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트레일리아연방 Commonwealth of Australia |
|
---|---|
![]() |
|
국가 오스트레일리아여 힘차게 전진하라 |
|
나라 정보 | |
수도 | 캔버라[1] |
공용어 | 영어 |
정부유형 | 입헌군주제, 의원 내각제, 연방제 |
군주 | 찰스 3세 |
연방 총독 | 퀜틴 브라이스 |
연방 총리 | 토니 애벗 |
인구 | 21,260,000 명 |
인구밀도 | 2.6 명/km2 |
면적 | 7,741,220 km2 |
기타 정보 | |
GDP |
PPP: 전체: 6749.7억 달러 1인당: 67,485 달러 |
화폐 | 달러 |
ISO | 036, AU, AUS |
도메인 | .au |
- 영어: Australia/Commonwealth of Australia
소개[편집 | 원본 편집]
濠洲.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에 있는 나라이다.
지리[편집 | 원본 편집]
오스트레일리아 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국가이다. 남동쪽 바다 건너 멀리 뉴질랜드와 마주하고 있다. 굉장히 큰 나라이지만 행정구역은 나름 호쾌하게 구분되어 있다. 최상위로 6개 주(State)와 3개 준주(Territory)가 있고 6개 해외영토를 가지고 있다.
주 (State)[편집 | 원본 편집]
- 웨스턴오스트레일리아주 (서호주. 본토의 서부 거의 반쪽부분)
-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남호주. 본토 중남부 부분)
- 타즈마니아주 (발음상 문제로 태즈메이니아, 타즈메니아 등등으로도 부른다. 남쪽에 똑 떨어진 섬지역)
- 빅토리아주 (본토 동남쪽, 호주의 메인지역 중 하나. 멜버른이 있는 곳)
- 뉴사우스웨일스주 (신남웨일스. 빅토리아 북쪽으로 산호해와 접한 지역. 시드니가 있는 곳)
- 퀸즐랜드주 (본토 동북부 지역)
준주 (Territory)[편집 | 원본 편집]
- 노던 준주 (노던 테리토리 (북준주). 단어를 잘 곱씹어보면 이곳은 이름이 없다.)
- 오스트레일리아 수도 준주 (일명, 캔버라. 캔버라는 도시 이름이고 준주 명칭은 "호주 수도 준주 (Australian Capital Territory)"이다.
무진장 솔직한 이름이다.) - 저비스 베이 준주 (Jervis Bay Territory. 뉴사우스웨일스에 조그맣게 자리한 곳. 수도 캔버라가 바다 접근성을 위해 직접 구매한 곳이다)
해외령[편집 | 원본 편집]
- 크리스마스섬 (애시모어 카르티에에서 조금 더 서쪽의 섬. 자카르타 남쪽)
- 코코스 제도 (킬링(Keeling) 제도. 크리스마스 섬의 서쪽 해상)
- 애시모어 카르티에 제도 (호주 서북부 해상. 티모르 섬 남쪽)
- 코럴 시섬 (산호해섬. 호주 동부 약간 북쪽 해상)
- 노퍽섬 (호주 동부 해상)
- 헤럴드 맥도날드섬 (호주 서남쪽 해상, 남극 북쪽에 있는 섬)
미인가 지역[편집 | 원본 편집]
- 오스트레일리안 남극 준주 (명목상일 뿐이고 실제로는 미인정. 남극조약 참조)
교통[편집 | 원본 편집]
워낙 인구가 적어 교통은 참으로 안습하다. 도로의 경우 포장도로의 비율이 불과 43%에 불과하다. 나머지 57%는 비포장도로이고, 대도시가 아닌 이상 2차선 이상의 도로를 보는 것이 드물다.
철도는 더 안습해서 일부를 제외한 거의 모든 구간이 비전철화 + 단선 구간이 수두룩빽빽하다. 내륙에 위치한 아웃백 비역에는 애초에 사람 살 일이 없으니 도로나 철도 같은 인프라 구경 한번 하는 것 보차 어렵다.
그나마 두드러지게 발전된 수단은 항공이다. 그럴 만도 한 게, 도로나 철도는 기반 시설을 일일이 깔아줘야 하고 어느 정도 수요가 있어야 본전이라도 치지만 영토에 비해 인구가 너무 적은 호주로서는 그 넓은 땅에 일일히 그걸 까느니 차라리 공항 하나 차려놓고 비행기를 날리는 것이 효율적이기 때문. 도시와 도시 간 거리는 멀고 수송량은 철도에 비해 적지만 적은 인구 덕에 항공 산업이 발달 할 수밖에 없는 구조,
문화[편집 | 원본 편집]
스포츠[편집 | 원본 편집]
오스트레일리안 풋볼과 럭비 리그가 호주의 대표적인 인기 스포츠이다. 호주에서 이 스포츠들의 최상위 리그는 각각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리그와 내셔널 럭비 리그이다.[2] 오스트레일리안 풋볼 리그는 18팀 중 10팀이 빅토리아주에 있고, 내셔널 럭비 리그는 17팀 중 10팀이 뉴사우스웨일스주에 있다.
호주 크리켓 국가대표팀은 크리켓 월드컵에서 여섯 번이나 우승한 최다 우승팀이다. ICC 남자 T20 월드컵에서는 2021년에 우승하였다. 자국 T20 리그는 빅 배시 리그이다.
럭비 유니언에서는 럭비 월드컵에서 두 번 우승한 적 있다. 자국(?) 리그는 뉴질랜드, 피지와 함께 치르는 슈퍼 럭비 퍼시픽이다.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은 FIFA 월드컵에서의 최고 성적이 2006년과 2022년의 16강이다. AFC 아시안컵에서 2015년에 홈에서 우승하였다. 자국 리그는 A리그 멘이다.[3]
환경[편집 | 원본 편집]
대부분의 지역이 건조 기후에 속하지만, 대도시는 대체로 온대 기후에 속한다. 여름은 고온다습, 겨울은 한랭건조하다. 북부의 일부 지역은 열대 기후에 속한다.
각주
오스트랄라시아 | |
---|---|
멜라네시아 | |
미크로네시아 | |
폴리네시아 | |
속령 | |
일부승인: 일부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받은 나라. · 비회원국승인: 유엔 비회원국에게만 승인받은 나라. |
G7 | |
---|---|
BRICS | |
MIKTA | |
기타 국가 |
OEEC | |
---|---|
OEC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