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바뀜
  • 임의 문서
  • 게시판
    위키방자유게시판
  • 도구
    특수 문서 목록업로드이슈 트래커
  • 도움말
    위키 문법TeX 문법태그이슈 트래커
  • 최근 바뀜
  • 최근토론
  •  
  •  
  •  
  •  
  •  
  •  
  •  
  •  
  •  
  •  
더보기
  • 신규 사용자분께서는 리브레 위키:환영합니다 필독해주세요.
  • 가입 후 지속적인 기여는 위키에 큰 도움이 됩니다.
편집토론기록
갱신주시여기를 가리키는 문서문서 정보

승부역

분류:
  • 영동선
  • 등록문화재
  • 봉화군의 철도역
  • 춘양관리역
  • 승부역의 역명판

목차

  • 1 개요
  • 2 영암선 개통 개념비
  • 3 경유 노선
  • 4 각주

1 개요[편집]

승부역 비석.JPG

-
“

승부역은
하늘도 세평이요
꽃밭도 세평이나
영동의 심장이요
수송의 동맥이다

”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승부리에 위치한 역으로 역 주변에 있는 승부마을 이외에 주변은 딱히 뭐가 없는 동네이다. 다만 이 오지라는 점과 외부에서 접근하려면 기차로만 가능[1]하다는 점이 알려지면서 1999년 환상선 눈꽃순환열차가 운행되기 시작하면서 유명세를 끌고, 이후 신호장에서 보통역으로 승격되기에 이른다. 이어서 무궁화호 거의 전편성이 이 역에 정차하게 되었으며, 2013년부터는 백두대간 협곡열차와 중부내륙순환관광열차가 이 역에 정차하며, 매년 겨울이 되면 각종 관광열차가 이 역으로 모여든다.

  • 승부마을 입구

  • 승부현수교로 승부역과 승부마을을 연결해 주는 통로이다.

2 영암선 개통 개념비[편집]

영암선 개통 기념비
榮巖線 開通 記念碑
영암선 개통 기념비.JPG
영암선 개통 기념비의 모습
종목 등록문화재 제540호
분류 등록문화재/기타
수량 1기
지정일
(등록일)
2013년 2월 21일
소재지 경상북도 봉화군 석포면 승부리 승부역 구내
시대 대한민국
소유 한국철도공사
보기 • 토론 • 편집 • 역사

영동선의 원래 노선은 영주-철암간을 이어주는 영암선의 87km의 철도노선으로 1949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후 최초의 철도부설공사노선이었다. 한국전쟁으로 중간에 건설이 중단되기도 하였으나 휴전 후 FOA의 원조자금으로 재착공하여 1955년 12월 30일에 완공된 노선이다.

한국전쟁 시기, 험난한 산악 지형 등의 어려움을 극복하며, 우리의 손으로 건설된 것을 기념하기 위하여 이승만 대통령의 친필을 받아 영암선 건설공사 구간 중 가장 어려움이 많았던 승부역에 1955년에 설립된 기념비이다.

기념비의 전면 중앙에는 자연석판에 ‘榮巖線 開通 記念’이라는 문구가 새겨져 있으며, 측면에서는 ‘起工 檀紀 四千貳百八拾貳年 四月 八日, 竣工 檀紀 四千貳百八拾八年 拾貳月 參拾日 交通部 鐵道建設局’이라는 준공 표지석이 부착되어 있다..[2]

참고로 당시 영암선 건설시 교량만 55개소였고, 터널이 33개소로 전체구간의 약 20%정도를 험한 지형을 극복하기 위한 교량 및 터널로 건설되었다. 건설은 대한민국의 건설회사와 군 공병대가 투입되어서 순수하게 우리 기술진에 의하여 건설되었으며, 공사비로는 당시 비용으로 5억 3,420만원의 한화와, 453만 1,000달러의 외화가 투입되었다

3 경유 노선[편집]

경유 노선 목록
213 영동선
(69.2 km)
영주 방면
양원 3.7 km
← 승부 → 청량 방면
석포 7.6 km

4 각주

  1. ↑ 차량으로 가능하기는 하다. 다만 통로가 편도 1차선의 새마을도로 하나밖에 없기 때문에 기차 교통이 훨씬 더 편하다
  2. ↑ 문화재청 설명 참조
  • 이 문서는 2018년 7월 24일 (화) 20:50에 마지막으로 편집되었습니다.
  • 모든 텍스트는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에 따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브레위키 협동조합 | 대표이메일 : coop@librewiki.net (수신전용)
  • 개인정보 정책
  • 리브레 위키 소개
  • 면책 조항
  • 이용약관
  •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3.0
  • Powered by MediaWiki
  • Designed by Librewiki

로그인

리브레 위키에 가입하세요 비밀번호를 잊으셨나요?
다른 방법으로 로그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