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르크메니스탄 마나트 Türkmen Manady |
|||
---|---|---|---|
화폐 정보 | |||
사용국 | 투르크메니스탄 | ||
ISO |
TMT (현재) TMM (1993~2008) |
||
기호 | T (라틴 대문자), m (라틴 소문자)[1] | ||
보조단위 |
|
||
지폐 |
T1, T5, T10, T20, T50, T100 |
||
동전 | 1텡에, 2텡에, 5텡에, 10텡에, 20텡에, 50텡에, T1, T2 | ||
중앙은행 | 투르크메니스탄 중앙은행 (Türkmenistanyň Merkezi Banky) | ||
환율 |
343원 (2019.09.05 기준) 약 70원 (2019.07 암시장 기준) |
||
이전 화폐
|
튀르크멘 마나티, Turkmenistan Manat
개요[편집 | 원본 편집]
투르크메니스탄에서 사용하는 통화이다. 어원은 동전이라는 뜻의 러시아어, Монеты(모네티)에서 유래했다. 근데 정작 기호는 라틴문자...
나라가 소련에서 분리된 까닭에 소비에트 루블을 대체하기 위한 통화로서 1993년 10월 27일에 첫 등장하였다. 교환비는 1:500, 이후 신 마나트 교환비도 1:5000으로 책정되었다. 왜 굳이 불편하게 5단위로 교체하게 되었는지는 불명.
환전 및 사용[편집 | 원본 편집]
투르크메니스탄은 관광객을 별로 환영하지 않는[4] 몇 안 되는 나라 중 하나로 어지간한 경우가 아니라면 관광비자를 발급하지 않는다. 설령 관광비자를 따냈어도 모 나라처럼 가이드라 쓰고 감시자라 읽는다가 붙어서 직접 먹여주고 재워주며 다녀야 한다(...) 따라서 대부분의 관광객이 쓸데없이 감시자가 붙지 않는 3~5일짜리 통과비자(※ 말 그대로 통과용으로 받는 것이므로 실제로 통과하는 인접 2개국의 비자를 보유하고 신청해야 한다.)를 받고 입국하는데, 여튼 주변 국가에선 환전을 잘 해주지 않고, 입국 후에 국경에서 하든가 수도 아슈하바트의 민간환전소(암환전)에서 환전하면 된다. 환율은 미국 달러를 잘 쳐주고, 여차하면 미국 달러로 거래가 가능한 경우도 있는고로 미국 달러를 챙겨가는 것이 좋다.
이런게 그나마 사정이 많이 나아진 것이고, 한때 니야조프가 살아있었을 때는 외국인에게 마나트화를 취급하지 않았던 성향이 있었다. 때문에 여행객 혹은 외자기업인은 옆에 투르크메니스탄 여권 소지자가 없는 암환전시장에서 20% 웃돈을 더 주고 사야만 했다(...)
3기 마나트, TMT (2009~현재)[편집 | 원본 편집]
니야조프 대통령이 죽고 난 다음인 2009년에 등장한 신권인데 이미 2007년 10월부터 인플레이션 때문에 1:5000 개혁[5]을 감행한다고 예고를 해왔다. 하지만 이 정도로 큰 값의 개혁을 치르면 기존 최고액권이 고작 신 2마나트밖에 안 되는데다가 공식환율도 2마나트/USD (약 500원/T)수준으로 커져 물가에 다소 맞지 않게 되니 근본적으로 니야조프가 그려진 돈을 갈아엎기 위한 의도가 드러나는 시리즈로도 여겨질 수 있다. 적어도 구권은 모조리 하찮은 돈이 되어버리므로.
일단 앞면에 모조리 장식하고 있던 니야조프를 최고액권(약 20만원)으로 멀찍이 밀어놓았고, 나머지에는 투르크메니스탄 지방에서 나고 자란 역사를 그려넣을 것이라고 예보, 그리고 실제로 그런 모습으로 등장하였다. 또한 발행 공지는 했음에도 2019년 현재에 이르기까지 500마나트 권종은 단 한번도 시중에 풀린 적이 없고, 생산되었는지도 모르는 상황인데다 국립은행 홈페이지에서 아예 500마나트의 존재가 삭제되는 등, 아예 없었던 일로 치려는 정황이 포착되고 있다.
2009년 4월 이전엔 T1.04/USD 이었으나, 이후 제한적 시장환율제로 변경하여 T2.85/USD(마나트당 한화 약 370원)로 조정되었고, 2015년 1월부로 T3.50/USD로 재조정하였다. 그러나 사적으로 달러가 매우 고픈 국민들이 불법임을 알면서도 암환전시장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때 환율은 2021년 초 기준으로 달러당 30마나트대 정도로 거래되고 있다.
투르크멘 3기 마나트 / 각 판별 변화 (2009~) | |||
---|---|---|---|
초판 (2009년) | 2판 (2014년) | 3판 (2017년) | 4판 (2020년) |
투르크멘 3기 마나트 시리즈 (2009~) | |||
---|---|---|---|
액면 | 앞면 | 뒷면 | 뒷면(2017)[6] |
T1 | 토으룰 베으 |
국립 문화 센터 |
아슈가바트 국제공항 & 인공위성TürkmenÄlem 52°E / MonacoSAT |
T5 | 아흐메트 산자르 |
독립기념탑() & 중립기념탑()[7] |
벨로드롬 (Welotrek sport binasy) |
T10 | 마으듬굴르 프라으 |
중앙은행 본청사 |
복싱 경기장 (Başa Baş Söweş Sungaty Sport Toplumy) |
T20 | 괴로글리 베으 튀르크멘 |
루흐예트 궁전 |
종합경기장 (Sportuň Oýun Görnüşlöriniň Toplumy) |
T50 | 괴로을르 베으 |
국회의사당 |
육상 종합 신경기장 (Ýeňil Atletika Toplumy) |
T100 | 오구스 칸 투르크멘 |
쾨슈기 대통령궁 |
아슈가바트 올림픽 스타디움 |
(미발행) |
사파르무라트 니야조프 |
큽착 모스크 |
- 동전은 1, 2, 5, 10, 20, 50텡에(teňňe) 소액전 6종과 T1 및 T2의 고액권 2종의 구성이다. 다만 실질적으론, 한 자리수 소액전은 별로 사용하지 않는 모양이다.
- 통용권으로는 2009년 발행 초판본과 2012/2014년 2판본이 있다. 두 판본의 구분법은 오른쪽 하단 숫자가 윤곽선이 있으면 초판본, 없으면 2판본이다. 특히 2014년에 나온[8] 고액권(T50, T100)은 색변조잉크가 쓰여져서 구분하기가 쉽다.
- 2017년 9월 17일(~27일) 제 5회 아시아실내무도경기대회가 투르크메니스탄 아슈하바트에서 개최되는 것을 기념해 T1부터 T100까지 6종으로 구성된 기념권(통용권 성격)을 발행하였다. 기본적인 틀은 재판본 고액권의 스펙과 같은데[9], 뒷면 도안 소재를 경기장의 모습으로 바꾸었다.
2기 마나트, TMM (2005~2008)[편집 | 원본 편집]
2005년에 깜짝 등장한 시리즈로 ISO코드는 변경하지 않았다. 하이퍼인플레로 인해 구권과 1:1000 비율로 교체하였지만 수 년도 버티지 못하고 폐급 통화가 되어버렸다. 실제 평균환율은 신15,000마나트/USD.
Turkmen 2nd Series (2005~2008) | ||
---|---|---|
앞면 공통(T10,000 제외) | T50 말 (아할테케 품종) | T100 중앙은행 본청사 |
T500 보석 및 전통 장신구류 | T1,000 대통령궁 | T5,000 대통령궁 |
- T10,000 권종의 경우 니야조프가 어디에 있냐에 따라 가치가 1,000배나 다르다. 오른쪽에 치우쳐져 있으면 2003년 발행분인 1기 마나트이고, 중앙에 있으면 2005년 발행분인 2기 마나트이기 때문.
T10,000의 변화 | ||
---|---|---|
2기 권종(1기의 1,000배) | 1기 개정판 | 1기 원판(2000) |
1기 마나트, TMM (1993~2004)[편집 | 원본 편집]
Turkmen 1st Series (1993~2004) | ||
---|---|---|
앞면 공통(T1, T5 제외) | T1 | T5 |
T10 | T50 | T100 |
T500 | T1000 | T5000 |
T10000(1996) | T10000(2008) | T10000(2000) |
- 1, 5마나트에는 니야조프의 초상화가 없다.
- 1만 마나트는 총 네 가지 변종(앞면에 국회의사당, 뒷면에 무늬만 그려져 있는 1996년판, 뒷면에 파라 무라트 하지 사원이 있는 1998년판, 뒷면에 대통령궁과 기념탑이 있는 2000년판, 2기 10,000마나트와 유사한 2003년판)이 있다.
- 1993년에 1, 5, 10, 20, 50텐네 주화가 발행되었지만 시중에는 얼마 유통되지도 못하고 사라져버렸다. 당연하지만 등장한지 몇 년 지나지 않아 가치가 폭락했기 때문. 그 다음 나온 동전은 1999년 500, 1,000마나트 주화이다.
각주
- ↑ "m"의 사용량이 조금 더 많다.
- ↑ 텡게(Tenge) 계통의 통화)
- ↑ 2009년에 딱 한 차례 발행 공고만 해놓고, 10년이 지나도록 실제 발행을 하지 않고 있다.
- ↑ 북한과 비슷하게 정치적인 요소일 뿐, 민간인들이 외래인을 환영하지 않는다는 뜻이 아니다.
- ↑ 그러니까 1기 마나트와의 교환비는 1:5,000,000 인 셈.
- ↑ 2017년 9월 17일(~27일) 제 5회 아슈가바트 아시아실내무도경기대회 개최 기념 통용권. 앞면은 좌측에 마크 박힌 것 외에 차이점이 없다.
- ↑ 현지어(투르크멘어)로는 가라쉬시즐리크 비나시 & 비타라플리크 비나시
- ↑ 1마나트도 아주 약간의 변동이 가해져 3판본으로 나왔기는 했다.
- ↑ 기념권이라 그런지, 저액권에도 색변조잉크를 사용했다.
동북아시아 | |
---|---|
동남아시아 | |
중앙아시아 | |
남아시아 | |
서아시아 | |
외화사용국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