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O 4217: 두 판 사이의 차이

(중간저장)
편집 요약 없음
19번째 줄: 19번째 줄:
파일:Nokwon509.jpg|link=북한 원|KPW [[북한]] 원
파일:Nokwon509.jpg|link=북한 원|KPW [[북한]] 원
파일:Yen53.jpg|link=일본 엔|JPY [[일본]] 엔
파일:Yen53.jpg|link=일본 엔|JPY [[일본]] 엔
파일:Cny500.jpg|link=중국 위안|CNY [[중국]] 위안
파일:Cny500.jpg|link=중국 위안|CNY [[중국]] 위안<ref>중국에서는 흔히 '인민폐'라 쓰고 '런민비'라 읽는데, 이것의 로마자 약자인 RMB가 ISO코드처럼 둔갑하여 쓰이기도 한다. 몰론 비공식.</ref>
파일:HKD230.jpg|link=홍콩 달러|HKD [[홍콩]] 달러
파일:HKD230.jpg|link=홍콩 달러|HKD [[홍콩]] 달러<ref>비슷한 것으로 CNH가 있는데, 홍콩에서 거래되는 중국 위안화를 가리킨다. 몰론 ISO 비공식이다. 특이점이라면 마카오에는 이런 것이 없다(...)</ref>
파일:Mop103.jpg|link=마카오 파타카|MOP [[마카오]] 파타카
파일:Mop103.jpg|link=마카오 파타카|MOP [[마카오]] 파타카
파일:NTD101.jpg|link=타이완 위안|TWD [[대만]] 위안
파일:NTD101.jpg|link=타이완 위안|TWD [[대만]] 위안<ref>신 타이완 달러(New Taiwan Dollar)를 뜻하는 약자 NTD가 ISO 코드처럼 둔갑되기도 한다.</ref>
파일:Mnt208.jpg|link=몽골 투그릭|MNT [[몽골]] 투그릭
파일:Mnt208.jpg|link=몽골 투그릭|MNT [[몽골]] 투그릭
파일:VND407.jpg|link=베트남 동|VND [[베트남]] 동
파일:VND407.jpg|link=베트남 동|VND [[베트남]] 동
135번째 줄: 135번째 줄:
파일:MWK809.jpg|link=말라위 콰차|MWK [[말라위]] 콰차
파일:MWK809.jpg|link=말라위 콰차|MWK [[말라위]] 콰차
파일:ZMK611.jpg|link=잠비아 콰차|ZMK [[잠비아]] 콰차
파일:ZMK611.jpg|link=잠비아 콰차|ZMK [[잠비아]] 콰차
파일:ZMD503s.jpg|link=짐바브웨 달러|ZWL [[짐바브웨]] 달러
파일:MZN311.jpg|link=모잠비크 메티칼|MZN [[모잠비크]] 메티칼
파일:MZN311.jpg|link=모잠비크 메티칼|MZN [[모잠비크]] 메티칼
파일:MGA201.jpg|link=마다가스카르 아리아리|MGA [[마다가스카르]] 아리아리
파일:MGA201.jpg|link=마다가스카르 아리아리|MGA [[마다가스카르]] 아리아리
146번째 줄: 145번째 줄:
파일:GNF409.jpg|link=기니 프랑|GNF [[기니]] 프랑  
파일:GNF409.jpg|link=기니 프랑|GNF [[기니]] 프랑  
|link=감비아 달라시| [[감비아]] 달라시
|link=감비아 달라시| [[감비아]] 달라시
파일:GHC611.jpg|link=가나 세디|GHC [[가나]] 세디
파일:GHC611.jpg|link=가나 세디|GHS (GHC) [[가나]] 세디
파일:SLL315(3).jpg|link=시에라리온 레온|SLL [[시에라리온]] 레온
파일:SLL315(3).jpg|link=시에라리온 레온|SLL [[시에라리온]] 레온
|link=라이베리아 달러| [[라이베리아]] 달러
|link=라이베리아 달러| [[라이베리아]] 달러
214번째 줄: 213번째 줄:
파일:Vnv20.jpg|link=바누아투 바투|VNV [[바누아투]] 바투
파일:Vnv20.jpg|link=바누아투 바투|VNV [[바누아투]] 바투
파일:Cfp7.jpg|link=폴리네시아 프랑|XPF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프랑
파일:Cfp7.jpg|link=폴리네시아 프랑|XPF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프랑
</gallery>
== 기타 ==
<gallery mode=nolines class="center" widths="266px">
|link=파일:은 원자모형.svg|XAG [[은]]
|link=파일:금 원자모형.svg|XAU [[금]]
|link=|XBA [[]]
|link=|XBB [[]]
|link=|XBC [[]]
|link=|XBD [[]]
|link=|XDR [[특별인출권]] ([[IMF]] 기금)
|link=파일:팔라듐 원자모형.svg|XPD [[팔라듐]]
|link=파일:백금 원자모형.svg|XPT [[플래티넘]]
|link=|XSU [[수크레]], 중남미 공동 통화 (ALBA)
|link=|XTS [[테스트]] 단위
|link=|XUA [[아프리카 개발 은행]] 그룹의 구좌 단위
|link=|XXX [[그런거 없다|'통화 없음' 기호]]
</gallery>
</gallery>


247번째 줄: 263번째 줄:




|link=안도라 페세타|ADP 안도라 페세타 [[]]
|link=안도라 페세타|ADP [[안도라]] 페세타
|link=|XEU 유럽통화단위 [[]]
|link=|XEU 유럽통화단위
|link=|XFU 국제열차연합 프랑화 (UIC Franc) [[]]
|link=|XFU 국제열차연합 프랑화 (UIC Franc)
|link=|ESA 스페인 페세타 A계좌 [[]]
|link=|ESA 스페인 페세타 A구좌
|link=|ESB 스페인 페세타 B계좌 [[]]
|link=|ESB 스페인 페세타 B구좌
|link=|DDM 동독 마르크 [[]]
|link=동독 마르크|DDM [[동독]] 마르크
|link=|MCF [[]]
|link=모나코 프랑|MCF [[모나코]] 프랑
|link=| [[]]
|link=산마리노 리라|SML [[산마리노]] 리라
|link=| [[]]
|link=바티칸 리라|VAL [[바티칸]] 리라
|link=| [[]]
|link=기니 실리|GNE [[기니]] 실리
|link=| [[]]
|link=| [[]]
|link=| [[]]
|link=| [[]]
265번째 줄: 281번째 줄:
=== CFA 이전 ===
=== CFA 이전 ===


== 폐기 코드 ==
== 폐기 통화 코드 ==
* 작성중


=== 통화 포기로 인한 ===
=== 통화 포기로 인한 ===


=== 통화 개혁으로 인한 ===
=== 통화 개혁으로 인한 ===
= 비공식 코드 일람 =
* 이 단락에 표기된 코드들은 모두 ISO에서 인장하지 않은 비공식이다.
== 코드 미존재 통화 ==
<gallery mode=nolines class="center" widths="266px">
|link=올더니 파운드|[[올더니]] 파운드
|link=쿡 달러|[[쿡 섬]] 달러
|link=페로 크로나|[[페로]] 크로나
|link=맨 섬 파운드|IMP [[맨 섬]] 파운드
|link=건지 파운드|GGP [[건지]] 파운드
|link=저지 파운드|JEP [[저지]] 파운드
|link=키리바시 달러|KID [[키리바시]] 달러
|link=몰타 스쿠도|[[몰타]] 스쿠도
|link=서사하라 페세타|[[서사하라]]([[사라위]]) 페세타
|link=소말릴란드 실링|SLS [[소말릴란드]] 실링
|link=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PRB [[트란스니스트리아]] 루블
|link=투발루 달러|TVD [[투발루]] 달러
파일:ZMD503s.jpg|link=짐바브웨 달러|ZWB [[짐바브웨]] 달러
</gallery>
== 암호 통화 ==
<gallery mode=nolines class="center" widths="266px">
|link=비트코인|XNT, BTC 비트코인
|link=비트코인 캐시|XBC 비트코인 캐시
|link=이더리움|ETH 이더리움
</gallery>


{{각주}}
{{각주}}

2019년 6월 6일 (목) 19:09 판

ISO 4217
2008 Codes for the representation of currencies and funds (통화와 기금의 표기법을 위한 코드)

화폐를 기호로 표기하기 위한 국제표준이다. 일반적으로 국가코드 2자리와 통화 이니셜 1자리를 조합한 것을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데, 기존에 쓰이는 기호들과 중복되지 않기 위해서 일부를 조금 비틀어놓은 표기하는 경우도 있다.

ISO 4217코드 자체가 통화의 기호로서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한 번 코드가 정해지면 갈아엎어도 변경할 수 없는 국제기준표기법이다. 따라서 은행 등에서 환전업무를 보면 반드시 이 표기법으로 표기하는 것이 원칙이다. 표기방식은 코드를 앞에, 액면을 뒤에 기입하는데 이는 인위적인 조작(변조)을 막기 위해서이다. 액면 또한 반드시 소수점을 찍고 이하 2~4자리[1]를 무조건 적는데, 이것도 마찬가지로 위변조를 막기 위함이다. 코드와 숫자 사이에는 마찬가지로 위변조를 막기 위해 띄어쓰기를 하지 않는 것이 기본이지만, 전산에서는 가독성 때문에 띄어쓰는 경우도 많다.

예 : 남한 현행권 1,000원 (\1,000) = KRW 1.000,00 (유럽식) / KRW 1,000.00 (미국식)

코드 일람

  • 배치 순서는 한국에서 시작하여 대체적으로 서쪽으로 도는 지리적 위치 순입니다. 특정 키워드 검색은 ctrl+f를 활용하시면 편리합니다.
  • 사진을 클릭하면 해당 통화의 문서로, 하단의 국가명을 클릭하면 해당 국가 문서로 이동합니다.
  • 괄호 안은 개혁 이전에 쓰여진 코드입니다. (수차례 거친 경우엔 복수 표기도 있음.)
  • 일부 국가 누락이 있을 수 있으나 작성오류는 아닙니다.

유라시아 대륙

아시아 동부

아시아 중부

아시아 서부

아시아와 유럽의 경계

유럽

아프리카 대륙

북부 & 동부

남부 & 서부

아메리카 대륙

※ 유의사항 : 이 부분부터 이하는 작성중 문서인 관계로 다소 정리가 덜 되어있고, 실제로는 표기되지 않는 더미가 있기도 합니다. 간혹 내용에 오류가 있기도 합니다. (수정 난입 환영)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오세아니아

기타

폐기된 코드 일람

합병 이전 코드

유로 이전 (Pre-EURO)

유로로 통합되기 이전에 쓰인 통화들을 가리키던 코드이다.

  • 아래는 2002년부로 폐기된 원년멤버 12종이다.
  • 아래는 2007년부터 추가로 가입되기 시작한 통화들이다. (가입순)


|link=안도라 페세타|ADP 안도라 페세타 |link=|XEU 유럽통화단위 |link=|XFU 국제열차연합 프랑화 (UIC Franc) |link=|ESA 스페인 페세타 A구좌 |link=|ESB 스페인 페세타 B구좌 |link=동독 마르크|DDM 동독 마르크 |link=모나코 프랑|MCF 모나코 프랑 |link=산마리노 리라|SML 산마리노 리라 |link=바티칸 리라|VAL 바티칸 리라 |link=기니 실리|GNE 기니 실리 |link=| [[]] |link=| [[]] |link=| [[]] |link=| [[]] |link=| [[]]

CFA 이전

폐기 통화 코드

통화 포기로 인한

통화 개혁으로 인한

비공식 코드 일람

  • 이 단락에 표기된 코드들은 모두 ISO에서 인장하지 않은 비공식이다.

코드 미존재 통화

암호 통화

각주

  1. 3자리를 쓰는 경우는 소액전으로 1/1000단위를 쓰는 일부 국가로 한정된다. 3단위씩 끊어주는 정수자리와 혼동할 수 있기 때문. (예로 5원 40전을 "KRW 5.400"으로 쓰면, 이것이 유럽식 5400인지 미국식 5.4인지 구분하기 어려워진다. 때문에 일부러 4자리를 쓰기도 한다. (5.4000 or 5,4000))
  2. 중국에서는 흔히 '인민폐'라 쓰고 '런민비'라 읽는데, 이것의 로마자 약자인 RMB가 ISO코드처럼 둔갑하여 쓰이기도 한다. 몰론 비공식.
  3. 비슷한 것으로 CNH가 있는데, 홍콩에서 거래되는 중국 위안화를 가리킨다. 몰론 ISO 비공식이다. 특이점이라면 마카오에는 이런 것이 없다(...)
  4. 신 타이완 달러(New Taiwan Dollar)를 뜻하는 약자 NTD가 ISO 코드처럼 둔갑되기도 한다.
  5. 잉글랜드 외에도 파운드 스털링에 속하는 모든 파운드를 가리킴. (해외령 제외)
  6. 단, 유럽연합(EU)과 유로존(Eurozone), 그리고 솅겐조약국가의 범위는 모두 똑같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