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평 | |
---|---|
![]() |
|
소재지 |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영산로 3530 |
노선 | 호남선 218.9 km |
관할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
개업일 | 1913년 5월 16일 |
코드 | 39 |
호남선의 철도역. 함평읍내에 있지는 않고 학교면에 있다. 개업 당시에는 지금보다 좀 더 면소재지 쪽에 붙어서 '학교역'이란 이름으로 개업했다가, 복선전철화 과정에서 현위치로 옮겨지며 이름을 개명했다.
함평군의 유일한 철도역이자 목포관리역이 관리하는 마지막 역. 이 다음 역인 무안역부터는 목포관리역 관할이며, 일로역의 피제어역이다.
원래는 함평궤도라는 게 함평 읍내까지 가서 읍내에서 학교역을 이용하기 쉽게끔 했으나 이미 오래 전에 폐선되었다.
읍내와는 5km 가까이 떨어져 있음에도[1] 수요가 꽤 나오는 편인데, 이유는 물론 함평 나비축제 버프. 축제 기간에는 KTX가 정차하기도 한다. 역이 좀 좁다는 게 문제가 됐지만.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시설[편집 | 원본 편집]
4번 승강장 3번 ITX-새마을 · 무궁화호
목포 방면 |
2번 승강장
1번 |
구 학다리역 급수탑[편집 | 원본 편집]
함평 구 학다리역 급수탑 | |
---|---|
건축물 정보 | |
소재지 | 전라남도 함평군 학교면 학다리길 279 (학교리) |
소유 | 한국철도공사 |
대지면적 | 31.1 m2 |
문화재 정보 | |
종목 | 등록문화재 |
지정일 | 2004년 12월 31일 |
호남선을 운행하던 증기기관차를 위한 급수탑이다. 원래 학교역이 있던 자리에 있다.
경유 열차[편집 | 원본 편집]
역을 경유하는 여객열차 목록 | ||
---|---|---|
종류 | 노선 | 정차역 (구간운행 포함) |
ITX-마음 | 호남선 |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4] - 서대전 - 계룡[4]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
ITX-새마을 | 호남선 | 용산 - 영등포 - 수원 - 오산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몽탄 - 일로 - 목포 |
무궁화호 | 호남선 | 용산 - 영등포 - 안양 - 수원 - 평택 - 성환 - 천안 - 전의 - 조치원 - 부강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연산 - 논산 - 강경 - 함열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목포 |
경전선 | 부전 - 사상 - 구포 - 화명 - 물금 - 원동 - 삼랑진 - 한림정 - 진영 - 진례[5]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중리 - 함안 - 군북 - 반성 - 진주 - 완사 - 북천 - 횡천 - 하동 - 진상 - 광양 - 순천 (- 벌교 - 조성 - 예당 - 득량 - 보성 - 명봉 - 이양 - 능주 - 화순 - 효천 - 서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 |
호남선 | 광주 - 극락강 - 광주송정 - 나주 - 다시 - 함평 - 무안 - 몽탄 - 일로 - 임성리 - 목포 | |
정확한 정차역은 열차 운영사의 안내를 참고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