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해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누리로(토론)의 편집을 Pika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태그: 일괄 되돌리기
212번째 줄: 212번째 줄:
| style="text-align: right;" | 18.2
| style="text-align: right;" | 18.2
| [[송정역 (부산)|송정]]
| [[송정역 (부산)|송정]]
| rowspan="12" style="width: 1.2em; line-height: 120%; background: #eee;" | 미운행
| rowspan="11" style="width: 1.2em; line-height: 120%; background: #eee;" | 미운행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258번째 줄: 258번째 줄: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6" | [[울산광역시]]
| rowspan="5" | [[울산광역시]]
| rowspan="3" | [[울주군]]
| rowspan="3" | [[울주군]]
|-
|-
278번째 줄: 278번째 줄:
| style="text-align: right;" | 64.5
| style="text-align: right;" | 64.5
| style="text-align: right; background: #eee;" | -
| style="text-align: right; background: #eee;" | -
| [[선암역|개운포]]
| [[선암역|선암]]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style="text-align: left;" |  
289번째 줄: 289번째 줄: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울산항선]] (연결)
| style="text-align: left;" | [[울산항선]] (연결)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부산|동해}};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background: #eee;" | -
| [[북울산역|북울산]]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2" | [[북구 (울산)|북구]]
|-
|-
|}
|}
469번째 줄: 461번째 줄:
* 포항~태화강 구간(포항 울산 복선전철 사업)
* 포항~태화강 구간(포항 울산 복선전철 사업)
** 복선전철화하면서 경주역으로 가던 노선을 신경주역으로 이설할 예정이다.  
** 복선전철화하면서 경주역으로 가던 노선을 신경주역으로 이설할 예정이다.  
*** [[태화강역|태화강]] - [[북울산역|북울산]] - [[신경주역|신경주]] - [[모량역|모량]] - [[나원역|나원]]<ref>[[서경주역]]으로 역명이 바뀔 수도 있다.</ref> - [[안강역|안강]] - [[부조역|부조]] - [[포항역|포항]]
*** [[태화강역|태화강]] - [[송정역 (울산)|송정]] - [[입실역|입실]] - [[신경주역|신경주]] - [[모량역|모량]] - [[나원역|나원]]<ref>[[서경주역]]으로 역명이 바뀔 수도 있다.</ref> - [[안강역|안강]] - [[부조역|부조]] - [[포항역|포항]]


== 지선 ==
== 지선 ==

2021년 3월 10일 (수) 09:48 판

{{{이름}}}
나라 대한민국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간선)
번호 311
구간
(142.5 km, 40개)
(74.3 km, 7개)
(총 216.8 km, 46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1918년 10월 31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부전 ~ 일광, 모량 ~ 포항)
1 (나머지)
전기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부산진 ~ 일광, 모량 ~ 포항)
비전철 (나머지)
신호 ATS/ATP[1]

한반도의 동해안을 따라 건설될 예정인 철도로, 원래 계획은 일제강점기 때 세워졌으며 동해안 전체를 철도로 연결하고자 한 계획이었으나, 100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완공되지 못한 미성선이다. 동해안의 구간 세 곳에서 공사를 착공하였으나 일제가 패망하면서 각각의 구간이 동해북부선, 삼척선, 동해남부선으로 쪼개진 상태로 내려왔다. 2015년 4월 2일 동해선 포항 구간이 이설되며 동해선이 생겨났고, 2016년 말 동해선 부산 구간이 복선전철화되면서 동해남부선을 편입해 현재에 이르게 된다.

2015년 4월 2일부로 경부고속선에서 분기해 포항역까지 이르는 구간이 먼저 완성되면서, 이 구간이 동해선으로 개통되었다. 다만 동해남부선에 대한 이설이지만 구선 구간과 많이 이격되어 있었고, 운행 형태 역시 경부고속철도의 지선을 신설하는 형태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구선의 즉각적인 폐선이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또한 2016년 12월 30일에는 부전역부터 일광역까지의 구간이 복선전철화되면서 동해남부선이 동해선으로 편입되었으며, 복선전철화된 구간에는 비수도권 최초의 광역전철이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역사

운행

서울 수요를 목적으로 장거리 열차 위주로 운행되는 다른 선구들과는 다르게, 동해선(동해남부선)은 오랜 기간 동안 근교 이동 수요를 목적으로 운행되는 열차의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물론 과거에는 포항 및 울산으로부터 서울 발착 새마을호가 운행되었으나, 현재는 KTX로 전부 대체되었으며, 무궁화호 운행의 경우 상당수가 구간운행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여객 안내의 경우, 과거에는 동해선(동해남부선) 전체를 동해남부선으로 안내하였으나, 운행 체계가 변경되면서 경주–포항 구간을 포함해 동대구–포항간을 대구선으로 나타내게 되었다. 현재도 일반열차 안내에서는 경주–포항 구간은 동해선임에도 불구하고 대구선으로 안내되고 있다.

고속철도

2015년 4월 2일부터 경부고속철도의 지선격으로 KTX가 운행되고 있다. SRT의 경우 고속선 면허 밖에 없기에 해당 노선에서는 운행되지 않는다.

ITX-새마을

ITX-새마을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전술한대로 과거에는 포항 및 울산 발착의 새마을호도 운행했으나, 현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현재 운행되고 있는 계통은 경부선 말단부의 발착역이 부산역이 아닌 신해운대역으로 변경된 열차다.

무궁화호

무궁화호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다. 정차역은 일정치 않다.

  • 무궁화호 (1620): (중앙선 경유 청량리 발착 ←) 경주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1일 2왕복)
  • 무궁화호 (1680): (중앙선 경유 동해 발착 ←) 경주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1일 1왕복)
  • 무궁화호 (1760): 포항 - 경주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1일 1왕복)
  • 무궁화호 (1770): (대구선 경유 동대구 발착 ←) 경주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1일 10왕복)
    • 2016년 12월 30일부터 3왕복은 동대구–태화강으로 구간단축되었다.
  • 무궁화호 (1943/4): 포항 - 경주 - 태화강 - 기장 - 신해운대 - 센텀 - 부전 - 구포 (→ 경전선 경유 순천 발착) (1일 1왕복)

광역전철

부산 도시철도 및 연계 전철노선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부산김해경전철 동해선
{{{이름}}}
종류 운행 계통
구간 부전 ~ 일광 (28.0 km, 15개)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2016년 12월 30일
차량기지 부산, 덕하차량사업소 (건설중)

부전역부터 일광역 까지 수도권 전철처럼 통근형 전동차가 운행 중이다. 수도권 외 지역으로는 최초이다. 동해남부선 전철 구상은 굉장히 오래된 것으로, 이미 1995년에 공사가 시작되었지만, IMF가 터지고 수도권에 예산 집중이 가속화되면서 상대적으로 동해남부선 복선전철화의 중요성을 떨어지는 것으로 취급하다보니 20년도 넘게 걸려 개통하게 되었다.

노선색은 한국철도공사(코레일)을 대표하는 색상을 따라 코레일 블루로 결정되었다. 운영은 한국철도공사 광역본부 및 부산경남본부에서 하고 있다. 배차간격은 평일 출퇴근 시간대 약 15분, 평시 약 30분, 휴일 낮 시간대 약 25분 간격의 구성으로 배차가 비교적 불규칙한 편이다. 차량 자체는 수가 어느 정도 확보되었음에도 배차간격이 넓은 것은 수요 예상이 아주 높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부산에서의 지원금이 부족했던 탓이 가장 크며, 이 때문에 연선 주민들을 시작으로 이용 불편에 대한 민원이 많이 제기되고 있는 편이다.

운임

전용 정기승차권

운임은 부산 도시철도의 기준을 준용하고 있으나, 승차권부산 도시철도에서 사용되는 마그네틱권 대신 부산김해경전철과 유사한 토큰을 사용한다.

수도권 전철과 다르게 부산 도시철도와 운임구역이 별도로 분리되어 있어, 환승통로가 있는 환승역이어도 게이트를 2번 통과해야 한다. 그러나 일단 연락 운송을 체결, 교통카드 뿐이지만 일단 부산 시내버스나 부산 도시철도와의 환승이 인정된다. 다만 부산김해경전철이나 김해·양산 시내버스와는 환승되지 않는다.

동해선의 정기승차권은 레일플러스 기반 RF카드 형식으로 발급되며, 자재는 역무원한테서 살 수 있으며 2,000원을 받는다. 30일 60회권을 55,000원에 입력한다. 1구간 이용시 42회, 2구간 이용시 36회에 본전이 맞게 된다. 부산교통공사 정기승차권과 호환되지 않으므로 이 정기권으로 부산 도시철도부산김해경전철은 탈 수 없다.

역 목록

부산진 ~ 태화강

  • : ITX-새마을, : 무궁화
  • 동해선 광역전철 전동차 부전~일광 구간 모든 역에 정차
  • ●: 필수 정차역, ▲: 일부 열차 정차역, ┃: 통과역
번호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부산진 부전
0.0 - 부산진 미운행 1호선, 경부선, 우암선 (연결) 부산광역시 동구
2.1 - 범일 가야선 (연결) 부산진구
K110 4.6 0.0 부전 1호선 (간접환승)
부전선 (연결)
K111 6.9 2.3 거제해맞이 연제구
K112 7.9 3.3 거제 3호선
K113 8.6 4.0 교대 1호선
K114 9.8 5.2 동래 4호선 (낙민역, 간접환승) 동래구
K115 10.7 6.1 안락
K116 12.0 7.4 부산원동
K117 13.0 8.4 재송 해운대구
K118 14.0 9.4 센텀
K119 15.4 10.8 벡스코 2호선
K120 19.9 15.3 신해운대
K121 22.8 18.2 송정 미운행
K122 23.9 19.3 오시리아 기장군
K123 29.6 25.0 기장
K124 32.6 28.0 일광
37.9 - 좌천
41.3 - 월내
44.2 - 서생 울산광역시 울주군
52.7 - 남창 온산선 (연결)
62.0 - 덕하
64.5 - 선암 남구
69.3 - 태화강 울산항선 (연결)

태화강 ~ 포항

  • : 무궁화
  • ●: 필수 정차역, ▲: 일부 열차 정차역, ┃: 통과역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69.3 태화강 울산항선 (연결) 울산광역시 남구
72.7 효문 북구
78.9 호계
86.1 모화 경상북도 경주시
90.0 입실
93.9 죽동
98.0 불국사
102.5 동방
109.0 경주 중앙선 (연결)
114.1 나원 금장삼각선 (연결)
117.8 청령
120.5 사방
126.3 안강
129.2 양자동
132.1 부조 동해선(모량~영덕) (연결)
138.5 효자 미운행 괴동선 (연결) 포항시
142.5 포항[3]

모량 ~ 영덕

  • : 무궁화호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0.0 모량 건천연결선 (연결) 경상북도 경주시
24.8 부조 동해선(부산진~포항) (연결)
35.1 포항 영일만항선 (연결) 포항시
50.4 월포
59.5 장사 영덕군
67.1 강구
73.7 영덕
74.3 (종점)

계획

  • 포항~삼척 구간(포항 삼척 복선전철 사업)
    • 당초 동해중부선이라고 불리어졌던 구간이다. 장기적으로는 삼척선영동선 등을 합쳐 하나의 동해선으로 이어질 예정이다.
    • 포항 ~ 영덕 구간
      • 가칭 역명은 면 소재지의 이름을 붙여 포항 - 청하 - 남정 - 강구 - 영덕이었다. 청하역과 남정역은 주민 의견을 수렴하여 각각 월포역과 장사역으로 바뀌었다.
      • 포항 ~ 삼척 구간 중 우선적으로 개통하였다. 개통직전 포항지진으로 인해 안전점검이 추가되며 개통이 1달 가량 지연되었다.
    • 영덕~ 삼척 구간
  • 포항~태화강 구간(포항 울산 복선전철 사업)

지선

동해선은 동남임해공업지구와 인접한 특성상 동남임해공업지구의 대규모 중화학공업단지와 연계된 화물 지선들이 많이 놓여있다.

각주

  1. 부산진~범일, 부전~일광, 모량~포항
  2.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
  3. 효자부터 포항 구간은 폐선 상태이다. 철도거리표에는 반영이 되지 않았다.
  4. 서경주역으로 역명이 바뀔 수도 있다.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동해선 광역전철 문서의 1069720판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