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선

Pikabot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5월 11일 (수) 16:49 판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북구 \(([^)]*)\) +[[\1 북구))
{{{이름}}}
나라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간선)
번호 311
구간 부산진 ~ 영덕
영업거리 188.9 km
역 수 37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1918년 10월 31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부전 ~ 포항)
1 (나머지)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부산진 ~ 포항)
신호 ATS, ATP (부산진 ~ 범일, 부전 ~ 포항)
ATS (나머지)
광역전철 정보는 해당 문단 참고

한반도의 동해안을 따라 건설될 예정인 철도로, 원래 계획은 일제강점기 때 세워졌으며 동해안 전체를 철도로 연결하고자 한 계획이었으나,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완공되지 못한 미성선이다. 동해안의 구간 세 곳에서 공사를 착공하였으나 일제가 패망하면서 각각의 구간이 동해북부선, 삼척선, 동해남부선으로 쪼개진 상태로 내려왔다. 2015년 4월 2일 동해선 포항 구간이 이설되며 동해선이 생겨났고, 2016년 말 동해선 부산 구간이 복선전철화되면서 동해남부선을 편입해 현재에 이르게 된다.

2015년 4월 2일부로 경부고속선에서 분기해 포항역까지 이르는 구간이 먼저 완성되면서, 이 구간이 동해선으로 개통되었다. 다만 동해남부선에 대한 이설이지만 구선 구간과 많이 이격되어 있었고, 운행 형태 역시 경부고속선의 지선을 신설하는 형태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구선의 즉각적인 폐선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또한 2016년 12월 30일에는 부전역부터 일광역까지의 구간이 복선전철화되면서 동해남부선이 동해선으로 편입되었으며, 복선전철화된 구간에는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전철이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역사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211에서 311로 변경[1]
  • 2021년 12월 28일: 일광~모량 복선전철 개통과 함께 광역전철 태화강까지 연장 운행 개시
  • 2022년 1월 5일: 동해선 강릉~제진 구간 기공식[2]

운행

서울 수요를 목적으로 장거리 열차 위주로 운행되는 다른 선구들과는 다르게, 동해선(동해남부선)은 오랜 기간 동안 근교 이동 수요를 목적으로 운행되는 열차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물론 과거에는 포항 및 울산으로부터 서울 발착 새마을호가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KTX로 전부 대체되었으며, 무궁화호 운행의 경우 상당수가 구간운행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객 안내의 경우, 과거에는 동해선(동해남부선) 전체를 동해남부선으로 안내하였으나, 운행 체계가 변경되면서 경주–포항 구간을 포함해 동대구–포항간을 대구선으로 나타내게 되었다. 현재도 일반열차 안내에서는 경주–포항 구간은 동해선임에도 불구하고 대구선으로 안내되고 있다.

고속철도

2015년 4월 2일부터 경부고속선의 지선격으로 KTX가 운행되고 있다. SRT의 경우 고속선 면허 밖에 없기에 해당 노선에서는 운행되지 않는다.

ITX-새마을

ITX-새마을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전술한대로 과거에는 포항 및 울산 발착의 새마을호도 운행했으나, 현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현재 운행되고 있는 계통은 발착역이 부산역에서 신해운대역으로 변경된 경부선 계통으로 취급되는 열차다.

무궁화호

무궁화호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다. 정차역은 일정치 않다. 경상도 및 부울경 지역에서 시종착하는 중단거리 노선은 RDC가 주로 투입되었지만 동차 노후화로 인해 근래에는 기관차가 견인하는 3량짜리 꼬마열차[3]로 대체되는 추세이다.

  • 무궁화호 (1620): (중앙선 경유 청량리 발착 ←) 경주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1일 2왕복)
  • 무궁화호 (1680): (중앙선 경유 동해 발착 ←) 경주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1일 1왕복)
  • 무궁화호 (1760): 포항 - 경주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1일 1왕복)
  • 무궁화호 (1770): (대구선 경유 동대구 발착 ←) 경주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1일 10왕복)
    • 2016년 12월 30일부터 3왕복은 동대구–태화강으로 구간단축되었다.
  • 무궁화호 (1943/4): 포항 - 경주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구포 (→ 경전선 경유 순천 발착) (1일 1왕복)

광역전철

부산 도시철도 및 연계 전철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이름}}}
종류 운행계통
구간 부전 ~ 태화강
영업거리 63.8 km
역 수 23개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2016년 12월 30일
경유노선 동해선
차량기지 부산, 울산차량사업소
시설 정보는 상단 틀 참고

부전역부터 일광역 까지 수도권 전철처럼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 중이다. 수도권 외 지역으로는 최초이다. 동해남부선 전철 구상은 굉장히 오래된 것으로, 이미 1995년에 공사가 시작되었지만, IMF가 터지고 수도권에 예산 집중이 가속화되면서 상대적으로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의 중요성을 떨어지는 것으로 취급하다보니 20년도 넘게 걸려 개통하게 되었다.

노선색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을 대표하는 색상을 따라 코레일 블루로 결정되었다. 운영은 한국철도공사 광역본부 및 부산경남본부에서 하고 있다. 배차간격은 평일 출퇴근 시간대 약 15분, 평시 약 30분, 휴일 낮 시간대 약 25분 간격의 구성으로 배차가 비교적 불규칙한 편이다. 차량 자체는 수가 어느 정도 확보되었음에도 배차간격이 넓은 것은 수요 예상이 아주 높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부산에서의 지원금이 부족했던 탓이 가장 크며, 이 때문에 연선 주민들을 시작으로 이용 불편에 대한 민원이 많이 제기되고 있는 편이다.

운임

전용 정기승차권

운임은 부산 도시철도의 기준을 준용하여 기본 요금 1,300원에 초과 운임을 10km마다 100원씩 물리고 있다. 승차권부산 도시철도에서 사용되는 마그네틱권 대신 부산김해경전철과 유사한 토큰을 사용한다.

수도권 전철과 다르게 부산 도시철도와 운임구역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어, 환승통로가 있는 환승역이어도 게이트를 2번 통과해야 한다. 그러나 일단 연락 운송을 체결, 교통카드 뿐이지만 일단 부산 시내버스나 부산 도시철도와의 환승이 인정된다. 다만 부산김해경전철이나 김해·양산 시내버스와는 환승되지 않는다.

동해선의 정기승차권은 레일플러스 기반 RF카드 형식으로 발급되며, 자재는 역무원한테서 살 수 있으며 2,000원을 받는다. 30일 60회권을 55,000원에 입력한다. 1구간 이용시 42회, 2구간 이용시 36회에 본전이 맞게 된다. 부산교통공사 정기승차권과 호환되지 않으므로 이 정기권으로 부산 도시철도부산김해경전철은 탈 수 없다.

역 목록

부산진 ~ 북울산

  • : 무궁화
  • 동해선 광역전철 전동차 부전~태화강 구간 모든 역에 정차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부산진 부전
0.0 - 부산진
미운행
1호선, 경부선, 우암선 (연결) 동구
2.1 - 범일 가야선 (연결) 부산진구
K110 4.6 0.0 부전 1호선 (간접환승)
부전선 (연결)
부전마산선 (연결) (예정)
K111 6.9 2.3 거제해맞이 연제구
K112 7.9 3.3 거제 3호선
K113 8.6 4.0 교대 1호선
K114 9.8 5.2 동래 4호선 (낙민역, 간접환승) 동래구
K115 10.7 6.1 안락
K116 12.0 7.4 부산원동
K117 13.0 8.4 재송 해운대구
K118 14.0 9.4 센텀
K119 15.4 10.8 벡스코 2호선
K120 19.9 15.3 신해운대
K121 22.8 18.2 송정
K122 23.9 19.3 오시리아 기장군
K123 29.6 25.0 기장
K124 32.6 28.0 일광
K125 37.7 33.1 좌천
K126 41.2 36.6 월내
K127 43.8 39.2 서생 울주군
K128 52.2 47.6 남창 온산선 (연결)
K129 56.6 52.0 망양 울산신항선, 울산기지선 (연결)
K130 61.1 56.5 덕하
K131 63.5 58.9 개운포 남구
K132 68.4 63.8 태화강 울산항선 (연결)
K133 78.1 73.5 북울산 북구

북울산 ~ 영덕

  • 영해~삼척 구간은 아직 개통하지 않았다. 역명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
  • : 무궁화호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78.1 북울산 울산광역시
북구
89.8 외동
110.3 신경주 경부고속선 (연결) 경주시
114.7 모량 건천연결선 (연결)
122.9 서경주
133.7 안강
139.5 부조 괴동선 (연결)
149.7 포항 영일만항선 (연결) 포항시
165.0 월포
174.1 장사 영덕군
181.7 강구
188.3 영덕
188.9 (종점)
영해 영덕군
병곡
후포 울진군
평해
기성
원남
울진
죽변
북면
원덕 삼척시
임원
매원
삼척 삼척선 (연결)

강릉 ~ 제진 (미개통)

동해선의 북부 구간으로 춘천속초선동해북부선과 연결된다. 아래 역명은 강릉과 제진을 제외하면 모두 미정이다.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강릉 경강선 강릉시
주문진
38선 양양군
양양
속초 속초시
간성 고성군
화진포
제진 동해북부선 (연결)

폐역

지선

동해선은 동남임해공업지구와 인접한 특성상 동남임해공업지구의 대규모 중화학공업단지와 연계된 화물 지선들이 많이 놓여있다.

일반지선
화물선
기지선

부전선

{{{이름}}}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1102
구간 가야 ~ 부전
영업거리 2.2 km
역 수 2개
개통일 1944년 6월 10일
시설 정보
신호 ATS
나머지 정보는 동해선과 동일

부전선은 동해선과 가야선을 이어주는 삼각선이자 기지선이다. 가야선의 가야역에서 분기하여 동해선의 부전역에서 합류한다.

목포무궁화호 열차가 동해선 부전역에 정차한 뒤, 부전선을 통해 가야선의 사상역으로 간다.

원래 명칭은 조동선(操東線)이었지만, 1955년 9월 1일 부전선으로 이름을 바꾸었다.[4]

km 역명 연계 노선
0.0 가야 가야선 (연결)
2.2 부전 동해선 (연결)

문현선

{{{이름}}}
종류 일반철도(지선)
구간 부산진 ~ 우암
영업거리 4.7 km
역 수 2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운영자 철도청
개통일 1944년 6월 10일 (개통)
1958년 3월 11일 (명명)[5]
폐지일 1972년 4월 1일[6]
시설 정보
선로 1
전기 비전철
신호 불명

문현선부산진역(구 부산역)과 우암역을 잇는 화물선이었다.

km 역명 연계 노선
0.0 부산진 경부선 (연결)
4.7 우암 우암선 (연결)

각주

  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
  2. 철도, 평화를 품고! 대륙을 향해 달리다!,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3. 디젤 기관차가 견인하는 경우 발전차 포함 4량
  4. 교통부 고시 제432호 (1955년 8월 30일)
  5. 교통부 고시 제514호 (1958년 3월 4일)
  6. 철도청 고시 제73호 (1972년 11월 24일)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동해선 광역전철 문서의 1069720판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