로]]간 10.3km 개통
*[[1998년]]
*[[1998년]]
**[[4월 15일]] : [[인천지하철공사]] 창립
**[[4월 15일]] : [[인천지하철공사]] 창립
403번째 줄: 403번째 줄:
**[[5월 2일]] : [[중앙선]] [[덕소역|덕소]]-[[원주역|원주]]간 복선전철 기공식
**[[5월 2일]] : [[중앙선]] [[덕소역|덕소]]-[[원주역|원주]]간 복선전철 기공식
**[[9월 18일]] : [[경의선]] 및 [[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
**[[9월 18일]] : [[경의선]] 및 [[동해선]] 철도∙도로 연결 착공식.
**[[11월]] : [[광주 도시철도공사]] 창립
**[[11월]] : [[광주교통공사]] 창립
**[[11월 30일]] : [[고양고속철도차량기지]] 준공.
**[[11월 30일]] : [[고양고속철도차량기지]] 준공.
*[[2003년]]
*[[2003년]]
412번째 줄: 412번째 줄:
**[[10월 23일]] : [[KTX]]차량 최초 인수(7호기)
**[[10월 23일]] : [[KTX]]차량 최초 인수(7호기)
**[[11월 16일]] : [[대한민국]] [[고속철도]] 명칭을 [[KTX]]로 확정 발표.
**[[11월 16일]] : [[대한민국]] [[고속철도]] 명칭을 [[KTX]]로 확정 발표.
**[[11월 17일]] : [[경부고속철도]]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 전구간의 시험운행 완료
**[[11월 17일]] : [[KTX]] [[서울역|서울]]-[[부산역|부산]] 전구간의 시험운행 완료
**[[11월 28일]] : [[KTX]] 국내생산분 34개편성의 재작완료 출고식
**[[11월 28일]] : [[KTX]] 국내생산분 34개편성의 재작완료 출고식
**[[12월 26일]] : [[8200호대 전기 기관차]] 도입.
**[[12월 26일]] : [[8200호대 전기기관차]] 도입.
*[[2004년]]
*[[2004년]]
**[[1월 1일]] : [[서울역]] 신역사 준공. [[한국철도시설공단]] 설립.
**[[1월 1일]] : [[서울역]] 신역사 준공. [[한국철도시설공단]] 설립.
**[[3월 24일]] : [[호남선]] 복선전철 준공 및 [[호남고속철도]] 개통식.
**[[3월 24일]] : [[호남선]] 복선전철 준공
**[[3월 26일]] : [[KTX-I]] 차량 인수완료.<ref>KTX 46호</ref>
**[[3월 26일]] : [[KTX-I]] 차량 인수완료.<ref>KTX 46호</ref>
**[[3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개통식.
**[[3월 30일]] : [[경부고속철도]] 1단계 개통식.
**[[3월 31일]] : [[CDC]]를 제외한 통일호 열차의 전면 운행 중단.
**[[3월 31일]] : [[CDC]]를 제외한 통일호 열차의 전면 운행 중단.
**[[4월 1일]] : [[경부고속철도]]와 [[호남고속철도]]가 개통되면서 본격적인 [[고속철도]] 시대가 열리다.
**[[4월 1일]] : [[KTX]]가 개통되면서 본격적인 [[고속철도]] 시대가 열리다.
**[[4월 14일]] : [[KTX]] 이용객 100만명 돌파.
**[[4월 14일]] : [[KTX]] 이용객 100만명 돌파.
**[[4월 28일]]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구간 [[녹동역|녹동]]-[[상무역|상무]]간 개통. 이 광주 지하철은 전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최초의 노선이다.
**[[4월 28일]] : [[광주 도시철도 1호선]] 1구간 [[녹동역|녹동]]-[[상무역|상무]]간 개통. 이 광주 지하철은 전 승강장에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최초의 노선이다.
**[[8월 20일]] : [[KTX]] 이용객 1,000만명 돌파.
**[[8월 20일]] : [[KTX]] 이용객 1,000만명 돌파.
**[[12월 1일]] : [[경춘선]] 신남역의 역명이 [[김유정역]]으로 변경.<ref>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ref>
**[[12월 1일]] : [[경춘선]] 신남역의 역명이 [[김유정역]]으로 변경.<ref>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ref>
**[[12월 16일]] : [[천안아산역|천안]]-[[신탄진역|신탄진]] 구간에서 한국형 고속전철 [[HSR-350X]]의 시속 350 km 시험운행 성공. 당시 최고속력은 352.4 km/h였으며, 국산화율은 87%였다. 이 기술은 이후 [[KTX-산천]]의 기술적 기반이 된다.
**[[12월 16일]] : [[천안아산역|천안]]-[[신탄진역|신탄진]] 구간에서 한국형 고속전철 [[HSR-350X]]의 시속 350km 시험운행 성공. 당시 최고속력은 352.4km/h였으며, 국산화율은 87%였다. 이 기술은 이후 [[KTX-산천]]의 기술적 기반이 된다.
*[[2005년]]
*[[2005년]]
**[[1월 1일]] : [[한국철도공사]] 출범.
**[[1월 1일]] : [[한국철도공사]] 출범.
**[[1월 20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천안역|천안]]간 8개역 47.9 km 구간의 복복선 개통
**[[1월 20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천안역|천안]]간 8개역 47.9km 구간의 복복선 개통
**[[4월 1일]] : 홈티켓 서비스 시행. 처음에는 KTX만 시행하였으나 1달 뒤인 5월 1일 무궁화호와 새마을호에도 확대하여 시행하게 된다.
**[[4월 1일]] : 홈티켓 서비스 시행. 처음에는 KTX만 시행하였으나 1달 뒤인 5월 1일 무궁화호와 새마을호에도 확대하여 시행하게 된다.
**[[7월 1일]] : [[정선선]] [[아우라지역|아우라지]]-[[구절리역|구절리]]간 [[레일바이크]] 운영
**[[7월 1일]] : [[정선선]] [[아우라지역|아우라지]]-[[구절리역|구절리]]간 [[레일바이크]] 운영
436번째 줄: 436번째 줄:
**[[10월 27일]] :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의 사명이 [[서울메트로]]로 변경.
**[[10월 27일]] : 서울특별시지하철공사의 사명이 [[서울메트로]]로 변경.
**[[12월 10일]] : [[KTX]] 이용객 5,000만명 돌파.
**[[12월 10일]] : [[KTX]] 이용객 5,000만명 돌파.
**[[12월 16일]] : [[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덕소역|덕소]]간 7개역 17.2 km구간의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16일]] : [[중앙선]] [[청량리역|청량리]]-[[덕소역|덕소]]간 7개역 17.2km구간의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27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 ~ [[천안역|천안]] 복선전철 개통.
**[[12월 27일]] : [[경부선]] [[병점역|병점]] ~ [[천안역|천안]] 복선전철 개통.
**[[12월 28일]] : [[용산역]] 민자역사 완공.
**[[12월 28일]] : [[용산역]] 민자역사 완공.
446번째 줄: 446번째 줄:
**[[5월 1일]] : 철도 소화물 취급 중단.
**[[5월 1일]] : 철도 소화물 취급 중단.
**[[12월 8일]] : [[경부선]] [[조치원역|조치원]]-[[동대구역|동대구]]간 전철화가 완료되면서 전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8일]] : [[경부선]] [[조치원역|조치원]]-[[동대구역|동대구]]간 전철화가 완료되면서 전 구간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15일]] : [[경부고속선]] [[금천구청역|시흥]]-[[광명역|광명]]간 4.7 km구간 개통. 동시에 [[용산역|용산]]-[[광명역|광명]]간 셔틀열차를 운행하였으나 [[공기수송]]의 대명사가 되어버림
**[[12월 15일]] : [[경부고속선]] [[금천구청역|시흥]]-[[광명역|광명]]간 4.7km구간 개통. 동시에 [[용산역|용산]]-[[광명역|광명]]간 셔틀열차를 운행하였으나 [[공기수송]]의 대명사가 되어버림
*[[2007년]]
*[[2007년]]
**[[3월 2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1단계 구간<ref>[[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ref> 개통.
**[[3월 2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1단계 구간<ref>[[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 [[김포공항역|김포국제공항]]</ref> 개통.
**[[4월 21일]] : [[KTX]] 이용객 1억명 돌파.
**[[4월 21일]] : [[KTX]] 이용객 1억명 돌파.
**[[5월 7일]] : [[한국철도공사]]의 커뮤니케이션 명칭을 '''코레일'''로 통합.
**[[5월 7일]] : [[한국철도공사]]의 커뮤니케이션 명칭을 '''코레일'''로 통합.
**[[5월 17일]] : 남북철도 연결구간 열차 시험운행{{ㅈ|[[경의선]] [[문산역|문산]]-[[개성역|개성]] 27.3 km는 남측 문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개성역까지 왕복운행, [[동해선]] [[제진역|제진]]-[[금강산역|금강산]] 25.5 km구간은 북측 금강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제진역까지 왕복운행}}
**[[5월 17일]] : 남북철도 연결구간 열차 시험운행{{ㅈ|[[경의선]] [[문산역|문산]]-[[개성역|개성]] 27.3km는 남측 문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개성역까지 왕복운행, [[동해선]] [[제진역|제진]]-[[금강산역|금강산]] 25.5km구간은 북측 금강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제진역까지 왕복운행}}
**[[6월 1일]] : [[경부고속철도]] 기존선 경유 운행계통<ref>[[대전역|대전]] ~ [[김천역|김천]] ~ [[구미역|구미]] ~ [[동대구역|동대구]]</ref> 개시.
**[[6월 1일]] : 경부선 [[KTX]] 기존선 경유 운행계통<ref>[[대전역|대전]] ~ [[김천역|김천]] ~ [[구미역|구미]] ~ [[동대구역|동대구]]</ref> 개시.
**[[7월 1일]]
**[[7월 1일]]
***대중교통 환승할인 확대 시행
***대중교통 환승할인 확대 시행
465번째 줄: 465번째 줄:
**[[10월 1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의 사명을 [[대구도시철도공사]]로 변경
**[[10월 1일]] : 대구광역시 지하철공사의 사명을 [[대구도시철도공사]]로 변경
**[[11월 25일]] : [[KTX-산천|신규고속차량]] 1호기 낙성식
**[[11월 25일]] : [[KTX-산천|신규고속차량]] 1호기 낙성식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간 6개역 19.4 km구간의 복선전철화 완료
**[[12월 15일]] : [[장항선]] [[천안역|천안]]-[[신창역|신창]]간 6개역 19.4km구간의 복선전철화 완료
*[[2009년]]
*[[2009년]]
**[[3월 26일]] : [[누리로|간선형 전기동차]](TEC)의 최초 도입
**[[3월 26일]] : [[누리로|간선형 전기동차]](TEC)의 최초 도입
482번째 줄: 482번째 줄:
**[[2월 26일]] : [[병점기지선]] [[서동탄역]] 개업
**[[2월 26일]] : [[병점기지선]] [[서동탄역]] 개업
**[[3월 2일]] : 한국형 고속전철 [[KTX-산천]] 상업운행 개시
**[[3월 2일]] : 한국형 고속전철 [[KTX-산천]] 상업운행 개시
**[[6월 24일]] : [[신광양항선]] ([[초남역]] ~ [[신광양항역]]) 개통
**[[6월 24일]] : [[신광양항선]] ([[초남신호장]] ~ [[신광양항역]]) 개통
**[[8월 9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내역을 [[잠실나루역]]으로 개칭
**[[8월 9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내역을 [[잠실나루역]]으로 개칭
**[[8월 20일]] : [[청량리역]] 환승 통로 개통 및 일반철도 청량리역 민자역사 준공
**[[8월 20일]] : [[청량리역]] 환승 통로 개통 및 일반철도 청량리역 민자역사 준공
499번째 줄: 499번째 줄:
**[[5월 13일]] : [[전라선]] [[춘포역]], [[아중역]] 폐지
**[[5월 13일]] : [[전라선]] [[춘포역]], [[아중역]] 폐지
**[[5월 18일]] : [[경전선]] · [[덕산선]] [[용강역]] 개업
**[[5월 18일]] : [[경전선]] · [[덕산선]] [[용강역]] 개업
**[[5월 25일]] : [[경전선]] · [[전경삼각선]] [[평화역]] 개업
**[[5월 25일]] : [[경전선]] · [[전경삼각선]] [[평화신호장]] 개업
**[[5월 28일]] : [[경전선]] [[순천역]] ~ [[광양역]] 단선 신선 개통 및 [[광양역]] 이전
**[[5월 28일]] : [[경전선]] [[순천역]] ~ [[광양역]] 단선 신선 개통 및 [[광양역]] 이전
**[[6월 29일]] : 집중호우로 이설 공사가 진행되던 [[경원선]] [[월계역]] ~ [[녹천역]]구간 주변의 산사태로 사상자 발생
**[[6월 29일]] : 집중호우로 이설 공사가 진행되던 [[경원선]] [[월계역]] ~ [[녹천역]]구간 주변의 산사태로 사상자 발생
513번째 줄: 513번째 줄:
**[[12월 1일]] : [[부산신항선]] 전철화 완료
**[[12월 1일]] : [[부산신항선]] 전철화 완료
**[[12월 21일]] : [[중앙선]] [[간현역]] 폐지
**[[12월 21일]] : [[중앙선]] [[간현역]] 폐지
**[[12월 28일]] : [[분당선]] [[죽전역]] ~ [[기흥역]] 개통 및 지상 [[보정역]] 폐역(지하로 이전) 및 경원대역이 [[가천대역]]으로 개칭
**[[12월 28일]] : [[분당선]] [[죽전역 (용인)]] ~ [[기흥역]] 개통 및 지상 [[보정역]] 폐역(지하로 이전) 및 경원대역이 [[가천대역]]으로 개칭


*[[2012년]]
*[[2012년]]
521번째 줄: 521번째 줄:
**[[6월 21일]] : [[경전선]] [[순천역]] ~ [[광양역]] 전철화 완료
**[[6월 21일]] : [[경전선]] [[순천역]] ~ [[광양역]] 전철화 완료
**[[6월 27일]] : [[영동선]] 스위치백 구간 이설([[솔안터널]] 개통) 및 이에 따른 [[통리역]], [[심포리역]], [[흥전역]] [[나한정역]] 폐지
**[[6월 27일]] : [[영동선]] 스위치백 구간 이설([[솔안터널]] 개통) 및 이에 따른 [[통리역]], [[심포리역]], [[흥전역]] [[나한정역]] 폐지
**[[6월 30일]] : [[수인선]] [[오이도역]] ~ [[송도역]] 개통 및 같은 구간 [[수도권 전철 수인선]] 개통. [[안산선]] 공단역을 [[초지역]]으로 개칭
**[[6월 30일]] : [[수인선]] [[오이도역]] ~ [[송도역]] 개통 및 광역전철 운행 개시. [[안산선]] 공단역을 [[초지역]]으로 개칭
**[[7월 1일]] : [[의정부경전철]] 개통
**[[7월 1일]] : [[의정부경전철]] 개통
**[[9월 19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역]] 연장([[사월역]] ~ 영남대역) 개통
**[[9월 19일]] : [[대구 도시철도 2호선]] [[영남대역]] 연장([[사월역]] ~ 영남대역) 개통
536번째 줄: 536번째 줄:
*[[2013년]]
*[[2013년]]
**[[1월 1일]] : [[신항남선]] 개통
**[[1월 1일]] : [[신항남선]] 개통
**[[1월 5일]] : 동차형 [[새마을호]]가 운행을 중지했다.
**[[1월 31일]] : [[신항북선]] 개통
**[[1월 31일]] : [[신항북선]] 개통
**[[2월 25일]] : 성북역을 [[광운대역]]으로 개칭
**[[2월 25일]] : 성북역을 [[광운대역]]으로 개칭
561번째 줄: 562번째 줄:
**[[8월 1일]] : [[경원선]] [[평화열차]]([[서울역]] ~ [[백마고지역]]) 운행 개시
**[[8월 1일]] : [[경원선]] [[평화열차]]([[서울역]] ~ [[백마고지역]]) 운행 개시
**[[8월 2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병점역구간 급행열차
**[[8월 25일]] : [[수도권 전철 1호선]] 영등포-병점역구간 급행열차
**[[9월 15일]] : [[원주-강릉선]] 공사로 [[강릉역]] 운영 중지, 여객 임시 종착역을 [[정동진역]]으로, 화물 종착역을 [[안인역]]으로 이관
**[[9월 15일]] : [[경강선]](원주~강릉) 공사로 [[강릉역]] 운영 중지, 여객 임시 종착역을 [[정동진역]]으로, 화물 종착역을 [[안인역]]으로 이관
**[[9월 20일]] : [[용인경전철]]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 시행
**[[9월 20일]] : [[용인경전철]]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 시행
**[[10월 25일]] : [[경의선]] [[강매역]] 개업
**[[10월 25일]] : [[경의선]] [[강매역]] 개업
567번째 줄: 568번째 줄:
**[[11월 1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라바]] 열차 운행 개시 (201편성) [[2015년]] [[5월 31일]]까지 운행
**[[11월 1일]] : [[서울 지하철 2호선]] [[라바]] 열차 운행 개시 (201편성) [[2015년]] [[5월 31일]]까지 운행
**[[12월 5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문전역을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개칭
**[[12월 5일]] :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문전역을 [[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으로 개칭
**[[12월 27일]] : [[용산선]] [[공덕역]] ~ [[용산역|용산역]] 구간 개통. 이와 함께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으로 통합 및 시간표 개정, [[수인선]] [[달월역]], [[일산선]] [[원흥역]] 개업
**[[12월 27일]] : [[용산선]] [[공덕역]] ~ [[용산역|용산역]] 구간 개통. 이와 함께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수도권 전철 중앙선]]이 [[경의·중앙선]]으로 통합 및 시간표 개정, [[수인선]] [[달월역]], [[일산선]] [[원흥역]] 개업


*[[2015년]]
*[[2015년/교통|2015년]]
**[[1월 12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라바 열차 운행 개시 (770편성) [[2016년]] [[7월 10일]]까지 운행
**[[1월 12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라바 열차 운행 개시 (770편성) [[2016년]] [[7월 10일]]까지 운행
**[[1월 22일]] : [[정선아리랑열차]] 운행 개시
**[[1월 22일]] : [[정선아리랑열차]] 운행 개시
578번째 줄: 579번째 줄:
**[[3월 28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신논현역]] ~ [[종합경기장역 (서울)|종합경기장역]]) 개통
**[[3월 28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2단계 구간([[신논현역]] ~ [[종합경기장역 (서울)|종합경기장역]]) 개통
**[[4월 1일]] : [[광주역]]행 [[KTX]] 운행 종료
**[[4월 1일]] : [[광주역]]행 [[KTX]] 운행 종료
**[[4월 2일]] : [[호남고속선]] 1단계 구간([[오송역]] ~ [[광주송정역]]), [[동해선]]([[모량역]] ~ [[포항역]]), [[건천연결선]] 개통
**[[4월 2일]] : [[호남고속선]] 1단계 구간([[오송역]] ~ [[광주송정역]]), [[동해선]]([[모량신호장]] ~ [[포항역]]), [[건천연결선]] 개통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4월 23일]] : [[대구 도시철도 3호선]] 개통
**[[8월 1일]] : [[경부고속선]] 대전·대구 도심구간 개통 및 대전북연결선, 대구남연결선이 경부고속선 본선으로 편입
**[[8월 1일]] : [[경부고속선]] 대전·대구 도심구간 개통 및 대전북연결선, 대구남연결선이 경부고속선 본선으로 편입
585번째 줄: 586번째 줄:
**[[12월 24일]] : [[부산-김해경전철]] 코코몽 열차와 터닝메카드 열차 운행 개시 2016년 1월 31일까지 운행
**[[12월 24일]] : [[부산-김해경전철]] 코코몽 열차와 터닝메카드 열차 운행 개시 2016년 1월 31일까지 운행


*[[2016년]]
*[[2016년/교통|2016년]]
**[[1월 30일]] : [[신분당선]] 남부 연장([[정자역]] ~ [[광교역]]) 개통
**[[1월 30일]] : [[신분당선]] 남부 연장([[정자역]] ~ [[광교역]]) 개통
**[[2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인선 용산-동인천 급행에 [[제물포역]], [[개봉역]] 추가 정차  
**[[2월 1일]] :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경인선 용산-동인천 급행에 [[제물포역]], [[개봉역]] 추가 정차  
**[[2월 3일]]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인천국제공항역]] - [[용유역]]) 개통
**[[2월 3일]]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인천국제공항역]] - [[용유역]]) 개통
**[[2월 27일]] : [[수인선]] [[송도역]] ~ [[인천역]] 개통 및 [[수도권 전철 수인선]] 연장 운행
**[[2월 27일]] : [[수인선]] [[송도역]] ~ [[인천역]] 개통 및 광역전철 연장 운행
**[[3월 26일]] :  [[인천국제공항선]] [[영종역]] 개통
**[[3월 26일]] :  [[인천국제공항선]] [[영종역]] 개통
**[[3월 29일]] : [[경인선]] [[구일역]] 서부역사(출구) 개통
**[[3월 29일]] : [[경인선]] [[구일역]] 서부역사(출구) 개통
595번째 줄: 596번째 줄:
**[[4월 30일]] : [[용산선]] [[효창공원역]] 개통
**[[4월 30일]] : [[용산선]] [[효창공원역]] 개통
**[[9월 24일]] : [[판교역]]과 [[여주역]]을 연결하는 수도권 전철 [[경강선]] 개통.
**[[9월 24일]] : [[판교역]]과 [[여주역]]을 연결하는 수도권 전철 [[경강선]] 개통.
**[[12월 9일]] : [[수서역|수서]]~[[지제역|평택]]간을 연결하는 [[수도권고속철도]] [[SRT]]가 정식 개통었다.
**[[12월 9일]] : [[수서역|수서]]~[[지제역|평택]]간을 연결하는 [[수서평택고속선]] [[SRT]]가 정식 개통었다.
**[[12월 29일]] : [[부전역]]과 [[일광역]]을 연결하는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12월 29일]] : [[부전역]]과 [[일광역]]을 연결하는 동해선 광역전철 개통.
 
*[[2017년/교통|2017년]]
*[[2017년]]
**[[1월 21일]] : [[경의·중앙선]] 지평역까지 연장 개통.
**[[1월 21일]]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지평역까지 연장 개통.
**[[5월 31일]] : 서울 지하철 양대 운영사였던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를 통합한 [[서울교통공사]] 출범.
**[[5월 31일]] : 서울 지하철 양대 운영사였던 [[서울메트로]]와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를 통합한 [[서울교통공사]] 출범.
**[[9월 2일]] :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역|북한산우이]]~[[신설동역|신설동]] 구간 개통.
**[[9월 18일]] : [[중앙선 기관차 추돌 사고]] 발생.
**[[9월 18일]] : [[중앙선 기관차 추돌 사고]] 발생.
**[[12월 22일]] : [[경강선]] 원주~강릉 구간 ([[서원주역]]~[[강릉역]]) 개통
**[[12월 22일]] : [[경강선]] 원주~강릉 구간 ([[서원주역]]~[[강릉역]]) 개통.


*[[2018년]]
*[[2018년/교통|2018년]]
**[[1월 1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2터미널역]] 개통.
**[[1월 13일]] : [[인천국제공항철도]] [[인천공항2터미널역]] 개통.
**[[1월 26일]] : [[동해선]] [[포항역]]~[[영덕역]] 구간 개통.
**[[1월 26일]] : [[동해선]] [[포항역]]~[[영덕역]] 구간 개통.
**[[4월 28일]] : [[신분당선]] [[미금역]] 개통.
**[[4월 28일]] : [[신분당선]] [[미금역]] 개통.
**[[4월 30일]] : 구형 [[새마을호]] 열차 정기 운행에서 퇴역. <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04/2018040400040.html <nowiki>[NOW]</nowiki> '아날로그 시대 특급열차' 옛 새마을호, 추억 속으로], [[조선일보]]</ref>
**[[4월 30일]] : 구형 [[새마을호]] 열차 정기 운행에서 퇴역. <ref>[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4/04/2018040400040.html <nowiki>[NOW] '아날로그 시대 특급열차' 옛 새마을호, 추억 속으로</nowiki>], [[조선일보]]</ref>
**[[5월 9일]] : [[철도의 날]] 날짜를 6월 28일로 변경. <ref>[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525826416157222013 정부, ‘철도의 날’ 6월 28일로 변경], [[전기신문]]</ref>
**[[5월 9일]] : [[철도의 날]] 날짜를 6월 28일로 변경. <ref>[http://www.electimes.com/article.php?aid=1525826416157222013 정부, ‘철도의 날’ 6월 28일로 변경], [[전기신문]]</ref>
**[[6월 16일]] : [[서해선]] [[소사역]]~[[원시역]] 구간 개통.
**[[6월 16일]] : [[서해선]] [[소사역]]~[[원시역]] 구간 개통.
614번째 줄: 615번째 줄:
**[[12월 1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종합운동장역]]~[[중앙보훈병원역]] 구간 개통.
**[[12월 1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종합운동장역]]~[[중앙보훈병원역]] 구간 개통.
**[[12월 31일]] : [[분당선]] [[왕십리역|왕십리]]~[[청량리역|청량리]] 구간 개통.<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552707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연합뉴스</ref>
**[[12월 31일]] : [[분당선]] [[왕십리역|왕십리]]~[[청량리역|청량리]] 구간 개통.<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10552707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연합뉴스</ref>
*[[2019년/교통|2019년]]
**[[9월 28일]] : [[김포골드라인]] 개통.
**[[10월 8일]] : [[월미바다열차]] 개통.
**[[12월 21일]] : [[서울 지하철 6호선]] [[신내역]] 개통.
== 2020년대 ==
*[[2020년/교통|2020년]]
**[[3월 28일]] : [[경의·중앙선]] [[문산역|문산]]~[[임진강역|임진강]] 구간 및 [[동해선]] [[부산원동역]] 개통.
**[[8월 8일]] : [[하남선]] [[미사역]], [[하남풍산역]] 개통.
**[[9월 12일]] : [[수인·분당선]] [[수원역|수원]]~[[오이도역|오이도]] 구간 개통.
*[[2021년/교통|2021년]]
**[[3월 27일]] : [[하남선]] [[강일역]], [[하남시청역|하남시청]]~[[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 구간 개통.
**[[5월 22일]] : [[서울 지하철 7호선]] [[부평구청역|부평구청]]~[[석남역|석남]] 구간 개통.
**[[10월 30일]] : [[탕정역]] 개통.
**[[12월 18일]] : [[서울 지하철 8호선]] [[남위례역]] 개통.
**[[12월 28일]] : [[동해선 광역전철]] [[일광역|일광]]~[[태화강역|태화강]] 구간 개통.
*[[2022년/교통|2022년]]
**[[3월 19일]] : [[진접선]] 개통.
**[[3월 31일]] : [[경부선]] [[서대구역]] 개통.
**[[5월 28일]] : [[신림선]] 및 [[신분당선]] [[강남역|강남]]~[[신사역|신사]] 구간 개통.
*[[2023년/교통|2023년]]
**[[7월 1일]] :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소사역|소사]]~[[대곡역 (고양)|대곡]] 구간 개통.
**[[8월 26일]] :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 [[대곡역 (고양)|대곡]]~[[일산역|일산]] 구간 개통.
*[[2024년/교통|2024년]]


{{주석}}
{{주석}}
{{연표}}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

2024년 6월 1일 (토) 02:07 기준 최신판

대한민국의 철도 역사에 관련한 연표

1800년대[편집 | 원본 편집]

  • 1877년
    • 2월 : 수신사 김기수, 일동기유에서 일본 철도 시승기 소개
  • 1894년
    • 7월 : 주미 대리공사 이하영이 귀국시 철도 모형도를 가져와 고종에게 관람시키면서 철도의 필요성을 주장
    • 8월 1일 : 청일전쟁의 발발로 일본은 서울-인천간 군용철도를 부설하기 위해 철도기사를 보내 철도부지를 사전 답사하게 함
  • 1896년
    • 3월 29일 : 조선 정부, 경인철도의 부설권을 미국인 제임스 R. 모스에게 특허
    • 7월 3일 : 조선정부, 경의철도의 부설권을 프랑스 피브릴르사에게 특허
    • 7월 17일 : 농상공부에서 국내철도규칙 7조를 제정하여 공포함. 이 때 궤간을 4척8촌5푼(1435mm)의 표준궤로 정함
  • 1897년
  • 1898년
    • 5월 10일 : 모스, 경인선을 경인철도인수조합에 양도(당시 금액으로 1,702,452원 75전)
    • 6월 3일 : 박기종이 부산-낙동강 하단에 이르는 부하철도 부설권을 취득
    • 7월 6일 : 농상공부에 철도사를 설치함. 이후 철도사는 철도국으로 개정됨
    • 9월 : 광궤였던 국내 철도의 5척 궤간을 다시 4척8촌5푼의 표준궤로 환원
    • 9월 8일 : 경부철도합동조약의 체결로 경부선 부설허가
  • 1899년

190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1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2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3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4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5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6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7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80년대[편집 | 원본 편집]

1990년대[편집 | 원본 편집]

2000년대[편집 | 원본 편집]

2010년대[편집 | 원본 편집]

2020년대[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대한제국정부를 의미
  2. 정확히는 가영업운전임
  3. 실제 통감부의 개청은 이보다 조금 뒤인 1906년 2월 1일이다.
  4. 수원 인근
  5. 현재의 장춘
  6. 광복 당시 철도 현황은 영업거리 6,362km, 기관차 1,166대, 객차 2,027량, 화차 15,352량, 역 수는 762개소였다. 이 중 남한 철도의 현황은 총연장 3,738km, 영업거리 2,642km, 기관차 488대, 객차 1,280량, 화차 8,424량, 동차 29량, 역 수는 300개소였다.
  7. 당시 사설철도의 길이는 표준궤구간 416.5km, 협궤구간 125.3km였다.
  8. 6.25 전쟁 철도 피해상황 : 터널 4,935m(6%), 선로 329,480m(7.5%), 신호 및 보안장치 20%, 급탄설비 38개소(40%), 전기신호장비 56%, 역건물 41%, 공장설비 27%, 기관차 51%, 교량 9,351m(12%), 노반 100,000m(3%), 급수시설 26개소(25%), 전신전화시설 50%, 전력설비 56%, 선로 부대건물 39%, 자재 80%, 객차 50%, 화차 34%
  9. 전란 중 UN군이 사용하다 휴전후 ICA 원조계획에 의해 이양됨
  10. 재건호, 통일호 341, 32, 9, 10열차의 2등차 및 침대차
  11. 유니백 9400
  12. 중앙선, 태백선, 영동선 총 320.8km
  13. 8000호대 전기기관차 후기형
  14. KTX 13호
  15. KTX 46호
  16. 인명을 역명으로 표기한 최초 사례
  17. 인천국제공항 ~ 김포국제공항
  18. 경의선 문산-개성 27.3km는 남측 문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개성역까지 왕복운행, 동해선 제진-금강산 25.5km구간은 북측 금강산역에서 기념행사 후 제진역까지 왕복운행
  19.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20. [NOW] '아날로그 시대 특급열차' 옛 새마을호, 추억 속으로, 조선일보
  21. 정부, ‘철도의 날’ 6월 28일로 변경, 전기신문
  22. 분당선, 오늘부터 청량리역까지 다닌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