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단 디나르

요르단 디나르
دينار أردني 디나르 우르두니윤ar
CBJordanLogos.jpg
화폐 정보
사용국 요르단
비공식 사용국:
ISO JOD
기호 JD (비공식)
보조단위
1/10 디르함
1/100 키르쉬 [q]
1/1000 필스[2]
지폐 JD 1, JD 5, JD 10, JD 20, JD 50
(구권 : JD ½)
동전 5q, 10q, JD ¼, JD ½
(드물게 통용 : ½q, 1q, 2½q, JD 1)
중앙은행 요르단 중앙은행 (البنك المركزي الاردني)
환율 1,680원/JD (2019.12.06 기준)
(범위값 1,400 ~ 1,700)
고정환율 JD 0.709/USD (1995.10.23 ~)
이전 화폐
팔레스타인 파운드 (1:1) (~1950.09.30)

Jordanian Dinar 조데이니언 디나en

소개[편집 | 원본 편집]

요르단의 디나르 계열 통화이다.

특이하게도 보조단위가 무려 세 가지 있는데, 2014년 기준으로 필스 단위는 표기상으로 쓰이지 않으므로[3] 사실상 중국 위안과 함께 둘 뿐인 세 단위를 동시에 사용하는 통화가 되었다. 하지만 2019년 기준으로는 중국에서 펀(分) 단위를 쓰지 않고, 요르단에서도 분수 표현이 불가능하다면 '필스' 단위를 우선적으로 언급하는데다, 디르함(디람) 단위는 거의 사멸 직전이다보니, 유명무실해진 개념에 가깝다.

환전 및 사용[편집 | 원본 편집]

다른 아랍 국가처럼 요르단도 분수 단위를 즐겨 쓰는데, ½단위는 "누우스", ¼단위는 "루비아"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JD ½(=500f, 50q)는 "누우스 디나르"가 되고, JD ¾(=750f, 75q)는 "쌀라싸루비아 디나르"가 된다. 통상적으론 '디나르'라는 단위명을 생략하고 그냥 읽지만, 간혹 영어 약칭인 '제이디'라 붙여서 읽을 때도 있다. (ex : 누우스 제이디 = ½JD) ¼ 단위로 표기가 안 되는 경우에서야 필스(Fils) 단위를 사용한다.

요르단 디나르는 SDR(IMF 특별인출권)을 미국 달러로 표기한 값에 고정된 환율정책을 유지하고 있다.(0.709JD/USD) 용도를 불문하고 공식 절차로 환전을 거치게 되면, 별도로 중앙은행에서 1필스(JD 0.001)씩 추가로 징수하게 되어서, 구매시는 0.708JD/USD, 판매시는 0.710JD/USD가 된다. 이런 구두쇠 같으니

중앙은행권[편집 | 원본 편집]

동전[편집 | 원본 편집]

  • 첫 발행은 1949년으로, 1, 5, 10, 20, 50, 100필스의 6종이 발행되었다.
    • 이후 20필스(1965), 25필스(1968), ¼디나르(1970)가 추가되었다.
    • 1986년에 1필스 동전이 발행 중단되었다.
  • 90년대(1992 ~ 1999)에 이르러서는 ½, 1, 2½, 5, 10키르쉬 및 ¼, ½(2종), 1(2종)디나르까지 총 10종이나 발행되었다.
    • 2000년부터 1, 5, 10키르쉬 및 ½디나르의 4종이 신형으로 교체되어 발행되었다.

3~5차 발행[편집 | 원본 편집]

요르단 디나르 5차 발행분 (2022 ~ 현재) 요르단 디나르 4차 발행분 (2002 ~ 2021)
압둘라 이븐 후세인 2세 50 JD (現 국왕 (2대)) 라가단 왕궁
후세인 빈 탈랄 20 JD (초대국왕) 마스지드 쿱밧 아스사크라(바위의 돔)
탈랄 빈 압둘라 10 JD 탈랄 빈 압둘라 첫 국회의사당 건물
JOD505s.jpg
압둘라 이븐 알 후세인 5 JD 압둘라 이븐 알 후세인 마안 왕궁
페트라양진이 샤리프 후세인 빈 알리 1 JD 샤리프 후세인 빈 알리 아랍 반란 사건 승전 삽화[4]
JOD552.jpg
  • 이 시기 동전은 6번째(2000~)로서 ¼디나르(2004)가 추가로 발행되었다.
요르단 디나르 3차 발행분
½ JD 1 JD 5 JD
10 JD 20 JD 50 JD
앞면 (1992/1993년판) 앞면 (1994년판 이후)[5] 50 JD 앞면[6]
  • 세로 74mm 고정에 가로만 133mm에서 4mm씩 증가하는 형태이다.

1 ~ 2차 발행[편집 | 원본 편집]

  • 2차 발행권의 20디나르화는 색상만 다른 2종류(갈색(구), 청색(신))가 있다.

1차 (1959 ~ 1974)[편집 | 원본 편집]

국가 발행권 (1949)[편집 | 원본 편집]

1952년 개정판에는 지나치게 가치가 크던 50디나르화가 빠졌다.

각주

  1. 이스라엘 세켈과 같이 사용하고 있다.
  2. 로마자 표기는 각각 Dirham, Qirsh (영어/불어로는 피아스트(piastre)), Fils. 여기서 "Fils"는 복수(-s)형태가 아닌 단수형태이다.
  3. 1992년까지 필스만 정식 표기하고 나머지는 비공식화 시킨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4. 1916년, 튀르크(오스만)를 상대로 승리함을 모티프로 함
  5. 94년판부터 국명 및 중앙은행명에 "하셰미테(Hashemite, "하심 가문(家)"을 의미함.)"라는 용어가 추가로 붙는다. 뒷면에도 영문명으로 추가되었다.
  6. 원래는 다른 액면과 동일한 후세인 빈 탈랄(후세인 2세)도안으로 할 예정이었으나, 시제품만 만들어보고는 취소하고, 압둘라 이븐 후세인(압둘라 2세)의 양복 차림으로 변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