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1호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사명변경 반영)
 
(사용자 13명의 중간 판 20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수도권 전철 목록}}
{{수도권 전철 목록}}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수도권 전철 1호선
|이름    = 서울 도시철도 1호선<br />수도권 전철 1호선
|노선명2 =  
|원어이름 =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S|1}}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그림 = K416 열차.jpeg
|글자색  = white
|그림     = K416 열차.jpeg
|그림크기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화서역]]으로 진입하는 K416 열차
|그림설명 = [[화서역]]으로 진입하는 K416 열차
|그림2 =  
|그림alt  =  
|그림크기2 =
|나라    = {{나라|대한민국}}
|그림설명2 =
|종류     = [[도시철도]]([[서울 도시철도|서울]]), [[운행계통]]([[수도권 전철]])<sup>광역전철</sup>
|종류 = [[광역철도]] [[운행 계통]]
|번호    =  
|나라 = {{국기|대한민국}}
|구간    = '''도시철도:''' [[서울역]] ~ [[청량리역|청량리]]<br />'''광역전철:'''<br />[[연천역|연천]] ~ [[인천역|인천]]<br />[[광운대역|광운대]] ~ [[서동탄역|서동탄]]<br />[[광운대역|광운대]] ~ [[신창역|신창]]<br />[[영등포역|영등포]] ~ [[광명역|광명]]
|체계 = [[수도권 전철]]
|영업거리 = 7.8 km (도시철도)<br />200.6 km (광역전철)
|상태 = 영업 중
|역수     = 10개 (도시철도)<br />99개 (광역전철)
|노선 = 틀 참조
|소유자  =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기점 = [[소요산역|소요산]]
|운영자  = [[서울교통공사]] (도시철도, 광역전철 차량)<br />[[한국철도공사]] (나머지 노선, 광역전철 차량)
|종점 = [[인천역|인천]]<br />[[신창역|신창]]<br />[[서동탄역|서동탄]]<br />[[광명역|광명]]
|개통일   = [[1974년]] [[8월 15일]] (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역수 = 98
|폐지일   =  
|이용자 =  
|경유노선 = [[경원선]], 서울 도시철도 1호선, [[경부선]], [[경인선]], [[병점기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경부고속선]], [[시흥연결선]] (광역전철)
|개통일 = [[1974년]] [[8월 15일]]
|차량기지 = [[구로차량사업소|구로]], [[군자차량사업소|군자]], [[병점차량사업소|병점]], [[이문차량사업소]] (광역전철)
|폐지일 =  
|궤간     = 1,435 mm ([[표준궤]])
|소유자 =
|선로     = 2 (도시철도)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br />[[서울교통공사]]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도시철도)
|영업거리 = 200.6 km
|신호     = [[ATS]]
|실거리 =
|비고    = 도시철도 이외 구간의 정보는 경유노선에 있는 문서 참고
|시설연장 =
|궤간 = 1,435 mm ([[표준궤]])
|궤도 =
|선로 = <!-- 선로 및 전철화 방식 등은 노선별 문서에 기재 -->
|전철화 =  
|신호 =  
|영업최고속도 = 110 km/h
|설계최고속도 =
|주석 =  
}}
}}


{{수도권 1호선 틀}}
'''서울 도시철도 1호선'''(서울 지하철 1호선)은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역]]과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역]]을 잇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국내 최초,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개통한 [[지하철]]이다. '''종로선'''이란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경인선]] 전 구간과 [[경원선]], [[경부선]] 및 [[장항선]]의 일부 구간과 [[직결운행]]하는데, 이 [[운행계통]]을 '''수도권 전철 1호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직결운행 초기에는 노선도에 서울 지하철 1호선과 국철(나머지 노선)로 표기하고 노선색도 서로 달랐지만, [[2000년]] [[4월 1일]]부터 모두 합쳐 1호선으로 표기하고, 노선색도 통일하였다.


{{+1|수도권 전철 1호선}}<br />首都圈電鐵 一號線<br />Seoul Metropolitan Subway Line 1<br />'''[[대한민국]] 수도권 최초, 최대, 최장의 광역전철'''
경부선 구간의 경우 과거 운행되던 경부 · 장항선 [[비둘기호]]의 역할을, 경원선 구간의 경우 과거 운행되던 경원선 비둘기호 및 통근열차의 역할을 물려받아 운행되고 있다. 경인선 구간의 경우 개화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경인간의 도시권화와 맞물려, 개통 초기부터 광역철도의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 역사 ==
* [[1935년]]: 경성부의 남대문~동대문 간 지하철도 부설계획
* [[1939년]] 3월: 경성부회에서 경성역~동경성(청량리)역 간 방공호를 겸한 지하철도 부설계획 수립. 청계천 바닥에 지하철을 건설하고, 청계천을 매립해 그 위에 도로를 건설하는 계획이었다.
* [[태평양 전쟁]]으로 취소
* [[1974년]] [[8월 15일]]: 서울 도시철도 1호선 개통과 함께, [[경원선]]의 [[광운대역|성북]]~[[청량리역|청량리]], [[경부선]]의 [[서울역|서울]]~[[수원역|수원]], [[경인선]]의 [[구로역|구로]]~[[인천역|인천]]과 [[직결운행]] 개시.
* [[1982년]] [[9월 25일]]: 서울~수원간 통근 직통열차 운행 개시.
* [[1985년]] [[4월 20일]]: 경원선 성북~[[창동역|창동]]간 연장.
* [[1986년]] [[9월 2일]]: 경원선 창동~[[의정부역|의정부]]간 연장.
* [[1987년]] [[10월 5일]]: 경원선 의정부~[[가능역|의정부북부]]간 연장.
* [[1999년]] [[1월 29일]]: 경인선 구로~[[부평역|부평]]간 복복선 개통 및 경인선 급행 열차 운행 개시.
* [[2002년]] [[3월 15일]]: 경인선 부평~[[주안역|주안]]간 복복선 개통 및 경인선 급행 열차 운행 연장.
* [[2003년]] [[4월 30일]]: 경부선 수원~[[병점역|병점]]간 연장.
*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병점~[[천안역|천안]]간 연장과 함께, 용산~천안 급행 열차 운행 개시.
* [[2005년]] [[12월 21일]]: 경인선 주안~[[동인천역|동인천]]간 복복선 개통 및 경인선 급행 열차 운행 연장. 도시철도 1호선 [[동묘앞역]] 개업.
* [[2006년]] [[12월 15일]]: 경원선 의정부~[[소요산역|소요산]]간 연장 및 동두천~인천 급행 열차 운행 개시. 같은 날 용산~[[광명역|광명]] 셔틀노선 운행 개시.
*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천안~[[신창역|신창]]간 연장.
* 2009년 10월 29일: 도시철도 1호선 청량리역 이름을 청량리(서울시립대입구)로 변경.<ref>서울특별시고시 제2009-428호</ref>
* [[2010년]] [[2월 26일]]: 병점기지선 병점~[[서동탄역|서동탄]]간 운행 개시.
* [[2013년]] [[2월 25일]]: 성북역의 이름을 [[광운대역|광운대]]로 변경.
* [[2014년]] [[8월 25일]]: 병점 급행 운행 개시.
* [[2016년]] [[12월 9일]]: 신창급행 계통 신설, 병점 급행 운행 중지.
* [[2017년]] [[7월 7일]]: 경인선 계통 특급열차 운행 개시.
* [[2019년]] [[12월 30일]]: 경부선 급행전동차 체계 개편, 용산 급행 및 서울 급행 폐지.
* [[2020년]] [[1월 28일]]: 서울급행 운행 재개
* [[2020년]] [[11월 24일]]: 지제역 이름을 [[평택지제역|평택지제]]로 변경.
* [[2021년]] [[10월 30일]]: [[탕정역]] 개업.
* [[2023년]] [[12월 16일]]: 경원선 소요산~[[연천역|연천]] 연장.


=== 노선 연장 ===
* [[아산시]]는 신창역에서 4 km 정도 떨어진 도고온천역까지의 연장을 요구하고 있으나 타당성이 떨어지는 관계로 구상 단계에만 머물러 있다. 신창역까지의 연장도 인상선 및 주박선 설치 공간이 온양온천역에 부족해 연장한 것이다.


== 운행 ==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와 코레일 소속 전동차가 노선을 공유하는데, 양사 협약에 의해 급행열차는 코레일에서 전담하며, 완행열차는 서울교통공사와 코레일이 공동운행한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는 인천 ~ 양주, 광운대 ~ 서동탄 구간을 운행하도록 협약을 맺었으며, 코레일의 파업 등 특수한 사정이 생기더라도 협약구간을 벗어나는 운행은 찾아보기 어렵다.
내구연한 만료로 구형 전동차를 대거 폐차하고 신차를 도입하는 코레일과 다르게, 서울교통공사는 1호선 차량들에 대한 [[마개조]]를 통해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주기로 유명하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저항제어 계열 전동차는 전두부를 VVVF와 유사하게 바꾸는 리모델링을 하였으나, 객실 내부는 70~80년대 전동차의 구조를 찾아볼 수 있으며, 여전히 [[낙창식]] 창문을 찾아볼 수 있다.
세부 운행 계통은 열차번호 단위로 보통 정리된다. 열차번호의 기준은 (모든 경우는 아니지만) 주로 하행 방향의 종착역이 기준으로 잡혀있다.
=== 경인선 계통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120%; font-size: 90%;"
|-
! 계통 !! 소요산 !! colspan="2" | 광운대 !! 용산 !! colspan="2" | 구로 !! 동인천 !! 인천
|-
! 소요산–인천
| colspan="8" style="background: #ffe;" |
|-
! 소요산–인천 급행
| colspan="2" style="background: #ffe;" | 일부 역 통과
| colspan="6" style="background: #ffe;" |
|-
! 용산–동인천 급행·특급
| colspan="3" |
| colspan="2" style="background: #fee;" |
| colspan="2" style="background: #fee;" | 일부 역 통과
|
|-
|}
; 완행 [소요산 - 인천]<ref>[http://www.letskorail.com/ebizcom/cs/guide/guide/guide11.do 코레일의 노선별 시간표]에는 경인경원선으로 표기되어 있다.</ref>
: 경원·경인선 계통. 가장 대표적이며 편수가 가장 많은 계통 중 하나이다. [[의정부역]] · [[양주역]] · [[소요산역]] - [[인천역]] 사이의 역들에 모두 정차한다. 일부 편의 경우 [[광운대역]]이나 [[동두천역]]에서 시종착한다. 또, 새벽, 심야 시간대 일부 열차나 입출고 차량(특히 [[구로역]])에 대해서는 중간역 시종착편도 설정되어 있으며, 막차 시간의 차이로 서울교통공사 구간만 운행하는 편도 일부 존재한다. 평시 기준 의정부 ~ 인천이 다 합쳐 시간당 8회, 양주 ~ 의정부가 시간당 4회, 소요산 ~ 양주가 시간당 2회 운행된다.
; <div id="경원급행"><span style="color: #e60013;">급행 [소요산 - 인천]</div>
: 경원선 구간 급행. 구간급행격으로, 광운대 이북 경원선 구간에서만 급행으로 운행되며, 광운대부터 인천까지는 완행과 동일하게 운행된다.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며, 정차역은 [[소요산역]] - [[동두천역]] - [[동두천중앙역]] - [[덕정역]] - [[양주역]] - [[의정부역]] - [[도봉산역]] - [[창동역]] - 광운대역 - (각역정차) - 인천역. 상행은 2편성(모두 동두천역 종착)이고, 하행은 3편성이다(한 편성만 동두천 시발).
; <div id="동인천급행"><span style="color: #e60013;">급행 [용산 - 동인천]</div>
: 경인선 구간 급행. 역사가 깊은 급행으로, 시초는 경인선 복복선화에 따른 영등포 - 부평간 직통편이다. 사실 급행 타이틀을 달고 있으나, 당시 터져나가던 경인선의 부하 경감을 위해 지어진 노선이다보니, 서울 시내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애초에 주로 인천에서 신도림을 경유해 강남으로 빠지는 수요를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셈이니... 다른 급행들과는 달리 중간 종착 열차도 다니며, 특히 입출고 편에 대해서는 용산 - 구로를 완행처럼 운행하는 급행이 운행되기도 한다.
: 정차역은 [[용산역]] - (각역정차) - [[구로역]] - [[개봉역]] - [[역곡역]] - [[부천역]] - [[송내역]] - [[부평역]] - [[동암역]] - [[주안역]] - [[제물포역]] - [[동인천역]]. [[2016년]] [[2월 1일]]부터 개봉역과 제물포역에도 급행열차가 정차하게 되었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시간당 8회 가까이 운행하지만, 평시에는 시간당 2~3회 정도의 빈도로만 운행된다. 급행이지만 총 운행거리가 그리 길지않고, 사실상 급행 기능은 경인선 구간에 한정하므로 상대적으로 경부선 급행에 비해 저항제어 계열 구형열차들이 종종 투입된다.
; <div id="특급"><span style="color: black;">특급 [용산 - 동인천]</div>
: NH 시간대에 경인선을 40분에 주파한다. 용산, 노량진, 신도림, 구로, 부천, 송내, 부평, 주안, 동인천 9개 역에 정차하며 일 20회 가량 운행한다.
=== 경부선 계통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120%; font-size: 90%;"
|-
! 계통 !! 의정부 !! 광운대 !! 서동탄
|-
! 의정부→서동탄<ref>평일 아침 딱 3회 운행하는 특수 편성이다.</ref>
| colspan="3" style="background: #ffe;" |
|-
! 광운대–서동탄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e;" |
|-
|}
; 완행 [광운대 - 서동탄]
: 경부선 계통. 최초 경부선이 개통했을 때는 청량리 - 수원 구간을 운행했으며 복선 운행이었기에 4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등, 반쯤 버려진 노선 취급을 받았었으나, 7호선 부천 구간 개통 이후 점점 더 지분율을 높이고 있다. 2005년 말까지는 천안 계통과 같은 세부 계통을 가지고 있었으나, 경원선 용산 - 성북 계통의 운행 분리와 함께, 병점 발착 열차가 청량리역에서 광운대역으로 연장됨에 따라<ref>청량리역이나 광운대역 모두 회차 용량이 1선으로 부족한 탓에 분산을 위해서 떨어트려 놓은 것이다.</ref> 세부 계통 분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이후 서동탄 방면 지선인 병점기지선이 여객 영업을 시작하면서 완전히 분리되었다. 광운대역부터 [[서동탄역]] 사이의 역들에 모두 정차한다. 입출고 열차들의 경우에는 서동탄에서 시종착하는게 불가능해, 병점 시종착으로 운행된다. 평시 기준 시간당 3회 운행된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120%; font-size: 90%;"
|-
! 계통 !! 광운대 !! 청량리 !! 서울 !! colspan="2" | 가산Digi !! colspan="2" | 수원 !! colspan="2" | 두정 !! 신창
|-
! 광운대-신창
| colspan="10" style="background: #ffe;" |
|-
! 청량리-신창 급행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e;" |
| colspan="4" style="background: #ffe;" | 일부 역 통과
| colspan="2" style="background: #ffe;" |
|-
! 서울-신창 급행
| colspan="2" |
| colspan="4" style="background: #eef;" | 일부 역 통과
| colspan="2" style="background: #ffe;" | 일부 역 통과
| colspan="2" style="background: #ffe;" |
|-
|-
|}
; 완행 [광운대 - 신창]<ref>코레일 노선별 시간표에는 광운대 - 서동탄 계통과 묶여 경부장항선으로 표기된다.</ref>
: 경부·장항선 계통. 광운대역부터 [[신창역]] 사이의 역들에 모두 정차한다. 2005년 천안 연장으로 생긴 계통으로, 2008년 신창까지 연장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열차의 반 정도는 천안역에서 시종착하며, 반 정도만이 신창역까지 운행된다. 일부 시간대에서 광운대까지 연장되던 것이 용산급행 확대 이후 광운대 착발로 고정되었다. 평시 기준 시간당 3회 운행된다. 그 중 절반(40분 간격)이 천안 종착이며, 나머지 절반(40분 간격)이 신창 종착 열차.
; <div id="A급행"><span style="color: #e60013;">급행 [청량리 - 천안]</div>
: 흔히 A급행이라 불리던 용산급행을 청량리로 잡아늘린 계통이다. 천안 연장 이후 생긴 급행 열차로, 경부선 일반 열차 수요 중 구간 수요의 효과적인 흡수를 위해 생긴 계통이다. 1시간당 3회꼴의 빈도로 운행된다. 정차역은 [[청량리역]] - (각역정차) - [[가산디지털단지역]] - [[안양역]] - [[수원역]] - [[병점역]] - [[오산역]] - [[서정리역]] - [[평택역]] - [[성환역]] - [[두정역]] - [[천안역]]이며, 일 5왕복은 [[신창역]]까지 연장운행한다.
: 완행 전동차와 같은 선로를 쓰기 때문에, 구로역~안양역 구간에서는 앞서가는 열차가 대피할 공간이 없어서 급행임에도 불구하고 완행을 앞지르지 못해 졸졸 따라가는 답답함을 종종 연출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수원~안양 구간에서 여객용 1선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시설개량 이후에는 모두 2선을 사용한다.
; <div id="B급행"><span style="color: #009944;">급행 [서울 - 천안]</div>
: 동호계에선 흔히 B급행 혹은 초록급행이라 불리며, 차내 노선도에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시초는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서울역부터 수원역까지 운행되던 직통편(최초의 타이틀은 고속전철)이 그 시초다. 천안까지 연장되었다가, A급행 확대 이후 폐지했으나 민원에 못 이겨 일일 3회(상행 2회, 하행 1회)로 부활했다. 상행 1회는 신창에서 출발한다. 서울역에는 B급행을 취급하기 위한 전용 고상홈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 정차역은 [[서울역]](지상) - [[영등포역]] - [[금천구청역]] - [[안양역]] - [[군포역]] - [[의왕역]] - [[성균관대역]] - [[수원역]] - [[병점역]] - [[오산역]] - [[서정리역]] - [[평택역]] - [[성환역]] - [[두정역]] - [[천안역]](→[[신창역]]까지 각역정차)이다. 서울~수원은 일반열차가 다니는 본선으로 다녀 고속으로 이동하며, 수원 이남으로는 완행전동차가 다니는 부본선으로 갈아타지만 해당 구간은 상대적으로 선로용량이 여유있어 고속으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어서 인기가 많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120%; font-size: 90%;"
|-
! 계통 !! 영등포 !! colspan="2" | 구로 !! colspan="2" | 금천구청 !! 광명
|-
! 영등포-광명
| colspan="2" style="background: #fee;"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e;"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f;" |
|-
|}
; 완행 [영등포 - 광명]
: 흔히 광명셔틀이라 불리며, KTX [[광명역]]의 좋지 않은 접근성으로 인하여 탄생한 계통이다. [[영등포역]] - 광명역 사이의 역들에 모두 정차하며, 요일에 상관없이 하루 상하행 각각 10편성씩 운행된다. 일반 승객들에게 존재감은 미약하지만 엄연히 KTX 아래 위치한 등급을 부여받아 지연등 특수한 상황에서 운전정리시 KTX 다음으로 우선순위를 부여받는다. 간선 급행인 [[ITX-새마을]]이나 [[무궁화호]], [[누리로]]보다 먼저 통과할 수 있는 등급이다. 출근시간대 운좋게 광명셔틀을 탈 수 있다면 영등포~금천구청역 구간만큼은 붐비는 완행열차와는 달리 여유있는 좌석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 도입 초기에는 용산역부터 광명역 구간에 10량짜리 풀스펙 전동차를 투입하였으나, 서울시내에서 광명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나올리 만무하여 텅텅 빈 상태로 운행하였으며, 진정한 [[공기수송]]의 진가를 발휘했었으나 [[2008년]] [[12월 1일]]부터 4량 1편성, 운행구간도 영등포로 단축되었으며, 2014년까지는 시간당 1~2편 정도 운행되던 것이, 최근에는 금천구청역 및 경부선의 처리 용량 부족으로 인해 대폭 감편되었으며, 시각표를 보고 타지 않으면 안 될 수준으로 운행되고 있다.


== 개요 ==
=== 폐지된 계통 ===
[[1974년]] [[8월]]에 개통된 국내 최초 [[지하철]] [[광역철도]] 노선.
; 완행 [용산 - 성북]
: [[경원선]] 서울 시내 구간 복선 전철화로 용산부터 성북(현재 광운대)까지 운행되던 계통이다. 회기역 직전에 평면교차로 진입했으며, 이 때문에 간격을 줄일 수 없어 간격이 들쭉날쭉 했었다. 용산 ~ 회기 구간은 중앙선 복선전철화 개통으로 [[경의·중앙선]] (당시 용산-덕소선)으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으며, [[광운대역|성북역]]의 회차 용량은 [[병점역|병점]] 발착 열차가 사용하게 되었다.


[[서울 지하철 1호선]] (별칭 종로선)과 [[경원선]]의 일부, [[경인선]]의 전 구간, [[경부선]][[장항선]]의 일부 구간을 다니는 수도권 전철 노선이다. '''총 연장만 200 km에 달하는 크고 아름다운 노선'''이며, 색깔은 남색. 최초의 수도권 전철이자, 수도권 서민들의 희로애락을 같이 한 노선이다.
; <span style="color: #e60013;">급행 [영등포 - 병점]
: 광역버스 입석금지로 인하여 [[2014년]] [[8월 25일]]에 새로 생겼던 급행으로, 정차역은 [[영등포역]] - [[안양역]] - [[수원역]] - [[병점역]]이다. 차량은 광명 셔틀에서 운행하던 4량 전동차가 운행한다. [[2016년]] [[12월 9일]] 시간표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지하철 구간은 서울교통공사가 운영하며, 이외의 구간은 코레일이 운영한다. 통행방식은 전 구간이 좌측통행이다.
=== 운행 차량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Seoul_metro_1000_m.png|112호(개조저항)
Seoul_metro_1000_vvvf.jpg|103호(VVVF)
</gallery>


경부선 구간의 경우 과거 운행되던 경부 · 장항선 [[비둘기호]]의 역할을, 경원선 구간의 경우 과거 운행되던 경원선 비둘기호 및 통근열차의 역할을 물려받아 운행되고 있다. 경인선 구간의 경우 개화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경인간의 도시권화와 맞물려, 개통 초기부터 광역철도의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 서울교통공사
:*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  
:*: 코레일의 저항차량은 모두 사라졌으나, 서울교통공사 저항차량은 지속적인 현대화 개량을 거쳐 이른바 '''개조저항''' 차량이 운행에 투입되고 있다.
:* [[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1세대)|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 개통 연혁 ==
<gallery mode="packed" heights=150px>
{{youtube|tHEgnXpFGzY|||center}}
Korail_vvvf_1st_gen_chunan_rapid.jpg|31138호(1세대)
*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 개통과 함께, [[경원선]]의 성북역([[광운대역]]) - 청량리역, [[경부선]]의 서울역 - [[수원역]], [[경인선]]의 [[구로역]] - [[인천역]]과 [[직결운행]] 개시.
Korail_vvvf_1st_gen_gwangmyungshuttle.jpg|31907호(광명셔틀, 1세대 개조)
* [[1982년]] [[9월 25일]]: 서울 - 수원간 통근 직통 열차 운행 개시.
Korail_vvvf_2nd_gen_kyungbu.jpg|31154호(2세대)
* [[1985년]] [[4월 20일]]: 경원선 [[광운대역|성북]] - 창동간 연장.
Korail_vvvf_3rd_gen_noryangjin.jpg|31171호(3세대, 전기형)
* [[1986년]] [[9월 2일]]: 경원선 창동 - [[의정부역|의정부]]간 연장.
Korail_vvvf_3rd_gen_samnoon.jpg|31195호(3세대, 후기형)
* [[1987년]] [[10월 5일]]: 경원선 의정부 - [[가능역|의정부북부]]간 연장.
Korail_Class_312000.png|31207호(4세대, 도색 변경 전)
* [[1999년]] [[1월 29일]]: 경인선 구로 - 부평간 복복선 전철화 완공 및 급행 열차 운행 개시.
woojin_korail_vvvf_5th_gen_312X18.JPG|31218호(우진산전)
* [[2002년]] [[3월 15일]]: 경인선 부평 - [[주안역|주안]]간 복복선 전철화 완공 및 급행 열차 운행 연장.
</gallery>
* [[2003년]] [[4월 30일]]: 경부선 수원 - [[병점역|병점]]간 연장.
* [[2005년]] [[1월 20일]]: 경부선 병점 - [[천안역|천안]]간 연장 동시에 용산 - 천안 급행 열차 운행 개시.
* [[2005년]] [[12월 21일]]: 경인선 주안 - [[동인천역|동인천]]간 복복선 전철화 완공 및 급행 열차 운행 연장.
* [[2006년]] [[12월 15일]]: 경원선 의정부 - [[소요산역|소요산]]간 연장 및 동두천 - 인천 급행 열차 운행 개시. 같은 날 용산 - KTX [[광명역|광명]] 셔틀노선 운행 개시.
*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천안 - [[신창역|신창]]간 연장.
* [[2010년]] [[2월 26일]]: 병점기지선 병점 - [[서동탄역|서동탄]]간 운행 개시.


=== 노선 연장 ===
; 한국철도공사
* 소요산역 이북으로 2019년 [[연천역|연천]]까지 연장이 예정되어 있다. 단 기존 연장이 복선 전철화, 복복선 전철화 등으로 이루어진 것에 반해, 동두천 ~ 연천 구간은 단선 전철화를 기반으로 운행될 예정이다.
:* <del>[[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del>
* [[아산시]]는 신창역에서 4 km 정도 떨어진 도고온천역까지의 연장을 요구하고 있으나 타당성이 떨어지는 관계로 구상 단계에만 머물러 있다. 신창역까지의 연장도 인상선 및 주박선 설치 공간이 온양온천역에 부족해 연장한 것이다.
:* [[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1세대)]]
* [[세종시]](옛 연기군 조치원면) 방면 혹은 그 이상으로 [[청주공항]] 연장을 추진한다는 소문이 있었지만 코레일 측은 복복선화 등으로 [[누리로]]급을 운행하는 계획이었지, 광역전철 운행을 전제로 하고 있지는 않다고 밝혔다.
:* [[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2세대)]]
** 다만, 수원-천안 복복선 전철화 당시 계획상으로는 천안에서 장항선 방면의 계통과 경부선 방면의 계통이 분리되고, 경부선 방면 계통은 천안 남부까지 지난 뒤 종착시킬 예정이었다. 차량기지도 경부선 방면에 지어질 예정이었던 부분. 다만 이게 IMF 크리를 먹고 계획이 틀어져서 경부선 방면 지선은 날라갔으며, 장항선 지선만이 [[천안아산역|당시 계획상 신천안역]]에서 더 지나 [[온양온천역]]과 [[신창역]]까지 계획이 잡히게 된 것이다.
:*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3세대)]]
*앞으로 홍성군(충남도청 소재지)까지 연장될 계획이 있음
:*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4세대)]]
:* [[우진산전 통근형 전동차]]


== 노선색 통합 ==
== 특징 ==
본래 지하 구간에 한해 노선색이 빨간색이고, 지상 구간을 국철이라 칭하며 노선색을 남색으로 했었다. 하지만 노선 색깔이 서로 다르다보니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준비하면서 외국인에게 혼동을 줄 수 있다는 이유 등이 꼽혀, [[2000년]]의 노선 개편 때, 1호선의 노선색을 국철 색깔이었던 남색으로 통합했다. 하지만 서울교통공사 열차 외관은 여전히 빨간색으로 래핑되어 있으며, 코레일 역시 차량 도색에 빨간색을 사용하고 있다. 특히 코레일 열차들은 출입문의 도색을 상단은 빨간색, 하단은 남색으로 처리한 사각형 도색을 적용하여 이른바 '''[[자석]] 도색'''이라 불리고 있다. 이 자석 도색은 다른 광역전철 차량들에도 공통적으로 적용되어 3호선은 주황-남색, 4호선은 파랑-남색, 분당선은 노랑-남색 등으로 조합된다.
; 종각 - 시청 사이의 급곡선
: 서울 도시철도 1호선은 개착식 공법으로 건설되었고, 따라서 해당 구간의 곡선을 완만하게 하려면 그 위에 있는 [[동아일보]] 사옥을 허물 수밖에 없었다. 결국 그렇게 하지는 못하고, 반지름 140m 짜리 급곡선이 생겨버렸다. 해당 구간은 지금도 25 km/h의 저속통과 구간이며, 철로의 마모 등 유지보수를 집중적으로 하며, 선로에 윤활유를 뿌려주는 장치까지 설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구간 통과시 차륜과 선로사이에서 발생하는 쇳소리는 근본적으로 선형개량이 이뤄지지 않는한 완벽히 없애기는 어렵다.


== 운행 차량 ==
; 도시철도 1호선 복복선 계획
*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저항제어 전동차<ref>철도 동호계에서는 이른바 개조저항 등으로 불린다.</ref> (6편성)
: 1호선 계획 당시에는 종각역 ~ 신설동역 구간을 5호선과 공용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1호선 개통식이 있던 [[1974년]] [[8월 15일]] [[박정희 저격 미수 사건|육영수가 저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당시 [[서울특별시]]장 [[양택식]]이 사임하고 후임으로 들어온 [[구자춘]] 시장이 기존 계획을 대폭 수정하여 5호선 계획이 백지화되었다.
* 서울교통공사 1000호대 VVVF 전동차 (10편성)
: 현재 복복선에 대비해 마련해놓은 공간은 환승통로 등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 중이다.
* 코레일 1000호대 전동차<ref>철도 동호계에서 중저항, 신저항으로 불리는 계열들.</ref> (31편성)
* 코레일 311000호대 전동차<ref>철도 동호계에서 납작이, 동글이, 뱀눈이로 계열을 나눠 부른다.</ref> (103편성)


* 코레일 319000호대 전동차 - <del>광명국제공항철도</del> 영등포역 ~ 광명역 셔틀 (4편성)
; 도시철도 1호선의 좁은 승강장
: 원조 지하철 구간인 지하 서울역~지하 청량리역 구간(일명 종로선)의 승강장 크기가 다른 노선의 지하역들에 비해 상당히 좁다. 게다가 안 그래도 좁은 승강장이 칙칙한 분위기덕에 더 작아 보인다. 몇몇 역은 리모델링하면서 좀 나아졌지만, 여전히 칙칙한 역은 칙칙하다. 근래 개량을 통해 조도가 높은 LED 등을 설치하고 역사 내부 도색을 화사하게 변경했다지만 심도가 낮은 관계로 천장 높이가 상당히 낮아 답답한 느낌이 배가된다. 또한 종로선 건설 당시 기술을 제공한 1970년대 일본의 시공을 받아들였고, 노폭이 좁았던 서울 중심가의 도로 상부를 걷어내고 지하역을 건설한 개착식 공법이 적용된 한계에서 기인한다. 또한 서울의 인구 증가 및 도로 사정의 악화로 지하철 승객 증가 추이를 잘못 예상한데다가, 당시 5호선 계획이 복복선으로 1호선과 나란히 건설될 예정이었으므로 좁은 지하공간에 승강장 공간을 크게 할애 할 수 없었기 때문. 특히 동대문역과 동묘앞역<ref>아예 초기 계획상 복복선이 될 예정이었던 5호선 공간까지 다 쓴 케이스.</ref>을 비교하면 차이가 확 난다.


== 운행 환경 ==
; 직결운행과 절연구간
여러 노선을 직결하며 다녀 지연에 취약하다. 게다가 지상 구간을 달리다보니 날씨 때문에 운행에 차질이 있을 때가 많다. 저항제어 차량의 경우 구조상 추위에 약하다보니 고장이 잦기도 하고, 눈이나 비가 오면 점착력이 떨어져 미끄러지는 관계로 운행 지연이 잦을 수 밖에 없다. 그래도 현재 인천 및 경기 서남부 주민들의 주된 출퇴근 루트.
: 도시철도는 직류이지만, 직결하는 지상 구간은 모두 교류이기 때문에, 그 사이인 남영 - 지하 서울역, 지하 청량리 - 회기 지점에 [[절연구간]]이 있다.
: 여러 노선을 직결하면서 지연에 취약한데, 지상 구간이 상당히 길어 날씨 때문에 운행에 차질이 있을 때가 많다. 저항제어 차량의 경우 구조상 추위에 약하다보니 고장이 잦기도 하고, 눈이나 비가 오면 점착력이 떨어져 미끄러지는 관계로 운행 지연이 잦을 수밖에 없다. 승객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에는 사실상 서울 도심구간은 열차 정차시간이 준수되기 어려워 지연이 일상화된다. 그나마 여러 노선이 집중적으로 거쳐가는 서울 도심구간은 열차들의 배차가 밀집되므로 지연에 대한 체감이 덜한 편.


[[종로선|지하구간]]의 경우 승강장 크기가 다른 노선에 비해 상당히 좁다. 게다가 안 그래도 좁은 승강장이 칙칙한 분위기덕에 더 작아 보인다. 몇몇역은 리모델링하면서 좀 나아졌지만, 여전히 칙칙한 역은 칙칙하다. 1970년대 당시 일본의 시공을 받아들였고, 이 정도로 승객이 늘어날지 예상을 못한데다가, 당시 5호선 계획이 복복선으로 지나던지라 여유 공간을 둘 수 없었기 때문. 특히 동대문역과 동묘앞역<ref>아예 초기 계획상 복복선이 될 예정이었던 5호선 공간까지 다 쓴 케이스.</ref>을 비교하면 차이가 확 난다.
; 잡상인 및 1호선 빌런
<del>물건 파시는 분은 다음 역에서 내려주시기 바랍니다.</del><br/><del>예수님 믿으세요 예수님 믿으셔야 천국갑니다.</del>


지상 구간은 교류이고 지하 구간은 직류이기 때문에, 교류 구간과 직류 구간 사이(남영-지하 서울역, 지하 청량리-회기)에 [[절연구간]]이 있다.
운행구간이 길다보니 차내에서 물건을 파는 잡상인, 구걸하는 사람이나 특정 종교를 홍보하는 전도자들을 타노선에 비해 흔하게 접할 수 있다. 수도권에서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탑승하다보니 이른바 '''1호선 빌런'''<ref>[https://www.chosun.com/national/weekend/2022/04/09/OXMHEOIF5NDC7GUMYNCKBTCCRM/ 박쥐맨부터 황금장군까지… 1호선은 어쩌다 ‘빌런’ 성지 됐나], 조선일보, [[2022년]] [[4월 9일]]</ref>같은 밈이 인터넷상에서 코믹한 이미지로 떠돌고 있을 지경. 또한 장항선 연장으로 [[온양온천역]] 등 관광지를 이용하려는 노인 승객<ref>경로우대 무료승차 제도를 활용하는 분들이 많다.</ref>도 많은 편.


내진설계법이 만들어지기 전에 만들어진 노선이라 내진설계가 거의 되어 있지 않다. 사실 1호선부터 4호선까지는 1980년대 지어진 노선이다보니 내진설계가 안 되어 있는 부분이 많다. 대신 1990년대 이후 지어진 노선들은 법 제정 이후 생겼기에 내진설계가 잘 되어 있다. 지상역이 많은 특성상 [[스크린도어]] 설치가 다른 노선에 비해 늦게 진행되는 편이며, 아직도 수요 저조 혹은 예산 문제로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지 않은 역들이 많다. 이로인해 취객이나 보행실수로 승강장에서 추락하는 사고 혹은 자살시도가 많은 불명예를 가지고 있다.
== 역 목록 ==
* 서울 도시철도 1호선 이외의 구간의 자세한 연계 노선은 해당 노선 문서를 참고하세요.
* 서울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은 반대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상·하행이 도시철도 1호선과는 반대이기 때문입니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서울교통공사소속 전동차와 코레일 소속 전동차가 노선을 공유하는데, 양사 협약에 의해 급행열차는 광역철도본부가 존재하는 코레일에서 전담하며, 완행열차에 한해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가 코레일과 공동운행한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는 경인선 구간 인천~의정부/양주 구간을, 경부선 구간 광운대/청량리~병점/서동탄 구간을 운행하도록 협약을 맺었으며, 코레일의 파업등 특수한 사정이 생기더라도 협약구간을 벗어나는 운행은 찾아보기 어렵다. 내구연한 만료로 구형 전동차를 대거 폐차하고 신차를 도입하는 코레일과 다르게, 서울교통공사는 1호선 차량들에 대한 [[마개조]]를 통해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주기로 유명하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저항제어 계열 전동차는 전두부를 VVVF와 유사하게 바꾸는 리모델링을 하였으나, 객실 내부는 70~80년대 전동차의 구조를 찾아볼 수 있으며, 여전히 [[낙창식]] 창문을 찾아볼 수 있다.
=== 소요산 ~ 회기 ===
* '''급''': 소요산 - 인천 급행 (경원선 구간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세로|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급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 rowspan="27" | {{세로|[[경원선]]}}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0-3
| style="text-align: right;" |
| [[연천역|연천]]
| rowspan="3" style="background: #eee;" | {{세로|미운행}}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16" | {{세로|[[경기도]]}}
| rowspan="3" | [[연천군]]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0-2
| style="text-align: right;" |
| [[전곡역|전곡]]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0-1
| style="text-align: right;" |
| [[청산역|청산]]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0
| style="text-align: right;" | 0.0
| [[소요산역|소요산]]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5" | [[동두천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1
| style="text-align: right;" | 2.5
| [[동두천역|동두천]]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2
| style="text-align: right;" | 4.1
| [[보산역|보산]]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3
| style="text-align: right;" | 5.5
| [[동두천중앙역|동두천중앙]]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4
| style="text-align: right;" | 6.5
| [[지행역|지행]]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5
| style="text-align: right;" | 12.1
| [[덕정역|덕정]]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3" | [[양주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6
| style="text-align: right;" | 15.0
| [[덕계역|덕계]]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7
| style="text-align: right;" | 20.3
| [[양주역|양주]]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8
| style="text-align: right;" | 21.9
| [[녹양역|녹양]]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5" | [[의정부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09
| style="text-align: right;" | 23.2
| [[가능역|가능]]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10
| style="text-align: right;" | 24.4
| [[의정부역|의정부]]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11
| style="text-align: right;" | 26.0
| [[회룡역|회룡]]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의정부}} [[의정부경전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12
| style="text-align: right;" | 27.4
| [[망월사역|망월사]]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13
| style="text-align: right;" | 29.7
| [[도봉산역|도봉산]]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7}}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rowspan="11" | {{세로|[[경기도]]}}
| rowspan="5" | [[도봉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14
| style="text-align: right;" | 30.9
| [[도봉역|도봉]]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15
| style="text-align: right;" | 32.2
| [[방학역|방학]]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16
| style="text-align: right;" | 33.9
| [[창동역|창동]]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17
| style="text-align: right;" | 34.9
| [[녹천역|녹천]]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18
| style="text-align: right;" | 36.3
| [[월계역|월계]]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동북}} [[동북선]] (예정)''
| rowspan="3" | [[노원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19
| style="text-align: right;" | 37.4
| [[광운대역|광운대]]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춘}} [[경춘선]] (출퇴근 2왕복)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20
| style="text-align: right;" | 38.5
| [[석계역|석계]]
| rowspan="4" style="background: #eee;" | {{세로|전역 정차}}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6}}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21
| style="text-align: right;" | 39.9
| [[신이문역|신이문]]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3" | [[동대문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22
| style="text-align: right;" | 40.7
| [[외대앞역|외대앞]]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23
| style="text-align: right;" | 41.5
| [[회기역|회기]]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춘}} [[경춘선]]
|-
! colspan="8" | [[서울 도시철도 1호선]] 직결운행
|-
|}


운행구간이 길다보니 차내에서 물건을 파는 잡상인, 구걸하는 사람이나 특정 종교를 홍보하는 전도자들을 타노선에 비해 흔하게 접할 수 있다. 또한 장항선 연장으로 [[온양온천역]] 등 관광지를 이용하려는 노인 승객<reF>경로우대 무료승차 제도를 활용하는 분들이 많다.</ref>도 많은 편.
=== 청량리 ~ 서울 (서울 도시철도 1호선)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rowspan="2" | {{세로|노선}}
! rowspan="2" | 번호
! colspan="2" | km
! rowspan="2" | 정거장
! rowspan="2" | 연계 노선
! rowspan="2" colspan="2" | 소재지
|-
! 서울 !! 소요산
|-
! colspan="8" | [[경원선]] 직결운행
|-
! rowspan="10" | {{세로|서울 도시철도 1호선}}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24
| style="text-align: right;" | 7.8
| style="text-align: right;" | 42.9
| [[청량리역|청량리<br />(서울시립대입구)]]
| style="text-align: left;" | <div style="float: left;">[[경원선]] (연결) · [[중앙선]]:&nbsp;</div><div style="float: left;">{{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코레일 일반열차,<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춘}}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div>
| rowspan="10" | {{세로|[[서울특별시]]}}
| rowspan="3" | [[동대문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25
| style="text-align: right;" | 6.8
| style="text-align: right;" | 43.9
| [[제기동역|제기동]]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동북}} [[동북선]] (예정)''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26
| style="text-align: right;" | 5.9
| style="text-align: right;" | 44.8
| [[신설동역|신설동]]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성수지선]] (연결)<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우이}} [[우이신설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27
| style="text-align: right;" | 5.2
| style="text-align: right;" | 45.5
| [[동묘앞역|동묘앞]]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6}}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rowspan="5" | [[종로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28
| style="text-align: right;" | 4.6
| style="text-align: right;" | 46.1
| [[동대문역|동대문]]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29
| style="text-align: right;" | 3.8
| style="text-align: right;" | 46.9
| [[종로5가역|종로5가]]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0
| style="text-align: right;" | 2.9
| style="text-align: right;" | 47.8
| [[종로3가역|종로3가]]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1
| style="text-align: right;" | 2.1
| style="text-align: right;" | 48.6
| [[종각역|종각]]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2
| style="text-align: right;" | 1.1
| style="text-align: right;" | 49.6
| [[시청역 (서울)|시청]]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 rowspan="2" | [[서울 중구|중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3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 50.7
| [[서울역]]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연결):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코레일 일반열차<br />[[경의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선|공항철도]]<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GTXA}} [[GTX A노선]] (예정)''
|-
! colspan="8" | [[경부선]] 직결운행
|-
|}


=== 세부 운행 계통 ===
=== 서울 ~ 구로 ===
세부 운행 계통은 열차번호 단위로 보통 정리된다. 열차번호의 기준은 (모든 경우는 아니지만) 주로 하행 방향의 종착역이 기준으로 잡혀있다.
* 아래 역들은 모두 [[서울특별시]]에 있다.
* '''특''': 용산 - 동인천 특급 (경인선 특급)
* '''급''': 용산 - 동인천 급행 (경인선 급행)
* '''A''': 청량리 - 천안·신창 급행 (경부선 급행)
* '''B''': 서울 - 천안·신창간 급행 (경부선 급행, 평일 운행)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상행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세로|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특
! 급
! A
! B
! 환승
! 소재지
|-
! rowspan="10" | {{세로|[[경부선]]}}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3
| style="text-align: right;" | 50.7
| style="line-height: 160%;" | [[서울역|서울]] (지상)<br /><small>(B급행만 운행)</small>
| colspan="3" style="background: #eee;" | 미운행
| ●
| style="text-align: left;" | 상단 참조
| rowspan="4" | [[용산구]]
|-
! colspan="8" | [[서울 도시철도 1호선]] 직결운행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4
| style="text-align: right;" | 52.4
| [[남영역|남영]]
| colspan="2" style="background: #eee;" | 미운행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5
| style="text-align: right;" | 53.9
| [[용산역|용산]]
| ●
| ●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ITX-청춘}} [[ITX-청춘]], 코레일 일반열차<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신용산역]], 환승 할인 없음)''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6
| style="text-align: right;" | 56.5
| [[노량진역|노량진]]
| ●
| ●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9}}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동작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7
| style="text-align: right;" | 58.0
| [[대방역|대방]]
| ┃
| ●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림}} [[신림선]]
| rowspan="3" | [[영등포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8
| style="text-align: right;" | 58.5
| [[신길역|신길]]
| ┃
| ●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9
| style="text-align: right;" | 59.8
| [[영등포역|영등포]]
| ┃
| ●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코레일 일반열차<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광명셔틀<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안산}} [[신안산선]] (예정)''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0
| style="text-align: right;" | 61.3
| [[신도림역|신도림]]
| ●
| ●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본선 · 신정지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광명셔틀
| rowspan="2" | [[구로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1
| style="text-align: right;" | 62.4
| [[구로역|구로]]
| ●
| ●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경인선 · 경부선 · 광명셔틀
|-
! colspan="11" | [[경인선]], [[경부선]] 직결운행
|-
|}
 
=== 구일 ~ 인천 ===
* '''특''': 용산 - 동인천 특급 (경인선 특급)
* '''급''': 용산 - 동인천 급행 (경인선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line-height: 120%; font-size: 90%;"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세로|노선}}
! 번호
! km
! 정거장
! 특
! 급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 colspan="9" | [[경부선]] 직결운행
|-
! rowspan="20" | {{세로|[[경인선]]}}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2
| style="text-align: right;" | 63.8
| [[구일역|구일]]
| ┃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4" | {{세로|[[서울특별시]]}}
| rowspan="4" | [[구로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3
| style="text-align: right;" | 64.8
| [[개봉역|개봉]]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4
| style="text-align: right;" | 66.1
| [[오류동역|오류동]]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5
| style="text-align: right;" | 68.0
| [[온수역|온수]]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7}}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6
| style="text-align: right;" | 69.3
| [[역곡역|역곡]]
| ┃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5" | {{세로|[[경기도]]}}
| rowspan="5" | [[부천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7
| style="text-align: right;" | 70.8
| [[소사역|소사]]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8
| style="text-align: right;" | 71.9
| [[부천역|부천]]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9
| style="text-align: right;" | 73.6
| [[중동역 (부천)|중동]]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50
| style="text-align: right;" | 74.6
| [[송내역|송내]]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51
| style="text-align: right;" | 75.8
| [[부개역|부개]]
| ┃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11" | {{세로|[[인천광역시]]}}
| rowspan="4" | [[부평구]]
|-
|-
! 계통 !! 편수 · 간격{{|평일 NH 기준}} !! 소요산 !! 양주 !! 의정부 !! 광운대 !! 청량리 !! 용산 !! 영등포 !! 동인천<br />광명 !! 인천<br />서동탄 !! 천안 !! 신창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52
| style="text-align: right;" | 77.3
| [[부평역|부평]]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1}}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
|-
! 완행 소요산–인천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53
| 30분 간격 (시간당 2회)
| style="text-align: right;" | 79.0
| colspan="9" style="background: #ffe;" |  
| [[백운역|백운]]
| colspan="2" |
| ┃
| ┃
| style="text-align: left;" |  
|-
|-
! 완행 양주–인천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54
| 30분 간격 (시간당 2회)
| style="text-align: right;" | 80.5
|  
| [[동암역|동암]]
| colspan="8" style="background: #ffe;" |
| ┃
| colspan="2" |
| ●
| style="text-align: left;" |  
|-
|-
! 완행 의정부–인천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55
| 30분 간격 (시간당 2회)
| style="text-align: right;" | 81.7
| colspan="2" |
| [[간석역|간석]]
| colspan="7" style="background: #ffe;" |  
| ┃
| colspan="2" |
|
| style="text-align: left;" |  
| [[남동구]]
|-
|-
! 완행 광운대–서동탄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56
| 20분 간격 (시간당 3회)
| style="text-align: right;" | 82.9
| colspan="3" |
| [[주안역|주안]]
| colspan="7" style="background: #eff;" |  
|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2}}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 2호선]]
| rowspan="3" | [[미추홀구]]
|-
|-
! 완행 청량리–천안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57
| 40분 간격 (시간당 1.5회)
| style="text-align: right;" | 83.9
| colspan="4" |
| [[도화역|도화]]
| colspan="6" style="background: #eef;" |
| ┃
|  
| ┃
| style="text-align: left;" |  
|-
|-
! 완행 청량리–신창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58
| 40분 간격 (시간당 1.5회)
| style="text-align: right;" | 84.9
| colspan="4" |
| [[제물포역|제물포]]
| colspan="7" style="background: #eef;" |  
| ┃
| ●
| style="text-align: left;" |  
|-
|-
! 완행 영등포–광명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59
| 불규칙 (시간당 약 1회)
| style="text-align: right;" | 86.3
| colspan="6" |
| [[도원역|도원]]
| colspan="2" style="background: #fef;" |  
| ┃
| colspan="3" |
| ┃
| style="text-align: left;" |  
| [[인천 동구|동구]]
|-
|-
! 급행 용산–동인천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60
| 약 25분 간격 (시간당 약 2회)
| style="text-align: right;" | 87.5
| colspan="5" |
| [[동인천역|동인천]]
| colspan="3" style="background: #fee;" |  
| ●
| colspan="3"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2" | [[인천 중구|중구]]
|-
|-
! 급행 용산–천안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61
| 불규칙 (시간당 약 1회)
| style="text-align: right;" | 89.4
| colspan="5" |
| [[인천역|인천]]
| colspan="5" style="background: #fee;"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e;" | 미운행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
|-
|-
! 특급 용산–동인천
| 약 60분 간격 (시간당 약 1회)
| colspan="5" |
| colspan="3" style="background: #efe;" |
| colspan="3" |
|}
|}


; 완행 [소요산 - 인천]<ref>[http://www.letskorail.com/ebizcom/cs/guide/guide/guide11.do 코레일의 노선별 시간표]에는 경인경원선으로 표기되어 있다.</ref>
=== 가산디지털단지 ~ 신창 ===
: 경원·경인선 계통. 가장 대표적이며 편수가 가장 많은 계통 중 하나이다. [[의정부역]] · [[양주역]] · [[소요산역]] - [[인천역]] 사이의 역들에 모두 정차한다. 일부 편의 경우 [[광운대역]]이나 [[동두천역]]에서 시종착한다. 또, 새벽, 심야 시간대 일부 열차나 입출고 차량(특히 [[구로역]])에 대해서는 중간역 시종착편도 설정되어 있으며, 막차 시간의 차이로 서울교통공사 구간만 운행하는 편도 일부 존재한다. 평시 기준 의정부 ~ 인천이 다 합쳐 시간당 8회, 양주 ~ 의정부가 시간당 4회, 소요산 ~ 양주가 시간당 2회 운행된다.
* '''A''': 청량리 - 천안·신창 급행 (경부선 급행)
; 완행 [광운대 - 서동탄]
* '''B''': 서울 - 천안·신창간 급행 (경부선 급행, 평일 운행)
: 경부선 계통. 최초 경부선이 개통했을 때는 청량리 - 수원 구간을 운행했으며 복선 운행이었기에 4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등, 반쯤 버려진 노선 취급을 받았었으나, 7호선 부천 구간 개통 이후 점점 더 지분율을 높이고 있다. 2005년 말까지는 천안 계통과 같은 세부 계통을 가지고 있었으나, 경원선 용산 - 성북 계통의 운행 분리와 함께, 병점 발착 열차가 청량리역에서 광운대역으로 연장됨에 따라<ref>청량리역이나 광운대역 모두 회차 용량이 1선으로 부족한 탓에 분산을 위해서 떨어트려 놓은 것이다.</ref> 세부 계통 분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이후 서동탄 방면 지선인 병점기지선이 여객 영업을 시작하면서 완전히 분리되었다. 광운대역부터 [[서동탄역]] 사이의 역들에 모두 정차한다. 입출고 열차들의 경우에는 서동탄에서 시종착하는게 불가능해, 병점 시종착으로 운행된다. 평시 기준 시간당 3회 운행된다.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일부 평일 열차 정차, △: 일부 상행 열차 정차, ┃: 통과역
; 완행 [청량리 - 신창]<ref>코레일 노선별 시간표에는 광운대 - 서동탄 계통과 묶여 경부장항선으로 표기된다.</re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경부·장항선 계통. 청량리역부터 [[신창역]] 사이의 역들에 모두 정차한다. 2005년 천안 연장으로 생긴 계통으로, 2008년 신창까지 연장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열차의 반 정도는 천안역에서 시종착하며, 반 정도만이 신창역까지 운행된다. 일부 시간대에 대해서는 운용 편의성등을 위해 광운대까지 운행되는 경우도 생기지만, 기본적으로는 청량리 발착이 대부분이다. 평시 기준 시간당 3회 운행된다. 그 중 절반(40분 간격)이 천안 종착이며, 나머지 절반(40분 간격)이 신창 종착 열차.
|-
; 완행 [영등포 - 광명]
! {{세로|노선}}
: 흔히 광명셔틀이라 불리며, KTX [[광명역]]의 좋지 않은 접근성으로 인하여 탄생한 계통이다. [[영등포역]] - 광명역 사이의 역들에 모두 정차하며, 요일에 상관없이 하루 상하행 각각 10편성씩 운행된다. 도입 초기에는 용산역부터 광명역 구간에10량짜리 풀스펙 전동차를 투입하였으나, 서울시내에서 광명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나올리 만무하여 텅텅 빈 상태로 운행하였으며, 진정한 [[공기수송]]의 진가를 발휘했었으나 [[2008년]] [[12월 1일]]부터 4량 1편성, 운행구간도 영등포로 단축되었으며, 2014년까지는 시간당 1~2편 정도 운행되던 것이, 최근에는 금천구청역 및 경부선의 처리 용량 부족으로 인해 대폭 감편되었으며, 시각표를 보고 타지 않으면 안 될 수준으로 운행되고 있다. 일반 승객들에게 존재감은 미약하지만 엄연히 KTX 아래 위치한 등급을 부여받아 지연등 특수한 상황에서 운전정리시 KTX 다음으로 우선순위를 부여받는다. 간선 급행인 [[ITX-새마을]]이나 [[무궁화호]], [[누리로]]보다 먼저 통과할 수 있는 등급이다. 출근시간대 운좋게 광명셔틀을 탈 수 있다면 영등포~금천구청역 구간만큼은 붐비는 완행열차와는 달리 여유있는 좌석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 번호
; <span style="color: #e60013;">급행</span> [소요산 - 인천]
! km
: 경원선 구간 급행. 구간급행격으로, 광운대 이북 경원선 구간에서만 급행으로 운행되며, 광운대부터 인천까지는 완행과 동일하게 운행된다.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며, 정차역은 [[소요산역]] - [[동두천역]] - [[동두천중앙역]] - [[덕정역]] - [[양주역]] - [[의정부역]] - [[도봉산역]] - [[창동역]] - 광운대역 - (각역정차) - 인천역. 상행은 2편성(모두 동두천역 종착)이고, 하행은 3편성이다(한 편성만 동두천 시발).
! 정거장
; <span style="color: #e60013;">급행</span> [용산 - 동인천]
! A
: 경인선 구간 급행. 역사가 깊은 급행으로, 시초는 경인선 복복선화에 따른 영등포 - 부평간 직통편이다. 사실 급행 타이틀을 달고 있으나, 당시 터져나가던 경인선의 부하 경감을 위해 지어진 노선이다보니, 서울 시내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애초에 주로 인천에서 신도림을 경유해 강남으로 빠지는 수요를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셈이니... 다른 급행들과는 달리 중간 종착 열차도 다니며, 특히 입출고 편에 대해서는 용산 - 구로를 완행처럼 운행하는 급행이 운행되기도 한다. 정차역은 [[용산역]] - (각역정차) - [[구로역]] - [[개봉역]] - [[역곡역]] - [[부천역]] - [[송내역]] - [[부평역]] - [[동암역]] - [[주안역]] - [[제물포역]] - [[동인천역]]. [[2016년]] [[2월 1일]]부터 개봉역과 제물포역에도 급행열차가 정차하게 되었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시간당 8회 가까이 운행하지만, 평시에는 시간당 2~3회 정도의 빈도로만 운행된다. 급행이지만 총 운행거리가 그리 길지않고, 사실상 급행 기능은 경인선 구간에 한정하므로 상대적으로 경부선 급행에 비해 저항제어 계열 구형열차들이 종종 투입된다.
! B
; <span style="color: #e60013;">급행</span> [용산 - 천안]
! 환승
: 동호계에선 흔히 A급행이라 불린다. 천안 연장 이후 생긴 급행 열차로, 경부선 일반 열차 수요 중 구간 수요의 효과적인 흡수를 위해 생긴 계통이다. 정차역은 [[용산역]] - (각역정차) - [[가산디지털단지역]] - [[안양역]] - [[수원역]] - [[병점역]] - [[오산역]] - [[서정리역]] - [[평택역]] - [[성환역]] - [[두정역]] - [[천안역]]이며, 주말 상하행 각각 1편성은 [[용산역]] - (각역정차) - [[가산디지털단지역]] - [[수원역]] - [[평택역]] - [[두정역]] - [[천안역]]에만 정차한다. 1~2시간당 1회꼴의 빈도로 운행된다. 천안에서 수원까지는 전철용 2선, 수원부터 안양까지는 1선, 안양에서 다시 2선으로 진입하여 운행한다. 이는 가산디지털단지에 정차하려면 승강장이 설치된 2선으로 열차를 운행할 수 밖에 없기때문이다. 상황에 따라서는 [[금천구청역]] 인근 경부고속선 접속부에서 선로변환을 하는 경우도 가끔 발생하지만 보통은 안양역에서 선로변환을 진행한다. 이때문에 구로역~안양역 구간에서는 앞서가는 완행열차가 마땅히 대피할 공간이 없어서 급행임에도 불구하고 완행을 앞지르지 못해 졸졸 따라가는 답답함을 종종 연출하기도 한다.
! colspan="2" | 소재지
; <span style="color: #009944;">급행</span> [서울 - 천안]
|-
: 동호계에선 흔히 B급행 혹은 초록급행이라 불리며, 차내 노선도에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시초는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서울역부터 수원역까지 운행되던 직통편(최초의 타이틀은 고속전철)이 그 시초다. 평일, 출퇴근 시간에만 상하행 각각 3편성씩만 운행된다. 정차역은 [[서울역]] (지상) - [[영등포역]] - [[금천구청역]] - [[안양역]] - [[군포역]] - [[의왕역]] - [[성균관대역]] - [[수원역]] - [[병점역]] - [[오산역]] - [[서정리역]] - [[평택역]] - [[성환역]] - [[두정역]] - [[천안역]]이며, 성균관대역의 경우 상행은 모두 정차하나 하행은 한편성만 정차한다. 정차역중 [[영등포역]]은 출근시간대 상행선만 정차하며, 퇴근시간대 하행은 통과<ref>영등포역 본선 상행방향으로는 전철 취급용 고상홈이 있으나, 하행방향은 고상홈이 없어서 정차하기 어렵다. 만약 하행을 고상홈에 세우려면 그 바쁜 경부선을 무려 평면교차하는 막장을 연출해야 한다.</ref> 한다. 서울역에는 B급행을 취급하기 위한 전용 고상홈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곳부터 [[수원역|수원]]까지는 일반열차가 운행하는 본선을 타기때문에 시간절약 효과가 매우 크다. 수원 이남으로는 완행전동차가 다니는 부본선으로 갈아타지만 해당구간은 상대적으로 선로용량이 여유있어 역시 고속으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다.
! colspan="9" | [[경부선]] 직결운행
; <span style="color: black;">특급</span> [용산 - 동인천]
|-
: NH 시간대에 경인선을 40분에 주파한다. 용산, 노량진, 신도림, 구로, 부천, 송내, 부평, 주안, 동인천 9개 역에 정차하며 일 20회 가량 운행한다.
! rowspan="29" | {{세로|[[경부선]]}}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2
| style="text-align: right;" | 64.8
| [[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디지털단지]]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7}}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광명셔틀
| rowspan="3" | {{세로|[[서울특별시]]}}
| rowspan="3" | [[금천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3
| style="text-align: right;" | 66.8
| [[독산역|독산]]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광명셔틀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4
| style="text-align: right;" | 68.0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광명셔틀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5
| style="text-align: right;" | 70.3
| [[석수역|석수]]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안산}} [[신안산선]] (예정)''
| rowspan="22" | {{세로|[[경기도]]}}
| rowspan="4" | [[안양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6
| style="text-align: right;" | 72.2
| [[관악역|관악]]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7
| style="text-align: right;" | 74.6
| [[안양역|안양]]
| ●
| ●
| style="text-align: left;" | 코레일 일반열차<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강}} [[경강선]] (예정)''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8
| style="text-align: right;" | 76.8
| [[명학역|명학]]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9
| style="text-align: right;" | 78.2
| [[금정역|금정]]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 rowspan="3" | [[군포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0
| style="text-align: right;" | 80.4
| [[군포역|군포]]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1
| style="text-align: right;" | 82.0
| [[당정역|당정]]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2
| style="text-align: right;" | 84.6
| [[의왕역|의왕]]
| ○
| ●
| style="text-align: left;" |
| [[의왕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3
| style="text-align: right;" | 87.5
| [[성균관대역|성균관대]]
| ●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4" | [[수원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4
| style="text-align: right;" | 90.1
| [[화서역|화서]]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5
| style="text-align: right;" | 92.2
| [[수원역|수원]]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코레일 일반열차<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6
| style="text-align: right;" | 95.1
| [[세류역|세류]]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7
| style="text-align: right;" | 99.4
| [[병점역|병점]]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서동탄 방면
| [[화성시]]
|-
! colspan="6" | [[병점기지선]] 직결운행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8
| style="text-align: right;" | 101.8
| [[세마역|세마]]
| ┃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3" | [[오산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9
| style="text-align: right;" | 104.5
| [[오산대역|오산대]]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0
| style="text-align: right;" | 107.2
| [[오산역|오산]]
| ●
| ●
| style="text-align: left;" | 코레일 일반열차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1
| style="text-align: right;" | 111.2
| [[진위역|진위]]
| ┃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5" | [[평택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2
| style="text-align: right;" | 115.0
| [[송탄역|송탄]]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3
| style="text-align: right;" | 117.2
| [[서정리역|서정리]]
| ●
| ●
| style="text-align: left;" | 코레일 일반열차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4
| style="text-align: right;" | 122.2
| [[평택지제역|평택지제]]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SRT}} [[SRT]]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5
| style="text-align: right;" | 125.7
| [[평택역|평택]]
| ●
| ●
| style="text-align: left;" | 코레일 일반열차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6
| style="text-align: right;" | 135.1
| [[성환역|성환]]
| ●
| ●
| style="text-align: left;" | 코레일 일반열차
| rowspan="12" | {{세로|[[충청남도]]}}
| rowspan="7" | [[천안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7
| style="text-align: right;" | 140.5
| [[직산역|직산]]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8
| style="text-align: right;" | 144.3
| [[두정역|두정]]
| ●
| ●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2"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9
| rowspan="2" style="text-align: right;" | 147.3
| rowspan="2" | [[천안역|천안]]
| rowspan="2" | ●
| rowspan="2" | ●
| rowspan="2" style="text-align: left;" | 코레일 일반열차
|-
! rowspan="8" | {{세로|[[장항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0
| style="text-align: right;" | 148.8
| [[봉명역|봉명]]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1
| style="text-align: right;" | 150.3
| [[쌍용역|쌍용(나사렛대)]]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2
| style="text-align: right;" | 151.8
| [[아산역|아산]]
| ▲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SRT}} [[SRT]] ([[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br />코레일 일반열차 ([[장항선]])
| rowspan="5" | [[아산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3
| style="text-align: right;" | 153.6
| [[탕정역|탕정]]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4
| style="text-align: right;" | 156.7
| [[배방역|배방]]
| ▲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6
| style="text-align: right;" | 161.6
| [[온양온천역|온양온천]]
| ▲
| △
| style="text-align: left;" | 코레일 일반열차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7
| style="text-align: right;" | 166.7
| [[신창역|신창(순천향대)]]
| ▲
| △
| style="text-align: left;" |
|-
|}


=== 사라진 계통 ===
=== 병점 ~ 서동탄 ===
; <del>완행 [용산 - 성북]</del>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경원선]] 서울 시내 구간 복선 전철화로 용산부터 성북(현재 광운대)까지 운행되던 계통이다. 회기역 직전에 평면교차로 진입했으며, 이 때문에 간격을 줄일 수 없어 간격이 들쭉날쭉 했었다. 용산 ~ 회기 구간은 중앙선 복선전철화 개통으로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당시 용산-덕소선)으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으며, [[광운대역|성북역]]의 회차 용량은 [[병점역|병점]] 발착 열차가 사용하게 되었다.
|-
; <del><span style="color: #e60013;">급행</span> [영등포 - 병점]</del>
! 번호
: 광역버스 입석금지로 인하여 [[2014년]] [[8월 25일]]에 새로 생겼던 급행으로, 정차역은 [[영등포역]] - [[안양역]] - [[수원역]] - [[병점역]]이다. 차량은 광명 셔틀에서 운행하던 4량 전동차가 운행한다. {{날짜|2016-12-9}} 시간표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 km
! 정거장
! 환승
|-
! colspan="4" | [[경부선]] 직결운행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7
| style="text-align: right;" | 99.4
| [[병점역|병점]]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7-1
| style="text-align: right;" | 101.6
| [[서동탄역|서동탄]]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동탄인덕원}} [[동탄인덕원선]] (예정)''
|-
|}


== [[수도권 전철 1호선/역 목록|역 목록]] ==
=== 광명셔틀 ===
[[수도권 전철 1호선/역 목록]] 항목 참조. 역 목록이 길기 때문에 별도의 문서로 분리하였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번호
! km
! 정거장
! 환승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9
| style="text-align: right;" | 59.8
| [[영등포역|영등포]]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코레일 일반열차<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0
| style="text-align: right;" | 61.3
| [[신도림역|신도림]]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본선 · 신정지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1
| style="text-align: right;" | 62.4
| [[구로역|구로]]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2
| style="text-align: right;" | 64.8
| [[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디지털단지]]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경부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7}}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3
| style="text-align: right;" | 66.8
| [[독산역|독산]]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경부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4
| style="text-align: right;" | 68.0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경부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4-1
| style="text-align: right;" | 72.7
| [[광명역|광명]]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안산}} [[신안산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강}} [[경강선]] (예정)''
|-
|}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노선}}
 
[[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2024년 1월 18일 (목) 22:15 기준 최신판

수도권 전철 노선
1 2 3 4 5 6 7 8 9 공항 인천1 인천2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신분당 경강 서해 우이 신림 의정부 용인 김포
서울 도시철도 1호선
수도권 전철 1호선
화서역으로 진입하는 K416 열차
나라 대한민국
종류 도시철도(서울), 운행계통(수도권 전철)광역전철
구간 도시철도: 서울역 ~ 청량리
광역전철:
연천 ~ 인천
광운대 ~ 서동탄
광운대 ~ 신창
영등포 ~ 광명
영업거리 7.8 km (도시철도)
200.6 km (광역전철)
역 수 10개 (도시철도)
99개 (광역전철)
소유자 서울특별시 (도시철도)
운영자 서울교통공사 (도시철도, 광역전철 차량)
한국철도공사 (나머지 노선, 광역전철 차량)
개통일 1974년 8월 15일 (도시철도 및 광역전철)
경유노선 경원선, 서울 도시철도 1호선, 경부선, 경인선, 병점기지선, 천안직결선, 장항선, 경부고속선, 시흥연결선 (광역전철)
차량기지 구로, 군자, 병점, 이문차량사업소 (광역전철)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도시철도)
전기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도시철도)
신호 ATS
도시철도 이외 구간의 정보는 경유노선에 있는 문서 참고

서울 도시철도 1호선(서울 지하철 1호선)은 서울특별시 중구 서울역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청량리역을 잇는 도시철도 노선으로, 국내 최초, 아시아에서 네 번째로 개통한 지하철이다. 종로선이란 별칭으로 불리기도 했다.

경인선 전 구간과 경원선, 경부선장항선의 일부 구간과 직결운행하는데, 이 운행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직결운행 초기에는 노선도에 서울 지하철 1호선과 국철(나머지 노선)로 표기하고 노선색도 서로 달랐지만, 2000년 4월 1일부터 모두 합쳐 1호선으로 표기하고, 노선색도 통일하였다.

경부선 구간의 경우 과거 운행되던 경부 · 장항선 비둘기호의 역할을, 경원선 구간의 경우 과거 운행되던 경원선 비둘기호 및 통근열차의 역할을 물려받아 운행되고 있다. 경인선 구간의 경우 개화기부터 형성되기 시작한 경인간의 도시권화와 맞물려, 개통 초기부터 광역철도의 역할을 수행하기 시작했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노선 연장[편집 | 원본 편집]

  • 아산시는 신창역에서 4 km 정도 떨어진 도고온천역까지의 연장을 요구하고 있으나 타당성이 떨어지는 관계로 구상 단계에만 머물러 있다. 신창역까지의 연장도 인상선 및 주박선 설치 공간이 온양온천역에 부족해 연장한 것이다.

운행[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서울교통공사 소속 전동차와 코레일 소속 전동차가 노선을 공유하는데, 양사 협약에 의해 급행열차는 코레일에서 전담하며, 완행열차는 서울교통공사와 코레일이 공동운행한다. 서울교통공사 전동차는 인천 ~ 양주, 광운대 ~ 서동탄 구간을 운행하도록 협약을 맺었으며, 코레일의 파업 등 특수한 사정이 생기더라도 협약구간을 벗어나는 운행은 찾아보기 어렵다.

내구연한 만료로 구형 전동차를 대거 폐차하고 신차를 도입하는 코레일과 다르게, 서울교통공사는 1호선 차량들에 대한 마개조를 통해 끈질긴 생명력을 보여주기로 유명하다. 서울교통공사 소속 저항제어 계열 전동차는 전두부를 VVVF와 유사하게 바꾸는 리모델링을 하였으나, 객실 내부는 70~80년대 전동차의 구조를 찾아볼 수 있으며, 여전히 낙창식 창문을 찾아볼 수 있다.

세부 운행 계통은 열차번호 단위로 보통 정리된다. 열차번호의 기준은 (모든 경우는 아니지만) 주로 하행 방향의 종착역이 기준으로 잡혀있다.

경인선 계통[편집 | 원본 편집]

계통 소요산 광운대 용산 구로 동인천 인천
소요산–인천
소요산–인천 급행 일부 역 통과
용산–동인천 급행·특급 일부 역 통과
완행 [소요산 - 인천][2]
경원·경인선 계통. 가장 대표적이며 편수가 가장 많은 계통 중 하나이다. 의정부역 · 양주역 · 소요산역 - 인천역 사이의 역들에 모두 정차한다. 일부 편의 경우 광운대역이나 동두천역에서 시종착한다. 또, 새벽, 심야 시간대 일부 열차나 입출고 차량(특히 구로역)에 대해서는 중간역 시종착편도 설정되어 있으며, 막차 시간의 차이로 서울교통공사 구간만 운행하는 편도 일부 존재한다. 평시 기준 의정부 ~ 인천이 다 합쳐 시간당 8회, 양주 ~ 의정부가 시간당 4회, 소요산 ~ 양주가 시간당 2회 운행된다.
급행 [소요산 - 인천]
경원선 구간 급행. 구간급행격으로, 광운대 이북 경원선 구간에서만 급행으로 운행되며, 광운대부터 인천까지는 완행과 동일하게 운행된다. 출근 시간대에만 운행하며, 정차역은 소요산역 - 동두천역 - 동두천중앙역 - 덕정역 - 양주역 - 의정부역 - 도봉산역 - 창동역 - 광운대역 - (각역정차) - 인천역. 상행은 2편성(모두 동두천역 종착)이고, 하행은 3편성이다(한 편성만 동두천 시발).
급행 [용산 - 동인천]
경인선 구간 급행. 역사가 깊은 급행으로, 시초는 경인선 복복선화에 따른 영등포 - 부평간 직통편이다. 사실 급행 타이틀을 달고 있으나, 당시 터져나가던 경인선의 부하 경감을 위해 지어진 노선이다보니, 서울 시내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애초에 주로 인천에서 신도림을 경유해 강남으로 빠지는 수요를 처리하기 위해 만들어진 셈이니... 다른 급행들과는 달리 중간 종착 열차도 다니며, 특히 입출고 편에 대해서는 용산 - 구로를 완행처럼 운행하는 급행이 운행되기도 한다.
정차역은 용산역 - (각역정차) - 구로역 - 개봉역 - 역곡역 - 부천역 - 송내역 - 부평역 - 동암역 - 주안역 - 제물포역 - 동인천역. 2016년 2월 1일부터 개봉역과 제물포역에도 급행열차가 정차하게 되었다. 출퇴근 시간대에는 시간당 8회 가까이 운행하지만, 평시에는 시간당 2~3회 정도의 빈도로만 운행된다. 급행이지만 총 운행거리가 그리 길지않고, 사실상 급행 기능은 경인선 구간에 한정하므로 상대적으로 경부선 급행에 비해 저항제어 계열 구형열차들이 종종 투입된다.
특급 [용산 - 동인천]
NH 시간대에 경인선을 40분에 주파한다. 용산, 노량진, 신도림, 구로, 부천, 송내, 부평, 주안, 동인천 9개 역에 정차하며 일 20회 가량 운행한다.

경부선 계통[편집 | 원본 편집]

계통 의정부 광운대 서동탄
의정부→서동탄[3]
광운대–서동탄
완행 [광운대 - 서동탄]
경부선 계통. 최초 경부선이 개통했을 때는 청량리 - 수원 구간을 운행했으며 복선 운행이었기에 40분 간격으로 운행되는 등, 반쯤 버려진 노선 취급을 받았었으나, 7호선 부천 구간 개통 이후 점점 더 지분율을 높이고 있다. 2005년 말까지는 천안 계통과 같은 세부 계통을 가지고 있었으나, 경원선 용산 - 성북 계통의 운행 분리와 함께, 병점 발착 열차가 청량리역에서 광운대역으로 연장됨에 따라[4] 세부 계통 분리가 이루어지기 시작했으며, 이후 서동탄 방면 지선인 병점기지선이 여객 영업을 시작하면서 완전히 분리되었다. 광운대역부터 서동탄역 사이의 역들에 모두 정차한다. 입출고 열차들의 경우에는 서동탄에서 시종착하는게 불가능해, 병점 시종착으로 운행된다. 평시 기준 시간당 3회 운행된다.
계통 광운대 청량리 서울 가산Digi 수원 두정 신창
광운대-신창
청량리-신창 급행 일부 역 통과
서울-신창 급행 일부 역 통과 일부 역 통과
완행 [광운대 - 신창][5]
경부·장항선 계통. 광운대역부터 신창역 사이의 역들에 모두 정차한다. 2005년 천안 연장으로 생긴 계통으로, 2008년 신창까지 연장되면서 현재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열차의 반 정도는 천안역에서 시종착하며, 반 정도만이 신창역까지 운행된다. 일부 시간대에서 광운대까지 연장되던 것이 용산급행 확대 이후 광운대 착발로 고정되었다. 평시 기준 시간당 3회 운행된다. 그 중 절반(40분 간격)이 천안 종착이며, 나머지 절반(40분 간격)이 신창 종착 열차.
급행 [청량리 - 천안]
흔히 A급행이라 불리던 용산급행을 청량리로 잡아늘린 계통이다. 천안 연장 이후 생긴 급행 열차로, 경부선 일반 열차 수요 중 구간 수요의 효과적인 흡수를 위해 생긴 계통이다. 1시간당 3회꼴의 빈도로 운행된다. 정차역은 청량리역 - (각역정차) - 가산디지털단지역 - 안양역 - 수원역 - 병점역 - 오산역 - 서정리역 - 평택역 - 성환역 - 두정역 - 천안역이며, 일 5왕복은 신창역까지 연장운행한다.
완행 전동차와 같은 선로를 쓰기 때문에, 구로역~안양역 구간에서는 앞서가는 열차가 대피할 공간이 없어서 급행임에도 불구하고 완행을 앞지르지 못해 졸졸 따라가는 답답함을 종종 연출하기도 한다. 과거에는 수원~안양 구간에서 여객용 1선을 사용하기도 했으나 시설개량 이후에는 모두 2선을 사용한다.
급행 [서울 - 천안]
동호계에선 흔히 B급행 혹은 초록급행이라 불리며, 차내 노선도에 초록색으로 표시되어 있다. 시초는 상당히 오래된 것으로, 서울역부터 수원역까지 운행되던 직통편(최초의 타이틀은 고속전철)이 그 시초다. 천안까지 연장되었다가, A급행 확대 이후 폐지했으나 민원에 못 이겨 일일 3회(상행 2회, 하행 1회)로 부활했다. 상행 1회는 신창에서 출발한다. 서울역에는 B급행을 취급하기 위한 전용 고상홈이 별도로 마련되어 있다.
정차역은 서울역(지상) - 영등포역 - 금천구청역 - 안양역 - 군포역 - 의왕역 - 성균관대역 - 수원역 - 병점역 - 오산역 - 서정리역 - 평택역 - 성환역 - 두정역 - 천안역(→신창역까지 각역정차)이다. 서울~수원은 일반열차가 다니는 본선으로 다녀 고속으로 이동하며, 수원 이남으로는 완행전동차가 다니는 부본선으로 갈아타지만 해당 구간은 상대적으로 선로용량이 여유있어 고속으로 목적지까지 이동할 수 있어서 인기가 많다.
계통 영등포 구로 금천구청 광명
영등포-광명
완행 [영등포 - 광명]
흔히 광명셔틀이라 불리며, KTX 광명역의 좋지 않은 접근성으로 인하여 탄생한 계통이다. 영등포역 - 광명역 사이의 역들에 모두 정차하며, 요일에 상관없이 하루 상하행 각각 10편성씩 운행된다. 일반 승객들에게 존재감은 미약하지만 엄연히 KTX 아래 위치한 등급을 부여받아 지연등 특수한 상황에서 운전정리시 KTX 다음으로 우선순위를 부여받는다. 간선 급행인 ITX-새마을이나 무궁화호, 누리로보다 먼저 통과할 수 있는 등급이다. 출근시간대 운좋게 광명셔틀을 탈 수 있다면 영등포~금천구청역 구간만큼은 붐비는 완행열차와는 달리 여유있는 좌석을 즐길 수 있을 것이다.
도입 초기에는 용산역부터 광명역 구간에 10량짜리 풀스펙 전동차를 투입하였으나, 서울시내에서 광명으로 이동하는 수요가 나올리 만무하여 텅텅 빈 상태로 운행하였으며, 진정한 공기수송의 진가를 발휘했었으나 2008년 12월 1일부터 4량 1편성, 운행구간도 영등포로 단축되었으며, 2014년까지는 시간당 1~2편 정도 운행되던 것이, 최근에는 금천구청역 및 경부선의 처리 용량 부족으로 인해 대폭 감편되었으며, 시각표를 보고 타지 않으면 안 될 수준으로 운행되고 있다.

폐지된 계통[편집 | 원본 편집]

완행 [용산 - 성북]
경원선 서울 시내 구간 복선 전철화로 용산부터 성북(현재 광운대)까지 운행되던 계통이다. 회기역 직전에 평면교차로 진입했으며, 이 때문에 간격을 줄일 수 없어 간격이 들쭉날쭉 했었다. 용산 ~ 회기 구간은 중앙선 복선전철화 개통으로 경의·중앙선 (당시 용산-덕소선)으로 편입되면서 폐지되었으며, 성북역의 회차 용량은 병점 발착 열차가 사용하게 되었다.
급행 [영등포 - 병점]
광역버스 입석금지로 인하여 2014년 8월 25일에 새로 생겼던 급행으로, 정차역은 영등포역 - 안양역 - 수원역 - 병점역이다. 차량은 광명 셔틀에서 운행하던 4량 전동차가 운행한다. 2016년 12월 9일 시간표 개정으로 폐지되었다.

운행 차량[편집 | 원본 편집]

서울교통공사
한국철도공사

특징[편집 | 원본 편집]

종각 - 시청 사이의 급곡선
서울 도시철도 1호선은 개착식 공법으로 건설되었고, 따라서 해당 구간의 곡선을 완만하게 하려면 그 위에 있는 동아일보 사옥을 허물 수밖에 없었다. 결국 그렇게 하지는 못하고, 반지름 140m 짜리 급곡선이 생겨버렸다. 해당 구간은 지금도 25 km/h의 저속통과 구간이며, 철로의 마모 등 유지보수를 집중적으로 하며, 선로에 윤활유를 뿌려주는 장치까지 설치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당 구간 통과시 차륜과 선로사이에서 발생하는 쇳소리는 근본적으로 선형개량이 이뤄지지 않는한 완벽히 없애기는 어렵다.
도시철도 1호선 복복선 계획
1호선 계획 당시에는 종각역 ~ 신설동역 구간을 5호선과 공용할 계획이었다. 하지만 1호선 개통식이 있던 1974년 8월 15일 육영수가 저격당하는 사건이 발생하면서, 당시 서울특별시양택식이 사임하고 후임으로 들어온 구자춘 시장이 기존 계획을 대폭 수정하여 5호선 계획이 백지화되었다.
현재 복복선에 대비해 마련해놓은 공간은 환승통로 등을 다른 목적으로 사용 중이다.
도시철도 1호선의 좁은 승강장
원조 지하철 구간인 지하 서울역~지하 청량리역 구간(일명 종로선)의 승강장 크기가 다른 노선의 지하역들에 비해 상당히 좁다. 게다가 안 그래도 좁은 승강장이 칙칙한 분위기덕에 더 작아 보인다. 몇몇 역은 리모델링하면서 좀 나아졌지만, 여전히 칙칙한 역은 칙칙하다. 근래 개량을 통해 조도가 높은 LED 등을 설치하고 역사 내부 도색을 화사하게 변경했다지만 심도가 낮은 관계로 천장 높이가 상당히 낮아 답답한 느낌이 배가된다. 또한 종로선 건설 당시 기술을 제공한 1970년대 일본의 시공을 받아들였고, 노폭이 좁았던 서울 중심가의 도로 상부를 걷어내고 지하역을 건설한 개착식 공법이 적용된 한계에서 기인한다. 또한 서울의 인구 증가 및 도로 사정의 악화로 지하철 승객 증가 추이를 잘못 예상한데다가, 당시 5호선 계획이 복복선으로 1호선과 나란히 건설될 예정이었으므로 좁은 지하공간에 승강장 공간을 크게 할애 할 수 없었기 때문. 특히 동대문역과 동묘앞역[6]을 비교하면 차이가 확 난다.
직결운행과 절연구간
도시철도는 직류이지만, 직결하는 지상 구간은 모두 교류이기 때문에, 그 사이인 남영 - 지하 서울역, 지하 청량리 - 회기 지점에 절연구간이 있다.
여러 노선을 직결하면서 지연에 취약한데, 지상 구간이 상당히 길어 날씨 때문에 운행에 차질이 있을 때가 많다. 저항제어 차량의 경우 구조상 추위에 약하다보니 고장이 잦기도 하고, 눈이나 비가 오면 점착력이 떨어져 미끄러지는 관계로 운행 지연이 잦을 수밖에 없다. 승객이 몰리는 출퇴근 시간대에는 사실상 서울 도심구간은 열차 정차시간이 준수되기 어려워 지연이 일상화된다. 그나마 여러 노선이 집중적으로 거쳐가는 서울 도심구간은 열차들의 배차가 밀집되므로 지연에 대한 체감이 덜한 편.
잡상인 및 1호선 빌런

물건 파시는 분은 다음 역에서 내려주시기 바랍니다.
예수님 믿으세요 예수님 믿으셔야 천국갑니다.

운행구간이 길다보니 차내에서 물건을 파는 잡상인, 구걸하는 사람이나 특정 종교를 홍보하는 전도자들을 타노선에 비해 흔하게 접할 수 있다. 수도권에서 각양각색의 사람들이 탑승하다보니 이른바 1호선 빌런[7]같은 밈이 인터넷상에서 코믹한 이미지로 떠돌고 있을 지경. 또한 장항선 연장으로 온양온천역 등 관광지를 이용하려는 노인 승객[8]도 많은 편.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서울 도시철도 1호선 이외의 구간의 자세한 연계 노선은 해당 노선 문서를 참고하세요.
  • 서울 도시철도 1호선의 역 목록은 반대로 되어 있습니다. 이는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상·하행이 도시철도 1호선과는 반대이기 때문입니다.

소요산 ~ 회기[편집 | 원본 편집]

  • : 소요산 - 인천 급행 (경원선 구간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노선
번호 km 정거장 환승 소재지
100-3 연천
미운행
연천군
100-2 전곡
100-1 청산
100 0.0 소요산 동두천시
101 2.5 동두천
102 4.1 보산
103 5.5 동두천중앙
104 6.5 지행
105 12.1 덕정 양주시
106 15.0 덕계
107 20.3 양주
108 21.9 녹양 의정부시
109 23.2 가능
110 24.4 의정부
111 26.0 회룡 의정부경전철
112 27.4 망월사
113 29.7 도봉산 7호선 도봉구
114 30.9 도봉
115 32.2 방학
116 33.9 창동 4호선
117 34.9 녹천
118 36.3 월계 동북선 (예정) 노원구
119 37.4 광운대 경춘선 (출퇴근 2왕복)
120 38.5 석계
전역 정차
6호선
121 39.9 신이문 동대문구
122 40.7 외대앞
123 41.5 회기 경의·중앙선, 경춘선
서울 도시철도 1호선 직결운행

청량리 ~ 서울 (서울 도시철도 1호선)[편집 | 원본 편집]

노선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서울 소요산
경원선 직결운행
서울 도시철도 1호선
124 7.8 42.9 청량리
(서울시립대입구)
경원선 (연결) · 중앙선
KTX, 코레일 일반열차,
경의·중앙선, 경춘선, 수인·분당선
동대문구
125 6.8 43.9 제기동 동북선 (예정)
126 5.9 44.8 신설동 2호선 성수지선 (연결)
우이신설선
127 5.2 45.5 동묘앞 6호선 종로구
128 4.6 46.1 동대문 4호선
129 3.8 46.9 종로5가
130 2.9 47.8 종로3가 3호선, 5호선
131 2.1 48.6 종각
132 1.1 49.6 시청 2호선 중구
133 0.0 50.7 서울역 경부선 (연결): KTX, 코레일 일반열차
경의선: 경의·중앙선
4호선, 공항철도
GTX A노선 (예정)
경부선 직결운행

서울 ~ 구로[편집 | 원본 편집]

  • 아래 역들은 모두 서울특별시에 있다.
  • : 용산 - 동인천 특급 (경인선 특급)
  • : 용산 - 동인천 급행 (경인선 급행)
  • : 청량리 - 천안·신창 급행 (경부선 급행)
  • : 서울 - 천안·신창간 급행 (경부선 급행, 평일 운행)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상행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노선
번호 km 정거장 A B 환승 소재지
133 50.7 서울 (지상)
(B급행만 운행)
미운행 상단 참조 용산구
서울 도시철도 1호선 직결운행
134 52.4 남영 미운행
135 53.9 용산 KTX, ITX-청춘, 코레일 일반열차
경의·중앙선
4호선 (신용산역, 환승 할인 없음)
136 56.5 노량진 9호선 동작구
137 58.0 대방 신림선 영등포구
138 58.5 신길 5호선
139 59.8 영등포 KTX, 코레일 일반열차
1호선 광명셔틀
신안산선 (예정)
140 61.3 신도림 2호선 본선 · 신정지선, 1호선 광명셔틀 구로구
141 62.4 구로 1호선 경인선 · 경부선 · 광명셔틀
경인선, 경부선 직결운행

구일 ~ 인천[편집 | 원본 편집]

  • : 용산 - 동인천 특급 (경인선 특급)
  • : 용산 - 동인천 급행 (경인선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노선
번호 km 정거장 환승 소재지
경부선 직결운행
142 63.8 구일 구로구
143 64.8 개봉
144 66.1 오류동
145 68.0 온수 7호선
146 69.3 역곡 부천시
147 70.8 소사 서해선
148 71.9 부천
149 73.6 중동
150 74.6 송내
151 75.8 부개 부평구
152 77.3 부평 인천 1호선
153 79.0 백운
154 80.5 동암
155 81.7 간석 남동구
156 82.9 주안 인천 2호선 미추홀구
157 83.9 도화
158 84.9 제물포
159 86.3 도원 동구
160 87.5 동인천 중구
161 89.4 인천 미운행 수인·분당선

가산디지털단지 ~ 신창[편집 | 원본 편집]

  • : 청량리 - 천안·신창 급행 (경부선 급행)
  • : 서울 - 천안·신창간 급행 (경부선 급행, 평일 운행)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일부 평일 열차 정차, △: 일부 상행 열차 정차, ┃: 통과역
노선
번호 km 정거장 A B 환승 소재지
경부선 직결운행
P142 64.8 가산디지털단지 7호선, 1호선 광명셔틀 금천구
P143 66.8 독산 1호선 광명셔틀
P144 68.0 금천구청 1호선 광명셔틀
P145 70.3 석수 신안산선 (예정) 안양시
P146 72.2 관악
P147 74.6 안양 코레일 일반열차
경강선 (예정)
P148 76.8 명학
P149 78.2 금정 4호선 군포시
P150 80.4 군포
P151 82.0 당정
P152 84.6 의왕 의왕시
P153 87.5 성균관대 수원시
P154 90.1 화서
P155 92.2 수원 KTX, 코레일 일반열차
수인·분당선
P156 95.1 세류
P157 99.4 병점 1호선 서동탄 방면 화성시
병점기지선 직결운행
P158 101.8 세마 오산시
P159 104.5 오산대
P160 107.2 오산 코레일 일반열차
P161 111.2 진위 평택시
P162 115.0 송탄
P163 117.2 서정리 코레일 일반열차
P164 122.2 평택지제 SRT
P165 125.7 평택 코레일 일반열차
P166 135.1 성환 코레일 일반열차 천안시
P167 140.5 직산
P168 144.3 두정
P169 147.3 천안 코레일 일반열차
P170 148.8 봉명
P171 150.3 쌍용(나사렛대)
P172 151.8 아산 KTX, SRT (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
코레일 일반열차 (장항선)
아산시
P173 153.6 탕정
P174 156.7 배방
P176 161.6 온양온천 코레일 일반열차
P177 166.7 신창(순천향대)

병점 ~ 서동탄[편집 | 원본 편집]

번호 km 정거장 환승
경부선 직결운행
P157 99.4 병점 1호선
P157-1 101.6 서동탄 동탄인덕원선 (예정)

광명셔틀[편집 | 원본 편집]

번호 km 정거장 환승
139 59.8 영등포 KTX, 코레일 일반열차
1호선
140 61.3 신도림 1호선, 2호선 본선 · 신정지선
141 62.4 구로 1호선
P142 64.8 가산디지털단지 1호선 경부선, 7호선
P143 66.8 독산 1호선 경부선
P144 68.0 금천구청 1호선 경부선
P144-1 72.7 광명 KTX
신안산선, 경강선 (예정)

각주

  1. 서울특별시고시 제2009-428호
  2. 코레일의 노선별 시간표에는 경인경원선으로 표기되어 있다.
  3. 평일 아침 딱 3회 운행하는 특수 편성이다.
  4. 청량리역이나 광운대역 모두 회차 용량이 1선으로 부족한 탓에 분산을 위해서 떨어트려 놓은 것이다.
  5. 코레일 노선별 시간표에는 광운대 - 서동탄 계통과 묶여 경부장항선으로 표기된다.
  6. 아예 초기 계획상 복복선이 될 예정이었던 5호선 공간까지 다 쓴 케이스.
  7. 박쥐맨부터 황금장군까지… 1호선은 어쩌다 ‘빌런’ 성지 됐나, 조선일보, 2022년 4월 9일
  8. 경로우대 무료승차 제도를 활용하는 분들이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