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탄 눌탐

부탄 눌탐
འབྲུག་གི་དངུལ་ཀྲམ།
Royal Monetary Authority of Bhutan logo.png
화폐 정보
사용국 부탄
비공식 사용국:
ISO BTN
기호 Nu. (대외 한정)[2]
보조단위
1/100 처탐 (ཕྱེད་ཏམ)[3]
지폐 Nu.1, Nu.2, Nu.5, Nu.10, Nu.20, Nu.50, Nu.100, Nu.500, Nu.1000
동전 Ch.25, Ch.50, Nu.1.
희귀 : Ch.5, Ch.10, Ch.20
중앙은행 부탄 왕립통화국 (འབྲུག་རྒྱལ་གཞུང་དངུལ་ལས་དབང་འཛིན་[4])
환율 16.66원/Nu. (2019.9.14 기준)
고정환율 인도 루피 [1 : 1]
이전 화폐

Bhutanese Ngultrumen (부태니즈 응걸트럼)[5]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눌탐(དངུལ་ཀྲམ)은 부탄통화이다. 종카어로 "은전(銀錢)"이라는 뜻으로, 1974년 첫 등장 이후로 화폐개혁(리디노미네이션)을 단행한 적은 없다.

너의 이름은?[편집 | 원본 편집]

"དངུལ་ཀྲམ"은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명확한 표기법에 적잖은 난항을 겪는 명칭이다. 종카어의 지명도가 낮은 탓에 표기법 기준이 제시되어 있지 않아서 그런 것으로, 한국어판 위키백과에서는 통용표기인 '눌트럼'이라고 쓰다가 '뉘땀'으로 바꿔서 제시하고 있다. 엔하위키 당시 리그베다 위키에서는 초창기에 영어 표기법을 "Ng+ul-"으로 해석하여 '응울트룸'이라 제시한 바가 있었다.

이런 혼란은 영어권을 비롯한 유럽언어권도 마찬가지여서, 대다수는 음성기호 표기인 "ŋýˈʈúm"에 따라 눌탐 혹은 뉼땀/뉘탐 등에 가까운 형태로 읽어주기는 하는데, 영어만 하더라도 "Ngultr-" 부분의 가이드라인 자체가 Ngul+Tr로 읽을지, N+Gul+Tr로 읽을지, Ng+Ul+Tr으로 읽을 지, 어떤 한 쪽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다. (네이버 영어사전에서는 N-Gul-Tr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여담으로 일본어로는 ニュルタム(뉴루타무), 중국어(보통화)로는 努尔特鲁姆(뉘얼터루무)이라 표기하고 있다.

환전 및 사용[편집 | 원본 편집]

인도 루피에 1:1 고정환 값을 가지고 있고, 부탄 내 환전도 미국 달러인도 루피와의 교환만 가능할 정도로 인도에 의존적인 성향의 통화이다. 때문에 부탄에 방문하거나 간접적으로 접하지 않는 이상은 외국인이 만져보기 어려운 통화 중 하나인데, 외국문물을 꺼려하는 폐쇄적 국가라서 해외시장에 그 모습을 드러내는 일이 거의 없는 탓이기도 하다. 그런것과는 별개로 국외유출은 많이 자비로우므로 조금만 뒤져보면 구하는 것 자체는 크게 어렵지 않다.

현지 정책에 따라 달러나 루피를 준비하여 가면 되긴 한다. 다만 인도 루피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기는 하지만, 위폐의 위험성 때문에 100루피를 초과하는 권종은 공식적으로 사용이 불가하다. 이는 환전도 안 된다는 뜻이다.

한국 내 시중은행에서는 취급하지 않으나, 매입추심이 아주 제한적으로 가능은 하다.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3차 (현행권)[편집 | 원본 편집]

2006~2008년에 등장, 2011~13년경 개정 되어 현재에 이른다. 다른 이유 없이 그냥 후계자로 왕위가 계승되면서 동시에 교체된 시리즈. 이전 판과 비교해 도안 자체는 별다른 변경점이 없지만, 많이 부드러워졌다는 인상이 있다.

Druk Yul Dngul Tram 3rd Series
Nu.1 용(龍) Nu.5 봉(鳳) Nu.10 싱예 (4대 국왕) Nu.20 케사르 남기엘 (5대 국왕)
BTN301.jpg BTN303.jpg BTN305.jpg BTN307.jpg
심토카 종 (Simtokha Dzong) 탁상 곰파 (Taktsang Goemba, 탁상사원) 파로 린풍 종 (Paro Rinpung Dzong) 푸나카 종 (Punakha Dzong)
Nu.50 케사르 남기엘 (5대 국왕) Nu.100 싱예 (4대 국왕) Nu.500 우곈 (초대 국왕) Nu.1,000 케사르 남기엘 (5대)
BTN309.jpg BTN311.jpg BTN313.jpg BTN315.jpg
총사(트롱사) 종[6](Trongsa Dzong) 타시초 종 (Tashichho Dzong) 푸나카 종 (Punakha Dzong) 타시초 종[7](Tashichho Dzong)
  • 크기는 1눌탐 120*66(mm)에서 시작하여 가로 → 세로 순으로 5mm씩 증가하다 50눌탐과 100눌탐에서 145*70(mm, 동일크기)로 갑자기 커지더니 이후 2종은 가로만 10mm씩 길어지는 변칙구성이다.
Druk Yul Dngul Tram Commemorative Series
모습 내용 도안
Nu.100

(2011)

남기엘 왕축 국왕 결혼 기념
Nu.100

(2017)

남기엘 게쉐(왕자) 돌 기념

2차[편집 | 원본 편집]

Druk Yul Dngul Tram 2nd Series
모습 앞면 뒷면
Nu.1 심토카 종
Nu.2
Nu.5 파로 린풍 종
Nu.10 지그메 싱예 왕추크

(4대 국왕)

Nu.20 지그메 도르지 왕추크

(3대 국왕)

푸나카 종
Nu.50 통사 종
Nu.100 지그메 싱예 왕추크

(4대 국왕)

타시초 종
Nu.500 우곈 왕추크 푸나카 종
  • 권종별 크기 변화가 다소 들쭉날쭉한데, 개정판을 내놓으면서 판본이 불규칙하게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다만 세로 길이는 그대로인데 1자리 권종은 62mm, 그 외는 70mm이다.
  • 10눌탐과 100눌탐은 당시 국왕의 모습을 담아서 그런지, 개정 시 (왕관을 쓰고 왼쪽을 바라보는) 젊은 모습에서 (정면을 바라보는) 아저씨 모습으로 바뀌었다.

1차[편집 | 원본 편집]

1974년 등장했는데, 이전 부탄 루피(10진법 개혁 이후)와의 교환비도 1:1이다(...) 이쯤되면 굳이 명칭을 바꿔야 할 필요가 있었을까 싶은데 교체이유조차 모른다. 추측하자면 명칭을 자국어식으로 바꾸려 했던 것이 아닐까 싶다. 부탄 자체가 워낙 작은 나라이고, 소리없이 등장해서 짧은 찰나에 소리없이 2차로 교체된 탓에 이 시리즈는 극히 적은 수량만이 남아있다. 최고액권은 100눌탐은 1978년에 등장.

(표)

각주

  1. 아삼 등의 국경지대에서 인도 루피보다 위폐 및 부도(?!) 위험성이 적은 눌탐화를 이용하는 경우가 늘어났다.
  2. 부탄 국내에서는 그냥 숫자로만 쓴다.
  3. Chhertum. 1979년까진 체툼(Chetrum)이라고 읽었었다. 위키백과식 표현은 체트럼.
  4. brug rgyal-gzhung dngul-las dbang-'dzin
  5. 붙여서 읽으면 원어([ŋýˈʈúm])에 더 가까울 수 있는데도 구태여 N과 G를 띄어낸([əŋɡʌ́ltrəm]), 굉장히 이상하고도 특이하게 읽는다.
  6. 부탄 정중앙에 위치한 행정구역인 총사(트롱사)의 종. 부탄 최대 크기이며, 1대 국왕 우게가 주지승으로 있었기에 부탄 왕조의 탄생지로 여겨지고, 부탄의 불교 문화 또한 이곳에서부터 전래되어 확산되었다. 현재도 부탄 국왕들은 이곳에서 즉위식을 갖고 있다.
  7. 수도 팀푸에 있는 건축물로, 한국으로 치면 청와대와 중앙정부청사를 합쳐놓은 역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