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이슈 트래커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
  • 도움말
    개요위키 문법TeX 문법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 토론
  •  
  •  
  •  
  •  
  •  
  •  
  •  
  •  
  •  
  •  
더 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 로그인이 잘 되지 않을 경우 여기에서 로그인해주세요.
편집토론기록
새로 고침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정보

아시아

분류:
  • 아시아

유라시아 대륙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지역. 가리키는 영토가 상당히 넒으며, 엄청난 인구와 다양한 인종이 모여살고 있는데, 이는 아래 후술하지만, 아시아라는 지명 자체가 지극히 유럽 입장에서 '동방'이라는 의미로 만들어진 명칭이기 때문이지, 통째로 동일한 권역으로 취급하는 것은 인문학적(문화권)으로도, 자연지리적으로도 문제가 있다. 그러나 세계통계에서는 여전히 통째로 취급한다. 일단 기후부터 열대부터 한대까지 다양하며, 시간대도 상당히 넓게 차지하고 있다.

이집트를 제외한 4대 문명이 모두 아시아 출신이며, 이처럼 일찍이 대국이 발전한 덕에 유럽처럼 나라들이 옹기종기 모여있다는 느낌은 덜 드는 편이다. 특히 동북아시아권은 중국이 워낙 넘사벽이라...

목차

  • 1 이름의 유래
  • 2 범위
  • 3 기후와 식생
  • 4 각주

1 이름의 유래[편집]

본래 고대 그리스에서 로마에 이르기까지의 시대에서는 아시아는 지금의 터키지역(아나톨리아)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그런데 이게 더 의미가 확대대면서 동쪽에 있는 페르시아쪽을 포함하는 개념으로까지 확대된 것으로 보인다. 지금도 터키의 아나톨리아지역을 소아시아라고 부르기도 한다.

2 범위[편집]

통상 아시아는 문화권과 지리적 위치에 따라서 다음과 같이 구분된다

  • 동아시아
  • 동남아시아
  • 남아시아 (=남부아시아)
  • 서남아시아 (중동과는 유사한 의미이나, 가리키는 범위가 다르다.)
  • 중앙아시아
  • 시베리아 (=북부아시아)

'아시아 대륙 (Asian Continent)'을 가리키는 경우에는 섬나라를 제외하지만, '아시아 (Asian)' 자체를 가리킬 때는 문화권을 고려하여 주변 도서지역까지 포함시킨다. 이때 그 범위(경계선)는 이견이 다소 있으나,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기준이 적용된다.

  • 러시아는 유럽과 아시아로 분리 취급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경계선은 우랄 산맥이다.
    • 일본 홋카이도 동북쪽 쿠릴 열도는 러시아 동부지역(시베리아)을 아시아로 포함시킬 때 포함한다. 포함시킨 경우는 베링해협을 경계로 아시아와 아메리카가 나뉜다. 이때 알류샨 열도 지역의 구분은 러시아령과 미국령의 사이가 경계이다.
    • 러시아를 통째로 유럽으로 취급할 경우, 북한과 중국 및 러시아 3국간의 경계가 되는 두만강 하류유역부터 경계선이 된다.
  • 터키 또한 유럽과 아시아 지역으로 분리 취급하는데, 이스탄불의 보스포루스 해협이 그 경계이다.
  • 유럽과 아시아를 구분하기에 가장 까다로운 지역이 바로 흑해와 우랄 산맥 사이에 끼어있는 카프카스(=캅카스, 코카서스) 지역이다. 그 상세에 대해서는 아래와 같다.
    • 흑해와 카스피 해 사이에 있는 러시아 지역은 명백한 유럽으로, 이란은 명백한 아시아로 구분한다.
    • 조지아, 아르메니아, 아제르바이잔의 자연지리적 구분은 카프카스 산맥의 이북이 유럽, 카프카스 산맥 이남이 아시아로 구분된다. 단, 문화적으로 구분시에는 터키계인 아제르바이잔만 아시아로, 나머지 둘은 유럽에 포함시키는 쪽이다. 그러나 터키가 유럽에 끼려고 하는 마당인지라 간혹 아제르바이잔도 덩달아 유럽에 끼려고도 한다(...)
  • 터키와 그리스 사이에 있는 이오니아 해(키클라데스 제도)에서는 터키령이 아시아, 그리스령이 유럽에 속한다. 키프로스는 지리적으로 레반트 및 소아시아와 매우 가깝지만, 전통적으로 유럽에 들어간다.
  • 아프리카와 아시아의 경계는 홍해이다. 홍해와 지중해 사이로 수에즈 만과 아카바 만으로 나뉘는데, 시나이 반도의 동쪽인 아카바 만을 기준으로, 이스라엘과 이집트의 국경을 경계선으로 한다. 과거에는 수에즈 운하를 경계로 하기도 했지만, 이집트가 통째로 아프리카 국가로 취급되기에 사실상 국경선으로 바뀐 상태이다. 그렇지만 시나이 반도 자체는 고대 이집트와 거의 무관하고, 근대때는 오스만 투르크와 영토전쟁을 벌인적도 있었으며, 현대에도 이집트인보다 베두인족의 비중이 더 크기에, 여전히 반도 전체를 아시아로 간주하여 수에즈 운하를 경계선으로 보기도 한다. 여기도 만만찮게 까다롭다.
  • 예멘령인 소코트라 섬은 아프리카의 뿔과 매우 가깝지만서도 아시아에 속한다. 세이셸 제도부터는 아프리카이다. 하지만 소코트라까지를 아프리카로 구분하는 경우도 있다.
  • 세이셸 제도와 마주보는 몰디브 제도는 아시아이다. 몰디브 남쪽의 디에고 가르시아 섬(영국령 인도양 지역) 까지는 아시아로 간주한다.
  • 자연지리적으로 인도네시아는 (특히 과거에 말루쿠 제도(향료 제도)로 구분하던 지역) 오세아니아에 속하지만, 문화적으로 아시아이기 때문에 아시아로 간주한다. 즉, 오세아니아와 아시아의 경계는 인도네시아의 국경과 거의 일치한다. 단, 파푸아뉴기니(뉴기니 섬 동부)는 오세아니아로, 동티모르(티모르 섬 동부)는 아시아로 간주한다.
    • 인도네시아 인근의 호주령 섬들은 오세아니아에 포함된다.
  • 필리핀은 아시아에 속한다. 필리핀 동부의 섬들 중 필리핀 령이 아닌 곳부터 오세아니아로 간주한다.
  • 일본의 오가사와라 제도만은 예외없이 오세아니아에 속한다. 단, 일본을 통째로 아시아 취급하면 이곳도 아시아로 간주된다.

아시아라는 명칭은 유럽 지역에서 간간히 부정적으로 사용될 때가 있다. 가령 핀란드는 20세기 초까지 아시아로 분류되었다. 또 일부 반러적인 서유럽인들은 21세기까지도 러시아를 유럽으로 취급해주지 않고 있다. 이 지도에서는 아예 러시아 전체를 아시아로 분류한다. 참고로 거기에 조지아랑 아르메니아도 포함되어 있다.

유럽과 아시아에 관련해서 읽어볼 만한 글이 있다.

3 기후와 식생[편집]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4 각주

보기 • 편집
5대양과 6대주
5대양
  • 태평양
  • 대서양 (지중해)
  • 인도양
  • 북극해 (북해)
  • 남극해
6대주
  •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북아메리카
  • 남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남극)

(5대양 주석) '북해(North sea, Nordsee)'는 북극해와 연결되어 있는 하위 해양이나 대개 별도로 분리하여 언급한다. 지중해도 자연지리에선 대서양의 하위에 해당하는 곳이나, 유럽사(史)에서 아주아주 큰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에 별도로 언급하는 편이다. 둘 다 '큰 바다'가 아니기 때문에 '5대양'에 들어가지는 않는다.

(6대주 주석)남극에는 통상적으로 인류가 거주하지 않으니 제외시키나, 남극 대륙을 포함시킬때는 유럽과 아시아를 묶어 유라시아로 분류하거나 북미-남미를 아메리카로 묶은 뒤 포함하기도 한다. 혹은 그냥 깔쌈하게 집어넣고 '7대주'라고 부르기도 하며, 점차 이쪽이 대세가 되어가는 추세이다.
보기 • 편집
아시아의 나라
아시아 | 유럽 | 아프리카 | 아메리카 | 오세아니아 | 남극 | 미승인국
동아시아
  • 대한민국
  • 몽골
  • 북한
  • 일본
  • 중화인민공화국
  • 중화민국일부승인
동남아시아
  • 동티모르
  • 라오스
  • 말레이시아
  • 미얀마
  • 베트남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인도네시아
  • 캄보디아
  • 태국
  • 필리핀
남아시아
  • 네팔
  • 몰디브
  • 부탄
  • 방글라데시
  • 스리랑카
  • 아프가니스탄
  • 이란
  • 인도
  • 파키스탄
서아시아
  • 레바논
  • 바레인
  • 사우디아라비아
  • 시리아
  • 아랍에미리트
  • 아르메니아
  • 아제르바이잔
  • 예멘
  • 오만
  • 요르단
  • 이라크
  • 이스라엘
  • 조지아
  • 카타르
  • 쿠웨이트
  • 키프로스
  • 터키
  • 팔레스타인옵서버
  • 남오세티야일부승인
  • 북키프로스일부승인
  • 아르차흐비회원국승인
  • 압하스일부승인
중앙아시아
  • 우즈베키스탄
  • 카자흐스탄
  • 키르기스스탄
  • 타지키스탄
  • 투르크메니스탄
속령
영국
  • 아크로티리 데켈리아
옵서버: 유엔 총회 옵서버 국가. · 일부승인: 일부 유엔 회원국에게 승인받은 나라. · 비회원국승인: 유엔 비회원국에게만 승인받은 나라.
  • 이 문서는 2020년 1월 5일 (일) 21:05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운영관련 문의 : ops@librewiki.net | 권리침해 문의 : support@librewiki.net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