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철도공사/직제

한국철도공사의 정거장 등급
관리역 보통역
운전간이역
배치간이역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 신호장 신호소

개요

한국철도공사의 직제규정 시행세칙은 [1]에서 확인가능하다. 여기에서 직제규정상의 관리역 및 소속역, 신호장과 신호소, 전기시설사업소, 차량사업소 등의 목록을 알 수 있다. 다만 소속역의 세부적인 등급(보통역/무배치간이역/배치간이역)은 알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자료에서 확인해야한다.[1]

공기업 설립 이후 철도거리표(정부)와 직제규정(코레일)의 관리가 분리되면서 신설/폐지가 즉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변화과정

  • 2005년 1월 1일: 코레일 출범
  • 2006년 6월 19일
    • “지역관리역” 폐지, “그룹대표역” 신설
    • 서울지역본부·대전지역본부·부산지역본부·순천지역본부·영주지역본부를 폐지하고 서울지사·수도권동부지사·수도권서부지사·수도권북부지사·수도권남부지사·강원지사·대전지사·충북지사·충남지사·광주지사·전북지사·전남지사·대구지사·경북북부지사·경북남부지사·부산지사·경남지사로 개편
  • 2009년 8월 4일
    • “그룹대표역” 폐지
    • 서울지사·수도권동부지사·수도권서부지사·수도권북부지사·수도권남부지사·강원지사·대전지사·충북지사·충남지사·광주지사·전북지사·전남지사·대구지사·경북북부지사·경북남부지사·부산지사·경남지사를 폐지하고 서울본부·수도권동부본부·수도권서부본부·강원본부·대전충남본부·충북본부·광주본부·전북본부·전남본부·대구본부·경북본부·부산경남본부로 통폐합
  • 2015년 3월 30일: 물류사업단 신설

현행 직제규정 시행세칙 (2018.04.16 시행 기준)

서울본부

관리역 소속역 합계
도라산역 곡산역, 백마역, 풍산역, 일산역, 탄현역, 야당역, 운정역, 금릉역, 금촌역, 월롱역, 파주역, 문산역, 임진강역 14
대곡역 강매역, 행신역, 능곡역, 백석역, 마두역, 정발산역, 주엽역, 대화역, 화정역, 원당역, 원흥역, 삼송역, 지축역, 대정역, 원릉역, 삼릉역, 벽제역, 일영역, 장흥역, 송추역 21
수색역 신촌역, 홍대입구역, 가좌역, 디지털미디어시티역, 화전역 6
서울역 남영역 2
용산역 이촌역, 한남역, 효창공원앞역, 공덕역, 서강대역 6

수도권 서부본부

관리역 소속역 합계
영등포역 노량진역, 대방역, 신길역, 신도림역 5
구로역 가산디지털단지역, 독산역, 금천구청역 4
부천역 구일역, 개봉역, 온수역, 역곡역, 소사역, 중동역, 송내역 8
부평역 부개역, 백운역, 동암역, 간석역, 주안역, 도화역, 제물포역, 도원역, 동인천역 10
광명역 1
안양역 석수역, 관악역, 명학역, 금정역, 범계역, 평촌역, 인덕원역, 정부과천청사역, 과천역, 대공원역, 경마공원역, 선바위역 13
수원역 성균관대역, 화서역, 세류역, 군포역, 당정역 6
평택역 병점역, 세마역, 오산대역, 오산역, 진위역, 송탄역, 서정리역, 지제역, 서동탄역 10
안산역 산본역, 수리산역, 대야미역, 반월역, 상록수역, 한대앞역, 중앙역, 고잔역, 초지역, 신길온천역, 정왕역, 오이도역 13
송도역 달월역, 월곶역, 소래포구역, 인천논현역, 호구포역, 남동인더스파크역, 원인재역, 연수역, 인하대역, 숭의역, 신포역 12

수도권 동부본부

관리역 소속역 합계
청량리역 옥수역, 응봉역, 왕십리역 4
광운대역 외대앞역, 신이문역, 석계역, 월계역, 녹천역, 창동역 7
의정부역 방학역, 도봉역, 도봉산역, 망월사역, 회룡역, 가능역, 녹양역, 양주역, 덕계역, 덕정역 11
동두천역 지행역, 동두천중앙역, 보산역, 소요산역, 초성리역, 한탄강역, 전곡역, 연천역, 신망리역, 대광리역, 신탄리역, 백마고지역 13
가평역 별내역, 퇴계원역, 사릉역, 금곡역, 평내호평역, 마석역, 대성리역, 청평역, 상천역, 천마산역 11
춘천역 굴봉산역, 백양리역, 강촌역, 김유정역, 남춘천역 6
수서역 서울숲역, 압구정로데오역, 강남구청역, 선정릉역, 선릉역, 한티역, 도곡역, 구룡역, 개포동역, 대모산입구역, 복정역, 가천대역, 태평역, 모란역, 야탑역, 이매역 17
죽전역 서현역, 수내역, 정자역, 미금역, 오리역, 보정역, 구성역, 신갈역, 기흥역, 상갈역, 청명역, 영통역, 망포역, 매탄권선역, 수원시청역, 매교역 17
경기광주역 판교역, 삼동역, 초월역, 곤지암역, 신둔도예촌역, 이천역, 부발역, 세종대왕릉역, 여주역 10
망우역 회기역, 중랑역, 상봉역, 양원역, 구리역, 도농역, 양정역, 덕소역, 도심역, 운길산역, 갈매역, 신내역 13
양평역 양수역, 신원역, 국수역, 아신역, 오빈역, 원덕역, 용문역, 석불역, 일신역, 지평역 11
원주역 매곡역, 양동역, 삼산역, 서원주역 5

강원본부

관리역 소속역 합계
강릉역 정동진역, 마차리역, 신기역, 미로역, 묵호역, 망상역, 추암역, 삼척해변역, 제진역 10
평창역 동화역, 만종역, 횡성역, 둔내역, 진부(오대산)역 6
태백역 동점역, 백산역, 동백산역, 고사리역, 하고사리역, 문곡역, 추전역 8

충북본부

관리역 소속역 합계
제천역 반곡역, 치악역, 신림역, 구학역, 봉양역, 단양역, 단성역 8
충주역 달천역, 목행역, 삼탄역, 공전역, 소이역, 주덕역 7
민둥산역 영월역, 자미원역, 사북역, 고한역, 별어곡역, 선평역, 정선역, 나전역, 아우라지역, 구절리역, 함백역 12

대전충남본부

관리역 소속역 합계
천안역 성환역, 직산역, 두정역 4
오송역 오근장역, 청주공항역, 내수역, 증평역, 보천역 6
조치원역 전의역, 신탄진역 3
대전역 세천역, 옥천역, 이원역, 지탄역 5
영동역 심천역, 각계역, 황간역, 추풍령역 5
천안아산역 봉명역, 쌍용역, 아산역, 배방역, 온양온천역, 신창역 7
홍성역 도고온천역, 예산역, 삽교역, 화양역, 신성역, 광천역, 원죽역 8
대천역 청소역, 주포역, 남포역, 웅천역, 판교역, 서천역, 장항역 8
서대전역 가수원역, 계룡역, 개태사역, 연산역, 부황역, 논산역, 강경역, 연무대역 9
공주역 1

전북본부

관리역 소속역 합계
익산역 용동역, 함열역, 오산리역, 임피역, 대야역, 개정역, 군산역 8
정읍역 부용역, 와룡역, 김제역, 감곡역, 신태인역, 초강역, 천원역, 노령역 9
전주역 삼례역, 신리역, 죽림온천역 4
남원역 임실역, 봉천역 (임실), 오수역, 서도역, 산성역, 주생역, 옹정역, 금지역 9

광주본부

관리역 소속역 합계
광주역 백양사역, 안평역, 장성역, 극락강역 5
나주역 노안역, 다시역, 고막원역, 함평역 5
목포역 무안역, 몽탄역, 일로역, 임성리역 5
광주송정역 서광주역, 효천역, 남평역, 능주역, 이양역, 화순역 7

전남본부

관리역 소속역 합계
순천역 곡성역, 압록역, 구례구역, 봉덕역, 괴목역, 개운역, 동운역, 원창역, 구룡역, 벌교역, 조성역, 예당역, 득량역, 보성역, 광곡역, 명봉역, 성산역 18
여수엑스포역 율촌역, 여천역, 진상역, 옥곡역, 골약역[2] 6

경북본부

관리역 소속역 합계
점촌역 옥산역, 청리역, 상주역, 백원역, 함창역, 용궁역, 개포역, 예천역, 어등역, 문경역 11
영주역 희방사역, 풍기역 3
안동역 마사역, 이하역, 단촌역, 의성역, 탑리역, 우보역, 화본역, 봉림역, 신녕역, 화산역 11
춘양역 봉화역, 거촌역, 봉성역, 법전역, 임기역, 현동역, 분천역, 승부역 9

대구본부

관리역 소속역 합계
김천(구미)역 신암역, 직지사역, 김천역 4
구미역 대신역, 아포역, 사곡역 4
대구역 왜관역, 연화역, 지천역 4
동대구역 금강역 2
경산역 고모역, 삼성역, 남성현역, 청도역, 신거역 6
영천역 북영천역, 임포역, 아화역, 건천역, 모량역, 하양역, 금호역, 봉정역 9
신경주역 서경주역, 경주역, 불국사역, 죽동역, 입실역, 청령역, 사방역 8
포항역 안강역, 양자동역, 부조역, 효자역, 월포역, 장사역, 강구역, 영덕역 9


부산경남본부

관리역 소속역 합계
밀양역 상동역, 삼랑진역, 한림정역, 진영역, 낙동강역 6
구포역 원동역, 물금역, 화명역, 사상역 5
부산역 1
울산역 태화강역, 서생역, 남창역, 덕하역, 효문역, 호계역, 모화역 8
부전역 가야역, 거제해맞이역, 거제역, 교대역, 동래역, 안락역, 재송역, 센텀역, 벡스코역, 신해운대역, 송정역, 오시리아역, 기장역, 일광역, 좌천역, 월내역 17
마산역 창원중앙역, 창원역, 중리역, 함안역, 남창원역, 진례역, 성주사역, 경화역, 진해역, 통해역 11
진주역 군북역, 반성역, 유수역,[3] 완사역, 다솔사역, 북천역, 양보역, 횡천역, 하동역 10

물류사업단 소속역

  • 여기서 § 표시는 여객취급역이다. 승차권 위탁발매 등과 관계없이 코레일 소속 정기 여객열차가 주 1회 이상 정차하면 모두 포함한다.
물류사업단 소속역 합계
수도권 오봉역, 인천역§, 서빙고역§, 오류동역§, 의왕역§, 팔당역§ 6
중부권 동해역§, 묵호항역, 삼척역§, 삼화역, 안인역, 옥계역, 철암역§, 도계역§,제천조차장역, 고명역, 삼곡역, 입석리역, 도담역, 석항역, 쌍룡역§, 예미역§, 연당역, 동량역, 무릉역, 운산역, 석포역§, 문수역, 주평역 23
충청권 대전조차장역, 간치역, 소정리역, 흑석리역, 회덕역, 도안역, 청주역§, 음성역§, 매포역, 부강역§, 신례원역§, 삽교역§, 장항화물역, 부강화물역 14
호남권 광양역§, 동익산역, 황등역, 관촌역, 동산역, 북전주역, 군산화물역, 옥구역, 하남역, 대불역, 임곡역, 장성화물역, 신광양항역, 태금역, 적량역, 흥국사역, 덕양역, 광양항역 18
영남권 부산신항역, 부산진역, 범일역, 온산역, 장생포역, 신창원역, 우암역, 북철송장역, 남철송장역, 장유역, 울산항역, 양산화물역, 덕산역, 신선대역, 신동역§, 약목역§, 가천역, 괴동역, 나원역, 청천역, 신동화물역 21

신호장

관리본부 소속역 합계
수도권서부본부 창내신호장 1
강원본부 상정신호장, 도경리신호장, 솔안신호장, 대관령신호장, 남강릉신호장 5
충북본부 유교신호장, 금교신호장, 창교신호장, 연교신호장, 죽령신호장
청령포신호장, 탄부신호장, 연하신호장, 조동신호장
9
대전충남본부 전동신호장, 서창신호장, 내판신호장, 채운신호장 4
광주본부 동송정신호장 1
전남본부 초남신호장, 황길신호장, 평화신호장 3
경북본부 안정신호장, 서지신호장, 업동신호장, 비봉신호장
갑현신호장, 문단신호장, 녹동신호장, 옹천신호장
8
대구본부 송포신호장, 율동신호장, 동방신호장 3
부산경남본부 선암신호장 1

신호소

관리본부 소속역 합계
수도권서부본부 신대신호소 1
광주본부 북송정신호소 1
경북본부 북영주신호소 1
부산경남본부 미전신호소, 용강신호소 2

각주

  1. (무)배치간이역, 임시승강장의 경우 코레일 한국철도 노선도철도안전관리체계 프로그램 257p. 참고
  2. 폐역되었으나 코레일 직제규정 시행세칙에는 여수엑스포역산하로 등재되어 있다.
  3. 폐역되었으나 코레일 직제규정 시행세칙에는 진주역산하로 등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