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서 취급하는 통화(외환) |
|
---|---|
※ 항목명의 가나다 순 배열. ※ 괄호 안은 현찰환전 수수료(%, 2개 표기시는 살 때/팔 때 값, 시기별 및 은행별로 약간씩 상이함.) |
|
주요 통화 | |
주력 통화 | |
기타 통화 | |
비주류 | |
제한적 | |
비취급 | |
※윗첨자는 해당 은행의 일부 지점에서만 취급함을 의미함 : H(하나은행), K (KB국민은행), S(신한은행), W(우리은행), ※XAU 및 XAG는 상황에 따라 변동이 큼. |
오만 리알 ريال عماني |
|||
---|---|---|---|
화폐 정보 | |||
사용국 | 오만 | ||
ISO |
OMR |
||
기호 | ر.ع. | ||
보조단위 |
|
||
지폐 | 100바이사, R.O.½, R.O.1, R.O.5, R.O.10, R.O.20, R.O.50 | ||
동전 |
5바이사, 10바이사, 25바이사, 50바이사 (유통 중단 : 100바이사, 200바이사, R.O.¼, R.O.½) |
||
중앙은행 | 오만중앙은행 (البنك المركزي العماني) | ||
환율 |
2,844원/ر.ع (2021.01.14 기준) 약 2,400 ~ 3,500원/ر.ع (Range) |
||
고정환율 | USD2.6008/OMR (1973~) | ||
Omani Rial (오마니 리알 Onami, Onani, 오마니)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오만의 리알/리얄 계열 통화. 외국어 표기법의 문제로 리알과 리얄이 혼재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KEB하나은행에서는 얄로 표기하나 위키백과에서는 알로 표기하고 있다. 본 문서는 통용 표기에 따라 '리알'로 기술한다. 단위통화값이 높은 통화 중 하나이다.
환전 및 사용[편집 | 원본 편집]
오만 리알은 2014년 1월부터 외환은행(現, 하나은행)에서 취급하기 시작했다. 중동권 대부분이 그러하듯, 수요는 극히 제한적이어서 일부러 수입해오지는 않고 사고 파는 분량에 의존하여 운영하고 있다. 때문에 거의 취급하지 않는 것에 가깝다.
미국 달러 고정환인데다 나름대로의 중동 산유국 답게 금융 서비스도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이므로, 그냥 달러 들고 현지에 가서 환전해도 별로 어렵지 않으니, 수수료 여부만 잘 확인하여 환전하면 된다.
현찰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하이삼 술탄 시대[편집 | 원본 편집]
동전[편집 | 원본 편집]
2020년 5월 20일부로 100바이사, 200바이사, ¼리알, ½리알 동전의 유통이 정지되었다. 이전 대에서 소액권종을 모두 유통기간이 긴 동전으로 교체하려고 시도를 하였으나, 그리 잘 진행되지 않았던 모양인지, 다시 소액권 지폐로 전환하였다.
지폐[편집 | 원본 편집]
오만 리알 5차 - 하이삼 술탄 : 2021년 시리즈 (건국 50주년) | ||
---|---|---|
저액권(0.1~1ر.ع.) 앞면 : 오만 국장 | 고액권(5~20ر.ع.) 앞면 : 하이삼 빈 타리크 술탄 | 최고액권 50ر.ع. 앞면 : 카부스 빈 사이드 술탄 |
0.1리얄 = 100بيسة | 0.5리얄 = ½ر.ع. | 1ر.ع. |
5ر.ع. | 10ر.ع. | 20ر.ع. |
- 50리알 권종은 건국 50주년 기념권으로 발행되었지만, 유통화로서도 기능한다.
- 2020년 이전에 발행한 모든 지폐는 2025년부로, 중앙은행 교환도 불가능한 완전 폐지로 처리된다.
카부스 술탄 시대[편집 | 원본 편집]
동전[편집 | 원본 편집]
동전은 1970년 5월 7일에 2, 5, 10, 25, 50, 100바이사의 6종으로 첫 발행, 1975년에 국호를 '오만'으로 확정한 뒤부터 '오만'으로 고쳐서 찍어내었다. (단, 2바이사 동전은 사용 부진을 이유로 발행하지 않았다.) 이후 1980년에 ¼리알 및 ½리알화가 추가되었다.
지폐[편집 | 원본 편집]
- 들어가기 앞서, 본문에 언급하는 각 차수별 연도 분류 및 차수별 변화점은 아래와 같다.
전반기 | 후반기 | |||||
---|---|---|---|---|---|---|
중앙은행 설치 전 (선행판) | 1차, 2차 (정식판) | 3차, 3차 2판, 4차 | ||||
1970년판 사이드 리알 |
1973년판 오만 리알 |
1977/1985년판 1차(초판/2판) |
1987/1994년판 2차(초판/2판) |
1995년판 3차 |
2000/2005년판 3차개정(2판) 및 기념권 |
2010/2015년판 4차 및 기념권 |
국가 명의 | 위원회 명의 | 중앙은행 명의[2] | 앞면 국장→국왕[3] | 도안 소재 변경 | 보안요소 강화[4] | 디자인 리뉴얼[5] |
1970년 5월 7일, 선대이자 아버지인 사이드 술탄을 왕좌에서 끌어내린 카부스 빈 사이드(قابوس بن سعيد) 술탄은 8월 9일에 "무스카트 오만 술탄국 (줄여서 '오만 술탄국')"을 건국하고 기존의 걸프 루피를 대신할 통화로서 일단 '사이드 리알'이라는 단위로 처음 발행하였다. 가치는 영국 파운드 패리티(1:1)로 설정하였다.
1972년 11월 18일[6]에 정식으로 "오만 술탄국"을 선포하고 통화위원회(Currency Board)를 결성하여 '오만 리알'을 정식으로 도입하였다. 이때 가치값을 미국 달러 페그(US$2.895/리알)[7]로 변경하였다.
1974년에 중앙은행을 설치하여 역할을 이관하고, 1977년에 본격적으로 중앙은행의 명의를 넣은 지폐를 발행하였다. 이때 새 고액권으로 카부스 술탄 자신의 얼굴을 처음 집어넣은 20리알 및 50리알화를 발행하는데, 당시로선 엄청나게 큰 돈(각각 US$57.90 / US$144.75)[8]이었다. 1986년에 페그 값을 9% 하향 조정(US$2.6008/리알)하였고, 그 값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오만 리알 3차 & 4차 - 카부스 술탄 후기 1995/2000/2005(건국35주년) 및 2010/2015(건국40/45주년) 시리즈 | |||
---|---|---|---|
5ر.ع. 니즈와 / 카부스 술탄 대학 | 10ر.ع. 알 나다 탑 / 알 무트라 요새(무스카트) | 20ر.ع. 술탄 카부스 모스크 / 왕립 무스카트 오페라 하우스 | 50ر.ع. 재정경제부 청사 / 산업자원부 및 내각부 청사 |
2005년 건국 35주년 기념 1ر.ع. ▶ | ◀ 2015년 건국 45주년 기념 1ر.ع. | ||
100بيسة 용수로 / 베로 이글(독수리), 흰 오릭스 | 200بيسة | ½ر.ع. 바흘라 요새 / 알 하짐 성 & 낙칼 성 | 1ر.ع. 카부스 술탄 종합경기장 / 오만 칸자르, 은제 팔찌, 다우선 |
- 1985년에 기존의 ¼리알(250바이사) 지폐를 대신할 200바이사 지폐가 발행되었으나, 어느 순간부터 발행 및 취급이 뜸해지더니 차츰 자취를 감추었다. 이후 쿼터(¼)리알이 동전으로 복각되었다.
- 2019년 7월 1일부로 중앙은행의 결정에 따라 1995/2000년판 구권의 고액면 유통이 중단되었다.
오만 리알 선행판 & 1/2차 - 카부스 술탄 전기 1970/1973선행 및 1977/1985~1987/1989/1992/1993/1994정식 시리즈 | |||
---|---|---|---|
100بيسة (선행) 전통 문양 |
100بيسة (정식) 카부스 항구 (무스카트 주 무트라 시) |
200بيسة (정식) 알 루스타크(ٱلرُّسْتَاق) 요새 |
1ر.ع. 알 소하르(صُحَار) 요새 |
선행~1차 ¼ر.ع. 알 잘랄리(جلالي) 요새 |
2차 ¼ر.ع. 수산업 & 트롤러선(어선) |
선행~1차 ½ر.ع. 알 사마일(سَمَائِل) 요새 |
2차 ½ر.ع. 카부스 술탄대학 |
5ر.ع. 알 니즈와(نِزْوَى) 요새 |
10ر.ع. 알 미라니(ميراني) 요새 |
20ر.ع. (정식) 오만중앙은행 본관 |
50ر.ع. (정식) 알 자브린(جبرين) 요새 |
각주
- ↑ 당시 영국 파운드-루피 환율과 동일한데, 당초 오만 리알(출범 당시는 사이드 리알)을 영국 파운드에 페그시킨 형태로 도입했기 때문이다.
- ↑ 20리얄 및 50리얄에는 이미 국왕 도안이 들어갔는데, 특히 20리얄에 그려진 국왕의 초상은 77년판 20리얄 딱 한 종류에만 쓰였다.
- ↑ 도안 소재에 약간 리뉴얼이 가해진 것도 있다.
- ↑ 고액권 4종에 한하여 개정되고, 저액권은 동전 및 기념통용권으로 대체되었다.
- ↑ 마찬가지로 저액권은 동전으로, 1리알은 기념통용권으로 대체되었다.
- ↑ 카부스 술탄의 생일이기도 하며, 오만의 국경일로 지정되어 있다. 다만 햇수 자체는 1970년부터로 세고 있으며(※예로 2020년에 건국 50주년을 기념했다.), UN 승인일은 1971년 10월 7일이다.
- ↑ 그 당시 파운드-달러 환율값을 반영한 것이다. 참고로 2020년대 기준으로 1.3 정도이며, 미국 달러의 위상이 빠르게 높아졌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영국 : 아아 옛날이여 - ↑ 2020년 물가 수준으로 환산하면 각각 약 230달러 및 580달러에 달한다.
동북아시아 | |
---|---|
동남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남아시아 | |
서아시아 | |
외화사용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