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Pika/연습: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다른 뜻|서울역 (애니메이션)|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철도역|2016년 상영된 한국 애니메이션}}
{{철도 노선 정보
{{사용자:Pika/대체용 틀
|노선이름 = 경부선
|이름    = 서울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gray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서울역.jpg
|그림    = [[파일:Korail Gyeongbu Line.png|180px]]
|그림크기 =
|그림설명 = 노선도
|그림설명 = 서울역 역사 전면
|나라    = {{나라|대한민국}}
|그림alt  =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광역철도]]<ref>서울~용산, 조치원~대전조차장, 구미~경산</ref>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울 중구|중구]]
|번호    = 302
|번호    = {{역번호/한국|133|수도권|1}} {{역번호/한국|426|수도권|4}} {{역번호/한국|P313|수도권|경의중앙|ls=-0.05}} {{역번호/한국|A01|수도권|공항}}
|구간     = [[서울역|서울]] ~ [[부산역|부산]]
|노선     = [[경부선]] <small>0.0 km</small><br />[[경의선]] <small>0.0 km</small><br />[[서울 지하철 1호선]] <small>0.0 km</small><br />[[서울 지하철 4호선]] <small>19.7 km</small><br />[[인천국제공항선]] <small>0.0 km</small>
|영업거리 = 441.7 km
|관할    = [[한국철도공사]]<br />[[서울교통공사]]<br />[[공항철도 (기업)|공항철도]]
|역수    = 90개
|개업일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 [[1905년]] [[1월 1일]]
|폐지일  =  
|폐지일  =  
|코드     =  
|경유노선 =
|승강장  =  
|궤간     = 1,435 mm ([[표준궤]])
|관련역  =  
|선로    = 6 (서울 ~ [[구로역|구로]])<br />4 (구로 ~ [[두정역|두정]])<br />2 (천안 ~ [[부산역|부산]])
|참고     =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 [[ATS]], [[ATP]]
|차량기지 =  
|비고    =  
|비고    =  
|하위 틀  =
}}
}}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특별시]]의 도심 터미널역. 경부선 계열 열차들의 시종착지이며, 지하철 1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등이 지나는 거대한 터미널역으로, 역사 전면에는 버스 환승 센터가 설치되어 있어 서울 도심의 관문 역할을 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철도]]에서 가장 중요한 노선으로,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 [[서울특별시]]부터 제2의 도시이자 항구 도시, 대표적 물류 관문인 [[부산광역시]]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경부선이라는 명칭은 [[서울특별시|서울]]<ref>서울의 명칭을 따져보면 엄밀히는 [[경성부]]의 영향으로 남은 것이기는 하다.</ref>을 뜻하는 경(京)과 [[부산광역시|부산]]의 부(釜)를 합친 것이다.
 
일제시대의 노선표를 이어받았기 때문에, 과거 공식문서에서는 경부선이 아닌 '''경부본선'''(京釜本線)을 사용했고, '''경부선'''은 본선(경부본선)과 지선을 통칭하는 말이었다. 하지만 2019년부터 공식문서에서도 경부본선이 아닌 경부선을 사용한다.<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단, 철도거리표에서는 구분을 위해 '본선'으로 표기한다.</ref>


== 역사 ==
== 역사 ==
최초의 서울(경성)역은 '새문외'라 불리던 후대의 서대문역으로, 서울방향의 터미널로 인식되었었다. 이 서대문역은 [[경인선]] 및 [[경부선]]의 기점역으로 쓰였으나, [[경의선]]이 용산까지 진입하고 열차 편수가 늘어나면서 공간이 부족한 이유로 새로 역의 확충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후 서대문역은 [[1919년]]에 폐지되었다.
===건설까지의 경위===
'''노선 선정'''
 
경부선의 부설은 1898년 [[일본]]의 강압에 의해 경부철도합동조약을 체결하게 되면서 본격화되었으나, 그 이전부터 일본은 대륙으로의 군사력 투사에 있어 핵심 병참노선으로 이해 투사에 중요한 수단이라 할 수 있는 이 노선의 사전조사를 기 실시하고 있었다.
 
1892년에 수렵을 위장하여 고노 타카노부(河野天瑞)<ref>1857년생. 1925년 몰. 한문 시인 고노 텟토(河野鉄兜)의 아들. 1883년에 공부성 철도국 입국. 토목기사로 구레 진수부 건설공사 등에 관여하였다.</ref>를 필두로 한 측량반이 노선 측량과 답사에 착수하였다. 당시 답사경로는 낙동강 우안{{ㅈ|북향 기준, 남향 기준일 때는 좌안이 된다. 낙동강의 동쪽 하안 지역}}을 따라 삼랑진, 밀양, 대구, 상주, 문의, 청주를 경유하는 240마일의 경로였다고 한다.<ref>{{서적 인용|저자= |제목=한국철도사 |권=제2권 |날짜=1977 |출판사=철도청 |쪽= 9|ISBN= }}</ref>
 
이후 1894년에 [[청일전쟁]]이 발발하면서 한일잠정합동조관에 의해 일본이 강압적으로 철도 부설을 결정하였고, 이에 따라 [[경인선|경인]]과 경부철도의 부설을 위한 절차에 착수한다. 이 해 11월에는 센고쿠 미츠구(仙石貢)<ref>1857년생, 1931년 몰. 철도관료로 1884년 공부성 철도국 입부, 1896년에 퇴직하여 치쿠호 철도, 큐슈철도 사장을 역임. 1914년에 철도원 총재, 이후 철도대신 등을 역임하고, 1929년에 남만주철도 총재 취임.</ref>외 10여명으로 구성된 측량반을 파견하여 부설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답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청주, 영동, 추풍령을 넘어 금산, 인동, 대구, 밀양을 지나 부산에서는 구덕산을 관통하여 부산에 이르는 경로를 계획하였으며, 병행하여 조령, 문경, 상주, 선산을 거치는 루트와 경주, 문경을 통하는 루트를 비교선으로 답사하였다. 이 당시에 지형적으로 내륙산간지를 통과하는데 가장 유리한 지점이었던 추풍령을 종단하는 루트를 발견하였다.
 
경부철도합동조약이 체결되면서 경부철도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경부철도주식회사의 발기위원인 오오에 타쿠(大江卓)<ref>1847년 생, 1921년 몰. 도막운동 참여로 경력을 시작하여, 메이지 이후 가나가와현 부지사까지 역임하다 반란사건에 연루되어 수감. 이후 중의원 역임. 동경주식거래소 대표 역임, 말년에는 사회단체인 제국공도회를 설립.</ref> 는 기사와 함께 대한제국 정부의 협조 하에 99년에 다시 예정선로 답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영등포, 수원을 거쳐, 진위, 둔포, 전의를 거쳐 공주를 경유해 신교<ref>新橋. 설명에 따르면 논산서 10리, 강경서 20리 지점.</ref>에 이르러 [[강경역|강경]]까지의 지선을 계획하고, 다시 동진하여 진산, 금산을 지나 영동을 경유하여 과거 경유선에 합류, 그리고 대구 이후 현풍, 영산, 구포를 경유해 부산진 해안을 따라 부산에 이르는 294마일의 경로를 계획하였다. <ref>상게서, 9-10쪽.</ref>
 
이러한 경로를 택한것은 충남 및 전라남북도의 농업생산물 수송을 유치하는 경제적 이유와 함께, 당시 대한제국 정부가 직접 [[호남선|경목철도]]의 부설을 하기로 결정을 하고 그 사업권을 제3국에 부여하거나 할 경우 병행선이라는 주장을 통해 부설을 봉쇄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 것이었다. 아울러 강경까지의 지선을 통해 당시 금강의 하항인 강경항을 통해 자재의 반입을 꾀하여 공사기간의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을 꾀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종적으로 1900년에 이르러 이들 답사 경과를 종합하여 경부철도의 기사장으로 임명된 가사이 아이지로(笠井愛次郎)<ref>1857년생, 1935년 몰. 토목기사로 일본토목(주)에 입사하여 큐슈철도, 지쿠호 철도, 모지항 축항 등에 종사. 이후 철도학교(현재의 이와쿠라 고교), 철도협회 등을 설립하였다. 1901년에 경부철도 기사장으로 입사하여, 1906년에 퇴사. 이후 도네발전(주) 사장, 조소철도(주) 취제역 등을 역임.</ref> 는 철도의 실측에 착수하였다. 당시 가사이 기사장은 식민 철도가 아닌 중국 등의 대륙을 연결하는 중요 간선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급적 최단거리의 선형을, 구배 역시 최대한 평탄한 100분의 1구배(10‰)를 기준으로 예외적으로 80분의 1 구배(12.5‰)를 적용하게 계획하였다.<ref>상게서, 11-12쪽.</ref>
 
이러한 방침 하에서, 장대터널 건설이 예상되는 구덕산 관통 대신 부산진에서 초량을 경유하여 낙동강을 따라 북상, 청도, 밀양을 경유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평택에서 영동까지는 한때 검토하던 공주, 논산 경유 및 강경지선과 가급적 직선형으로 전의를 경유해 내륙을 가로지르는 방안이 비교되었으나, 최종적으로 대전, 전의를 경유하는 노선으로 1903년에 이르러서 확정되었다.<ref>상게서, 13쪽.</ref>
 
'''[[궤간]] 및 [[레일]]의 결정'''
 
한편으로 당시 경부철도의 궤간은 대한제국 정부의 국내철도규칙에 의해서 4피트 8인치½의 [[표준궤]]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표준궤 부설에 대해서 일본 국내에서는 그 건설비와 운영비가 막대하게 드는 상황에서 경부철도 주식회사의 지본금은 2,500만엔으로 [[협궤]]로 완공하는데도 상당히 버거울거라는 우려 하에 궤간 변경의 주장이 제기되었다. 당시 철도작업국<ref>이후 철도원을 거쳐 철도성이 된다. [[일본국유철도]]의 원류.</ref>은 이미 확보된 자재를 사용할 수 있는 [[미터 궤간]]에 의한 공사를 주장하였고<ref>이는 추정컨대, 당시 이미 [[프랑스]]가 경부철도 및 [[경의선|경의철도]] 부설을 주장하고 있고, 경의선의 경우 대한제국 정부가 [[서북철도국]]을 통해 직접 공사를 추진하면서 재정상 미터궤를 잠정 채용하려는 의도를 보이기도 한지라, 여기에 편승하여 프랑스로부터 자재 도입을 꾀한 것으로 생각된다.</ref>, 한편으로 일본 군부에서는 본토에서 사용중이어서 자재와 [[철도차량|차량]]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케이프 궤간|3피트 6인치 궤간]]을 채용할 것을 주장하였다.<ref>상게서, 15쪽.</ref>
 
또한 철도작업국은 레일의 규격 역시 일본 본토와 동일한 60파운드(미터당 30kg) 레일을, 군부에서는 더 저렴한 50파운드(미터당 25kg) 레일의 채용을 주장하였다.<ref>상게서, 15쪽.</ref> 역시 건설비를 최대한 저렴하게, 그리고 가능한 자재를 조달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제기가 된 것이었다.
 
그러나 가사이 기사장은 대륙 연결 간선으로서의 경부철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표준궤로 부설할 것을 강력히 천명하였고, 궤도 역시 중국에서 채용한 80파운드(미터당 40kg)레일 대신 75파운드(미터당 37kg)의 레일을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는 당시 경부철도 주식회사의 대표였던 [[시부사와 에이치]]의 결정으로 최종적인 건설규격이 되었다.
 
===착공 및 완성===
 
'''경부철도주식회사 설립'''
 
노선 선정이 진행되는 한편으로 1896년부터 한국에 상당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던 관료 자본가들은 경부철도의 부설권을 획득하기 위한 민간회사를 만들고자 주식회사의 설립 특허를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수상 이하 일본 정부 각계에 청원하고 있었다. 이는 일본 국내에서 일종의 애국운동으로 번져서 경제계 유력자 약 150명을 끌어들여 경부철도 주식회사 발기위원회를 발족하였다. 이후 수상 및 정계 원로에 요청하여 1900년 2월에 '한국경부철도속성에 관한 건의안'을 통과시켰으며, 그 해 2월 21일에 '제국신민의 외국에 있어서 철도 부설에 관한 법률안'이 중의원과 귀족원에 의해 통과되었다. 이 법률은 주식회사 성립에 대한 보조금 및 사채모집, 주식회사 설립 등에 대한 각종 특혜를 부여하는 등 경부철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었다. 이후 정부는 특별보조 명령을 내려 정부가 이자지급 보증하는 등의 예산지원까지 붙여지게 되었다.<ref>{{서적 인용|저자= |제목=한국철도100년사 |날짜=1999 |출판사=철도청 |쪽= 69-70|ISBN= }}</ref>
 
이후 자본금 모집은 거국적인 동원이라고 할 만큼 각계각소에 홍보와 참여 요구를 벌였다. 그 결과 전국 각지에서 주주를 포섭할 수 있었으며, 서구 열강으로부터의 차관 내지 자본 참여를 배제할 수 있었다. 이는 경부철도의 건설이 단순한 민간적 사업이 아닌 일본의 국가적 이해관계가 강하게 엮인 국책사업에 가까운 것이었다는 방증이라 할 것이다.
 
'''초기 공사'''
 
이러한 과정을 거쳐 경부철도는 1901년 8월 20일 한강 이남의 [[영등포역|영등포]]에서 북부 기공식을 거행하였으며, 동년 9월 21일에 부산 초량에서 남부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이에 따라 영등포~사근천(군포 남측)간 13마일간, 그리고 초량~[[구포역|구포]]간의 11마일의 공사가 개시되었다.
 
공사는 선로의 연장을 따라 순차적으로 착공되어, 북부선은 명학, 진위<ref>현재의 [[진위역]]이 아닌 과거 존재했던 역으로, 오산과 서정리 사이에 존재했었다. 개업 당초의 역명 목록에는 무배치역으로 존재했으나, 1910년 경 시간표에서는 이미 폐지되었다. 현재 진위역 서북쪽에 위치해 있던 것으로 추정. </ref>에 1903년 말에 이르렀다. 한편으로 금강을 통해 자재를 반입하여 [[부강역|부강]]에서 전의까지 36마일 여의 공사가 1904년 1월까지 진척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지대를 터널로 경유하려던 노선이 대한제국 정부의 반대로 인해 1902년에 [[군포역|군포]]를 경유 사시현으로 우회하는 선형으로 변경되었다.
 
한편 남부는 초량~구포 구간의 11마일 간은 1901년 10월부터 초량으로부터 공사가 순차적으로 진척되어 1903년 말에는 공사 진척이 밀양을 지나 [[남성현역|성현]]에 이르고 있었다. 터널 공사가 다수 존재하여 토목의 준공은 1904년에 이르러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러일전쟁과 속성공사'''
 
경부철도가 건설되는 와중에 러일간의 긴장 강도가 올라가면서 군사수송상의 필요가 상승함에 따라 빠른 공사가 요구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1903년 12월 2일 경부철도 주식회사에 대해 일본정부는 속성명령을 내려서, 해당 철도를 1905년중에 전 구간을 개통할 것을 지시하였다. <ref>상게서. 30쪽.</ref>
 
경부철도로서는 일개 사설회사로서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보고 조직을 개편하여 주요 임원을 관선으로 변경하기로 하고, 회사가 발행하는 채권에 대해 정부의 지불보증을 해 줄 것, 그리고 부설비에 대한 보조를 일본 정부에 건의하였다. 일본정부는 이를 가결하여, "경부철도 속성 보조 및 책임 지출에 대한 자구안"이라는 칙령으로 공포하였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서 정세가 급박해짐에 따라 1904년 연내에 영등포에서 초량에 이르는 전 노선을 개통하도록 명령을 변경하였다.
 
이에 따라, 이미 어느정도 진척이 있던 부산~성현 간의 남부 구간과 영등포~부강 간의 구간 외에 미완성 상태의 성현~부강 간의 121마일 구간의 급속 진행에 착수하였다. 북부에서는 부강에서 영동까지, 남부에서는 성현에서 영동까지의 공사를 진척하여, 1904년 10월에는 남부구간이 준공되었으며, 여기에서 심천까지 6.6마일을 더 북진하였다. 반면 북부 구간은 11월에 이르러서 남은 구간을 준공하였다. 다만 급속 공사를 위해 이들 구간 중 일부에서 규격을 낮추어 구배나 곡선 반경등이 열악한 임시선로를 부설하였다. 특히 대전 이남의 증약, 구복 터널 공사의 지연 때문에 [[스위치백]] 식의 가설선로를, 또한 남부에서는 성현 터널을 대체하여 8단 스위치백의 가설선로를 부설하여 공사를 진행하였다.
 
이들 공사를 진행하는 와중에 러일전쟁이 발발하게 되면서, 철도 건설은 더 한층 긴급수단이 되었다. 이 와중에 공사 진척이 느린 70마일 구간에 대해서 24파운드(미터당 12kg)의 레일을 채용한 임시 협궤철도 안까지 제기가 되어서 긴급발주 형태로 자재를 도입해 반입하였으나, [[제물포 해전]]에서 러시아 군함이 조기에 격침되어 철도부설의 긴급성이 크게 줄어들어서 임시철도는 중단되었다.
 
이후 공사가 진척됨에 따라 열차 운행이 가능한 구간에 대해서는 일반인의 편승 및 화물의 임시영업이 개시되었으며, 1905년 1월 1일자로 전구간 정식 개통을 달성하게 되었다.
 
'''노동 동원과 저항 운동'''
 
한편으로 경부선 및 경의선의 건설은 한반도에서는 유례가 없을 만큼의 대규모 토목공사였고, 그만큼 막대한 노동력이 소요되는 작업이었다. 그만큼 민간에 발생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건설 초기에는 한국계 토건업체가 노동 송출과 부자재의 공급을 하였으며, 영세농민이나 임노동자들의 임금노동 위주로 충원이 되었으며 급여 수준도 초기에는 심하게 열악하지는 않았기에, 중간 착취나 노동강도 문제로 분쟁이 생기는 정도였다. 그러나 러일간 분쟁이 가시화 되어 속성공사가 추진되면서 일본계 토건업체나 심지어 일본군의 철도대대나 공병대까지 투입되는 상황이 되면서 인근 주민을 강제동원하고, 지방관청으로부터 자원을 공출하는 식이 되면서 갈등이 첨예화되었다. 여기에 군표나 수표 지급에 따른 교환 손실, 다단계 하청에 따른 부당 공제, 농번기 강제동원이나 징발, 약탈 등으로 인한 손실등은 고스란히 한국인들의 피해로 이어졌다. 또한 폭행이나 살인까지 벌어져 치안이 지극히 악화되었고, 지방관들 조차 일인들을 통제할 수 없어 오히려 구타를 당하는 지경까지 이르기까지 하였다.<ref>상게서. 147-161.</ref>.
 
이런 불만은 철도 시설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지게 된다. 선로에 바위를 올려놓거나, 시설물을 파괴하는 일이 일어나고, 열차에 돌은 던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이런 파괴행위가 의병운동으로 조직화되어 역을 습격하기에 이르기도 하였다. 또한, 노동 동원에 개입하여 이득을 보던 일본계 건설업자나 지방관이나 아전들이 습격을 당하기도 하였다. 이런 저항 사례 중 특히 잘 알려진 것으로, 1905년 11월 22일에 발생하였던 열차 투석으로  이토 히로부미가 유리파편을 뒤집어써서 경상을 입은 사건이 있다. 이러한 저항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은 한국정부에 치안을 압박하다 못해, 러일전쟁기에는 치안 유지를 위해 군정과 군율을 동원해 폭압적으로 대응하기까지 하였다.<ref>상게서. 162-173</ref>
 
===개통 이후 일제강점기까지===
 
'''국유화와 조직개편'''
 
러일전쟁이 1905년 9월에 강화조약으로 종결되면서 일본은 사실상 한반도에서 지배적인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철도 사업에 대해서도 구태여 주식회사의 형태로 놔둘 이유가 거의 없어지게 되었다. 이미 1902년에 경인철도를 경부철도 주식회사에 합병하여 영등포 이북 구간을 경부철도가 공용하도록 개편해 둔 상태였지만, 한편으로 전쟁중에 임시군용철도통감부에서 건설권을 강탈에 부설을 실시한 [[경의선]] 및 건설중인 [[경원선]]이 별개로 존재하고 있었다. 이를 두고 일본 정부 부처간의 논의 끝에 조선통감부를 설치하고 여기에서 경영케 하도록 하는 방침이 결정되어, 1906년 6월에 경부철도를 정부가 매수하여 국유화 하는 것이 결정되었다.<ref>{{서적 인용|저자=교통부 편 |제목=한국교통60년약사 |날짜=1958 |출판사=교통교양조성회 |쪽= 33|ISBN= }}</ref>
 
이에 따라 동년 7월에 통감부 철도관리국이 설치되어 한국 내에 설치된 경인, 경부, 경의, 경원 각 철도의 통일 경영을 개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전쟁 이후의 경기 냉각으로 경영여건이 극히 악화되었던 바 그 조직을 추곳하고 경비절감을 꾀할 수 밖에 되어 이후 1909년에는 다시 통감부 철도청으로 개칭하여 조직을 축소개편하였고, 이후 다시 일본 본토의 철도원 소관으로 일원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을사늑약 체결로 대한제국이 멸망하고 총독부가 설립되면서, 1년여만에 최종적으로 총독부 철도국이 한국 내의 철도를 총괄하게 되었다.<ref>상게서, 36-38쪽.</ref>
 
'''초창기 개량공사'''
 
국유화 이후 선로상태가 열악한 가설선 수준의 경의철도 개량이 일단락 되면서 경부선의 본격적인 개량이 추진되었다. 다수의 임시 가설구간이 존재하던 철도였기 때문에 급구배와 급곡선을 최대한 축소하려는 공사를 실시하였다. 대표적으로 [[약목역|약목]]~[[김천역|김천]] 사이의 구간은 금오산 남쪽의 산기슭을 터널로 관통하는 선형이었는데, 이를 폐지하고 [[구미역|구미]], [[대신역|대신]]을 경유하는 완경사의 우회선을 새로 건설하기도 하였다.
 
또한 초량까지만 건설된 철도를 남쪽으로 연장하고, 부산항의 축조와 더불어 열차가 직접 부두에 진입할 수 있는 [[인입선]] 공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부산역]]과 구 부산잔교역이 정비되어서 전체 구간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1912년에는 한강교량을 복선화, 1914년에는 [[노량진역|노량진]]과 [[용산역|용산]]의 구내 개량사업을 완료하여 경인선과 공용하는 구간의 용량을 확충하였다.
 
성현터널 주변 역시 1920년에 개량공사에 착수하여 2,323m의 신규 터널을 굴착하고 터널 전후의 경사도도 20퍼밀에서 10퍼밀로 완만하게 바꾸었으며, 이때 [[남성현역]]을 설치하여 1923년 5월부터 운행을 개시하게 되었다. <ref>{{서적 인용|저자=센코카이 |제목=조선교통사 |권=제2권|날짜=2017 |출판사=BG북갤러리 |쪽= 52-57|ISBN= }}</ref>
 
'''복선화'''
 
경부선은 일제 당시 가장 핵심 간선으로서 지속적인 개량과 정거장의 증설, 열차 증강이 이어졌으나. 1930년대에 이르러 근본적인 시설 개량이 필요할 정도가 되었으며 이에 따라 [[경의선]]과 함께 [[복선]]화 및 시설 대개량이 결정되어 1937년부터 착수가 되었다. 당시 일본에서는 신간선의 전신인 [[탄환열차]] 건설계획이 구상되고 있는 상황으로, 이에 호응하여 가급적 구배와 곡선이 최소화된 노선으로의 개량이 꾀해지지만 [[중일전쟁]]의 개전에 따른 물가상승 및 자재난으로 인해서 극적인 개량에는 이르지 못하고, 최소곡선반경 600m, 최대경사는 8퍼밀로 하되 하행선로에 한해 10퍼밀까지 허용하는 기준 하에 복선화 개량이 착수되게 되었다<ref>상게서, 66-68쪽.</ref>.
 
개량공사 이전에 이미 1918년에는 부산~[[부산진역|부산진]]간, 그리고 1919년에 영등포~[[서울역|서울]]간의 복선이 사용 개시되어 있었다. 1937년의 복선화 방침이 확정될 즈음에 1936년부터 이미 일대의 공사가 착착 착수되어서, 1937년에는 부산진~[[삼랑진역|삼랑진]]간 46.3km와 영등포~[[대전역|대전]]간 158.1km의 복선 공사가 착수되었으며, 1940년에는 삼랑진~대전간 234.0km구간이 착수되었다.
 
부산진~삼랑진간은 1940년 4월에 복선운전이 개시되었으며, 삼랑진~대전간은 1943년에 완성구간에 한한 복선운전이, 대전~영등포간은 1939년 6월에 복선운전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당초 1944년에 전구간의 복선운전을 실시하는 방침은 전쟁으로 인한 공사의 급증과 물가, 자재난으로 인해서 그 달성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었다. 특히 1939년에는 철강 등 주요자재의 할당제도가 실시되면서 교량 등의 핵심 시설물 건설을 위한 자재 확보가 어려워서 그 진척이 심각하게 지연되었다. 1944년 7월에 사이판 함락에 따른 전황의 악화에 따라 전쟁 중의 물자 전가수송이 더더욱 중시되게 되면서, [[남만주철도|만철]]이나 조선 내의 [[사철]] 등지에서 레일을 공출하여 복선화 및 [[조차장]] 건설 등에 자재를 충당하는 방침이 결정되었다. 이에 힘입어 1944년 12월에는 복선의 부설이 완료되어, 1945년 2월 25일에 전 구간의 복선 운전이 개시되었다. 다만, 교량 부설이 크게 지연된 낙동강교량과 경의선 청천강교량 및 대령강교량은 단선 운행이 실시되었으나, 최종적으로 1945년 6월 1일에 전 구간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해방 이후===
 
'''해방 직후 상황'''
 
경부선은 핵심 항만인 부산항과 서울을 연결하는 철도로서 해방 직후의 혼란에서 경인선과 함께 가장 우선적으로 복구와 운행 재개가 이루어졌다. 차량과 시설은 전쟁 당시의 육운전가수송으로 인한 혹사와 인력, 자재 부족으로 인한 보수의 미비로 인해 상당히 피폐해져 있었고, 해방 전후에는 석탄 등의 수급마저 멈춰서 사실상 운행중단 상태에 빠져있었다. 상황 하에서 행정을 인수한 미군정은 정상화를 위해 한국인 직원의 협조를 얻기 위해 일본인 직원의 해고 및 귀국을 단행하였고, 이로 생긴 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미군의 철도대대를 1945년 11월부터 각각 서울과 부산에 투입하였다.<ref>{{서적 인용|저자= |제목=한국철도사 |권=제4권 |날짜=1992 |출판사=철도청 |쪽= 76-77|ISBN= }}</ref>
 
해방 이후 탄광시설의 사보타지와 수입 유연탄 확보의 곤란으로 인해 1947년에 이르도록 열차 운행은 상당한 파행을 겪었지만, 이후 점차적으로 운행태세를 회복하기 시작했고 여객과 화물 수송량 역시 계속 증가하였다. 미국이 전시수송용으로 제작하여 유럽 등지에 투입하던 [[소리2형 증기기관차]]를 이시기에 대거 한국에 공여하여 동력차 수급에 기여했지만, 예비부품의 부족과 좌우대립으로 인한 사보타지, 분단 등으로 생긴 석탄, 전력 수급의 장애 등이 겹치면서 해방당시의 상황은 지극히 불안정하였으나, 정부수립 이후 느리게 정상화를 향해가고 있었다.
 
'''[[한국전쟁]]'''
 
이 상황에서 결정타를 입힌 것은 한국전쟁의 발발이었다. 개전 초기에 빠른 전선 후퇴 과정에서 정부는 경부선을 따라 후방으로 철수하였고, 이후 미군의 거부폭격으로 인해 서울 및 용산 일대의 철도시설이 큰 타격을 입었으며, 한강철교, 금강철교, 낙동강철교 등 주요 병참선에 걸치는 경부선의 철교 역시 폭파 처분되었다. 이후 [[인천상륙작전]] 이후 북한군의 철수에 따라 서울을 수복하고 복구작업이 개시되었지만, 1951년 1.4후퇴로 인해 재차 서울에서 철수하였다. 1951년 3월 14일에 이르러서야 재수복이 달성되었으며, 당시 격전과 남북간의 시설 사용거부 조치로 서울지구의 시설은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되었다.
 
===산업화 연간의 발전===
 
'''여객수송의 발전'''
 
1955년 UN군 관할의 군수수송 우선 체제에서 다시 한국정부로 철도 관할이 이관되면서, 경부선을 위시한 각 철도의 복구와 발전이 본격화되었다. 동년 8월 15일에 특급 [[통일호]]가 운행개시하면서 서울~부산간의 7시간대 운전이 개시되었으며, 이는 이후 디젤 견인열차인 [[무궁화호]]가 6시간 30분, 그리고 이후 이보다 빠른 재건호의 투입으로 일제당시의 특급 보다 빠른 6시간 10분대 주파를 달성하게 되었다.
 
이후 산업화 연간의 여객과 화물의 물동량이 급증하면서 경부선의 교통량은 이후 지속 증가추세를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설비의 현대화도 적극 추진되어, 자동폐색장치(ABS)의 도입 및 [[새마을호|관광호]] 운행의 안전확보를 위한 [[ATS]]의 도입도 1960년대에 이루어진다.
 
1974년에는 [[서울 지하철]] 및 경인, [[경원선]]과 연계하여 서울~[[수원역|수원]] 간의 전철화가 개통되어 전동열차의 운행이 개시되었다. 다만 이 당시에는 일반열차들과 [[복선]]을 공유하였기에 배차간격은 40분에 1대 정도에 그치는 수준이었다.


현재의 서울역은 인접한 위치에 있던 남대문역을 확대개편한 것으로, [[1915년]]에 남대문역을 개축하면서 이를 경성역으로 명명하면서 현재의 서울역의 시초가 되었다. 이후 1920년대 대규모의 역 건물을 새로 올리고 [[경의선]]의 신촌 경유 선로를 개통하면서 서대문역, [[용산역]], 남대문역 등 각 역에 분산된 터미널 기능을 집약시켜 서울의 중앙역으로서 경성역을 형성하게 되며, 해방 이후부터는 서울역이 되어 서울의 대표역으로 자리잡았다. 구 역사([[문화역서울 284]])는 [[1925년]]에 만들어졌었으며, 모티브는 흔히 [[암스테르담 중앙역]]이나 [[도쿄역]]으로 알려져있으나 그 두 역보다는 [[루체른역]]과 가깝다.
'''컨테이너 수송과 화물 기능의 집적화'''


해방 이후 서울역은 수도의 중앙역으로서 이용이 집중되어 남부역과 서부역을 별도로 추가하고, 소화물 처리를 집약한 소화물 센터를 서부역 쪽에 별도로 설치하는 등 역무시설을 사방으로 확대하였다. 그러다가 시설의 분산과 용량부족으로 한계에 이르자, 민간투자를 유치하여 1987년에 민자역사를 착공, [[1989년]]에 선상역사를 개업하게 된다. 선상역사를 사용개시하면서 구 서울역사는 선상역사의 동측 정면 출입구로 사용되었다.
경부선 화물의 주종을 이루는 컨테이너 화물의 도입은 1973년에 용산~부산간의 노선으로 최초로 시작되었다. 이후 도로의 발달로 [[유개차]] 수송에 의존하던 일반 잡화들이 쇠퇴하였으나, 컨테이너 수송은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하였다. 이후 화물취급의 효율화를 위하여 남부화물기지(현재의 [[오봉역]]) 및 부산진역의 개량, [[의왕역|부곡역]]의 조차장화 및 [[대전조차장]] 설치가 이루어졌으며, 경부선 각역의 대피선 증설 및 유효장 확대 또한 병행되었다.


이후  [[한국고속철도|KTX]]의 운행을 위해 신 역사를 짓기 시작해, 2003년 말부터 현재의 역사를 사용 개시하게 되었다.
'''혼잡문제의 대두'''


===연혁===
핵심 간선인 경부선 연선은 다수의 인구와 대량의 산업이 집적되어 있었던 만큼 산업화 시기의 높은 경제성장률에 힘입어 그 여객과 화물 수요가 급속히 성장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처리능력의 한계가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다수의 대책이 제안되었으며, 그 중에는 [[경부고속선|경부고속철도]]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경제규모나 재정적 여유가 부족한 상황에서 실제 적극적인 추진은 90년대까지 미루어졌으며, 그 중간 대안으로 전철화와 복복선화가 추진되었다. <ref> {{서적 인용|저자=세종종합기술단 |제목=경부선 서울~부산간 수송력증강기본조사 |날짜=1976 |출판사=삼광문화사 |쪽= 9-12 |ISBN= }}</ref>
* [[1900년]] [[7월 8일]] 영업개시
* [[1905년]] [[3월 24일]] 남대문역으로 개칭
* [[1915년]] [[10월 15일]] 남대문역을 개축하여 경성역으로 명명
* [[1922년]] [[6월 1일]] 구 서울역사 신축 착공
* [[1925년]] [[9월 30일]] 구 서울역사 준공
* [[1925년]] [[10월 15일]] 서울역사 영업개시
* [[1947년]] [[11월 1일]] '''서울역'''으로 개칭
* [[1957년]] [[12월 30일]] 남부역사 신축 준공
* [[1960년]] [[1월 26일]] [[서울역 승객 압사사고]] 발생
* [[1966년]] [[9월 21일]] 서울역 구내 식당을 '서울역 그릴'로 바꿈
* [[1966년]] [[12월 1일]] 서울역 소화물 발송센타 신설 개업
* [[1969년]] [[2월 15일]] 서기관역에서 부이사관역으로 승격
* [[1969년]] [[2월 14일]] 서부역사 준공
* [[1972년]] [[2월 15일]] 서울역 1번 타는 곳에 철도기점 표석(초대) 건식
* [[1974년]] [[5월 10일]] 서부역사 신축공사 착공
* [[1974년]] [[8월 15일]] 수도권전철 개통(지하서울역 영업개시)
* [[1975년]] [[9월 18일]] 서부역사 신축 준공(구 철도청 청사), 본역-서부역간 연결 지하도 개통
* [[1977년]] [[1월 22일]] 서울 서부역 육교 개통
* [[1979년]] [[7월 1일]] 중부역사 신축 준공
* [[1981년]] [[9월 25일]] 서울시 사적 284호로 지정(서울역사)
* [[1982년]] [[9월 25일]] 서울역-수원간 직통열차 최초 운행
* [[1982년]] [[9월 27일]] 서울역 남부 지하집표소 신설로 개집표 분리
* [[1983년]] [[12월 5일]] 서울역 남부광장에 안내센터 개설
* [[1987년]] [[7월 31일]] 민자역사 착공
* [[1988년]] [[9월 12일]] 민자역사 역무시설 사용 개시
* [[1989년]] [[3월 25일]] 민자역사 개관
* [[1994년]] [[8월 5일]] [[교외선]] 증기기관차 열차 운행 개시
* [[1997년]] [[4월 1일]] 철도박물관 서울역관 개관
* [[1999년]] [[9월 15일]] 서울역-지하서울역(1호선 및 4호선) 연결통로 개통
* [[2000년]] [[6월 30일]] 고속철도 공사로 인한 교외선 증기기관차 운행 중지
* [[2003년]] [[11월 28일]] 서울역 신역사 사용 개시
* [[2004년]] [[1월 1일]] 서울역 신역사 준공
* [[2004년]] [[6월 3일]] 롯데마트 서울역점 개점
* [[2007년]] [[7월 1일]] 구 서울역사 문화재청으로 이전(철도공사 자산의 현물감자 처리 후 이전)
* [[2009년]] [[7월 1일]] 수도권 전철 [[경의선]] 개통으로 경의선역사 사용개시
* [[2010년]] [[12월 29일]] [[공항철도]] 서울역까지 개통
* [[2011년]] [[8월 16일]] 공항철도-지하서울역간 환승통로 착공
* [[2015년]] [[3월 28일]] 공항철도 환승통로 사용 개시
* [[2016년]] [[5월 16일]] 서울역 북부 구내 개량공사 착공으로 경의선 등 열차운행 조정
* [[2016년]] [[7월 13일]] 서울역 북부 구내 개량공사 조기 완공
* [[2016년]] [[12월 9일]] [[호남선]] 및 [[전라선]] [[KTX]] 운행 개시
* [[2017년]] [[3월 24일]] 서울역 지상역 전철 환승통로 사용개시
* [[2017년]] [[11월 28일]] [[경의·중앙선]] 승강장 이전 (문화역서울 284) 및 영업개시


== 시설 ==
영등포에서 수원에 이르는 부분 복복선화는 1976년 6월에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포함되어 77년부터 80년까지의 계획으로 추진되었으며, 1981년 12월 23일에 개통되었다. 이를 통해 일반열차와 전동열차가 별개의 선로를 사용하게 되면서 선로용량이 대폭 확충되었으나, 수원역에서 전동열차 회차시의 교차지장이 잔존하여 이 부분이 추후 추가 복복선화가 진행될 때 까지 병목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 지상 ===
{{사용자:Pika/대체용 틀
|이름    = 서울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글자색  = white
|그림    = 서울역2.jpg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구내 전경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서울 중구|중구]] [[한강대로]] 405
|번호    = {{역번호/한국|133|수도권|1}} {{역번호/한국|P313|수도권|경의중앙|ls=-0.05}}
|노선    = [[경부선]] <small>0.0 km</small><br />[[경의선]] <small>0.0 km</small>
|관할    = [[한국철도공사]]
|개업일  = [[1900년]] [[7월 8일]]
|폐지일  =
|코드    = '''AFC''': 1001 (경부지상), 1251 (경의선)<br />'''일반철도''': 001 (발매), 010000 (통계)
|승강장  = 8면 15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2003년]] 말부터 사용한 지상 역사는 [[민자역사]] (한화역사)로, 역사 외관에 유리를 사용해 이른바 코레일의 [[유리궁전]] 스타일의 전형을 보여주고 있다. 지상 승강장은 8면 15선의 구조로, 동쪽 구석의 1, 2번 승강장과 서쪽 구석의 서부 승강장만이 두단식 고상 승강장이며, 나머지 승강장은 통과역형 저상 승강장으로 되어있다. 두단식 고상 승강장은 일부 누리로 열차나 [[수도권 전철 1호선]] 급행 열차 등 고상 대응이 가능한 열차만 투입되며, 일반적으로 많이 쓰이지는 않는다. 반드시까진 아니지만, 가능하면 일반열차의 대부분은 배선상 기관차 등을 돌릴 수 있게 만들어진 3 ~ 6번 승강장을, KTX의 대부분은 단순 섬식인 7 ~ 14번 승강장을 사용하도록 배정하는 경향이 있다. 바로 객실정리 후 하행으로 투입하는 열차도 일부 있으나 서울역에서 시종착하는 열차라 할지라도, 많은 열차들은 행신이나 수색으로 회송 절차를 거친다. 이 때문에 두단식에 가까운 경의선 방향 선형이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었고, 하단에서도 언급하겠지만 이 때문에 개량 공사를 들어갈 정도다.
한편으로 1975년에 경부선 전구간에 걸친 전철화계획이 수립되었다. 이는 특히 1973년 10월 발발한 "욤 키푸르" 제4차 중동전쟁으로 인해 제1차 오일쇼크로 유가가 급등하면서 철도운영에 상당한 위기를 겪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유럽 혼성 차관을 협의하는 과정에서 투입 대비 효율에 대한 의문으로 중단되기도 하였으며<ref>{{뉴스 인용 |성= |이름= |날짜=1974년 11월 28일 |제목=늘려야할 간선수송량 경부선전철화 계획 백지화 따른 과제 |url= |뉴스=매일경제 |출판사= |위치= |확인날짜= }}</ref>, 이후 전철화 계획은 신경부선 등의 고속전철 대안과 경합하면서 추가로 진척되지 못한 채 다음 시대를 기다리게 되었다.


최초에 서울역은 터미널역이었으나, 본래 경의선의 본선이던 [[용산선]] 대신, 신촌을 경유해 서울역으로 들어오는 선로를 신설하고, 경의선으로 하면서 서울역은 통과역이 되었다. 이 때문에, 남쪽으로는 비교적 쭉쭉 뻗어나가는 형태지만, 북쪽으로는 굉장히 비좁은 공간을 사용하고 있으며, 서울역 구내가 끝나는 시점에서 건널목과 함께 급커브 구간을 지나게 된다.
'''고속화와 PP새마을의 등장'''


현재의 역사 구조는 선상역사로, 1층에 승강장이 있고, 2층에 역사 본 대합실이 있는 형태다. KTX 전용 대합실을 계획해 3층에 만들어두었으나, 자동 개찰 폐지 등 여러 가지 사유로 현재는 2층과 3층의 열차 구분이 실질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는다. 다만, 안내상에는 여전히 3층 대합실은 KTX 위주로 표출되기는 한다. 3층 대합실 한켠에는 코레일 멤버십 라운지가 위치한다. 2층 서부역사 출입구 인근에는 [[TMO]]가 위치해 있으며, 2층과 3층 모두 역사와 연결된 롯데 패션 아울렛과 인근 롯데마트로 손쉽게 이동할 수 있다.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고속철도 도입 지연을 만회하기 위한 여객열차의 증속이 추진되었다. 이미 관광호 차량 도입시점에 150km/h 대응이 가능한 객차를 도입하고 있었으나, [[철도 신호|신호]] 및 시설 수준은 이에 미치지 못할 뿐더러, 동력차의 성능 역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합적인 증속을 추진하기 위하여 선로, 차량, 신호, 운전분야에 걸쳐 경부선 속도향상위원회가 1984년 6월 7일 구성되었으며, 차량의 개선 및 궤도 중량화, 시설 기준 개량, 등의 개량과 함께 최고속도 135km/h를 낼 수 있는 [[표준선구]]를 설정하여 최대한의 속달화를 추진하였다.<ref>{{서적 인용|저자= |제목=한국철도차량 100년사 |날짜=1999 |출판사=(사)철도차량기술검정단 |쪽= 1540-1546 |ISBN= }}</ref>


2009년부터는 경의선이 전철화되어, 서울역 본역사에서의 경의선 열차 운행은 중단되었다. 대신 수도권 전철 노선이 운행되기 시작했다. 구내 배선상 별도 통로를 만들기 어려워 전용 단선 고상 승강장을 역사 서편에 건설하고 별도의 역사로 운영하였다. 다만 선로 용량 제약으로 운행 시격이 30분에서 1시간에 이르기는 했다는 점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으며, 별도 역사를 쓰다보니 환승객 불만이 이어지자, 환승 할인혜택을 적용해주었다.
이를 통해 1985년 열차시각 개정을 통해 기존 4시간 40분에 주파하던 새마을호는 4시간 10분의 운전시간을 달성하게 되었다.<ref>"새마을호 서울→부산 30분 단축|여객열차 증설…운행시간 개편". 중앙일보, 1985년 11월 9일 보도.</ref> 물론 이를 위해서 정차역은 이른바 "서대동부"라 불리는, 대전과 동대구만 정차하는 극단적인 속달운전을 실시하는 상황이었으나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속도를 달성하였다.


2016년 5월부터 서울역 구내 개량공사가 진행되면서, 경의선 방면의 열차는 아주 제한적으로만 운행된다. 이는 서울역 북부 구내의 제한속도 문제 뿐만 아니라, 선로 배치상 접근 가능한 선로의 변경 등을 위한 개량이며, 때문에 서울역 경유 화물 열차 일부를 [[교외선]]으로 우회시키며, 서울역 발착 관광 열차 일부를 용산역 발착으로 전환하고, 경의선 전철의 경우 대부분의 편을 운휴하는 등의 조치를 시행하였다. 공사는 2016년 7월 중에 종료되었으며, 열차 감축 등의 조치도 종료되었다.
이후 1987년에는 새마을호의 고급화를 달성하기 위한 전후동력형 새마을호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 차량은 경량화된 동력차(축중 17톤)을  전후에 연결한 [[동차]]형의 차량으로, 고출력에 기반한 고속성능과, 종착역에서의 [[입환]]이 생략되어 그 운용효율이 높아서 상당기간 경부선의 간판열차로 활약하였다.


2016년 12월 9일, [[SRT]]의 개통과 함께 개정된 시각표에 의해, 그간 경부선, 경전선, 동해선 KTX 전용 시/종착역이었던 서울역에서도 호남선, 전라선 KTX가 매일 12왕복 편성되어 운행을 개시했다.
===근래의 발전===


==== 경의·중앙선 ====
'''병점차량기지 신설 및 복복선 구간 연장'''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승강장 번호=문화역서울|승강장 정보='''경의·중앙선''' [[신촌역 (지상)|신촌]] · [[대곡역 (고양)|대곡]] · [[일산역|일산]] · [[문산역|문산]]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경의선]] [[신촌역 (지상)|신촌]]|
}}
}}
지상 서울역 승강장 위에 있다. 그러나 승강장이 연결되어 있지 않아 환승 시 나갔다가 다시 들어가야 한다.


==== KTX · 일반열차 · 1호선 서울역급행 ====
PP새마을의 투입과 여객열차의 증강이 잇따르긴 했지만 90년대의 경부선은 혼잡이 격심하여 주말에는 좌석매진이 일상이었다. 또한, 수원역에서 전동열차의 반복을 위해서 교차지장이 생기는 문제로 전동열차 증강의 어려움은 물론, 안전 문제<ref>과거 수원역의 전철 승강장은 1선 사이에 위치해 있는데다, 표준선구 종점이어서 상당한 고속으로 통과열차가 지나다녔었다. 안전대책으로 통과 열차 접근시에는 경광등과 경보음이 울리는 장치까지 설치되어 있었을 정도.</ref>까지 있어서 그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철도승강장-대형|총너비=47em|구조=
{{철도승강장-대형/좌측-첫칸|너비=7em|세로수=3
|좌측 정보=
}}
{{철도승강장-대형/선로-첫칸|오른쪽칸=있음
}}
{{철도승강장-대형/우측-첫칸|너비=7em|세로수=42
|우측 정보=[[경부선]]<br /> [[남영역|남영]] →
}}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1번<br />2번|승강장 정보=[[수도권 전철 1호선#B급행|'''1호선''' 천안급행]] [[안양역|안양]] · [[수원역|수원]] · [[평택역|평택]] · [[천안역|천안]] 방면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좌측|너비=7em|세로수=24
|좌측 정보=<br />← [[경의선]]<br />[[행신역|행신]]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3번<br />4번|승강장 정보='''[[ITX-새마을]] · [[무궁화호]]'''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대전역|대전]] · [[부산역|부산]] 방면<br />'''[[KTX]]''' [[동대구역|동대구]] · [[부산역|부산]] · [[마산역|마산]] · [[포항역|포항]] 방면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5번<br />6번|승강장 정보='''[[ITX-새마을]] · [[무궁화호]]'''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대전역|대전]] · [[부산역|부산]] 방면<br />'''[[KTX]]''' [[동대구역|동대구]] · [[부산역|부산]] · [[마산역|마산]] · [[포항역|포항]] 방면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7번<br />8번|승강장 정보='''[[ITX-새마을]] · [[무궁화호]]'''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대전역|대전]] · [[부산역|부산]] 방면<br />'''[[KTX]]''' [[동대구역|동대구]] · [[부산역|부산]] · [[마산역|마산]] · [[포항역|포항]] 방면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9번<br />10번|승강장 정보='''[[ITX-새마을]] · [[무궁화호]]'''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대전역|대전]] · [[부산역|부산]] 방면<br />'''[[KTX]]''' [[동대구역|동대구]] · [[부산역|부산]] · [[마산역|마산]] · [[포항역|포항]] 방면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11번<br />12번|승강장 정보='''[[ITX-새마을]] · [[무궁화호]]''' 당역종착<br />'''[[KTX]]''' [[행신역|행신]] 방면 · 당역종착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승강장 번호=13번<br />14번|승강장 정보='''[[KTX]]''' [[평창역|평창]] · [[강릉역|강릉]] 방면 · 당역종착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선로
}}
{{철도승강장-대형/승강장-끝칸|바탕색=gray
|승강장 번호=서부|승강장 정보=(미사용)
}}
}}


전철용 승강장인 1·2번 승강장은 설치만 해두고 개집표는 서울교통공사 서울역에 의존하고 있었다. 하지만 [[2017년]] [[3월 24일]]부로 3·4번 승강장으로 이어지는 환승통로와 개집표기가 설치되어 이름으로만 존재하던 국철 서울역이 실현되었다.<ref>[https://news.mt.co.kr/mtview.php?no=2017032416578281994  서울역-지하철 1,4호선 직통환승통로 신설], 머니투데이, 2017.03.24</ref>
이에 따라 경부선 복복선을 [[천안역|천안]]까지 연장하고, 중간에 병점에 차량기지를 신설하여 전동열차를 대폭 증강, 지속되는 좌석난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1991년에 천안까지의 복복선화 사업에 착수하였으며<ref>{{뉴스 인용 |성= |이름= |날짜=1991년 1월 17일 |제목=수도권전철 천안까지 연장 |url= |뉴스=동아일보 |출판사= |위치= |확인날짜= }}</ref>, 중복투자 논란 및 용지매수 지연 등의 우여곡절을 거치면서<ref>{{뉴스 인용 |성= |이름= |날짜=1994년 5월 2일 |제목=수원~천안 전철건설 중단될듯 |url= |뉴스=동아일보 |출판사= |위치= |확인날짜= }}</ref> 당초 계획된 95년에서 5년여가 지연된 끝에 2003년 4월 30일에는 수도권전철의 병점연장 및 병점차량기지가 이루어져 수원역에서의 교차지장 문제가 해소되었으며, 2005년 1월 20일에는 천안 연장과 상시 [[급행열차]] 운행이 개시되었다.


2017년 11월에 평창동계올림픽에 맞춰 인천국제공항-강릉 간 경강선 KTX운행을 위해 역 구내 배선 변경 및 승강장 이설공사를 했다. 서부에 있는 경의선 시종착 승강장을 동측 구역([[문화역서울 284]])으로 옮겨 [[2017년]] [[11월 28일]] 개장했으며, 문화역서울 오른편에 1번 폴이 서있다. 형태는 기존과 동일한 바로타 구조.
'''전철화'''


=== 지하 ===
경부고속철도가 1992년 기공되어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전구간 동시개통이 아닌 단계별 개통으로 변경되었고 이에 따라 기존선인 경부선을 활용한 운행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장기 보류되었던 수도권전철 구간 외의 구간의 전철화가 결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2004년에 경부선 대전조차장~[[옥천역]]구간, [[신동역]]~[[부산역]]구간의 개량과 전철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병행하여 급곡선구간의 직선화와 건널목 입체화, 터널 및 교량의 개량공사 등도 진행되었다.
{{사용자:Pika/대체용 틀
|이름    = 서울역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서울}}
|글자색  = white
|그림    = 서울역(야간).JPG
|그림크기 =
|그림설명 = 지하철 역 입구 (야간)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서울 중구|중구]] [[세종대로]] 지하2 (1호선)<br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 지하392 (4호선)
|번호    = {{역번호/한국|133|수도권|1}} {{역번호/한국|426|수도권|4}}
|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small>0.0 km</small><br />[[서울 지하철 4호선]] <small>19.7 km</small>
|관할    = [[서울교통공사]]
|개업일  = [[1974년]] [[8월 15일]]
|폐지일  =
|코드    = '''AFC''' : 0150 (1호선), 0426 (4호선)
|승강장  = 1면 2선 (1 · 4호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도시철도의 경우 1974년부터 당시 역명 '''서울역앞역'''으로 운행이 시작되었다. 현재 역명은 '''서울'''이 아니라 '''서울역'''으로, 역이 들어간 표기를 사용하는데 이는 '''서울역''' 앞의 역이란 뜻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때문에 몇몇 동호인들은 서울역역 등으로 부르기는 하지만, 어디까지나 모든 안내에서 역을 붙이는 형태로만 사용할 뿐, "역역"과 같은 중복 표현을 사용하지는 않으므로, 여기서도 단순히 '''서울역'''으로만 표기하도록 한다.
또한 경부선 잔여구간의 전철화 역시 2002년에 착공, 순차적으로 진행되어서 천안~대전조차장 까지의 전철화가 2005년에, 옥천~신동 구간의 전철화가 2006년에 달성되어 [[디젤기관차]]에 의해 운행하던 일반열차들의 전기견인이 개시되었다.<ref>{{뉴스 인용 |성= |이름= |날짜=2006년 12월 10일 |제목=경부선 개통 된지 101년만에 전구간 전철화완료 |url= |뉴스=전력신문 |출판사= |위치= |확인날짜= }}</ref>.


1호선은 서울역 직전에야 지하로 들어가기 때문에 승강장이 비교적 낮은 심도의 지하에 위치하고 있고, 일반적인 건물의 지하 2층 정도 되는 깊이에 승강장이 있다. 이는 당시 1호선과 한국철도공사의 전신인 국철이 직결 운행을 결정하면서, 광역전철과 도시철도의 직통 운행을 개시하는 방식으로 운행이 이루어졌기 때문인데<ref>서울의 양대 터미널역인 서울역과 [[청량리역]]간을 잇는 노선이란 점에서도 유럽의 [[S반]] 등과 비슷한 방식이라고도 볼 수 있을 정도다.</ref>, 서울역 구내 동쪽 구석에서야 지하로 들어가기 때문에 심도가 얕을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반면 이후 지어진 4호선은 처음부터 지하철 구간이었으며, 퇴계로를 따라가기 위해 서울역의 전면이 아닌 약간 남쪽에 치우쳐져 지어졌으며, 1호선보다는 깊은 곳에 승강장이 위치하고 있다. 4호선의 역사 내부 벽은 벽돌 기조를 사용하고 있다.
==연표==
===개통부터 해방까지===
* 1901년 6월 25일 : 경부철도주식회사 설립
* 1901년 8월 22일 : 북부구간(영등포~명학) 기공식
* 1901년 9월 21일 : 남부구간(초량~구포) 기공식
* 1903년 11월 1일 : 경인철도 인수 합병
* 1904년 12월 28일 : 일본정부 경부철도 속성칙령 발표
* 1905년 1월 1일 : 서울~초량 간 전구간 445.6km 영업개시
* 1907년 1월 40일 : 급행열차 융희호 운행
* 1909년 11월 11일 : 부산~초량간 복선운전 개시
* 1916년 11월 1일 : 김천~대구간 개량공사로 구미 경유로 변경
* 1920년 10월 15일 : 초량~부산진간 복선운전 개시
* 1923년 3월 1일 : 성현터널 구간 개량공사 준공
* 1925년 7월 17일 : 을축대홍수로 운행중단
* 1925년 9월 30일 : 경성역(현 서울역 구 역사) 준공
* 1936년 7월 7일 : 부산진~삼랑진간 및 대전~영등포간 복선화 공사 착공
* 1938년 5월 1일 : 영등포역을 남경성역으로 변경
* 1939년 6월 15일 : 대전~영등포간 복선운전 개시
* 1940년 4월 1일 : 부산진~삼랑진간 복선운전 개시
* 1943년 4월 1일 : 남경성역을 영등포역으로 환원
* 1945년 6월 1일 : 경부선 전구간 복선운전 완공
===해방 이후===
* 1946년 11월 13일 : 영등포역 구내 충돌사고
* 1950년 6월 28일 : 한강철교 폭파
* 1950년 6월 30일 : 서울, 용산지구 사용거부 폭격 실시
* 1950년 7월 12일 : 금강철교 폭파
* 1950년 8월 3일 : 왜관~약목간 낙동강철교 폭파
* 1950년 9월 23일 : 경부선 복구 개시
* 1951년 4월 3일 : 한강철교 임시선 개통
* 1951년 4월 18일 : 낙동강철교 가복구 준공
* 1951년 6월 12일 : 한강철교 A선 가복구 준공
* 1951년 7월 15일 : 서울~부산간 직통여객열차(103, 104열차) 운행
* 1952년 4월 30일 : 낙동강철교 본복구공사 준공 개통
* 1952년 6월 30일 : 한강철교 B선 복구
* 1954년 1월 3일 : 경부선 병점~오산간 건널목 사고(789열차와 육군 트럭 충돌. 사망 56명, 부상 78명)
* 1955년 3월 2일 : 부산역 구내 열차화재사고(6열차 객차 발화, 사망 42명, 부상 45명)
* 1955년 6월 1일 : UN군으로부터 철도운영권 인수
* 1955년 8월 15일 : 서울~부산간 특급 통일호 운행
* 1957년 8월 30일 : 특급 통일호 운전시간을 7시간으로 단축
* 1958년 2월 3일 : 영등포역 406열차 객차전복 탈선사고(사망 5명, 부상 30명)
* 1960년 1월 26일 : 서울역 승객 압사사고(사망 31명)
* 1960년 2월 21일 : 특급 무궁화호 운행 개시, 운전시간 6시간 30분 달성
* 1962년 5월 15일 : 특급 재건호 운행 개시, 운전시간 6시간 10분 달성
* 1966년 3월 16일 : 경부선 화물열차 수출호 최초 운행
* 1966년 7월 21일 : 특급 맹호호 운행 개시, 운전시간 5시간 45분 달성
* 1966년 12월 7일 : 영등포~시흥간 장대레일 갱환 설치 완공
* 1967년 8월 31일 : 증기기관차 종운식(서울역)
* 1969년 2월 10일 : 특급 관광호 운행 개시
* 1969년 4월 5일 : 열차자동정지장치([[ATS]]) 설치공사 완료
* 1969년 6월 10일 : [[초특급]] 관광호, 4시간 45분으로 운전시간 단축
* 1970년 11월 25일 : 수도권 전철화 조사 측량 착수
* 1971년 4월 7일 : 전철공사 착공
* 1971년 12월 29일 : 동대구역 역사 신축 준공


양 역 모두 곡선 섬식 승강장이며, [[스크린도어]]가 설치되어 있다. 1호선 역사는 이용 인원에 비해서 상당히 비좁은데다가, 시야가 불량하기 때문에 스크린도어 사고가 몇 번 일어났다.
===수도권전철 개업 이후===
* 1974년 6월 30일 : 수도권전철 공사 완공 및 [[구로역|구로]] 전철역사 준공
* 1974년 8월 15일 : [[서울역|서울]]~[[수원역|수원]] 구간 전철화 개통과 함께 통근형 전동차([[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운행 개시. [[남영역]], [[대방역]], [[가산디지털단지역|가리봉역]], [[관악역]], [[명학역]], [[화서역]] 개업 및 [[증약역]] 폐지. [[지선철도|지선]]인 구로선(구로~가리봉) 개통 (현재의 경부3선으로 추정)<ref>철도청 고시 제37호</ref>
* 1977년 12월 30일 : 부산역 및 용산역 컨테이너 기지 준공
* 1981년 12월 23일 : 경부 영등포~수원간 복복선 개통
* 1984년 8월 31일 : 경부선 서정리~천안간 새마을호 150km/h 주행 시운전 성공
* 1987년 7월 6일 : 전후동력형 새마을호 열차 운행 개시
* 1991년 11월 23일 : 영등포~구로간 3복선 개통
* 2003년 4월 30일 : 경부선 수원 병점간 복복선 개통
* 2005년 1월 20일 : 경부선 병점~천안간 복복선 개통
* 2005년 7월 1일 : 경부선 조치원~대전조차장 간 전철화 개통
* 2006년 12월 8 일 : 경부선 전구간 전철화 개통
* 2006년 12월 15일 : 광명셔틀열차 개통(용산~광명간)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201에서 302로 변경<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ref>


서울역에 1호선 - 4호선 단선 인입선을 만들 계획이 있었으나, [[창동차량사업소]]와 [[경원선]] 인근 쌍용양회 공장을 잇는 화물선을 이어서 4호선 전동차를 반입하기로 결정하면서 이 계획은 백지화되었다. 현재 인입선은 철거된 상태이나, [[안산선]], [[금정역]]을 통해 4호선과 일반철로가 연결되기 때문에 신차 반입에는 문제가 없다.
== 운행 ==
높은 이동 수요 탓에 전 구간에 걸쳐서 여객 · 화물 가릴 것 없이 많은 열차가 운행된다. 여기서는 여객 열차 위주로 서술한다.


2015년 역사 내 모든 화장실을 일괄적으로 리모델링하여 상당히 쾌적해졌다.
대한민국 철도의 특성상, 서울로 들어갈 수 있는 경로가 제한되어 있어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 간을 잇는 열차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등의 열차도 사용한다. 이외에도 [[경전선]] 방면 열차 역시 말단부에서 경부선을 사용하여 운행한다. 때문에 들어오는 계통이 상당히 다양하며, 여기서는 '''경부선 열차'''로 불리는 노선들에 대해서만 기재해둔다.


==== 1호선 ====
=== 고속철도 ===
{{철도승강장|구조=
[[KTX]]는 최초 운행 시부터 경부선 기존선을 활용하고 있다. 서울 ~ 금천구청의 경우 모든 서울·용산을 정차하는 고속열차가 사용하며, 이 외에도 접근성을 위해 기존선 경유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고속선은 [[경부고속선]]을 참조하기 바라며, 기존선 경유 열차는 다음과 같다.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서울 지하철 1호선]] [[시청역 (서울)|시청]]
* '''KTX''' (101~112) : [[서울역|서울]] - (경부고속선 경유) - [[동대구역|동대구]] - [[밀양역|밀양]] - [[구포역|구포]] - [[부산역|부산]] (1일 6~8왕복)
}}
* '''KTX''' (121~128): [[서울역|서울]] - [[영등포역|영등포]] - [[수원역|수원]] - [[대전역|대전]] - (경부고속선 경유) - [[부산역|부산]] (1일 4~6왕복)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 '''1호선''' [[시청역 (서울)|시청]] · [[청량리역|청량리]] · [[소요산역|소요산]] 방면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1호선''' [[구로역|구로]] · [[인천역|인천]] · [[천안역|천안]] 방면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경부선]] [[남영역|남영]]
}}
}}


==== 4호선 ====
또, [[경전선]] KTX는 동대구 ~ 밀양 구간을, [[서대구역|서대구]]에 정차하는 일부 KTX는 신동 ~ 동대구 구간을 사용한다. 자세한 사항은 마찬가지로 KTX 문서를 참조.
{{철도승강장|구조=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서울 지하철 4호선]] [[회현역|회현]]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4호선''' [[동대문역|동대문]] · [[창동역|창동]] · [[당고개역|당고개]] 방면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승강장 정보='''4호선''' [[사당역|사당]] · [[금정역|금정]] · [[안산역|안산]] 방면 |승강장 번호=하행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서울 지하철 4호선]] [[숙대입구역|숙대입구]]
}}
}}


=== 공항철도 ===
=== ITX-새마을 · 새마을호 ===
{{사용자:Pika/대체용 틀
[[ITX-새마을]][[새마을호]]는 '''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현재 경부선 열차는 전부 ITX-새마을로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는 [[장항선]] 열차로만 운행된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동해선]] 구간이다.
|이름    = 서울
* '''ITX-새마을''' (1000): 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역|천안]] - 대전 - [[김천역|김천]] - [[구미역|구미]] - 동대구 - 밀양 - 구포 - 부산 (1일 7왕복)
|원어이름 =
* '''ITX-새마을''' (1020): 서울 - (1000번대와 동일) - 구포 ''- [[부전역|부전]] - [[신해운대역|신해운대]]'' (1일 1왕복, 주말 1왕복 증편)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공항철도}}
|글자색  = white
|그림    = 서울역3.jpg
|그림크기 =
|그림설명 = 서부 공항철도 역사
|그림alt  =
|주소    =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378
|번호    = {{역번호/한국|A01|수도권|공항}}
|노선    = [[인천국제공항선]] <small>0.0 km</small>
|관할    = [[공항철도 (기업)|공항철도]]
|개업일  = 2010년 10월 29일
|폐지일  =
|코드    = '''AFC''': 4201<br />'''일반철도''': C10000 (통계)
|승강장  = 2면 3선
|관련역  =
|참고    =
|비고    =
|하위 틀  =
}}


2010년 들어서는 지하 7층 대심도로 공항철도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서울역 서편에 별도의 지상 역사가 마련되었으며, 장대 에스컬레이터로 승강장과 역사를 이어놓았다. , 도심공항터미널을 설치해 직통 열차의 이용객의 출국 수속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공항철도 역사 지상부분은 철도공사측 역사와 연결되어 있다. 환승통로를 경유하는 경우 지상역사로 가기 위해서는 1호선 지하서울역을 경유하여야 한다.
=== 무궁화호 ===
[[무궁화호]]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로, 현재 운행되는 경부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ITX-새마을 (1000)의 정차역에 더해 더 많은 역을 정차하나 정차역의 패턴은 일정치 않다. 마찬가지로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 '''무궁화호''' (1200, 1300):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역|평택]] - 천안 - [[조치원역|조치원]] -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 [[경산역|경산]] - 밀양 - 구포 - 부산 (1일 27왕복<ref>전구간은 12왕복</ref>)


공항철도 직통열차의 기점으로, 직통열차의 착발 승강장을 별도의 운임구역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맞이방에서 직통열차 전용 개집표구를 이용하거나, 별도의 개집표기를 통과하여야 한다.
=== [[수도권 전철]] ===
{{참고|수도권 전철 1호선}}


{{철도승강장|구조=
최초에 [[수도권 전철]]이 개통할 당시부터 서울과 수원간의 지역 통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역간 거리를 좁혀 역을 신설하여 '''국철'''로써 운행된 것이 경부선에서의 수도권 전철 운행의 시작이었다. 대한민국이 발전하면서 서울과 부산간의 이동 수요가 크게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호남선, 전라선 등의 열차도 이 노선을 쓰는 탓에 서울부터 천안까지의 선로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때문에 1990년대부터 수도권 전철을 천안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2005년부터 해당 구간에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인천국제공항선]] [[공덕역|공덕]]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승강장 번호=2번|승강장 정보='''일반'''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국제공항]] · [[검암역|검암]] · [[계양역|계양]] · [[김포공항역|김포공항]]방면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승강장 정보='''일반 · 직통''' 당역종착 |승강장 번호=1번
}}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인천국제공항선]]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1터미널]]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직통}}
|승강장 번호=3번|승강장 정보='''직통'''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1터미널]] · [[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방면
}}
}}


=== 환승 정보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서울 ~ 천안 ===
* '''K''': 수원 경유 KTX, '''새''': ITX-새마을 및 새마을, '''무''': 무궁화호, '''급''':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급행열차 (청량리~천안·신창)
* [[수도권 전철 1호선]] 일반열차 모든 역에 정차
* '''부''': 경부선, 경전선 계통
* '''호''':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계통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번호
! km
! 정거장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KTX}}; color: white;" | K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ITX-새마을}}; color: white;" | 새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급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0.0
| [[서울역|서울]]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부'''
| style="background: #f9d0ba;" | '''부'''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경의선]] (연결):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공항}} [[인천국제공항선|공항철도]]<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GTXA}} [[GTX A노선]] (예정)''
| rowspan="16" | {{세로|[[서울특별시]]}}
| rowspan="5" | [[용산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 (분기점)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연결)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4
| style="text-align: right;" | 1.7
| [[남영역|남영]]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5
| style="text-align: right;" | 3.2
| [[용산역|용산]]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호'''
| style="background: #f9d0ba;" | '''호'''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용산선]], [[경원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신용산역]], 수도권 전철간 환승 할인 없음)''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4.0
| (분기점)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용산삼각선]] (연결)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6
| style="text-align: right;" | 5.8
| [[노량진역|노량진]]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9}}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동작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7
| style="text-align: right;" | 7.3
| [[대방역|대방]]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림}} [[신림선]]
| rowspan="3" | [[영등포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8
| style="text-align: right;" | 8.1
| [[신길역|신길]]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39
| style="text-align: right;" | 9.1
| [[영등포역|영등포]]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안산}} [[신안산선]] (예정)''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0
| style="text-align: right;" | 10.6
| [[신도림역|신도림]]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본선 · 신정지선]]
| rowspan="3" | [[구로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41
| style="text-align: right;" | 11.7
| [[구로역|구로]]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경인선]] (연결):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직결운행<br />[[구로기지선]] (연결)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3.0
| (분기점)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구로삼각선]] (연결)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2
| style="text-align: right;" | 14.1
| [[가산디지털단지역|가산디지털단지]]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7}}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rowspan="4" | [[금천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3
| style="text-align: right;" | 16.1
| [[독산역|독산]]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4
| style="text-align: right;" | 17.3
| [[금천구청역|금천구청]]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7.7
| (분기점)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시흥연결선]] (연결):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직결운행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5
| style="text-align: right;" | 19.6
| [[석수역|석수]]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안산}} [[신안산선]] (예정)''
| rowspan="23" | {{세로|[[경기도]]}}
| rowspan="4" | [[안양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6
| style="text-align: right;" | 21.5
| [[관악역|관악]]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7
| style="text-align: right;" | 23.9
| [[안양역|안양]]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강}} [[경강선]] (예정)''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8
| style="text-align: right;" | 26.1
| [[명학역|명학]]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49
| style="text-align: right;" | 27.5
| [[금정역|금정]]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과천선]] · [[안산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 rowspan="3" | [[군포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0
| style="text-align: right;" | 29.7
| [[군포역|군포]]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1
| style="text-align: right;" | 31.3
| [[당정역|당정]]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2
| style="text-align: right;" | 33.9
| [[의왕역|의왕]]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남부화물기지선]] (연결)
| [[의왕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3
| style="text-align: right;" | 36.8
| [[성균관대역|성균관대]]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4" | [[수원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4
| style="text-align: right;" | 39.4
| [[화서역|화서]]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5
| style="text-align: right;" | 41.5
| [[수원역|수원]]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분당선]] · [[수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6
| style="text-align: right;" | 44.4
| [[세류역|세류]]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7
| style="text-align: right;" | 48.7
| [[병점역|병점]]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병점기지선]] (연결):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직결운행
| [[화성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8
| style="text-align: right;" | 51.1
| [[세마역|세마]]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3" | [[오산시]]
|-
|-
! colspan="11" | 수도권 전철 환승 정보<ref>1. 출발지나 목적지가 경의·중앙선이라면 개찰구 밖 비운임구역으로 반드시 나가야 한다. 교통카드 사용자만 개찰구에서 개찰구까지 30분 안에 도착하면 환승할인이 되지만 [[수도권 통합 요금제]]의 환승 횟수가 늘어나지 않는 일반적인 지하철 노선끼리의 환승과 다르게 환승 횟수가 1회 더 늘어난다. 1회용 교통카드는 기본요금을 또 지불해서 새로 뽑아야 하고 정기권은 사용 횟수가 1회 더 차감된다.<br />2. 괄호 안의 표기는 엘리베이터 위치이며 해당 위치에 있는 1호선, 4호선, 공항철도의 승강장 엘리베이터가 모두 대합실의 운임구역 안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엘리베이터로 1호선, 4호선, 공항철도 간의 환승을 할 때는 비상게이트를 이용해서 비운임구역으로 반드시 나가야 한다. </ref>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59
| style="text-align: right;" | 53.8
| [[오산대역|오산대]]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
! colspan="3" rowspan="3"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0
! colspan="8" | 목적지
| style="text-align: right;" | 56.5
| [[오산역|오산]]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호선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1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호선
| style="text-align: right;" | 60.5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공항철도
| [[진위역|진위]]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경의·중앙선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7" | [[평택시]]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청량리<br />방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2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구로<br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64.3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당고개<br />방면
| [[송탄역|송탄]]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오이도<br />방면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인천공항<br />방면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문산<br />방면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left;" |  
|-
|-
! rowspan="10" | 출발지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3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호선
| style="text-align: right;" | 66.5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청량리 방면
| [[서정리역|서정리]]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모든 문'''
| style="background: #d0768c;" |
| colspan="3" | 10-4<br />(5-1)
| style="background: #f9d0ba;" | ▲
|7-3<br />(5-1)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평택고속연결선]] (연결) (예정)''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구로 방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4
| '''모든 문'''
| style="text-align: right;" | 71.3
| -
| [[평택지제역|평택지제]]
| colspan="3" | 1-2<br />(7-1)
| style="background: #c7c0df;" | ┃
|4-3<br />(7-1)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left;" | [[수서평택고속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SRT}} [[SRT]]
|-
|-
! rowspan="2"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호선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당고개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71.8
| colspan="2" | 1-1<br />(9-2)
| (분기점)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모든 문'''
| style="background: #d0768c;" |
|3-4<br />(9-2)
| style="background: #f9d0ba;" |
| 1-1<br />(9-2)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left;" | [[평택삼각선]] (연결)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오이도 방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 colspan="2" | 10-4<br />(2-3)
| style="text-align: right;" | 74.7
| '''모든 문'''
| (분기점)
| -
| style="background: #c7c0df;" | ┃
|8-1<br />(2-3)
| style="background: #d0768c;" | ┃
| 10-4<br />(2-3)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평택직결선]] (연결)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공항철도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5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당역 종착
| style="text-align: right;" | 75.0
| colspan="4" | 5-1<br />(4-1)
| [[평택역|평택]]
| -
| style="background: #c7c0df;" | ┃
| 5-1<br />(4-1)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평택선]] (연결)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6
| style="text-align: right;" | 84.4
| [[성환역|성환]]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4" | {{세로|[[충청남도]]}}
| rowspan="4" | [[천안시]]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7
| style="text-align: right;" | 89.8
| [[직산역|직산]]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8
| style="text-align: right;" | 93.6
| [[두정역|두정]]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천안직결선]] (연결):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직결운행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9
| style="text-align: right;" | 96.6
| [[천안역|천안]]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536692; color: white;" | ●
| style="text-align: left;" | [[천안직결선]] · [[장항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경의·중앙선
| style="background-color: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당역 종착
| colspan="5" | 1-1
| -
|}
|}


=== 소정리 ~ 추풍령 ===
* '''K''': 수원 경유 KTX, '''새''': ITX-새마을, '''무''': 무궁화호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번호
! km
! 정거장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KTX}}; color: white;" | K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ITX-새마을}}; color: white;" | 새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07.4
| [[소정리역|소정리]]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colspan="2" rowspan="8" | [[세종특별자치시]]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14.9
| [[전의역|전의]]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22.6
| [[전동역|전동]]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26.1
| [[서창신호장|서창]]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오송선]] (연결)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29.3
| [[조치원역|조치원]]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충북선]] (연결)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34.9
| [[내판역|내판]]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39.8
| [[부강역|부강]]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부강화물선]] (연결)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44.4
| [[매포역|매포]]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51.9
| [[신탄진역|신탄진]]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5" | {{세로|[[대전광역시]]}}
| rowspan="3" | [[대덕구]]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57.5
| [[회덕역|회덕]]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61.6
| [[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경부고속선]], [[호남선]] (연결)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66.3
| [[대전역|대전]]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대전|1}} [[대전 도시철도 1호선|1호선]]<br />[[경부고속선]], [[대전선]] (연결)
| rowspan="2" | [[대전 동구|동구]]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73.6
| [[세천역|세천]]
| rowspan="9" style="background: #eee;" | {{세로|[[경부고속선]] 직결운행}}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82.5
| [[옥천역|옥천]]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8" | {{세로|[[충청북도]]}}
| rowspan="3" | [[옥천군]]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90.8
| [[이원역|이원]]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96.4
| [[지탄역|지탄]]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00.8
| [[심천역|심천]]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5" | [[영동군]]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04.6
| [[각계역|각계]]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11.6
| [[영동역|영동]]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26.2
| [[황간역|황간]]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34.7
| [[추풍령역|추풍령]]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1, 4호선과 공항철도를 잇는 지하통로가 개통되면서 4호선 ~ 공항철도 환승시간이 15분에서 6분으로 줄었지만 여전히 환승하기 위해서 많이 걸어야 한다. 1호선 입장에서 공항철도 환승하는 것을 기준으로 하면 일단 4호선 방향으로 계속 걸어서 온 다음에 오른쪽 방향으로 뚫린 환승통로를 타고 열심히 걸어가면 된다. 계속 깊숙히 들어가는 느낌으로. 환승통로의 맨 끝에는 더 아래의 지하층으로 들어가는 에스컬레이터를 타고 내려가야 한다. 길 자체가 미로 같은데다가 중간중간 꺾이는 곳이 있고, 내려가면서 계속 에스컬레이터를 수시로 타기 때문에 환승통로 자체의 길이는 500미터 정도지만 수직으로 이동하는 거리가 상당하기 때문에 체감하는 환승통로의 길이는 거의 1 km 정도는 될법한 느낌을 받는다.
=== 신암 ~ 부산 ===
 
* '''K''': 구포 경유 KTX, '''새''': ITX-새마을, '''''': 무궁화호
사실 더 심각한 건 1호선 ~ 공항철도인데, 공항철도 수요 중 공항 방문객 같은 경우 수하물을 가지고 있기 마련인데 '''에스컬레이터가 없는 구간'''이 있다는 점이다. 서울역 구내 지하가 복잡하다보니 어쩔 수 없었긴 한데 이 때문에 불만이 계속 제기된 편.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하지만 경의선 서울역은 환승통로마저 없기 때문에 역외 환승 (이른바 ''소프트 환승'')으로 역을 나갔다 들어와야 한다. 원래 동쪽에서 서쪽으로 가로질렀는 데 문화역서울284 부근으로 승강장이 옮겨오면서 이동거리가 대폭 축소되었다.
|-
 
! 번호
== 주변 정보 ==
! km
역의 건너편엔 서울 스퀘어와 남대문 경찰서가 위치해 있다. 서울 스퀘어와 남대문 경찰서 부근은 과거에는 '양동' 이라고 불리우는 집창촌이 있었다고 한다. 경찰서가 엎어지면 코닿을 곳이였으니 더더욱 흠좀무.(...) 도시정비 사업으로 꽤 오래전에 없어지긴 했으나 주변골목 판자촌에서 성매매가 이뤄졌었다. 따라서 밤에 서울역 건너편이나 남대문 가는 방향 골목을 지나다 보면 할머니들이 지나가는 남자를 붙잡으며 "총각 쉬다가" 하면서 호객행위를 하는 모습들을 볼 수 있었다. 물론 이러한 모습은 판자촌들이 모두 철거되어서 2017년 기준으로는 더 이상 볼 수없게 되었다.
! 정거장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KTX}}; color: white;" | K
역 바깥에 위치한 롯데리아 옆 건물(근생빌딩)은 대부업체 들이 들어서 있다. 대부업체들이 한 건물에 쫙 늘어져 있는지라 죽음의 빌딩,절망의 탑, 대출사지 5층석탑 등으로 불리우고 있다.(...)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ITX-새마을}}; color: white;" | 새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역 광장과 지하도 부근에 노숙인들이 있어 밤이 되면 역 바깥 주변은 치안이 좋지 못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이곳은 영등포역과 함께 노숙인이 많은 곳으로 유명하다.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또한 [[서울로7017]]도 근처에 있다.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과거에 역주변에 서울역 [[게임시티]] 1호점 [[오락실]]과 서울역 [[게임시티]] 2호점 [[오락실]][[토탈(오락실 체인)|토탈]] [[오락실]] 서울역점과 서울역 첨단 [[오락실]]이 역근방에 존재하였으나 재정적자나 임대료 상승이나 [[코로나19]]의 대유행과 바다이야기 사태등으로 인하여 하나둘씩 문을 닫게 되었다. (다만 서울역 [[게임시티]]의 경우 바다이야기 사태가 터진 이후에 생긴 [[오락실]]이다.)
| style="text-align: right;" | 240.7
 
| [[신암역|신암]]
=== 버스 ===
| rowspan="12" style="background: #eee;" | {{세로|[[경부고속선]] 직결운행}}
서울역 동쪽 역사 전면에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외에도 서울역 3번 출구, [[숭례문]](옛 [[YTN]] 타워) 등에 정류장을 가지고 있다.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class="wikitable 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width: 100%; font-size: 90%;"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13" | {{세로|[[경상북도]]}}
| rowspan="5" | [[김천시]]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46.2
| [[직지사역|직지사]]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53.8
| [[김천역|김천]]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경북선]] (연결)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63.5
| [[대신역|대신]]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69.2
| [[아포역|아포]]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76.7
| [[구미역|구미]]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2" | [[구미시]]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81.3
| [[사곡역|사곡]]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eee; font-style: italic;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eee; font-style: italic; text-align: right;" | -
| style="background: #eee; font-style: italic;" | [[북삼역|북삼]]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eee; font-style: italic; text-align: left;" | (미개통)
| rowspan="6" | [[칠곡군]]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89.5
| [[약목역|약목]]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296.0
| [[왜관역|왜관]]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302.2
| [[연화역|연화]]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305.9
| [[신동역|신동]]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신동화물선]] (연결)
|-
|-
! colspan="3" | 주변 버스 승강장 정보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308.2
| 연결선 (분기)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대구북연결선]] (연결)
|-
|-
! 승강장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colspan="2" | 행선지
| style="text-align: right;" | 313.3
| [[지천역|지천]]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6" | {{세로|[[대구광역시]]}}
| rowspan="2" | [[대구 서구|서구]]
|-
|-
! colspan="3"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승강장 '''(02-003 ~ 02-007)'''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318.9
| [[서대구역|서대구]]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 1 · 2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colspan="2" | ''택시 승강장''
| style="text-align: right;" | 323.1
| [[대구역|대구]]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대구|1}}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대구 북구|북구]]
|-
|-
! 3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width: 16em;" | 용산 · 마포 · 공덕 · 인천공항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326.3
| 서울 지선버스 {{버스 노선번호|서울||1711|{{버스 노선색|서울|지선}}}}, {{버스 노선번호|서울||7016|{{버스 노선색|서울|지선}}}}<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공항버스 {{버스 노선번호||공항|6001|{{버스 노선색|공항}}}}, {{버스 노선번호||공항|N6001|{{버스 노선색|공항}}}}, {{버스 노선번호||공항|N6002|{{버스 노선색|공항}}}}
| [[동대구역|동대구]]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대구|1}} [[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br />[[경부고속선]] (연결)
| [[대구 동구|동구]]
|-
|-
! 4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구로 · 광명 · 시흥 · 과천 · 안양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331.8
| 서울 간선버스 {{버스 노선번호|서울||100|{{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150|{{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151|{{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152|{{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162|{{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202|{{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421|{{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500|{{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501|{{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502|{{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503|{{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504|{{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505|{{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506|{{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507|{{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750A/B|{{버스 노선색|서울|간선}}|링크=서울 버스 750}}, {{버스 노선번호|서울||751|{{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번호|서울||752|{{버스 노선색|서울|간선}}}}<br />서울 심야버스 {{버스 노선번호|서울||N15|{{버스 노선색|서울|심야}}}}
| [[고모역|고모]]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2" | [[수성구]]
|-
|-
! 5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강남 · 송파 · 성남 · 판교 · 수원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333.4
| 서울 간선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104|{{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401|{{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402|{{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406|{{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463|{{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604|{{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701|{{버스 노선색|서울|간선}}}}<ref>을지로2가 방면</ref><br />서울 지선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7011|{{버스 노선색|서울|지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7013A/B|{{버스 노선색|서울|지선}}|링크=서울 버스 7013}}<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서울 광역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9401|{{버스 노선색|서울|광역}}}}<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서울 심야버스 {{버스 노선번호|서울||N16|{{버스 노선색|서울|심야}}}}, {{버스 노선번호|서울||N30|{{버스 노선색|서울|심야}}}}<br />경기 직행좌석 광주({{버스 노선번호|경기광주||1150|{{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버스 노선번호|용인||5007|{{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버스 노선번호|경기광주||5500-1|{{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버스 노선번호|경기광주||5500-2|{{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버스 노선번호|경기광주||9000|{{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버스 노선번호|경기광주||9000-1|{{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br /><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6em;"></span>용인({{버스 노선번호|용인||5000A/B|{{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링크=용인 버스 5000}}, {{버스 노선번호|용인||5005|{{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수원 {{버스 노선번호|수원||7900|{{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성남({{버스 노선번호|성남||9003|{{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버스 노선번호|성남||9007|{{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버스 노선번호|성남||9200|{{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버스 노선번호|성남||9300|{{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br />경기 간선급행 광주 {{버스 노선번호|경기광주||8100|{{버스 노선색|경기|간선급행}}}}
| [[가천역|가천]]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대구선]] (연결)
|-
|-
! 6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은평 · 고양 · 파주 · 중랑 · 구리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338.6
| 서울 간선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103|{{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173|{{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201|{{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261|{{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262|{{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603|{{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701|{{버스 노선색|서울|간선}}}}<ref>진관동 방면</ref>, {{버스 노선 번호|서울||702A/B|{{버스 노선색|서울|간선}}|링크=서울 버스 702}}, {{버스 노선 번호|서울||704|{{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708|{{버스 노선색|서울|간선}}}}<br />서울 지선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7017|{{버스 노선색|서울|지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7021|{{버스 노선색|서울|지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7022|{{버스 노선색|서울|지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7024|{{버스 노선색|서울|지선}}}}<br />경기 직행좌석 광주 {{버스 노선 번호|경기광주||9301|{{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화성 {{버스 노선 번호|화성||4108|{{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경기 간선급행 수원 {{버스 노선 번호|수원||8800|{{버스 노선색|경기|간선급행}}}}<br />국토교통부 광역급행 {{버스 노선 번호||광역급행|M4108|{{버스 노선색|국토교통부|광역급행}}}}, {{버스 노선 번호||광역급행|M4130|{{버스 노선색|국토교통부|광역급행}}}}, {{버스 노선 번호||광역급행|M4137|{{버스 노선색|국토교통부|광역급행}}}}, {{버스 노선 번호||광역급행|M5107|{{버스 노선색|국토교통부|광역급행}}}}, {{버스 노선 번호||광역급행|M5115|{{버스 노선색|국토교통부|광역급행}}}}, {{버스 노선 번호||광역급행|M5121|{{버스 노선색|국토교통부|광역급행}}}}
| [[경산역|경산]]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5" | {{세로|[[경상북도]]}}
| rowspan="2" | [[경산시]]
|-
|-
! 7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한국은행 · 시청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345.7
| 서울 간선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100|{{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150|{{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151|{{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152|{{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162|{{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500|{{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501|{{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502|{{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504|{{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506|{{버스 노선색|서울|간선}}}}<br />서울 지선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1711|{{버스 노선색|서울|지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7016|{{버스 노선색|서울|지선}}}}<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서울 심야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N15|{{버스 노선색|서울|심야}}}}
| [[삼성역 (경산)|삼성]]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 colspan="3" | 서울역 [3번 출구 앞] '''(02-665)'''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353.1
| [[남성현역|남성현]]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3" | [[청도군]]
|-
|-
! 가변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공항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361.8
| 공항버스 {{버스 노선번호||공항|6001|{{버스 노선색|공항}}}}, {{버스 노선번호||공항|6021|{{버스 노선색|공항}}}}
| [[청도역|청도]]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 colspan="3" | 숭례문 '''(02-117, 02-118)'''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367.4
| [[신거역|신거]]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 02-117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세종대로1길 편의점 앞]<br />고양 · 일산 · 파주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372.2
| 서울 광역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9703|{{버스 노선색|서울|광역}}}}, {{버스 노선 번호|서울||9709|{{버스 노선색|서울|광역}}}}, {{버스 노선 번호|서울||9714|{{버스 노선색|서울|광역}}}}<br />경기 직행좌석 고양({{버스 노선 번호||고양|1000|{{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버스 노선 번호||고양|1100|{{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버스 노선 번호||고양|1200|{{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버스 노선 번호||고양|1900|{{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김포 {{버스 노선 번호||김포|2000|{{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링크=김포 버스 2000 (선진버스)}}, 파주 {{버스 노선 번호||파주|9710|{{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br />경기 굿모닝 {{버스 노선 번호||굿모닝|G7111|{{버스 노선색|경기|굿모닝}}}}<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경기 시내일반 고양({{버스 노선 번호||고양|790|{{버스 노선색|경기|시내일반}}}}, {{버스 노선 번호||고양|799|{{버스 노선색|경기|시내일반}}}})<br />국토교통부 광역급행 {{버스 노선 번호||광역급행|M7106|{{버스 노선색|국토교통부|광역급행}}}}, {{버스 노선 번호||광역급행|M7111|{{버스 노선색|국토교통부|광역급행}}}}, {{버스 노선 번호||광역급행|M7119|{{버스 노선색|국토교통부|광역급행}}}}, {{버스 노선 번호||광역급행|M7129|{{버스 노선색|국토교통부|광역급행}}}}
| [[상동역 (밀양)|상동]]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6" | {{세로|[[경상남도]]}}
| rowspan="4" | [[밀양시]]
|-
|-
! 02-118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YTN 타워 횡단보도 앞]<br />서울역 · 남대문시장 · 용산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381.6
| 서울 간선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104|{{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400|{{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700|{{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707|{{버스 노선색|서울|간선}}}}<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서울 지선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7021|{{버스 노선색|서울|지선}}}}<br />경기 시내일반 고양({{버스 노선 번호||고양|790|{{버스 노선색|경기|시내일반}}}}, {{버스 노선 번호||고양|799|{{버스 노선색|경기|시내일반}}}})<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경기 직행좌석 파주 {{버스 노선 번호||파주|9710-1|{{버스 노선색|경기|직행좌석}}}}
| [[밀양역|밀양]]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 colspan="3" | 서울역 역전우체국 '''(02-505, 02-685, 02-694)'''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392.6
| [[미전신호소|미전]]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미전선]] (연결)
|-
|-
! 02-505<br />02-685<br />(11-013)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역전우체국 앞]<br />김포 · 인천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394.1
| 인천 광역버스 {{버스 노선 번호|인천||1000|{{버스 노선색|인천|광역}}}}, {{버스 노선 번호|인천||1100|{{버스 노선색|인천|광역}}}}, {{버스 노선 번호|인천||1101|{{버스 노선색|인천|광역}}}}, {{버스 노선 번호|인천||1200|{{버스 노선색|인천|광역}}}}, {{버스 노선 번호|인천||1300|{{버스 노선색|인천|광역}}}}, {{버스 노선 번호|인천||1301|{{버스 노선색|인천|광역}}}}, {{버스 노선 번호|인천||1302|{{버스 노선색|인천|광역}}}}, {{버스 노선 번호|인천||1400|{{버스 노선색|인천|광역}}}}, {{버스 노선 번호|인천||1500|{{버스 노선색|인천|광역}}}}, {{버스 노선 번호|인천||1601|{{버스 노선색|인천|광역}}}}, {{버스 노선 번호|인천||1800|{{버스 노선색|인천|광역}}}}<br />서울 마을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종로11|{{버스 노선색|서울|마을}}}}<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공항버스 {{버스 노선번호||공항|6021|{{버스 노선색|공항}}}}, {{버스 노선번호||공항|6702|{{버스 노선색|공항}}}}<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국토교통부 광역급행 {{버스 노선 번호||광역급행|M6117|{{버스 노선색|국토교통부|광역급행}}}}, {{버스 노선 번호||광역급행|M6724|{{버스 노선색|국토교통부|광역급행}}}}
| [[삼랑진역|삼랑진]]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경전선]] (연결)
|-
|-
! 02-694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역전우체국 맞은편]<br />고양 · 인천공항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403.2
| 서울 광역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9701|{{버스 노선색|서울|광역}}}}<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공항버스 {{버스 노선번호||공항|6702|{{버스 노선색|공항}}}}
| [[원동역|원동]]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2" | [[양산시]]
|-
|-
! colspan="3" | 서울스퀘어앞 '''(02-505, 02-685, 02-694)'''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412.4
| [[물금역|물금]]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양산화물선]] (연결)
|-
|-
! 02-282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서울역 버스 환승센터 맞은편]<br />회현역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421.8
| 서울 간선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421|{{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505|{{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507|{{버스 노선색|서울|간선}}}}<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서울 순환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03|{{버스 노선색|서울|순환}}}}<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공항버스 {{버스 노선번호||공항|6001|{{버스 노선색|공항}}}}
| [[화명역 (한국철도공사)|화명]]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5" | {{세로|[[부산광역시]]}}
| rowspan="2" | [[부산 북구|북구]]
|-
|-
! colspan="3" | 남대문경찰서 '''(02-218)'''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425.2
| [[구포역|구포]]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3}} [[부산 도시철도 3호선|3호선]]
|-
|-
! 가변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서울시티타워 앞]<br />숭례문 · 회현역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430.3
| 서울 간선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202|{{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400|{{버스 노선색|서울|간선}}}}<span style="display: inline-block; width: 2em; text-align: center;">·</span>서울 순환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03|{{버스 노선색|서울|순환}}}}
| [[사상역|사상]]
| style="background: #c7c0df;"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2}} [[부산 도시철도 2호선|2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BGL}} [[부산김해경전철]],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사상하단}} [[사상하단선]] (예정)''<br />[[가야선]] (연결), ''[[부전마산선|경전선]] (예정)''
| [[사상구]]
|-
|-
! colspan="3" | 서울역 [11번 출구 앞] '''(03-198)'''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439.9
| [[부산진역|부산진]]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동해선]], [[우암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1}}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 (연결)
| rowspan="2" | [[부산 동구|동구]]
|-
|-
! 가변
! style="background: ; color: white;" |
| [게이트웨이 타워 앞]<br />후암동 방면
| style="text-align: right;" | 441.7
| 서울 간선버스 {{버스 노선 번호|서울||400|{{버스 노선색|서울|간선}}}}, {{버스 노선 번호|서울||605|{{버스 노선색|서울|간선}}}}
| [[부산역|부산]]
| style="background: #c7c0df;" | ●
| style="background: #d0768c;"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부산|1}} [[부산 도시철도 1호선|1호선]]<br />[[경부고속선]] (연결)
|-
|}
|}


== 사건 · 사고 ==
=== 폐역 ===
; 서울역 압사 사고
*[[서대문역 (폐역)|서대문역]]
{{참고|서울역 압사 사고}}
*[[박람회역]]
*[[안양풀장역]]
*[[엑스포역]]
*[[오정신호장]]
*[[증약역]]
*[[가풍역]]
*[[미륵신호장]]
*[[금오산역]]
*[[대성역]]
*[[초량역 (폐역)|초량역]]
*[[부산잔교역]]


== 미래 ==
== 지선 ==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따르면 현재 경부·호남 고속철도, 경부선 일반철도, 경의선, [[수도권 전철 1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및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등 총 7개 노선이 모이는 서울역에 추가적으로 수색~서울~광명역간 고속철도 지하노선,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 A/B노선, [[신분당선]], [[신안산선]] 등 5개 신규노선이 추가되는 계획이 잡혀있다.<ref>[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7/05/23/0200000000AKR20170523067200003.HTML?input=1195m 서울역에 5개 노선 추가된다…'통일시대 교통허브' 개발], 연합뉴스, [[2017년]] [[5월 23일]]</ref> 5개 노선 모두 지상이 아닌 지하로 연결될 것으로 보이며, 현재 서울역에서 가장 심도가 깊은 노선은 지하 7층에 승강장이 위치한 공항철도이다.
제1간선이다보니 아무래도 지선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몇몇 지선은 꽤 긴 수준이다.


== 이야깃거리 ==
; 일반 지선
* 패스트푸드점의 경우 2층에는 [[맥도날드]][[롯데리아]]가, 3층에는 [[버거킹]]과 [[KFC]]가 있어서 골라잡을 수 있다. <del>무한경쟁체제</del> 맥도날드와 롯데리아, 그리고 버거킹과 KFC 모두 매장들이 붙어있는 구조라서 취향에 따라 점포를 선택하기 용이하다.
:* [[수인선]]
* [[강남역]]과 함께 몰래카메라 촬영이 가장 많이 일어나는 곳이라고 한다.<ref>한수진,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2952415 "성추행 범죄 가장 많은 역은? 신도림·서울역·강남역…"], SBS, 2015.04.29</ref>
:* [[수여선]] (폐지)
* 철도공사의 서울역에 있는 급행용 고상 승강장은 실은 경인선 복선화 당시에 만들어진 경인선 착발용 승강장을 개축한 것이다. 이 승강장이 있어서 전철영업을 하는 것으로 취급되지만, 정작 경의선 외에는 직영하는 전철 역무시설이 없어서 실제 "철도공사 1호선 서울역"에서 개집표를 하는 것은 정상적으로는 불가능했으나... 2017년 3월 24일 부로 지상역 1호선 개찰을 신설하게 되어 철도공사의 1호선 서울역 개집표가 가능해졌다.
:* [[안성선]] (폐지)
** 이와 관련해, 한국철도공사의 광역전철 통계 표에 따르면 2016년 이전의 경부선 서울역 승하차가 잡히는 경우가 있는데, 이는 한국철도공사의 광역전철 통계가 기본적으로 (한국)철도통계연보식으로 통과인원에 따른 계산을 내기 때문이다. 즉, 개찰구 통과 인원이 아닌 경부선 방향으로 승차하는 인원의 집계치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그만큼이 수치에 잡히는 것. 이외에 교통카드 수치에서도 간혹 찍히는 경우는 부정승차를 잡았을 때 역 코드를 수동으로 한국철도공사의 서울역으로 입력하여 생기는 것이며, 정상적인 개집표기에 의한 승하차 기록은 없었다.
:* [[대구선]]
* 타는 곳 3번과 4번 사이의 섬식 승강장에는 철도기점을 표현한 조형물이 있다. 위치는 부산방향으로 내려가서 스토리웨이 편의점을 지나서 조금 걸어가면 쉽게 찾아 볼 수 있다. 과거에는 단순한 비석 형태로 철도기점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었으나, 경부고속철도 개통 즈음에는 [[KTX (차량)|KTX]]의 동력차 위에 비석이 솟아있는 형태의 조형물이 존재한다. 과거 조형물은 현재 [[의왕역]] 인근 [[철도박물관]] 장내에 보존되어 있다.
:* [[가야선]]
* 영화 [[부산행]]을 촬영했었다.


== 사진 ==
; 화물선
<gallery>
:* [[남부화물기지선]]
경성역.jpg|구 역사
:* [[부강화물선]]
Seoul Station.jpg|[[서울로7017]]에서 바라본 서울역 역사
:* [[신동화물선]]
133 Seoul Station.jpg|1호선 지하서울역 역명판
:* [[양산화물선]]
A01 Seoul Station.jpg|공항철도 역명판
:* [[평택선]]
</gallery>


== 경유 노선 ==
; 연결선
{{경유 노선/열기}}
: 역과 역간을 연결하는 노선들로, 주로 입체교차를 위해 만든 노선들이다.
{{경유 노선|배경색=gray|글자색=white
:* [[평택직결선]]
|노선명=302 [[경부선]]|노선거리=0.0 km
:* [[#천안직결선|천안직결선]]
|전방면=|전역=
|당역='''서울'''
|후방면=[[부산역|부산]] 방면|후역=[[남영역|남영]]|후거리=1.7 km}}
{{경유 노선|배경색=gray|글자색=white
|노선명=303 [[경의선]]|노선거리=0.0 km
|전방면=|전역=
|당역='''서울'''
|후방면=[[도라산역|도라산]] 방면|후역=[[신촌역 (지상)|신촌]]|후거리=3.1 km}}
{{경유 노선|배경색=gray|글자색=white
|노선명=322 [[인천국제공항선]]|노선거리=0.0 km
|전방면=|전역=
|당역='''서울'''
|후방면=[[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방면|후역=[[공덕역|공덕]]|후거리=3.3 km}}
{{경유 노선|배경색=gray|글자색=white
|노선명=[[서울 지하철 1호선]]|노선거리=0.0 km
|전방면=|전역=
|당역='''서울역'''
|후방면=[[청량리역|청량리]] 방면|후역=[[시청역 (서울)|시청]]|후거리=1.1 km}}
{{경유 노선/닫기}}


== 경유 열차 ==
; [[삼각선]]
=== 수도권 전철 ===
: 일제시대에 건설된 경부선의 지선은 모두 부산 방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서울에서 출발한 열차가 지선을 이용하려면 방향을 돌려야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오송선, ()대전선, [[미전선]]이 건설되었다.
{{경유 계통/열기}}
:* [[#용산삼각선|용산삼각선]]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구로삼각선|구로삼각선]]
{{경유 계통|전합치기=2|전역 =|
:* [[평택삼각선]]
합치기=2|당역={{역번호/한국|133|수도권|1}} '''서울'''|등급={{색|green|서울역급행}}<br />(출퇴근한정)
:* [[#오송선|오송선]]
|후역폭=15em|후방면=<< [[서울역|서울]] 방면|후역={{역번호/한국|139|수도권|1|ls=-0.05}} [[영등포역|영등포]]|후거리=9.1 km}}
:* [[대전선]]
{{경유 계통/전생략|
:* [[미전선]]
|후역폭=15em|후방면=[[천안역|천안]] 방면|후역={{역번호/한국|P144|수도권|1|ls=-0.05}} [[금천구청역|금천구청]]|후거리=17.3 km}}
{{경유 계통|전방면=[[청량리역|{{색|red|청량리}}]] 방면<br />[[소요산역|소요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132|수도권|1}} [[시청역 (서울)|시청]]|전거리=1.1 km
|당역={{역번호/한국|133|수도권|1}} '''서울역'''|등급={{색|red|{{색|red|천안·신창급행}}}}<br />완행
|후방면=[[신창역|{{색|red|신창}}]] 방면<br />[[인천역|인천]] · [[신창역|신창]] 방면|후역={{역번호/한국|134|수도권|1}} [[남영역|남영]]|후거리=1.7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글자색=white|계통=[[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경유 계통|전방면=[[당고개역|당고개]] 방면|전역={{역번호/한국|425|수도권|4}} [[회현역|회현]]|전거리=0.9 km
|당역={{역번호/한국|426|수도권|4}} '''서울역'''
|후방면=[[오이도역|오이도]] 방면|후역={{역번호/한국|427|수도권|4}} [[숙대입구역|숙대입구]]|후거리=1.0 km}}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글자색=white|계통=[[경의·중앙선]]}}
{{경유 계통|전방면=[[문산역|문산]] 방면|전역={{역번호/한국|P314|수도권|경의중앙|ls=-0.05}} [[신촌역 (지상)|신촌]]|전거리=3.1 km
|당역={{역번호/한국|P313|수도권|경의중앙|white|letter-spacing: -0.05em;}} '''서울'''
|후방면=|후역=}}
{{경유 계통/계통|배경색=linear-gradient(to bottom,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0%,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40%,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직통}} 40%,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직통}} 60%,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60%,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100%)|계통=[[인천국제공항철도]]}}
{{경유 계통|전방면=|전역=
|당역={{역번호/한국|A01|수도권|공항}} '''서울'''|등급=일반
|후방면=[[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방면|후역={{역번호/한국|A02|수도권|공항}} [[공덕역|공덕]]|후거리=3.3 km}}
{{경유 계통/닫기}}


=== 여객열차 ===
; 기지선
{{경유 열차 목록
:* [[구로기지선]]
|전체목록 =
:* [[병점기지선]]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KTX]]
|세로수  = 10
|노선    =
  {{경유 열차 목록/KTX 경부선}}
  {{경유 열차 목록/KTX 경부선 구포}}
  {{경유 열차 목록/KTX 경부선 수원}}
  {{경유 열차 목록/KTX 경전선}}
  {{경유 열차 목록/KTX 동해선}}
  {{경유 열차 목록/KTX 호남선}}
  {{경유 열차 목록/KTX 호남선 서대전}}
  {{경유 열차 목록/KTX 전라선}}
  {{경유 열차 목록/KTX 강릉선}}
  {{경유 열차 목록/KTX 강릉선 동해}}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ITX|ITX-마음]]
|세로수  = 1
|노선    =
  {{경유 열차 목록/ITX-마음 경부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ITX|ITX-새마을]]
|세로수  = 3
|노선    =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경부선}}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경부선 신해운대}}
  {{경유 열차 목록/ITX-새마을 경전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무궁화호]]
|세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경부선}}
  {{경유 열차 목록/무궁화호 경부충북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남도해양열차]]
|세로수  = 1
|노선    =
  {{경유 열차 목록/남도해양열차 전라선}}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DMZ-Train]]
|세로수  = 1
|가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DMZ-train}}
}}
{{경유 열차 목록/종류
|열차종류 =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직통열차
|세로수  = 1
|가로수  = 2
|노선    =
  {{경유 열차 목록/공항철도 직통열차}}
}}
}}


{{각주}}
=== 천안직결선 ===
 
{{철도 노선 정보
{{사용자:Pika/대체용 틀
|노선이름 = 천안직결선
|이름    = 동촌(동촌유원지)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대구}}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주소     = [[대구광역시]] [[대구 동구|동구]] [[해동로]] 지하 197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역번호/한국|138|대구|1}}
|번호    = 30207
|노선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small>17.6 km</small>
|구간    = [[두정역|두정]] ~ [[천안역|천안]]
|관할    = [[대구교통공사]]
|역수     = 2개
|개업일  = 1998년 5월 2일
|소유자  =
|운영자  =
|개통일  = [[1979년]] [[6월 15일]]
|폐지일  =  
|폐지일  =  
|코드     =  
|경유노선 =
|승강장  = 2면 2선
|영업거리 = 3.1 km
|관련역  =  
|궤간     =  
|참고     =  
|선로    = 2
|비고    =  
|전기    =  
|하위 틀  =  
|신호     = [[ATS]]
|차량기지 =  
|비고    = 나머지 정보는 경부선과 동일
}}
}}


[[대구광역시]] [[대구 동구|동구]] [[해동로]] 지하 197에 위치한 지하역이다. 이름은 동촌동에서 따왔다.
[[두정역]][[천안역]]을 잇는 노선으로, 경부선을 입체교차해 [[장항선]]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원래 천안역 분기로, 경부선과 장항선 방면으로 직결할 계획이 있었으나, 장항선 방면으로 직결할 계획만 남아있던 탓에, 장항선 구간은 개통하지 않았지만 장항선 천안역 구내를 사용하도록 배선이 잡혔다. 이 때문에 고빈도로 운행되는 경부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는 입체교차 전철 노선이 필요했고, 연결선을 이설 신설하게 된다.


== 역사 ==
경부선을 따라 천안역 북쪽에서 내려와 장항선으로 가는 모든 열차는 이 노선을 이용한다. 경부2선에서 분기하기 때문에, 장항선 일반열차는 반드시 두정역 초입에서 감속하여 [[선로전환기]]를 건너야만 하는 난점이 있다.
* [[1998년]] [[5월 2일]] : 대구 도시철도 1호선 2단계 개통과 함께 영업 개시


== 시설 ==
옛 천안직결선은 천안 서부 성정동 부지를 크게 맴돌아 천안역 구내로 들어가는 노선이었으며, 이는 [[안성선]]과 직결하기 위했던 구조물로, 장항선의 전신이 사철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는 개량되어 경부선 바로 옆에 붙어서 분기하고 있으며, 해당 부지는 [[천안축구센터]] 부지로 전용되어 사용 중이다.
2면 2선의 평범한 [[상대식 승강장]]으로, 횡단 불가능하다.


{{철도승강장|구조=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 |승강장 번호=상행|승강장 정보='''1호선''' [[동대구역|동대구역]] · [[반월당역|반월당]] · [[명덕역|명덕]] · [[대곡역 (대구)|대곡]] 방면
|-
}}
! 번호
{{철도승강장/선로|왼쪽 선로 정보=← [[대구 도시철도 1호선]] [[아양교역|아양교]]
! km
}}
! 정거장
{{철도승강장/선로|오른쪽 선로 정보= [[대구 도시철도 1호선]] [[해안역|해안]]
! 연계 노선
}}
|-
{{철도승강장/승강장|바탕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 |승강장 번호=하행|승강장 정보='''1호선''' [[안심역|안심]] 방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8
}}
| style="text-align: right;" | 0.0
| [[두정역|두정]]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연결)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9
| style="text-align: right;" | 3.1
| [[천안역|천안]]
| style="text-align: left;" | [[장항선]] (연결)<br />경부선
|-
|}
 
=== 용산삼각선 ===
{{철도 노선 정보
|노선이름 = 용산삼각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설명 =
|나라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30201
|구간    = 경부선 분기점 (한강철교 인근) ~ 경원선 분기점 (한강대교 밑)
|역수    =
|소유자  =
|운영자  =
|개통일  = 불명
|폐지일  =
|경유노선 =
|영업거리 = 0.5 km
|궤간    =
|선로    = 1
|전기    =  
|신호    = [[ATS]]
|차량기지 =
|비고    = 나머지 정보는 경부선과 동일
}}
}}


=== 대구선 (폐역) ===
경부선 3선(전동급행) 하행과 [[경원선]] 하행 방향을 잇는 삼각선으로, 단선 평면교차 삼각선이다. 한강철교(A/B선) 북단에서 분기하며, 아주 좁은 곡선반경을 그리며, 경원선 한강대교 밑 절연구간으로 이어진다. 경원선 쪽은 공간도 모자라서 곡선부 통과 싱글슬립 분기기를 사용할 정도며, 때문에 운전에 여러모로 애로사항이 꽃피는 노선. 하지만 수도권 철도가 너무 빈약한 나머지 중앙선과 경부선을 직접 잇는 선로는 [[충북선]]까지 내려가야 있고, 다행히도 경부선 접속이 그나마 중요성이 조금 떨어지는 3선이다보니 어쩔 수 없이 이 노선이 사용되는 경우가 생각보다 자주 있다. 현재는 과감하게 분기를 이설해서 싱글슬립 및 장대 [[절연구간]] 문제가 해소되었다.
{{사용자:Pika/대체용 틀
 
|이름    = 동촌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 style="text-align: right;" | 0.0
| 삼각선 (경부선)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0.5
| 삼각선 (경원선)
| style="text-align: left;" | [[경원선]] (연결)
|-
|}
{{-}}
 
=== 구로삼각선 ===
{{철도 노선 정보
|노선이름 = 구로삼각선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주소     = 대구광역시 동구 늘푸른길 149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번호    = 30202
|노선     = [[대구선]]
|구간     = 경부선 분기점 (구로기지 옆) ~ 경인선 분기점 (구일역 직전)
|관할     = [[한국철도공사]]
|역수     =  
|개업일   = 1917년 12월 24일
|소유자  =
|폐지일  = 2008년 5월 15일
|운영자  =
|코드     =  
|개통일   = 불명(1992년~1996년 사이)
|승강장  =  
|폐지일  =  
|관련역  =  
|경유노선 =
|참고     =  
|영업거리 = 1.2 km
|비고    =  
|궤간     =  
|하위 틀  =  
|선로    = 1
{{사용자:Pika/대체용 틀
|전기    =  
|이름    =  
|신호     = [[ATS]]
|차량기지 =  
|비고    = 나머지 정보는 경부선과 동일
}}
 
경부선과 [[경인선]]을 이어주는 삼각선이다. 경부선의 [[구로역]]과 [[가산디지털단지역]] 사이에서 분기하여 경인선의 구로역과 [[구일역]] 사이에서 경인선과 합류한다.
 
구로삼각선이 합류하는 경부선은 그야말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열차빈도가 높은 지점으로, 정시성을 크게 개의치 않는 화물열차만 정기적으로 운행하며 그나마도 반드시 경부선을 경유해야만 하는 화물 위주로 소수만 설정되어 있다. 경인선 화물열차들 다수가 운전에 애로사항이 많은데도 [[#용산삼각선|용산삼각선]]을 경유하는 경로로 잡히는 이유가 이 구간을 통과하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이다. 여객열차는 경인선 임시열차가 극히 드물게 설정된다. 역시 경부선 통과가 어렵기 때문.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 style="text-align: right;" | 0.0
| 삼각선 (경부선)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1.2
| 삼각선 (경인선)
| style="text-align: left;" | [[경인선]] (연결)
|-
|}
{{-}}
 
=== 오송선 ===
{{철도 노선 정보
|노선이름 = 오송선
|원어이름 =  
|원어이름 =  
|배경색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주소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번호    = 30208
|노선     =  
|구간     = [[서창신호장|서창]] ~ [[오송역|오송]]
|관할     =  
|역수     = 2개
|개업일   =  
|소유자  =
|운영자  =  
|개통일   = [[1978년]] [[5월 1일]]
|폐지일  =  
|폐지일  =  
|코드    =  
|경유노선 =
|승강장  =  
|영업거리 = 4.6 km
|관련역  =  
|궤간    =  
|참고     =  
|선로    = 2
|비고     =  
|전기     =  
|하위 틀  =  
|신호     = [[ATS]]
}}
|차량기지 =  
|비고    = 나머지 정보는 경부선과 동일
}}
}}


== 주변 정보 ==
경부선 상행과 [[충북선]] 하행을 잇는 삼각선. 최초 개업시에는 서창선이라고 불렸으며, 동시에 [[서창신호장]]이 개설되었다. [[조치원역|조치원]] 방면의 충북선이 단선인데도 불구하고 삼각선이 복선이다. [[#미전선|미전선]]과 비슷한 케이스지만, 미전선은 그래도 여객 열차가 더 자주 다니는 경로니 그렇다 쳐도, 이 쪽은 여객열차가 별로 다니지 않음에도 복선이다. 그도 그럴 것이, 충북선은 [[중앙선]] · [[태백선]] 방면의 화물열차가 경부선에 도달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경로고, 오송선은 수도권 방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긴 노선이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화물열차가 상당히 많이 다니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노선.
[[홈플러스]] 동촌점, 폐역된 구 대구선의 [[동촌역 (폐지)|동촌역]] 등이 근처에 있다.


== 경유 열차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경유 계통/열기}}
|-
{{경유 계통/계통|배경색={{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대구|1}}|글자색=white|계통=[[대구 도시철도 1호선|1호선]]}}
! km
{{경유 계통|전방면=[[설화명곡역|설화명곡]] 방면|전역={{역번호/한국|137|대구|1}} [[아양교역|아양교]]|전거리=1.0 km
! 정거장
|당역={{역번호/한국|138|대구|1}} '''동촌'''
! 연계 노선
|후방면=[[안심역|안심]] 방면|후역={{역번호/한국|139|대구|1}} [[해안역|해안]]|후거리=1.0 km}}
|-
{{경유 계통/닫기}}
| style="text-align: right;" | 0.0
| [[서창신호장|서창]]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4.6
| [[오송역|오송]]
| style="text-align: left;" | [[충북선]] (연결)
|}
{{-}}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문서 가져옴|구로삼각선|339836}}

2023년 9월 10일 (일) 13:35 판

{{{이름}}}
[[파일:Korail Gyeongbu Line.png|336px|alt=]]
노선도
나라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간선), 광역철도[1]
번호 302
구간 서울 ~ 부산
영업거리 441.7 km
역 수 90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1905년 1월 1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6 (서울 ~ 구로)
4 (구로 ~ 두정)
2 (천안 ~ 부산)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ATS, ATP

대한민국의 철도에서 가장 중요한 노선으로, 대한민국의 수도이자 최대 도시 서울특별시부터 제2의 도시이자 항구 도시, 대표적 물류 관문인 부산광역시를 연결하는 노선이다. 경부선이라는 명칭은 서울[2]을 뜻하는 경(京)과 부산의 부(釜)를 합친 것이다.

일제시대의 노선표를 이어받았기 때문에, 과거 공식문서에서는 경부선이 아닌 경부본선(京釜本線)을 사용했고, 경부선은 본선(경부본선)과 지선을 통칭하는 말이었다. 하지만 2019년부터 공식문서에서도 경부본선이 아닌 경부선을 사용한다.[3]

역사

건설까지의 경위

노선 선정

경부선의 부설은 1898년 일본의 강압에 의해 경부철도합동조약을 체결하게 되면서 본격화되었으나, 그 이전부터 일본은 대륙으로의 군사력 투사에 있어 핵심 병참노선으로 이해 투사에 중요한 수단이라 할 수 있는 이 노선의 사전조사를 기 실시하고 있었다.

1892년에 수렵을 위장하여 고노 타카노부(河野天瑞)[4]를 필두로 한 측량반이 노선 측량과 답사에 착수하였다. 당시 답사경로는 낙동강 우안[5]을 따라 삼랑진, 밀양, 대구, 상주, 문의, 청주를 경유하는 240마일의 경로였다고 한다.[6]

이후 1894년에 청일전쟁이 발발하면서 한일잠정합동조관에 의해 일본이 강압적으로 철도 부설을 결정하였고, 이에 따라 경인과 경부철도의 부설을 위한 절차에 착수한다. 이 해 11월에는 센고쿠 미츠구(仙石貢)[7]외 10여명으로 구성된 측량반을 파견하여 부설경로를 결정하기 위한 답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청주, 영동, 추풍령을 넘어 금산, 인동, 대구, 밀양을 지나 부산에서는 구덕산을 관통하여 부산에 이르는 경로를 계획하였으며, 병행하여 조령, 문경, 상주, 선산을 거치는 루트와 경주, 문경을 통하는 루트를 비교선으로 답사하였다. 이 당시에 지형적으로 내륙산간지를 통과하는데 가장 유리한 지점이었던 추풍령을 종단하는 루트를 발견하였다.

경부철도합동조약이 체결되면서 경부철도주식회사가 설립되었고, 경부철도주식회사의 발기위원인 오오에 타쿠(大江卓)[8] 는 기사와 함께 대한제국 정부의 협조 하에 99년에 다시 예정선로 답사를 실시하였다. 이들은 영등포, 수원을 거쳐, 진위, 둔포, 전의를 거쳐 공주를 경유해 신교[9]에 이르러 강경까지의 지선을 계획하고, 다시 동진하여 진산, 금산을 지나 영동을 경유하여 과거 경유선에 합류, 그리고 대구 이후 현풍, 영산, 구포를 경유해 부산진 해안을 따라 부산에 이르는 294마일의 경로를 계획하였다. [10]

이러한 경로를 택한것은 충남 및 전라남북도의 농업생산물 수송을 유치하는 경제적 이유와 함께, 당시 대한제국 정부가 직접 경목철도의 부설을 하기로 결정을 하고 그 사업권을 제3국에 부여하거나 할 경우 병행선이라는 주장을 통해 부설을 봉쇄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진 것이었다. 아울러 강경까지의 지선을 통해 당시 금강의 하항인 강경항을 통해 자재의 반입을 꾀하여 공사기간의 단축 및 공사비 절감을 꾀한 것으로 추정된다.

최종적으로 1900년에 이르러 이들 답사 경과를 종합하여 경부철도의 기사장으로 임명된 가사이 아이지로(笠井愛次郎)[11] 는 철도의 실측에 착수하였다. 당시 가사이 기사장은 식민 철도가 아닌 중국 등의 대륙을 연결하는 중요 간선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급적 최단거리의 선형을, 구배 역시 최대한 평탄한 100분의 1구배(10‰)를 기준으로 예외적으로 80분의 1 구배(12.5‰)를 적용하게 계획하였다.[12]

이러한 방침 하에서, 장대터널 건설이 예상되는 구덕산 관통 대신 부산진에서 초량을 경유하여 낙동강을 따라 북상, 청도, 밀양을 경유하는 것으로 하였다. 또한 평택에서 영동까지는 한때 검토하던 공주, 논산 경유 및 강경지선과 가급적 직선형으로 전의를 경유해 내륙을 가로지르는 방안이 비교되었으나, 최종적으로 대전, 전의를 경유하는 노선으로 1903년에 이르러서 확정되었다.[13]

궤간레일의 결정

한편으로 당시 경부철도의 궤간은 대한제국 정부의 국내철도규칙에 의해서 4피트 8인치½의 표준궤로 결정되었다. 그러나, 표준궤 부설에 대해서 일본 국내에서는 그 건설비와 운영비가 막대하게 드는 상황에서 경부철도 주식회사의 지본금은 2,500만엔으로 협궤로 완공하는데도 상당히 버거울거라는 우려 하에 궤간 변경의 주장이 제기되었다. 당시 철도작업국[14]은 이미 확보된 자재를 사용할 수 있는 미터 궤간에 의한 공사를 주장하였고[15], 한편으로 일본 군부에서는 본토에서 사용중이어서 자재와 차량을 그대로 활용할 수 있는 3피트 6인치 궤간을 채용할 것을 주장하였다.[16]

또한 철도작업국은 레일의 규격 역시 일본 본토와 동일한 60파운드(미터당 30kg) 레일을, 군부에서는 더 저렴한 50파운드(미터당 25kg) 레일의 채용을 주장하였다.[17] 이 역시 건설비를 최대한 저렴하게, 그리고 가능한 자재를 조달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제기가 된 것이었다.

그러나 가사이 기사장은 대륙 연결 간선으로서의 경부철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표준궤로 부설할 것을 강력히 천명하였고, 궤도 역시 중국에서 채용한 80파운드(미터당 40kg)레일 대신 75파운드(미터당 37kg)의 레일을 사용할 것을 주장하였다. 이는 당시 경부철도 주식회사의 대표였던 시부사와 에이치의 결정으로 최종적인 건설규격이 되었다.

착공 및 완성

경부철도주식회사 설립

노선 선정이 진행되는 한편으로 1896년부터 한국에 상당한 이해관계를 가지고 있던 관료 및 자본가들은 경부철도의 부설권을 획득하기 위한 민간회사를 만들고자 주식회사의 설립 특허를 이토 히로부미(伊藤博文) 수상 이하 일본 정부 각계에 청원하고 있었다. 이는 일본 국내에서 일종의 애국운동으로 번져서 경제계 유력자 약 150명을 끌어들여 경부철도 주식회사 발기위원회를 발족하였다. 이후 수상 및 정계 원로에 요청하여 1900년 2월에 '한국경부철도속성에 관한 건의안'을 통과시켰으며, 그 해 2월 21일에 '제국신민의 외국에 있어서 철도 부설에 관한 법률안'이 중의원과 귀족원에 의해 통과되었다. 이 법률은 주식회사 성립에 대한 보조금 및 사채모집, 주식회사 설립 등에 대한 각종 특혜를 부여하는 등 경부철도를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었다. 이후 정부는 특별보조 명령을 내려 정부가 이자지급 보증하는 등의 예산지원까지 붙여지게 되었다.[18]

이후 자본금 모집은 거국적인 동원이라고 할 만큼 각계각소에 홍보와 참여 요구를 벌였다. 그 결과 전국 각지에서 주주를 포섭할 수 있었으며, 서구 열강으로부터의 차관 내지 자본 참여를 배제할 수 있었다. 이는 경부철도의 건설이 단순한 민간적 사업이 아닌 일본의 국가적 이해관계가 강하게 엮인 국책사업에 가까운 것이었다는 방증이라 할 것이다.

초기 공사

이러한 과정을 거쳐 경부철도는 1901년 8월 20일 한강 이남의 영등포에서 북부 기공식을 거행하였으며, 동년 9월 21일에 부산 초량에서 남부 기공식이 거행되었다. 이에 따라 영등포~사근천(군포 남측)간 13마일간, 그리고 초량~구포간의 11마일의 공사가 개시되었다.

공사는 선로의 연장을 따라 순차적으로 착공되어, 북부선은 명학, 진위[19]에 1903년 말에 이르렀다. 한편으로 금강을 통해 자재를 반입하여 부강에서 전의까지 36마일 여의 공사가 1904년 1월까지 진척되었다. 이 과정에서 지지대를 터널로 경유하려던 노선이 대한제국 정부의 반대로 인해 1902년에 군포를 경유 사시현으로 우회하는 선형으로 변경되었다.

한편 남부는 초량~구포 구간의 11마일 간은 1901년 10월부터 초량으로부터 공사가 순차적으로 진척되어 1903년 말에는 공사 진척이 밀양을 지나 성현에 이르고 있었다. 터널 공사가 다수 존재하여 토목의 준공은 1904년에 이르러서 이루어지게 되었다.

러일전쟁과 속성공사

경부철도가 건설되는 와중에 러일간의 긴장 강도가 올라가면서 군사수송상의 필요가 상승함에 따라 빠른 공사가 요구되게 되었다. 이 과정에서 1903년 12월 2일 경부철도 주식회사에 대해 일본정부는 속성명령을 내려서, 해당 철도를 1905년중에 전 구간을 개통할 것을 지시하였다. [20]

경부철도로서는 일개 사설회사로서 이러한 요구에 대응하기 어렵다고 보고 조직을 개편하여 주요 임원을 관선으로 변경하기로 하고, 회사가 발행하는 채권에 대해 정부의 지불보증을 해 줄 것, 그리고 부설비에 대한 보조를 일본 정부에 건의하였다. 일본정부는 이를 가결하여, "경부철도 속성 보조 및 책임 지출에 대한 자구안"이라는 칙령으로 공포하였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서 정세가 급박해짐에 따라 1904년 연내에 영등포에서 초량에 이르는 전 노선을 개통하도록 명령을 변경하였다.

이에 따라, 이미 어느정도 진척이 있던 부산~성현 간의 남부 구간과 영등포~부강 간의 구간 외에 미완성 상태의 성현~부강 간의 121마일 구간의 급속 진행에 착수하였다. 북부에서는 부강에서 영동까지, 남부에서는 성현에서 영동까지의 공사를 진척하여, 1904년 10월에는 남부구간이 준공되었으며, 여기에서 심천까지 6.6마일을 더 북진하였다. 반면 북부 구간은 11월에 이르러서 남은 구간을 준공하였다. 다만 급속 공사를 위해 이들 구간 중 일부에서 규격을 낮추어 구배나 곡선 반경등이 열악한 임시선로를 부설하였다. 특히 대전 이남의 증약, 구복 터널 공사의 지연 때문에 스위치백 식의 가설선로를, 또한 남부에서는 성현 터널을 대체하여 8단 스위치백의 가설선로를 부설하여 공사를 진행하였다.

이들 공사를 진행하는 와중에 러일전쟁이 발발하게 되면서, 철도 건설은 더 한층 긴급수단이 되었다. 이 와중에 공사 진척이 느린 70마일 구간에 대해서 24파운드(미터당 12kg)의 레일을 채용한 임시 협궤철도 안까지 제기가 되어서 긴급발주 형태로 자재를 도입해 반입하였으나, 제물포 해전에서 러시아 군함이 조기에 격침되어 철도부설의 긴급성이 크게 줄어들어서 임시철도는 중단되었다.

이후 공사가 진척됨에 따라 열차 운행이 가능한 구간에 대해서는 일반인의 편승 및 화물의 임시영업이 개시되었으며, 1905년 1월 1일자로 전구간 정식 개통을 달성하게 되었다.

노동 동원과 저항 운동

한편으로 경부선 및 경의선의 건설은 한반도에서는 유례가 없을 만큼의 대규모 토목공사였고, 그만큼 막대한 노동력이 소요되는 작업이었다. 그만큼 민간에 발생한 폐해도 적지 않았다. 건설 초기에는 한국계 토건업체가 노동 송출과 부자재의 공급을 하였으며, 영세농민이나 임노동자들의 임금노동 위주로 충원이 되었으며 급여 수준도 초기에는 심하게 열악하지는 않았기에, 중간 착취나 노동강도 문제로 분쟁이 생기는 정도였다. 그러나 러일간 분쟁이 가시화 되어 속성공사가 추진되면서 일본계 토건업체나 심지어 일본군의 철도대대나 공병대까지 투입되는 상황이 되면서 인근 주민을 강제동원하고, 지방관청으로부터 자원을 공출하는 식이 되면서 갈등이 첨예화되었다. 여기에 군표나 수표 지급에 따른 교환 손실, 다단계 하청에 따른 부당 공제, 농번기 강제동원이나 징발, 약탈 등으로 인한 손실등은 고스란히 한국인들의 피해로 이어졌다. 또한 폭행이나 살인까지 벌어져 치안이 지극히 악화되었고, 지방관들 조차 일인들을 통제할 수 없어 오히려 구타를 당하는 지경까지 이르기까지 하였다.[21].

이런 불만은 철도 시설에 대한 공격으로 이어지게 된다. 선로에 바위를 올려놓거나, 시설물을 파괴하는 일이 일어나고, 열차에 돌은 던지는 경우도 종종 발생하였다. 또한 이런 파괴행위가 의병운동으로 조직화되어 역을 습격하기에 이르기도 하였다. 또한, 노동 동원에 개입하여 이득을 보던 일본계 건설업자나 지방관이나 아전들이 습격을 당하기도 하였다. 이런 저항 사례 중 특히 잘 알려진 것으로, 1905년 11월 22일에 발생하였던 열차 투석으로 이토 히로부미가 유리파편을 뒤집어써서 경상을 입은 사건이 있다. 이러한 저항에 대응하기 위해 일본은 한국정부에 치안을 압박하다 못해, 러일전쟁기에는 치안 유지를 위해 군정과 군율을 동원해 폭압적으로 대응하기까지 하였다.[22]

개통 이후 일제강점기까지

국유화와 조직개편

러일전쟁이 1905년 9월에 강화조약으로 종결되면서 일본은 사실상 한반도에서 지배적인 지위를 획득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철도 사업에 대해서도 구태여 주식회사의 형태로 놔둘 이유가 거의 없어지게 되었다. 이미 1902년에 경인철도를 경부철도 주식회사에 합병하여 영등포 이북 구간을 경부철도가 공용하도록 개편해 둔 상태였지만, 한편으로 전쟁중에 임시군용철도통감부에서 건설권을 강탈에 부설을 실시한 경의선 및 건설중인 경원선이 별개로 존재하고 있었다. 이를 두고 일본 정부 부처간의 논의 끝에 조선통감부를 설치하고 여기에서 경영케 하도록 하는 방침이 결정되어, 1906년 6월에 경부철도를 정부가 매수하여 국유화 하는 것이 결정되었다.[23]

이에 따라 동년 7월에 통감부 철도관리국이 설치되어 한국 내에 설치된 경인, 경부, 경의, 경원 각 철도의 통일 경영을 개시하게 되었다. 그러나 전쟁 이후의 경기 냉각으로 경영여건이 극히 악화되었던 바 그 조직을 추곳하고 경비절감을 꾀할 수 밖에 되어 이후 1909년에는 다시 통감부 철도청으로 개칭하여 조직을 축소개편하였고, 이후 다시 일본 본토의 철도원 소관으로 일원화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을사늑약 체결로 대한제국이 멸망하고 총독부가 설립되면서, 1년여만에 최종적으로 총독부 철도국이 한국 내의 철도를 총괄하게 되었다.[24]

초창기 개량공사

국유화 이후 선로상태가 열악한 가설선 수준의 경의철도 개량이 일단락 되면서 경부선의 본격적인 개량이 추진되었다. 다수의 임시 가설구간이 존재하던 철도였기 때문에 급구배와 급곡선을 최대한 축소하려는 공사를 실시하였다. 대표적으로 약목~김천 사이의 구간은 금오산 남쪽의 산기슭을 터널로 관통하는 선형이었는데, 이를 폐지하고 구미, 대신을 경유하는 완경사의 우회선을 새로 건설하기도 하였다.

또한 초량까지만 건설된 철도를 남쪽으로 연장하고, 부산항의 축조와 더불어 열차가 직접 부두에 진입할 수 있는 인입선 공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부산역과 구 부산잔교역이 정비되어서 전체 구간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1912년에는 한강교량을 복선화, 1914년에는 노량진용산의 구내 개량사업을 완료하여 경인선과 공용하는 구간의 용량을 확충하였다.

성현터널 주변 역시 1920년에 개량공사에 착수하여 2,323m의 신규 터널을 굴착하고 터널 전후의 경사도도 20퍼밀에서 10퍼밀로 완만하게 바꾸었으며, 이때 남성현역을 설치하여 1923년 5월부터 운행을 개시하게 되었다. [25]

복선화

경부선은 일제 당시 가장 핵심 간선으로서 지속적인 개량과 정거장의 증설, 열차 증강이 이어졌으나. 1930년대에 이르러 근본적인 시설 개량이 필요할 정도가 되었으며 이에 따라 경의선과 함께 복선화 및 시설 대개량이 결정되어 1937년부터 착수가 되었다. 당시 일본에서는 신간선의 전신인 탄환열차 건설계획이 구상되고 있는 상황으로, 이에 호응하여 가급적 구배와 곡선이 최소화된 노선으로의 개량이 꾀해지지만 중일전쟁의 개전에 따른 물가상승 및 자재난으로 인해서 극적인 개량에는 이르지 못하고, 최소곡선반경 600m, 최대경사는 8퍼밀로 하되 하행선로에 한해 10퍼밀까지 허용하는 기준 하에 복선화 개량이 착수되게 되었다[26].

개량공사 이전에 이미 1918년에는 부산~부산진간, 그리고 1919년에 영등포~서울간의 복선이 사용 개시되어 있었다. 1937년의 복선화 방침이 확정될 즈음에 1936년부터 이미 일대의 공사가 착착 착수되어서, 1937년에는 부산진~삼랑진간 46.3km와 영등포~대전간 158.1km의 복선 공사가 착수되었으며, 1940년에는 삼랑진~대전간 234.0km구간이 착수되었다.

부산진~삼랑진간은 1940년 4월에 복선운전이 개시되었으며, 삼랑진~대전간은 1943년에 완성구간에 한한 복선운전이, 대전~영등포간은 1939년 6월에 복선운전이 개시되었다. 그러나 당초 1944년에 전구간의 복선운전을 실시하는 방침은 전쟁으로 인한 공사의 급증과 물가, 자재난으로 인해서 그 달성이 매우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었다. 특히 1939년에는 철강 등 주요자재의 할당제도가 실시되면서 교량 등의 핵심 시설물 건설을 위한 자재 확보가 어려워서 그 진척이 심각하게 지연되었다. 1944년 7월에 사이판 함락에 따른 전황의 악화에 따라 전쟁 중의 물자 전가수송이 더더욱 중시되게 되면서, 만철이나 조선 내의 사철 등지에서 레일을 공출하여 복선화 및 조차장 건설 등에 자재를 충당하는 방침이 결정되었다. 이에 힘입어 1944년 12월에는 복선의 부설이 완료되어, 1945년 2월 25일에 전 구간의 복선 운전이 개시되었다. 다만, 교량 부설이 크게 지연된 낙동강교량과 경의선 청천강교량 및 대령강교량은 단선 운행이 실시되었으나, 최종적으로 1945년 6월 1일에 전 구간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해방 이후

해방 직후 상황

경부선은 핵심 항만인 부산항과 서울을 연결하는 철도로서 해방 직후의 혼란에서 경인선과 함께 가장 우선적으로 복구와 운행 재개가 이루어졌다. 차량과 시설은 전쟁 당시의 육운전가수송으로 인한 혹사와 인력, 자재 부족으로 인한 보수의 미비로 인해 상당히 피폐해져 있었고, 해방 전후에는 석탄 등의 수급마저 멈춰서 사실상 운행중단 상태에 빠져있었다. 이 상황 하에서 행정을 인수한 미군정은 정상화를 위해 한국인 직원의 협조를 얻기 위해 일본인 직원의 해고 및 귀국을 단행하였고, 이로 생긴 공백을 해결하기 위해 미군의 철도대대를 1945년 11월부터 각각 서울과 부산에 투입하였다.[27]

해방 이후 탄광시설의 사보타지와 수입 유연탄 확보의 곤란으로 인해 1947년에 이르도록 열차 운행은 상당한 파행을 겪었지만, 이후 점차적으로 운행태세를 회복하기 시작했고 여객과 화물 수송량 역시 계속 증가하였다. 미국이 전시수송용으로 제작하여 유럽 등지에 투입하던 소리2형 증기기관차를 이시기에 대거 한국에 공여하여 동력차 수급에 기여했지만, 예비부품의 부족과 좌우대립으로 인한 사보타지, 분단 등으로 생긴 석탄, 전력 수급의 장애 등이 겹치면서 해방당시의 상황은 지극히 불안정하였으나, 정부수립 이후 느리게 정상화를 향해가고 있었다.

한국전쟁

이 상황에서 결정타를 입힌 것은 한국전쟁의 발발이었다. 개전 초기에 빠른 전선 후퇴 과정에서 정부는 경부선을 따라 후방으로 철수하였고, 이후 미군의 거부폭격으로 인해 서울 및 용산 일대의 철도시설이 큰 타격을 입었으며, 한강철교, 금강철교, 낙동강철교 등 주요 병참선에 걸치는 경부선의 철교 역시 폭파 처분되었다. 이후 인천상륙작전 이후 북한군의 철수에 따라 서울을 수복하고 복구작업이 개시되었지만, 1951년 1.4후퇴로 인해 재차 서울에서 철수하였다. 1951년 3월 14일에 이르러서야 재수복이 달성되었으며, 당시 격전과 남북간의 시설 사용거부 조치로 서울지구의 시설은 심각한 피해를 입게 되었다.

산업화 연간의 발전

여객수송의 발전

1955년 UN군 관할의 군수수송 우선 체제에서 다시 한국정부로 철도 관할이 이관되면서, 경부선을 위시한 각 철도의 복구와 발전이 본격화되었다. 동년 8월 15일에 특급 통일호가 운행개시하면서 서울~부산간의 7시간대 운전이 개시되었으며, 이는 이후 디젤 견인열차인 무궁화호가 6시간 30분, 그리고 이후 이보다 빠른 재건호의 투입으로 일제당시의 특급 보다 빠른 6시간 10분대 주파를 달성하게 되었다.

이후 산업화 연간의 여객과 화물의 물동량이 급증하면서 경부선의 교통량은 이후 지속 증가추세를 보이게 된다. 이에 따라 설비의 현대화도 적극 추진되어, 자동폐색장치(ABS)의 도입 및 관광호 운행의 안전확보를 위한 ATS의 도입도 1960년대에 이루어진다.

1974년에는 서울 지하철 및 경인, 경원선과 연계하여 서울~수원 간의 전철화가 개통되어 전동열차의 운행이 개시되었다. 다만 이 당시에는 일반열차들과 복선을 공유하였기에 배차간격은 40분에 1대 정도에 그치는 수준이었다.

컨테이너 수송과 화물 기능의 집적화

경부선 화물의 주종을 이루는 컨테이너 화물의 도입은 1973년에 용산~부산간의 노선으로 최초로 시작되었다. 이후 도로의 발달로 유개차 수송에 의존하던 일반 잡화들이 쇠퇴하였으나, 컨테이너 수송은 꾸준히 성장세를 유지하였다. 이후 화물취급의 효율화를 위하여 남부화물기지(현재의 오봉역) 및 부산진역의 개량, 부곡역의 조차장화 및 대전조차장 설치가 이루어졌으며, 경부선 각역의 대피선 증설 및 유효장 확대 또한 병행되었다.

혼잡문제의 대두

핵심 간선인 경부선 연선은 다수의 인구와 대량의 산업이 집적되어 있었던 만큼 산업화 시기의 높은 경제성장률에 힘입어 그 여객과 화물 수요가 급속히 성장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처리능력의 한계가 보이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다수의 대책이 제안되었으며, 그 중에는 경부고속철도도 포함되어 있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경제규모나 재정적 여유가 부족한 상황에서 실제 적극적인 추진은 90년대까지 미루어졌으며, 그 중간 대안으로 전철화와 복복선화가 추진되었다. [28]

영등포에서 수원에 이르는 부분 복복선화는 1976년 6월에 제4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에 포함되어 77년부터 80년까지의 계획으로 추진되었으며, 1981년 12월 23일에 개통되었다. 이를 통해 일반열차와 전동열차가 별개의 선로를 사용하게 되면서 선로용량이 대폭 확충되었으나, 수원역에서 전동열차 회차시의 교차지장이 잔존하여 이 부분이 추후 추가 복복선화가 진행될 때 까지 병목으로 작용하게 되었다.

한편으로 1975년에 경부선 전구간에 걸친 전철화계획이 수립되었다. 이는 특히 1973년 10월 발발한 "욤 키푸르" 제4차 중동전쟁으로 인해 제1차 오일쇼크로 유가가 급등하면서 철도운영에 상당한 위기를 겪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유럽 혼성 차관을 협의하는 과정에서 투입 대비 효율에 대한 의문으로 중단되기도 하였으며[29], 이후 전철화 계획은 신경부선 등의 고속전철 대안과 경합하면서 추가로 진척되지 못한 채 다음 시대를 기다리게 되었다.

고속화와 PP새마을의 등장

1980년대에 이르러서는 고속철도 도입 지연을 만회하기 위한 여객열차의 증속이 추진되었다. 이미 관광호 차량 도입시점에 150km/h 대응이 가능한 객차를 도입하고 있었으나, 신호 및 시설 수준은 이에 미치지 못할 뿐더러, 동력차의 성능 역시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종합적인 증속을 추진하기 위하여 선로, 차량, 신호, 운전분야에 걸쳐 경부선 속도향상위원회가 1984년 6월 7일 구성되었으며, 차량의 개선 및 궤도 중량화, 시설 기준 개량, 등의 개량과 함께 최고속도 135km/h를 낼 수 있는 표준선구를 설정하여 최대한의 속달화를 추진하였다.[30]

이를 통해 1985년 열차시각 개정을 통해 기존 4시간 40분에 주파하던 새마을호는 4시간 10분의 운전시간을 달성하게 되었다.[31] 물론 이를 위해서 정차역은 이른바 "서대동부"라 불리는, 대전과 동대구만 정차하는 극단적인 속달운전을 실시하는 상황이었으나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속도를 달성하였다.

이후 1987년에는 새마을호의 고급화를 달성하기 위한 전후동력형 새마을호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 차량은 경량화된 동력차(축중 17톤)을 전후에 연결한 동차형의 차량으로, 고출력에 기반한 고속성능과, 종착역에서의 입환이 생략되어 그 운용효율이 높아서 상당기간 경부선의 간판열차로 활약하였다.

근래의 발전

병점차량기지 신설 및 복복선 구간 연장

PP새마을의 투입과 여객열차의 증강이 잇따르긴 했지만 90년대의 경부선은 혼잡이 격심하여 주말에는 좌석매진이 일상이었다. 또한, 수원역에서 전동열차의 반복을 위해서 교차지장이 생기는 문제로 전동열차 증강의 어려움은 물론, 안전 문제[32]까지 있어서 그 해결이 필요한 실정이었다.

이에 따라 경부선 복복선을 천안까지 연장하고, 중간에 병점에 차량기지를 신설하여 전동열차를 대폭 증강, 지속되는 좌석난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1991년에 천안까지의 복복선화 사업에 착수하였으며[33], 중복투자 논란 및 용지매수 지연 등의 우여곡절을 거치면서[34] 당초 계획된 95년에서 5년여가 지연된 끝에 2003년 4월 30일에는 수도권전철의 병점연장 및 병점차량기지가 이루어져 수원역에서의 교차지장 문제가 해소되었으며, 2005년 1월 20일에는 천안 연장과 상시 급행열차 운행이 개시되었다.

전철화

경부고속철도가 1992년 기공되어 우여곡절을 겪은 끝에, 전구간 동시개통이 아닌 단계별 개통으로 변경되었고 이에 따라 기존선인 경부선을 활용한 운행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장기 보류되었던 수도권전철 구간 외의 구간의 전철화가 결정되었으며, 이에 따라 2004년에 경부선 대전조차장~옥천역구간, 신동역~부산역구간의 개량과 전철화가 이루어지게 되었다. 병행하여 급곡선구간의 직선화와 건널목 입체화, 터널 및 교량의 개량공사 등도 진행되었다.

또한 경부선 잔여구간의 전철화 역시 2002년에 착공, 순차적으로 진행되어서 천안~대전조차장 까지의 전철화가 2005년에, 옥천~신동 구간의 전철화가 2006년에 달성되어 디젤기관차에 의해 운행하던 일반열차들의 전기견인이 개시되었다.[35].

연표

개통부터 해방까지

  • 1901년 6월 25일 : 경부철도주식회사 설립
  • 1901년 8월 22일 : 북부구간(영등포~명학) 기공식
  • 1901년 9월 21일 : 남부구간(초량~구포) 기공식
  • 1903년 11월 1일 : 경인철도 인수 합병
  • 1904년 12월 28일 : 일본정부 경부철도 속성칙령 발표
  • 1905년 1월 1일 : 서울~초량 간 전구간 445.6km 영업개시
  • 1907년 1월 40일 : 급행열차 융희호 운행
  • 1909년 11월 11일 : 부산~초량간 복선운전 개시
  • 1916년 11월 1일 : 김천~대구간 개량공사로 구미 경유로 변경
  • 1920년 10월 15일 : 초량~부산진간 복선운전 개시
  • 1923년 3월 1일 : 성현터널 구간 개량공사 준공
  • 1925년 7월 17일 : 을축대홍수로 운행중단
  • 1925년 9월 30일 : 경성역(현 서울역 구 역사) 준공
  • 1936년 7월 7일 : 부산진~삼랑진간 및 대전~영등포간 복선화 공사 착공
  • 1938년 5월 1일 : 영등포역을 남경성역으로 변경
  • 1939년 6월 15일 : 대전~영등포간 복선운전 개시
  • 1940년 4월 1일 : 부산진~삼랑진간 복선운전 개시
  • 1943년 4월 1일 : 남경성역을 영등포역으로 환원
  • 1945년 6월 1일 : 경부선 전구간 복선운전 완공

해방 이후

  • 1946년 11월 13일 : 영등포역 구내 충돌사고
  • 1950년 6월 28일 : 한강철교 폭파
  • 1950년 6월 30일 : 서울, 용산지구 사용거부 폭격 실시
  • 1950년 7월 12일 : 금강철교 폭파
  • 1950년 8월 3일 : 왜관~약목간 낙동강철교 폭파
  • 1950년 9월 23일 : 경부선 복구 개시
  • 1951년 4월 3일 : 한강철교 임시선 개통
  • 1951년 4월 18일 : 낙동강철교 가복구 준공
  • 1951년 6월 12일 : 한강철교 A선 가복구 준공
  • 1951년 7월 15일 : 서울~부산간 직통여객열차(103, 104열차) 운행
  • 1952년 4월 30일 : 낙동강철교 본복구공사 준공 개통
  • 1952년 6월 30일 : 한강철교 B선 복구
  • 1954년 1월 3일 : 경부선 병점~오산간 건널목 사고(789열차와 육군 트럭 충돌. 사망 56명, 부상 78명)
  • 1955년 3월 2일 : 부산역 구내 열차화재사고(6열차 객차 발화, 사망 42명, 부상 45명)
  • 1955년 6월 1일 : UN군으로부터 철도운영권 인수
  • 1955년 8월 15일 : 서울~부산간 특급 통일호 운행
  • 1957년 8월 30일 : 특급 통일호 운전시간을 7시간으로 단축
  • 1958년 2월 3일 : 영등포역 406열차 객차전복 탈선사고(사망 5명, 부상 30명)
  • 1960년 1월 26일 : 서울역 승객 압사사고(사망 31명)
  • 1960년 2월 21일 : 특급 무궁화호 운행 개시, 운전시간 6시간 30분 달성
  • 1962년 5월 15일 : 특급 재건호 운행 개시, 운전시간 6시간 10분 달성
  • 1966년 3월 16일 : 경부선 화물열차 수출호 최초 운행
  • 1966년 7월 21일 : 특급 맹호호 운행 개시, 운전시간 5시간 45분 달성
  • 1966년 12월 7일 : 영등포~시흥간 장대레일 갱환 설치 완공
  • 1967년 8월 31일 : 증기기관차 종운식(서울역)
  • 1969년 2월 10일 : 특급 관광호 운행 개시
  • 1969년 4월 5일 : 열차자동정지장치(ATS) 설치공사 완료
  • 1969년 6월 10일 : 초특급 관광호, 4시간 45분으로 운전시간 단축
  • 1970년 11월 25일 : 수도권 전철화 조사 측량 착수
  • 1971년 4월 7일 : 전철공사 착공
  • 1971년 12월 29일 : 동대구역 역사 신축 준공

수도권전철 개업 이후

  • 1974년 6월 30일 : 수도권전철 공사 완공 및 구로 전철역사 준공
  • 1974년 8월 15일 : 서울~수원 구간 전철화 개통과 함께 통근형 전동차(1호선) 운행 개시. 남영역, 대방역, 가리봉역, 관악역, 명학역, 화서역 개업 및 증약역 폐지. 지선인 구로선(구로~가리봉) 개통 (현재의 경부3선으로 추정)[36]
  • 1977년 12월 30일 : 부산역 및 용산역 컨테이너 기지 준공
  • 1981년 12월 23일 : 경부 영등포~수원간 복복선 개통
  • 1984년 8월 31일 : 경부선 서정리~천안간 새마을호 150km/h 주행 시운전 성공
  • 1987년 7월 6일 : 전후동력형 새마을호 열차 운행 개시
  • 1991년 11월 23일 : 영등포~구로간 3복선 개통
  • 2003년 4월 30일 : 경부선 수원 병점간 복복선 개통
  • 2005년 1월 20일 : 경부선 병점~천안간 복복선 개통
  • 2005년 7월 1일 : 경부선 조치원~대전조차장 간 전철화 개통
  • 2006년 12월 8 일 : 경부선 전구간 전철화 개통
  • 2006년 12월 15일 : 광명셔틀열차 개통(용산~광명간)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201에서 302로 변경[37]

운행

높은 이동 수요 탓에 전 구간에 걸쳐서 여객 · 화물 가릴 것 없이 많은 열차가 운행된다. 여기서는 여객 열차 위주로 서술한다.

대한민국 철도의 특성상, 서울로 들어갈 수 있는 경로가 제한되어 있어 경부선은 서울과 부산 간을 잇는 열차만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등의 열차도 사용한다. 이외에도 경전선 방면 열차 역시 말단부에서 경부선을 사용하여 운행한다. 때문에 들어오는 계통이 상당히 다양하며, 여기서는 경부선 열차로 불리는 노선들에 대해서만 기재해둔다.

고속철도

KTX는 최초 운행 시부터 경부선 기존선을 활용하고 있다. 서울 ~ 금천구청의 경우 모든 서울·용산을 정차하는 고속열차가 사용하며, 이 외에도 접근성을 위해 기존선 경유 열차도 운행되고 있다. 고속선은 경부고속선을 참조하기 바라며, 기존선 경유 열차는 다음과 같다.

또, 경전선 KTX는 동대구 ~ 밀양 구간을, 서대구에 정차하는 일부 KTX는 신동 ~ 동대구 구간을 사용한다. 자세한 사항은 마찬가지로 KTX 문서를 참조.

ITX-새마을 · 새마을호

ITX-새마을새마을호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현재 경부선 열차는 전부 ITX-새마을로 변경되었으며, 새마을호는 장항선 열차로만 운행된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동해선 구간이다.

  • ITX-새마을 (1000): 서울 - 영등포 - 수원 - 천안 -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 밀양 - 구포 - 부산 (1일 7왕복)
  • ITX-새마을 (1020): 서울 - (1000번대와 동일) - 구포 - 부전 - 신해운대 (1일 1왕복, 주말 1왕복 증편)

무궁화호

무궁화호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로, 현재 운행되는 경부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ITX-새마을 (1000)의 정차역에 더해 더 많은 역을 정차하나 정차역의 패턴은 일정치 않다. 마찬가지로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운행횟수는 구간운행 열차를 포함한다.

  • 무궁화호 (1200, 1300):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김천 - 구미 - 동대구 - 경산 - 밀양 - 구포 - 부산 (1일 27왕복[38])

수도권 전철

최초에 수도권 전철이 개통할 당시부터 서울과 수원간의 지역 통근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역간 거리를 좁혀 역을 신설하여 국철로써 운행된 것이 경부선에서의 수도권 전철 운행의 시작이었다. 대한민국이 발전하면서 서울과 부산간의 이동 수요가 크게 늘어났을 뿐만 아니라 호남선, 전라선 등의 열차도 이 노선을 쓰는 탓에 서울부터 천안까지의 선로가 포화 상태에 이르렀다. 때문에 1990년대부터 수도권 전철을 천안까지 연장하는 계획이 시작되었으며, 2005년부터 해당 구간에 수도권 전철이 운행되고 있다.

역 목록

서울 ~ 천안

  • : 수원 경유 KTX, : ITX-새마을 및 새마을, : 무궁화호, : 1호선 급행열차 (청량리~천안·신창)
  • 수도권 전철 1호선 일반열차 모든 역에 정차
  • : 경부선, 경전선 계통
  • :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 계통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0.0 서울 경의선 (연결): 경의·중앙선
1호선, 4호선, 공항철도
GTX A노선 (예정)
용산구
- (분기점) 1호선 (연결)
134 1.7 남영
135 3.2 용산 용산선, 경원선: 경의·중앙선
4호선 (신용산역, 수도권 전철간 환승 할인 없음)
4.0 (분기점) 용산삼각선 (연결)
136 5.8 노량진 9호선 동작구
137 7.3 대방 신림선 영등포구
138 8.1 신길 5호선
139 9.1 영등포 신안산선 (예정)
140 10.6 신도림 2호선 본선 · 신정지선 구로구
141 11.7 구로 경인선 (연결): 1호선 직결운행
구로기지선 (연결)
13.0 (분기점) 구로삼각선 (연결)
P142 14.1 가산디지털단지 7호선 금천구
P143 16.1 독산
P144 17.3 금천구청
17.7 (분기점) 시흥연결선 (연결): 1호선 직결운행
P145 19.6 석수 신안산선 (예정) 안양시
P146 21.5 관악
P147 23.9 안양 경강선 (예정)
P148 26.1 명학
P149 27.5 금정 과천선 · 안산선: 4호선 군포시
P150 29.7 군포
P151 31.3 당정
P152 33.9 의왕 남부화물기지선 (연결) 의왕시
P153 36.8 성균관대 수원시
P154 39.4 화서
P155 41.5 수원 분당선 · 수인선: 수인·분당선
P156 44.4 세류
P157 48.7 병점 병점기지선 (연결): 1호선 직결운행 화성시
P158 51.1 세마 오산시
P159 53.8 오산대
P160 56.5 오산
P161 60.5 진위 평택시
P162 64.3 송탄
P163 66.5 서정리 평택고속연결선 (연결) (예정)
P164 71.3 평택지제 수서평택고속선: SRT
71.8 (분기점) 평택삼각선 (연결)
74.7 (분기점) 평택직결선 (연결)
P165 75.0 평택 평택선 (연결)
P166 84.4 성환 천안시
P167 89.8 직산
P168 93.6 두정 천안직결선 (연결): 1호선 직결운행
P169 96.6 천안 천안직결선 · 장항선: 1호선

소정리 ~ 추풍령

  • : 수원 경유 KTX, : ITX-새마을, : 무궁화호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107.4 소정리 세종특별자치시
114.9 전의
122.6 전동
126.1 서창 오송선 (연결)
129.3 조치원 충북선 (연결)
134.9 내판
139.8 부강 부강화물선 (연결)
144.4 매포
151.9 신탄진 대덕구
157.5 회덕
161.6 대전조차장 경부고속선, 호남선 (연결)
166.3 대전 1호선
경부고속선, 대전선 (연결)
동구
173.6 세천
경부고속선 직결운행
182.5 옥천 옥천군
190.8 이원
196.4 지탄
200.8 심천 영동군
204.6 각계
211.6 영동
226.2 황간
234.7 추풍령

신암 ~ 부산

  • : 구포 경유 KTX, : ITX-새마을, : 무궁화호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240.7 신암
경부고속선 직결운행
김천시
246.2 직지사
253.8 김천 경북선 (연결)
263.5 대신
269.2 아포
276.7 구미 구미시
281.3 사곡
- 북삼 (미개통) 칠곡군
289.5 약목
296.0 왜관
302.2 연화
305.9 신동 신동화물선 (연결)
308.2 연결선 (분기) 대구북연결선 (연결)
313.3 지천 서구
318.9 서대구
323.1 대구 1호선 북구
326.3 동대구 1호선
경부고속선 (연결)
동구
331.8 고모 수성구
333.4 가천 대구선 (연결)
338.6 경산 경산시
345.7 삼성
353.1 남성현 청도군
361.8 청도
367.4 신거
372.2 상동 밀양시
381.6 밀양
392.6 미전 미전선 (연결)
394.1 삼랑진 경전선 (연결)
403.2 원동 양산시
412.4 물금 양산화물선 (연결)
421.8 화명 북구
425.2 구포 3호선
430.3 사상 2호선, 부산김해경전철, 사상하단선 (예정)
가야선 (연결), 경전선 (예정)
사상구
439.9 부산진 동해선, 우암선, 1호선 (연결) 동구
441.7 부산 1호선
경부고속선 (연결)

폐역

지선

제1간선이다보니 아무래도 지선을 많이 가지고 있으며, 몇몇 지선은 꽤 긴 수준이다.

일반 지선
화물선
연결선
역과 역간을 연결하는 노선들로, 주로 입체교차를 위해 만든 노선들이다.
삼각선
일제시대에 건설된 경부선의 지선은 모두 부산 방면으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서울에서 출발한 열차가 지선을 이용하려면 방향을 돌려야 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오송선, (구)대전선, 미전선이 건설되었다.
기지선

천안직결선

{{{이름}}}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0207
구간 두정 ~ 천안
영업거리 3.1 km
역 수 2개
개통일 1979년 6월 15일
시설 정보
선로 2
신호 ATS
나머지 정보는 경부선과 동일

두정역천안역을 잇는 노선으로, 경부선을 입체교차해 장항선과 연결하는 기능을 가진 노선이다.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원래 천안역 분기로, 경부선과 장항선 방면으로 직결할 계획이 있었으나, 장항선 방면으로 직결할 계획만 남아있던 탓에, 장항선 구간은 개통하지 않았지만 장항선 천안역 구내를 사용하도록 배선이 잡혔다. 이 때문에 고빈도로 운행되는 경부선과 수도권 전철 1호선 열차는 입체교차 전철 노선이 필요했고, 연결선을 이설 신설하게 된다.

경부선을 따라 천안역 북쪽에서 내려와 장항선으로 가는 모든 열차는 이 노선을 이용한다. 경부2선에서 분기하기 때문에, 장항선 일반열차는 반드시 두정역 초입에서 감속하여 선로전환기를 건너야만 하는 난점이 있다.

옛 천안직결선은 천안 서부 성정동 부지를 크게 맴돌아 천안역 구내로 들어가는 노선이었으며, 이는 안성선과 직결하기 위했던 구조물로, 장항선의 전신이 사철이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는 개량되어 경부선 바로 옆에 붙어서 분기하고 있으며, 해당 부지는 천안축구센터 부지로 전용되어 사용 중이다.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P168 0.0 두정 경부선 (연결)
P169 3.1 천안 장항선 (연결)
경부선

용산삼각선

{{{이름}}}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0201
구간 경부선 분기점 (한강철교 인근) ~ 경원선 분기점 (한강대교 밑)
영업거리 0.5 km
개통일 불명
시설 정보
선로 1
신호 ATS
나머지 정보는 경부선과 동일

경부선 3선(전동급행) 하행과 경원선 하행 방향을 잇는 삼각선으로, 단선 평면교차 삼각선이다. 한강철교(A/B선) 북단에서 분기하며, 아주 좁은 곡선반경을 그리며, 경원선 한강대교 밑 절연구간으로 이어진다. 경원선 쪽은 공간도 모자라서 곡선부 통과 싱글슬립 분기기를 사용할 정도며, 때문에 운전에 여러모로 애로사항이 꽃피는 노선. 하지만 수도권 철도가 너무 빈약한 나머지 중앙선과 경부선을 직접 잇는 선로는 충북선까지 내려가야 있고, 다행히도 경부선 접속이 그나마 중요성이 조금 떨어지는 3선이다보니 어쩔 수 없이 이 노선이 사용되는 경우가 생각보다 자주 있다. 현재는 과감하게 분기를 이설해서 싱글슬립 및 장대 절연구간 문제가 해소되었다.

km 정거장 연계 노선
0.0 삼각선 (경부선) 경부선 (연결)
0.5 삼각선 (경원선) 경원선 (연결)

구로삼각선

{{{이름}}}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0202
구간 경부선 분기점 (구로기지 옆) ~ 경인선 분기점 (구일역 직전)
영업거리 1.2 km
개통일 불명(1992년~1996년 사이)
시설 정보
선로 1
신호 ATS
나머지 정보는 경부선과 동일

경부선과 경인선을 이어주는 삼각선이다. 경부선의 구로역가산디지털단지역 사이에서 분기하여 경인선의 구로역과 구일역 사이에서 경인선과 합류한다.

구로삼각선이 합류하는 경부선은 그야말로 대한민국에서 가장 열차빈도가 높은 지점으로, 정시성을 크게 개의치 않는 화물열차만 정기적으로 운행하며 그나마도 반드시 경부선을 경유해야만 하는 화물 위주로 소수만 설정되어 있다. 경인선 화물열차들 다수가 운전에 애로사항이 많은데도 용산삼각선을 경유하는 경로로 잡히는 이유가 이 구간을 통과하기가 매우 까다롭기 때문이다. 여객열차는 경인선 임시열차가 극히 드물게 설정된다. 역시 경부선 통과가 어렵기 때문.

km 정거장 연계 노선
0.0 삼각선 (경부선) 경부선 (연결)
1.2 삼각선 (경인선) 경인선 (연결)

오송선

{{{이름}}}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0208
구간 서창 ~ 오송
영업거리 4.6 km
역 수 2개
개통일 1978년 5월 1일
시설 정보
선로 2
신호 ATS
나머지 정보는 경부선과 동일

경부선 상행과 충북선 하행을 잇는 삼각선. 최초 개업시에는 서창선이라고 불렸으며, 동시에 서창신호장이 개설되었다. 조치원 방면의 충북선이 단선인데도 불구하고 삼각선이 복선이다. 미전선과 비슷한 케이스지만, 미전선은 그래도 여객 열차가 더 자주 다니는 경로니 그렇다 쳐도, 이 쪽은 여객열차가 별로 다니지 않음에도 복선이다. 그도 그럴 것이, 충북선은 중앙선 · 태백선 방면의 화물열차가 경부선에 도달할 수 있는 아주 좋은 경로고, 오송선은 수도권 방향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생긴 노선이기 때문이다. 실제로도 화물열차가 상당히 많이 다니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는 노선.

km 정거장 연계 노선
0.0 서창 경부선 (연결)
4.6 오송 충북선 (연결)

각주

  1. 서울~용산, 조치원~대전조차장, 구미~경산
  2. 서울의 명칭을 따져보면 엄밀히는 경성부의 영향으로 남은 것이기는 하다.
  3.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단, 철도거리표에서는 구분을 위해 '본선'으로 표기한다.
  4. 1857년생. 1925년 몰. 한문 시인 고노 텟토(河野鉄兜)의 아들. 1883년에 공부성 철도국 입국. 토목기사로 구레 진수부 건설공사 등에 관여하였다.
  5. 북향 기준, 남향 기준일 때는 좌안이 된다. 낙동강의 동쪽 하안 지역
  6. (1977) 《한국철도사》 제2권. 철도청, 9쪽
  7. 1857년생, 1931년 몰. 철도관료로 1884년 공부성 철도국 입부, 1896년에 퇴직하여 치쿠호 철도, 큐슈철도 사장을 역임. 1914년에 철도원 총재, 이후 철도대신 등을 역임하고, 1929년에 남만주철도 총재 취임.
  8. 1847년 생, 1921년 몰. 도막운동 참여로 경력을 시작하여, 메이지 이후 가나가와현 부지사까지 역임하다 반란사건에 연루되어 수감. 이후 중의원 역임. 동경주식거래소 대표 역임, 말년에는 사회단체인 제국공도회를 설립.
  9. 新橋. 설명에 따르면 논산서 10리, 강경서 20리 지점.
  10. 상게서, 9-10쪽.
  11. 1857년생, 1935년 몰. 토목기사로 일본토목(주)에 입사하여 큐슈철도, 지쿠호 철도, 모지항 축항 등에 종사. 이후 철도학교(현재의 이와쿠라 고교), 철도협회 등을 설립하였다. 1901년에 경부철도 기사장으로 입사하여, 1906년에 퇴사. 이후 도네발전(주) 사장, 조소철도(주) 취제역 등을 역임.
  12. 상게서, 11-12쪽.
  13. 상게서, 13쪽.
  14. 이후 철도원을 거쳐 철도성이 된다. 일본국유철도의 원류.
  15. 이는 추정컨대, 당시 이미 프랑스가 경부철도 및 경의철도 부설을 주장하고 있고, 경의선의 경우 대한제국 정부가 서북철도국을 통해 직접 공사를 추진하면서 재정상 미터궤를 잠정 채용하려는 의도를 보이기도 한지라, 여기에 편승하여 프랑스로부터 자재 도입을 꾀한 것으로 생각된다.
  16. 상게서, 15쪽.
  17. 상게서, 15쪽.
  18. (1999) 《한국철도100년사》. 철도청, 69-70쪽
  19. 현재의 진위역이 아닌 과거 존재했던 역으로, 오산과 서정리 사이에 존재했었다. 개업 당초의 역명 목록에는 무배치역으로 존재했으나, 1910년 경 시간표에서는 이미 폐지되었다. 현재 진위역 서북쪽에 위치해 있던 것으로 추정.
  20. 상게서. 30쪽.
  21. 상게서. 147-161.
  22. 상게서. 162-173
  23. 교통부 편 (1958). 《한국교통60년약사》. 교통교양조성회, 33쪽
  24. 상게서, 36-38쪽.
  25. 센코카이 (2017). 《조선교통사》 제2권. BG북갤러리, 52-57쪽
  26. 상게서, 66-68쪽.
  27. (1992) 《한국철도사》 제4권. 철도청, 76-77쪽
  28. 세종종합기술단 (1976). 《경부선 서울~부산간 수송력증강기본조사》. 삼광문화사, 9-12쪽
  29. “늘려야할 간선수송량 경부선전철화 계획 백지화 따른 과제”, 《매일경제》, 1974년 11월 28일 작성.
  30. (1999) 《한국철도차량 100년사》. (사)철도차량기술검정단, 1540-1546쪽
  31. "새마을호 서울→부산 30분 단축|여객열차 증설…운행시간 개편". 중앙일보, 1985년 11월 9일 보도.
  32. 과거 수원역의 전철 승강장은 1선 사이에 위치해 있는데다, 표준선구 종점이어서 상당한 고속으로 통과열차가 지나다녔었다. 안전대책으로 통과 열차 접근시에는 경광등과 경보음이 울리는 장치까지 설치되어 있었을 정도.
  33. “수도권전철 천안까지 연장”, 《동아일보》, 1991년 1월 17일 작성.
  34. “수원~천안 전철건설 중단될듯”, 《동아일보》, 1994년 5월 2일 작성.
  35. “경부선 개통 된지 101년만에 전구간 전철화완료”, 《전력신문》, 2006년 12월 10일 작성.
  36. 철도청 고시 제37호
  37.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38. 전구간은 12왕복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구로삼각선 문서의 339836판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