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선

국철진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1월 11일 (월) 14:10 판 (→‎특징)
{{{이름}}}
나라 대한민국
종류 간선철도 (일반철도)
번호 313
영업거리 188.9 km
역 수 37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1940년 8월 1일
시설 정보
궤간 1435mm (표준궤)
선로 단선
신호 ATS


개요

경상북도 영주시영주역강원도 강릉시강릉역을 이어주는 간선철도 노선이다.

역사

본래 동해북부선, 철암선, 영암선, 삼척선 등으로 분리되어 있던 철도였으나 1963년 5월에 해당 노선들을 하나로 통합하면서 영동선으로 개칭하게 된다. 가장 먼저 철암-묵호간 철암선이 가장 먼저 개통되었으며, 1955년 영주-철암간 영암선이 개통, 이후 1963년 10월 묵호-강릉간 동해북부선 구간이 완공되면서 현재의 골격이 갖춰지게 된다. 참고로 영주-철암간의 영암선 노선은 미국의 원조자금으로 1949년 4월 8일 대한민국 정부 최초의 철도부설공사로 착공 후, 한국전쟁으로 중단했다가 휴전 성립 후 미국 F.O.A(Foreign Operation Administration)의 원조자금으로 재착공한 기록이 있다.

특징

영동선은 산악철도의 흔적들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다. 과거 인클라인 시설을 사용하였었고(통리 강삭선 문서 참조), 스위치백을 사용하였던 역사도 있다. 물론 지속적인 선로 개선과 삽질공사를 통해서 해당 시설물들은 더 이상 사용하지 않게 되었지만 그만큼 영동선 노선이 험준함을 보여준다. 이외에 일반철도 터널중에서는 가장 긴 터널인 솔안터널도 이 영동선에 존재하고 있으며, 곳곳에 피암터널이 산재해 있기도 하다.[2]

선로의 부설 목적은 경제부흥을 위한 산업철도의 역할로 건설되었으며, 강원도 영동지방 및 태백산맥 지역의 주요 지하자원들의 개발을 위하여 건설이 되었으며, 태백선 선로와 함께 대한민국 산업철도 주 간선의 역할을 하고 있다.

운행 계통

무궁화호

정동진 - 묵호 - 동해 - 신기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분천 - 현동 - 춘양 - 봉화 - 영주 - (중앙선 구간)

정동진 - 묵호 - 동해 - 도계 - 철암 - 석포 - 춘양 - 봉화 - 영주 - (경북선 구간)

정동진 - 묵호 - 동해 - 도계 - 동백산 - 철암 - 석포 - 승부 - 양원 - 분천 - 현동 - 임기 - 춘양 - 봉화 - 영주 - (중앙선 구간)

바다열차

  • 정동진 - 안인 - 정동진 - 묵호 - 동해 - (삼척선 구간)

백두대간협곡열차

  • 영주 - 분천 - 비동 - 양원 - 승부 - 철암

운행시각표

2016년 3월 21일 운행시각표 기준이며, 승하차량 기준 주요역만 표시합니다.

열차종별 열차번호 시발역 영주 분천 승부 철암 도계 동해 묵호 정동진 종착역 비고
바다열차 삼척
08:50
삼척선 경유 09:12 09:22 09:46 정동진
09:46
토일
무궁화호 1672 동대구
06:15
중앙선
경유
08:39 09:44 09:58 10:22 10:52 11:34 11:41 12:00 정동진
12:00
무궁화호 1631 청량리
07:05
태백선 경유 11:39 12:22 12:29 12:48 정동진
12:48
V-train 4861 영주
08:50
08:50 10:20 10:56 11:22 철암
11:22
바다열차 삼척
12:30
삼척선 경유 12:52 13:02 13:26 정동진
13:26
무궁화호 1633 청량리
09:10
태백선 경유 13:21 14:00 14:07 14:27 정동진
14:27
O-train 4851 서울
08:15
중앙선
경유
12:03 13:20 13:35 13:58 철암
13:58
바다열차 삼척
15:45
삼척선 경유 16:07 16:16 16:40 정동진
16:40
V-train 4863 분천
14:00
14:00 14:35 15:01 철암
15:01
무궁화호 1682 부전
09:12
중앙선
경유
13:31 14:36 14:51 15:16 15:47 16:30 16:38 17:02 정동진
17:02
무궁화호 1635 청량리
12:10
태백선 경유 16:29 17:10 17:17 17:36 정동진
17:36
무궁화호 1637 청량리
14:13
태백선 경유 18:13 18:57 19:04 19:24 정동진
19:24
V-train 4865 분천
17:15
17:15 17:43 18:10 철암
18:10
무궁화호 1639 청량리
16:13
태백선 경유 20:16 20:56 21:03 21:23 정동진
21:23
무궁화호 1674 동대구
16:30
중앙선
경유
18:59 20:06 20:20 20:44 21:14 21:53 22:00 22:20 정동진
22:20
무궁화호 1661 청량리
22:10
태백선 경유 02:00 02:40 02:47 03:07 정동진
03:07
금토일
무궁화호 1641 청량리
23:25
태백선 경유 03:22 04:02 04:09 04:28 정동진
04:28
무궁화호 1692 부산
22:32
경북선
경유
03:00 04:38 05:06 05:46 05:54 06:15 정동진
06:15
금토

역 목록

틀:철도역 범례

영동선 역 목록
km 역명 등급 접속노선 소재지
0.0 영주 榮州 중앙선
경북선
경상북도 영주시
1.8 북영주 北榮州 북영주삼각선
9.0 문단 文丹 봉화군
14.7 봉화 奉化
20.2 거촌 巨村
25.7 봉성 鳳城
32.7 법전 法田
37.9 춘양 春陽
42.7 녹동 鹿洞
47.6 임기 林基
52.7 현동 縣洞
59.3 분천 汾川
63.5 비동 肥洞
65.5 양원 兩元
69.2 승부 承富
76.8 석포 石浦
83.0 동점 銅店 강원도 태백시
87.0 철암 鐵岩
91.3 백산 栢山 태백선
93.1 동백산 東栢山 태백삼각선
103.1 솔안 率眼
111.3 도계 道溪 삼척시
116.0 고사리 古士里
117.7 하고사리 下古士里
121.2 마차리 馬次里
126.6 신기 新基
131.8 상정 上鼎
136.5 미로 未老
140.1 도경리 桃京里
147.6 동해 東海 삼척선
북평선
묵호항선
동해시
153.6 묵호 墨湖 묵호항선
159.6 망상 望祥
161.5 망상해수욕장 望祥海水浴場
165.1 옥계 玉溪 강릉시
176.5 정동진 正東津
183.6 안인 安仁
188.9 청량 靑良

지선

일반 지선

화물선

폐역 목록

솔안터널 개통으로 폐지된 역

역명 폐역일 소재지 비고
통리역 강원도 태백시 통동
심포리역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흥전역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나한정역 강원도 삼척시 도계읍


각주

  1.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
  2. 다른 철도 노선이라고 피암터널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영동선은 그 정도가 심하다 싶을 정도로 널려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