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15명의 중간 판 177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수도권 전철 목록}}
{{시리즈|도시철도를 타는 방법}}{{시리즈|수도권 전철을 타고 다니는 전철 여행}}{{수도권 전철 목록}}
{{대중교통망 정보
|망이름  = 수도권 전철
|원어이름 =
|그림    = [[파일:SEOUL METRO.png]]
|그림설명 = 노선도
|나라    = {{나라|대한민국}}
|지역    =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인천광역시]]
|종류    = [[광역전철]]
|소유자  =
|관리자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공항철도 (기업)|공항철도]], [[신분당선 (기업)|신분당선]], [[네오트랜스]], [[경기철도]], [[서울시메트로9호선]], [[용인경량전철]], [[의정부경량전철]], [[우진메트로]],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새서울철도]], [[남서울경전철]], [[로템SRS]]
|노선    = 23개
|정거장  =
|영업거리 =
|차량    =
|웹사이트 =
|비고    =
}}


== 개요 ==
'''수도권 전철'''은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일대에서 운행되는 도시 통근용 [[도시철도]] 및 근교 통근용 [[광역철도]]의 집합체이자, 체계를 이르는 용어이다. 이는 정식으로 정의된 체계는 아니며, 이전부터 편의적으로 부르던 이름이 그대로 굳어버린 것이다. 영어 표기도 다양하지만 Seoul Metropolitan Subway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간혹 통계 등에서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Suburban Railway System(SMESRS)<ref>철도통계연보 등에서 사용하는 표기이며, 공식적인 표기는 아니다.</ref> 등의 표현을 쓰는 경우도 있다.
[[파일:Headoffice_line_img.gif|섬네일|노선도]]
[[파일:수도권_전철의_변천.gif|섬네일|1974년부터 2016년까지의 노선]]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일대에서 운행되는 도시 통근용 [[도시철도]] 및 근교 통근용 [[광역철도]]의 집합체이자, 체계를 이르는 용어<ref>정식으로 정의된 것은 아니며, 개통 초기부터 사용되던 관용 명칭이 그대로 용어로 굳어버린 것이다. ○○권 전철이라는 표기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기가 아니며, 수도권 전철의 경우에만 비교적 뚜렷한 형태로 체계를 지칭하는 용어가 사용되는 편이다.</ref>다. 도시철도에 해당하는 [[서울 지하철]] 및 [[인천 도시철도]]를 비롯, 한국철도공사가 관할하는 기존 철도망을 이용한 광역철도 체계를 섞은 것으로, 엄밀하게 정의된 건 아니고, 편의적으로 부르던 이름이 그대로 정착된 것이다. 영어 표기도 다양하지만 Seoul Metropolitan Subway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간혹 통계 등에서 SMESRS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Suburban Railway System<ref>철도통계연보 등에서 사용하는 표기이며, 공식적인 표기는 아니다.</ref> 등의 표현을 쓰는 경우도 있다.


수도권 전철의 범위를 어디까지 보느냐에 대해서는 말이 많으나, 일반적으로는 운임에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 운임 체계를 채택한 노선들을 그 범위로 보는 경향이 짙다. 이 때문에, 일시기 공항철도나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등의 노선을 수도권 전철로 보아야하는가에 대해서 말이 많았다.<ref>심지어 공항철도는 개통 시점에 행정상 도시철도로 취급되는 노선이었기 때문에 구분의 난점이 극에 달했다.</ref> 현재도 ITX-청춘,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등은 수도권 전철로 간주되지 않는 편이다.
공식적으로 정의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수도권 전철의 범위는 [[수도권 통합 요금제]]를 채택한 노선들이거나 차내 노선도에 표기되는 노선들이다. 이 때문에 공항철도나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등의 노선을 수도권 전철로 보아야하는가에 대해서 말이 많았다.<ref>심지어 공항철도는 개통 시점에 행정상 도시철도로 취급되는 노선이었기 때문에 구분의 난점이 극에 달했다.</ref> 현재도 [[ITX-청춘]],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등은 수도권 전철로 간주되지 않는 편이다.


== 역사 ==
== 역사 ==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과, 그에 연결된 국철망(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에 직결 열차를 운행함으로서 출범한 체계로, 시작한지는 40여년에 불과한 편이다. 다만 지하철 자체로는 출발이 늦었지만, 이러한 형태의 근교 열차 운행으로 보자면 세계적으로 그렇게 늦은 편은 아니다. 현재는 근교 열차가 발달한 유럽 쪽에서도 70, 80년대에 이르러서야 이러한 근교 열차 운행의 확충이 이루어졌단 걸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  
[[파일:수도권 전철의 변천.gif|섬네일|1974년부터 2016년까지의 노선]]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과, 그에 연결된 국철망(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에 직결 열차를 운행함으로서 출범한 체계로, 시작한지는 40여년에 불과한 편이다. 다만 지하철 자체로는 출발이 늦었지만, 이러한 형태의 근교 열차 운행으로 보자면 세계적으로 그렇게 늦은 편은 아니다. 현재는 근교 열차가 발달한 유럽 쪽에서도 70, 80년대에 이르러서야 이러한 근교 열차 운행의 확충이 이루어졌단 걸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


2000년대까지는 광역철도의 확충보다는, 도시철도의 확충을 위주로 체계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서울 지하철 2기 노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노선도 형태가 어느 정도 자리잡기 시작했다. 서울 교외의 통근 수요를 철도로 전환하여 주먹구구식 도시 개발에 따른 도로 과밀도 덜고 저렴한 정액권·정기권으로 통근 비용도 줄이기 위해 기존 간선철도망의 광역철도화가 검토되었다. 이에 따라 2000년대 이후에는 도시철도의 개통보다는 광역철도 위주의 개통이 활발해지면서, 현재에 이르게 된다.
2000년대까지는 광역철도의 확충보다는, 도시철도의 확충을 위주로 체계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서울 지하철 2기 노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노선도 형태가 어느 정도 자리잡기 시작했다. 서울 교외의 통근 수요를 철도로 전환하여 주먹구구식 도시 개발에 따른 도로 과밀도 덜고 저렴한 정액권·정기권으로 통근 비용도 줄이기 위해 기존 간선철도망의 광역철도화가 검토되었다. 이에 따라 2000년대 이후에는 도시철도의 개통보다는 광역철도 위주의 개통이 활발해지면서, 현재에 이르게 된다.


== 계통 ==
== 계통 ==
수도권 전철에서는 “노선”이란 말을 사용하지만, 실질적으로 이는 “운행 계통”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사실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1, 3, 4호선과 국철은 직결 운행을 하고 있음에도 별도로 표기 되었으며 색상 사용 역시 불규칙했으나,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 안내 체계 정비가 이루어지면서 이 때부터 통합된 안내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식으로 번호를 붙이는 방식은 [[일본]] 등에서는 그다지 익숙한 체계가 아니나, [[독일]] 등에서 도입되던 [[S반|근교 통근 전철 체계]]의 부번 방식과 유사하다. 다양한 노선들을 지나면서도 사실상 고정된 노선의 형태로 다니는 게통 하나에 번호를 하나씩 부번하는 방식은 비교적 직관적이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수도권 전철에서는 “노선”이란 말을 사용하지만, 실질적으로 이는 “운행 계통”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사실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1, 3, 4호선과 국철은 서로 [[직결운행]]을 하고 있음에도 별도로 표기 되었으며 색상 사용 역시 불규칙했으나,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 안내 체계 정비가 이루어지면서 이 때부터 통합된 안내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식으로 번호를 붙이는 방식은 [[일본]] 등에서는 그다지 익숙한 체계가 아니나, [[독일]] 등에서 도입되던 [[S반|근교 통근 전철 체계]]의 부번 방식과 유사하다. 다양한 노선들을 지나면서도 사실상 고정된 노선의 형태로 다니는 게통 하나에 번호를 하나씩 부번하는 방식은 비교적 직관적이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다만 한계점으로는 수도권 전철에서는 계통명으로 숫자를 쓰는건 도시철도에 한정된 경우가 많고, 광역철도에 대해서는 이에 대해 고민된 바가 없어 명칭이 그대로 쓰인다는 점이 있다.
다만 한계점으로는 수도권 전철에서는 계통명으로 숫자를 쓰는 건 도시철도에 한정된 경우가 많고, 광역철도에 대해서는 이에 대해 고민된 바가 없어 명칭이 그대로 쓰인다는 점이 있다.


=== 계통 목록 ===
=== 계통 목록 ===
자세한 사항은 각 문서에 쓰여있으며, 여기서는 간략하게 정리한다.
자세한 사항은 각 문서에 쓰여있으며, 여기서는 간략하게 정리한다.
{| class="wikitable" style="letter-spacing: -0.025em; 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letter-spacing: -0.025em; text-align: center; font-size: 90%; margin:auto;"
|-
|-
! 색상
! 색상
27번째 줄: 42번째 줄:
! 영업 주체
! 영업 주체
! 기점
! 기점
! 종점
! 경유 노선
! 경유 노선
! 종점
! 영업 거리
! 영업 거리
|-
|-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1}};" | {{색|white|1}}
| rowspan="3"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1
| rowspan="3" |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rowspan="3" |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rowspan="3" | [[한국철도공사|코레일]]<br />[[서울교통공사]]<ref>관리는 서울역 - 청량리, 운행은 양주 - 인천/서동탄 구간에서만 이루어짐.</ref>
| rowspan="3" | [[한국철도공사|코레일]]<br />[[서울교통공사]]<ref>관리는 서울역 - 청량리, 운행은 양주 - 인천/서동탄 구간에서만 이루어짐.</ref>
| [[소요산역|소요산]]
| [[소요산역|소요산]]
| [[경원선|경원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선|경부본선]], [[경인선]]
| [[인천역|인천]]
| [[인천역|인천]]
| [[경원선]], [[서울 도시철도 1호선]], [[경부선]], [[경인선]]
| 89.4 km
| 89.4 km
|-
|-
| [[광운대역|광운대]]
| [[광운대역|광운대]]
| 경원본선, 서울 지하철 1호선, 경부본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 [[신창역|신창(순천향대)]]<br />[[서동탄역|서동탄]]
| [[신창역|신창]]<br />[[서동탄역|서동탄]]
| 경원선, 서울 도시철도 1호선, 경부선,<br />[[장항선]], [[병점기지선]]
| 129.3<br />+ 1.9 km
| 129.3<br />+ 1.9 km
|-
|-
| [[영등포역|영등포]]
| [[영등포역|영등포]]
| 경부본선,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 [[광명역|광명]]
| [[광명역]]
| 경부선, [[경부고속선]]
| 12.9 km
| 12.9 km
|-
|-
| rowspan="3"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2}};" |  {{색|white|2}}
| rowspan="3"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2}}; color: white;" | 2  
| rowspan="3" |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 rowspan="3" |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 rowspan="3" | 서울교통공사
| rowspan="3" | 서울교통공사
| [[시청역|시청]]
| [[시청역|시청]]
|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
| 시청 (순환)
| 시청 (순환)
| 서울 도시철도 2호선 본선
| 48.8 km
| 48.8 km
|-
|-
| [[성수역|성수]]
| [[성수역|성수]]
| 서울 지하철 2호선 성수지선
| [[신설동역|신설동]]
| [[신설동역|신설동]]
| 서울 도시철도 2호선 성수지선
| 5.4 km
| 5.4 km
|-
|-
| [[신도림역|신도림]]
| [[신도림역|신도림]]
|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 [[까치산역|까치산]]
| [[까치산역|까치산]]
| 서울 도시철도 2호선 신정지선
| 6.0 km
| 6.0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3}};" | {{색|white|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
|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 rowspan=2 | 코레일<br />서울교통공사
| rowspan="2" | 코레일<br />서울교통공사
| [[대화역|대화]]
| [[대화역|대화]]
| [[일산선]], [[서울 지하철 3호선]]
| [[오금역|오금]]
| [[오금역|오금]]
| [[일산선]], [[서울 도시철도 3호선]]
| 57.4 km
| 57.4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4}};" | {{색|white|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
|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 [[당고개역|당고개]]
| [[진접역|진접]]
| [[서울 지하철 4호선]], [[과천선]], [[안산선]]
| [[오이도역|오이도]]
| [[오이도역|오이도]]
| 71.5 km
| [[진접선]], [[서울 도시철도 4호선]], [[과천선]], [[안산선]]
| 85.7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T|5}};" | {{색|white|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5}}; color: white;" | 5
|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 서울교통공사
| rowspan="2" | 서울교통공사
| [[방화역|방화]]
| [[방화역|방화]]
| 서울 지하철 5호선 본선, 지선
| [[하남검단산역|하남검단산]]<br />[[마천역|마천]]
| [[상일동역|상일동]]<br />[[마천역|마천]]
| 서울 도시철도 5호선 본선, 지선, [[하남선]]
| 45.2<br />+ 7.1 km
| 52.6 <br />+ 7.1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T|6}};" | {{색|white|6}}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6}}; color: white;" | 6
|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서울교통공사
| [[응암역|응암]]<ref>안내에는 응암순환이라는 말이 쓰인다. 단선 루프 구조 때문.</ref>
| [[응암역|응암]]<ref>안내에는 응암순환이라는 말이 쓰인다. 단선 루프 구조 때문.</ref>
| 서울 지하철 6호선
| [[신내역|신내]]
| [[봉화산역|봉화산]]
| 서울 도시철도 6호선
| 35.1 km
| 36.4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T|7}};" | {{색|white|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7}}; color: white;" | 7
|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서울교통공사
| 서울교통공사<br />[[인천교통공사]]
| [[장암역|장암]]
| [[장암역|장암]]
| 서울 지하철 7호선
| [[석남역|석남]]
| [[부평구청역|부평구청]]
| 서울 도시철도 7호선
| 57.1 km
| 61.3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T|8}};" | {{색|white|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8}}; color: white;" | 8
|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서울교통공사
| 서울교통공사
| [[암사역|암사]]
| [[암사역|암사]]
| 서울 지하철 8호선
| [[모란역|모란]]
| [[모란역|모란]]
| 서울 도시철도 8호선
| 17.7 km
| 17.7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9|9}};" | {{색|white|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9}}; color: white;" | 9
|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서울시메트로9호선]] (관리)<br />[[서울9호선운영]] (1단계 위탁)<br />서울메트로9호선 (2·3단계 위탁)
| [[서울시메트로9호선]]<br />서울교통공사
| [[개화역|개화]]
| [[개화역|개화]]
| 서울 지하철 9호선
| [[중앙보훈병원역|중앙보훈병원]]
| [[종합운동장역|종합운동장]]
| 서울 도시철도 9호선
| 31.7 km
| 40.9 km
|-
|-
| style="background: linear-gradient(to bottom, {{한국 철도 노선색2|AR|A}} 0%, {{한국 철도 노선색2|AR|A}} 45%, {{한국 철도 노선색2|AR|X}} 45%, {{한국 철도 노선색2|AR|X}} 55%, {{한국 철도 노선색2|AR|A}} 55%, {{한국 철도 노선색2|AR|A}} 100%);" | {{색|white|공항}}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 우이
| [[공항철도 (기업)|공항철도]]
| [[우이신설선]]
| 공항철도
| [[우이신설경전철]]<br />[[우이신설경전철운영]]
| [[서울역]]
| [[북한산우이역|북한산우이]]
| 인천국제공항선
| [[신설동역|신설동]]
| [[인천국제공항역|인천국제공항]]
| 우이신설선
| 58.0 km
| 11.4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2}};" | {{색|black|분당}}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림}}; color: white;" | 신림
| [[분당선]]
| [[신림선]]
| 코레일
| [[남서울경전철]]<br />[[로템SRS]]
| [[왕십리역|왕십리]]
| [[샛강역|샛강]]
| 분당선
| [[관악산역|관악산(서울대)]]
| [[수원역|수원]]
| 신림선
| 52.9 km
| 7.5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2}};" | {{색|black|수인}}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 수인<br />분당
| [[수인선]]
| [[수인·분당선]]
| 코레일
| rowspan="5" | 코레일
| 오이도
| [[청량리역|청량리]]
| 수인선
| [[인천역|인천]]
| [[송도역|송도]]
| 경원선, [[분당선]], [[수인선]]
| 13.1 km
| 107.8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3}};" | {{색|white|경의<br />중앙}}
| rowspan="2"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의중앙}}; color: white;" | 경의<br />중앙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 rowspan="2" | [[경의·중앙선]]
| 코레일
| [[문산역|문산]]
| [[문산역|문산]]
| [[경의선|경의본선]], [[용산선]], 경원본선, [[중앙선|중앙본선]]
| [[지평역|지평]]<br />서울역
| [[용문역|용문]]<br />서울역
|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 118.7<br />+ 5.8 km
| 122.3<br />+ 5.8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1}};" | {{색|white|경춘}}
| [[임진강역|임진강]]
| 문산
| 경의선
| 6.0 km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춘}}; color: white;" | 경춘
| [[경춘선]]
| [[경춘선]]
| 코레일
| 청량리<br />(광운대)
| [[상봉역|상봉]]<br />(청량리)<br />(광운대)
| [[경춘선]] (, 중앙본선, [[망우선]])
| [[춘천역|춘천]]
| [[춘천역|춘천]]
| 81.3<br />+ 4.0<br />+ 4.9 km
| [[경춘선]] , 중앙선, [[망우선]]
| 85.3<br />+ 4.9 km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경강}}; color: white;" | 경강
| [[경강선]]
| [[판교역|판교]]
| [[여주역|여주]]
| [[경강선]]
| 54.8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DX|D}};" | {{색|white|신분당}}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 신분당
| [[신분당선]]
| [[신분당선]]
| [[신분당선 (기업)|신분당선]]<br />[[네오트랜스]]<br />[[경기철도]]
| [[새서울철도]]<br />[[신분당선 (기업)|신분당선]]<br />[[경기철도]]<br />[[네오트랜스]]
| [[강남역|강남]]
| [[신사역|신사]]
| 신분당선 본선
| [[광교역|광교]]
| [[광교역|광교]]
| 31.1 km
| 신분당선
| 33.5 km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서해}}; color: white;" | 서해
| [[서해선]]
| [[서부광역철도]]<br />코레일<br />[[소사원시운영]]
| [[소사역|소사]]
| [[원시역|원시]]
| 서해선
| 23.4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KR|K4}};" | {{색|white|경강}}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공항}}; color: white;" | 공항
| [[경강선]]
| [[인천국제공항철도|공항철도]]
| 코레일
| [[공항철도 (기업)|공항철도]]
| [[판교역 (성남)|판교]]
| [[서울역|서울]]
| [[경강선|경강본선]]
| [[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 [[여주역|여주]]
| [[인천국제공항선]]
| 54.8 km
| 63.8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IT|I1}};" | {{색|white|인천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인천1}}; color: white;" | 인천1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 [[인천교통공사]]
| rowspan=2 | [[인천교통공사]]
| [[계양역|계양]]
| [[계양역|계양]]
| [[송도달빛축제공원역|송도달빛축제공원]]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국제업무지구역|국제업무지구]]
| 30.3 km
| 29.4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IT|I2}};" | {{색|white|인천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인천2}}; color: white;" | 인천2
|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 2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인천 2호선]]
| 인천교통공사
| [[검단오류역|검단오류]]
| [[검단오류역|검단오류]]
| [[운연역|운연]]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인천 도시철도 2호선
| [[운연역|운연]]
| 29.2 km
| 29.2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UL|U1}};" | {{색|white|의정부}}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의정부}}; color: white;" | 의정부
| [[의정부경전철]]
| [[의정부경전철]]
| [[의정부경전철 (기업)|의정부경전철]]
| [[의정부경량전철]]<br />[[우진메트로]]
| [[발곡역|발곡]]
| [[발곡역|발곡]]
| [[탑석역|탑석]]
| 의정부경전철
| 의정부경전철
| [[탑석역|탑석]]
| 10.6 km
| 10.6 km
|-
|-
| style="background-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YL|Y1}};" | {{색|white|용인}}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용인}}; color: white;" | 용인
| [[용인경전철]]
| [[용인에버라인]]
| [[용인경량전철]]
| [[용인경량전철]]<br />네오트랜스
| [[기흥역|기흥]]
| [[기흥역|기흥]]
| 용인경전철
| [[전대·에버랜드역|전대·에버랜드]]
| [[전대·에버랜드역|전대·에버랜드]]
| 용인에버라인
| 18.5 km
| 18.5 km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김포}}; color: white;" | 김포
| [[김포골드라인]]
| [[김포골드라인운영]]
| [[양촌역|양촌]]
| [[김포공항역|김포공항]]
| 김포도시철도
| 23.6 km
|-
|-
|}
|}


== 운임 체계 ==
== 운임 체계 ==
{{참고|수도권 통합 요금제}}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속하기 때문에, 버스와 환승할 경우 통합거리비례제로 운임이 책정된다.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속하기 때문에, 버스와 환승할 경우 통합거리비례제로 운임이 책정된다.


219번째 줄: 259번째 줄:
|
|
! colspan="3" | 교통카드
! colspan="3" | 교통카드
! 1회용 교통카드
! 1회용 교통카드 (보증금 별도)
|-
|-
! rowspan="4" | 어른
! rowspan="4" | 어른
233번째 줄: 273번째 줄:
| 8 km 마다 100원
| 8 km 마다 100원
|-
|-
| colspan="3" | 단, 수도권 내,외를 연속하여 이용시 수도권내 운임을 먼저 적용한 후,<br />수도권외<ref>평택 ~ 신창, 가평 ~ 춘천</ref> 구간은 4km 마다 100원씩 추가
| colspan="3" | 수도권 내·외를 연속하여 이용시 수도권 내의 운임을 먼저 적용한 후,<br />수도 권외<ref>평택 ~ 신창, 가평 ~ 춘천</ref> 구간은 4km 마다 100원씩 추가
|-
|-
! 청소년
! 청소년
| colspan="3" | 어른운임에서 350원을 빼고 20% 할인
| colspan="3" | 어른 운임에서 350원을 빼고 20% 할인
| 1회용 교통카드 어른운임 적용
| 1회용 교통카드 어른 운임 적용
|-
|-
! 어린이
! 어린이
| colspan="3" | 어른운임에서 350원을 빼고 50% 할인
| colspan="3" | 어른 운임에서 350원을 빼고 50% 할인
| 교통카드 운임과 동일
| 교통카드 운임과 동일
|-
|-
! 우대
! 무임
| colspan="5" | 노인(만 65세 이상), 장애인(중증장애인 1~3급은 동반1인 포함), 유공자(상이 및 장해등급 1급 동반 포함) 등 별도지정자<br />유아: 만 6세 미만(보호자 1명, 3명까지), 4명부터 추가 1명당 어린이 요금 부금
| colspan="5" | 노인(만 65세 이상), 장애인(장애 1~3급은 동반1인 포함), 유공자(상이 및 장해등급 1급 동반 포함) 등 법령이 정하는 경우<br />유아: 만 6세 미만 무임(보호자 1명을 동반하여 최대 3명), 4명부터 추가 1명당 어린이 요금 수수
|-
| colspan="6" | '''조조할인제''' : 영업시작 ~ 당일 06:30까지 교통카드 사용 승차시 기본운임의 20% 할인<br />단, 다른교통수단 이용 후 환승하는 경우 제외<ref>http://www.smrt.co.kr/main/publish/view.jsp?menuID=001001005002</ref>
|}
단, 특이사항은 다음과 같다.
* 수도권 전철 경춘선의 망우선 구간(상봉 ~ 망우)을 이용한 경우 회기역에서 환승한 것을 가정한 거리로 요금을 산정한다.
* [[인천국제공항철도]] : 영종~인천국제공항은 별도운임이 적용
* [[인천국제공항철도 직통열차]]와 [[ITX-청춘]]은 수도권 전철에 포함되지 않는 별도의 요금제이다.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아직까지는 운임이 없지만, 어쨌든 포함되지 않는다.
* 다음 노선들은 해당 노선에서 승하차시 운임이 추가로 부과된다.
** 신분당선 : 별도운임 900원
** 용인경전철 : 별도운임 200원
** 의정부경전철 : 별도운임 100원
 
정기권은 [[수도권 전철 정기권]] 문서 참조.
 
== 미래 ==
=== 건설중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text-align: center;"
|-
! 안내<br />계통명
! 영업 주체
! 구간
! 경유 노선
! 영업 거리
! 개통시기
|-
| 1호선
| 코레일
| 소요산 ~ [[연천역|연천]]
| 경원본선
|
| [[2019년]]
|-
| 4호선
| 서울메트로
| 당고개 ~ 진접(가칭)
| [[진접선]]
| 14.2 km
| [[2020년]]
|-
| 5호선
| 서울도시철도공사
| 상일동 ~ 검단산(가칭)
| [[하남선]]
| 7.7 km
| 1단계: [[2018년]]<br />2단계: 2020년
|-
| 7호선
| 인천교통공사
| 부평구청 ~ [[석남역|석남]]
| 서울 지하철 7호선
| 3.94 km
| 2018년
|-
| 8호선
| 서울도시철도공사
| 암사 ~ [[별내역|별내]]
| [[별내선]]
| 12.6 km
| [[2022년]]
|-
| 9호선
| 서울메트로9호선운영
| 종합운동장 ~ 보훈병원(가칭)
| 서울 지하철 9호선
| 9.6 km
| 2018년
|-
| [[우이신설선]]
| [[우이신설경전철]]
| L01 ~ [[신설동역|신설동]]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11.4 km
| [[2017년]]
|-
| [[신림선]]
| [[남서울경전철]]
| [[샛강역|샛강]] ~ 111
| 서울 경전철 신림선
| 8.06 km
| [[2021년]]
|-
| 경의·중앙선
| 코레일
| 용문 ~ [[지평역|지평]]
| 중앙본선
| 3,6 km
| 2017년
|-
| 수인선
| 코레일
| [[한대앞역|한대앞]] ~ 수원
| 수인선
| 19.9 km
| [[2017년]]
|-
| 신분당선
| 미정
| [[강남역|강남]] ~ [[신사역|신사]]
| 신분당선
|
| 미정
|-
| 김포도시철도
| 서울도시철도공사
| [[김포도시철도]]
| 100 ~ [[김포공항역|김포공항]]
| 23.63 km
| 2018년 11월
|-
|-
| rowspan="2" | 미정
| colspan="6" | '''조조할인제''' : 영업시작 ~ 당일 06:30까지 교통카드 사용 승차시 기본 운임의 20% 할인<br />단, 다른 교통수단과 환승하는 경우 해당 교통수단 운임과의 차액을 징수함<ref>http://www.smrt.co.kr/main/publish/view.jsp?menuID=001001005002</ref>
| [[이레일]]
| [[소사-원시선]]
| [[소사역|소사]] ~ 원시(가칭)
| 23.3 km
| 2018년
|-
| [[서부광역철도]]
| [[대곡-소사선]]
| [[대곡역|대곡]] ~ 소사
| 18.36 km
| 2021년
|}
|}


==== 신설 역 ====
다른 운임 계산 규칙이 적용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 6호선 : [[신내역]]
* [[경춘선]]
* 수인선 : [[학익역]]
** [[망우선]] 구간(상봉 ~ 망우)을 이용한 경우 [[회기역]]에서 환승한 거리로 운임을 산정한다.
* 신분당선 : [[미금역]]
* [[인천국제공항철도]]  
* 공항철도 : [[마곡나루역]]
** [[영종역|영종]] ~ [[인천공항2터미널역|인천공항2터미널]] 구간은 수도권 전철에 연계된 추가 운임이 적용된다.
 
** 직통열차([[서울역|서울]] ~ [[인천공항1터미널역|인천공항1]]·[[인천공항2터미널역|2터미널]])는 별개의 운임이 적용된다.
=== 계획 ===
* 다음 노선들은 해당 노선에서 승·하차할 때 추가 운임을 받는다.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90%; text-align: center;"
** [[신분당선]] : 별도운임 1,000~1,300원
|-
** [[용인에버라인]] : 별도운임 200원
! 안내<br />계통명
** [[의정부경전철]] : 별도운임 300원
! 영업 주체
! 구간
! 경유 노선
! 영업 거리
|-
| rowspan="2" | 신분당선
| rowspan="2" | 미정
| [[광교중앙역|광교중앙]] ~ [[화서역|화서]]
| rowspan="2" | [[신분당선]]
|
|-
| [[화서역|화서]] ~ 향남(가칭)
|
|-
| 미정
| 미정
| [[인덕원역|인덕원]] ~ 서동탄
| [[인덕원-수원선]]
|
|-
| rowspan="2" | 신안산선
| rowspan="2" | 미정
| [[여의도역|여의도]] ~ USKR(가칭), 한양대(가칭)
| rowspan="2" | [[신안산선]]
|
|-
| 서울 ~ 여의도
|
|-
| 인천 1호선
| 인천교통공사
| 국제업무지구 ~ 송도랜드마크시티(가칭)
|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0.82 km
|-
| [[판교트램]]
| 인천교통공사
| [[판교역|판교]] ~ 판교테크노밸리(가칭)
| 판교트램
|
|-
| 수원 1호선
| 인천교통공사
| [[수원역|수원]] ~ 장안구청(가칭)
| [[수원 도시철도 1호선]]
|
|}


==== 신설 역 ====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아직까지는 운임이 없으며, 수도권 전철 운임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 1호선 : 탕정역, 풍기역
* 4호선 : 지식정보타운역(가칭)
* 8호선 : [[(가칭)8호선추가역]]
* 신분당선 : [[미금역]]


나머지 노선은 [[서울 경전철]], [[인천 도시철도]], [[경기도 도시철도]] 문서 참고.
정기권은 [[수도권 전철 정기권]] 문서 참조.


운임 정산의 경우, 버스↔철도간 환승이 있는 경우 우선 버스 몫을 제한다. 그 다음 운임을 분배하는 데, 별도의 고정된 기준이 없고 불규칙적인 주기로 외부기관에 용역을 맡겨 정산하기 때문에 그때그때 다를 수 있다. 기본운임을 최초 태그한 교통기관에 10%, 최초 탑승한 교통기관에 90%를 배분한다. 예를 들어 신도림역의 경우 2호선 게이트만 있기 때문에 1호선 탑승객의 기본운임 10%는 무조건 [[서울교통공사]] 몫이다. 그 다음 거리비례 계산을 하는 데, 기준 자체는 전산상 최단 거리를 기준으로 하나 별도 환승게이트가 없어서 여객이 어느 경로를 사용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해당 기간 내에 부과된 모든 초과운임을 모아서 운송기관별 기여도에 따라 분배한다. 단, 환승게이트가 있어 정확한 이용객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노선의 경우 해당 구간 내에서 부과된 초과운임은 해당 노선의 귀속으로 한다.<ref>국토해양팀 입법조사관, <수도권 도시철도 요금체계의 문제점과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3.12.19.</ref>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분류:수도권 전철| ]]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분류:도시철도]]
[[분류:지하철]]

2024년 1월 3일 (수) 01:13 기준 최신판

리브레 시리즈에 관련 문서가 있습니다.
수도권 전철 노선
1 2 3 4 5 6 7 8 9 공항 인천1 인천2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신분당 경강 서해 A 우이 신림 의정부 용인 김포
수도권 전철
SEOUL METRO.png
노선도
대중교통망 정보
나라 대한민국
지역 서울특별시, 경기도, 강원특별자치도, 충청남도, 인천광역시
종류 광역전철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공항철도, 신분당선, 네오트랜스, 경기철도, 서울시메트로9호선, 용인경량전철, 의정부경량전철, 우진메트로,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새서울철도, 남서울경전철, 로템SRS
노선 23개

수도권 전철대한민국의 수도 서울을 중심으로 한 수도권 일대에서 운행되는 도시 통근용 도시철도 및 근교 통근용 광역철도의 집합체이자, 체계를 이르는 용어이다. 이는 정식으로 정의된 체계는 아니며, 이전부터 편의적으로 부르던 이름이 그대로 굳어버린 것이다. 영어 표기도 다양하지만 Seoul Metropolitan Subway로 표기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간혹 통계 등에서 Seoul Metropolitan Electrified Suburban Railway System(SMESRS)[1] 등의 표현을 쓰는 경우도 있다.

공식적으로 정의되지 않았지만, 일반적으로 수도권 전철의 범위는 수도권 통합 요금제를 채택한 노선들이거나 차내 노선도에 표기되는 노선들이다. 이 때문에 공항철도나 의정부 경전철, 용인 경전철 등의 노선을 수도권 전철로 보아야하는가에 대해서 말이 많았다.[2] 현재도 ITX-청춘,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 등은 수도권 전철로 간주되지 않는 편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74년부터 2016년까지의 노선

1974년 8월 15일,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과, 그에 연결된 국철망(경부선, 경인선, 경원선)에 직결 열차를 운행함으로서 출범한 체계로, 시작한지는 40여년에 불과한 편이다. 다만 지하철 자체로는 출발이 늦었지만, 이러한 형태의 근교 열차 운행으로 보자면 세계적으로 그렇게 늦은 편은 아니다. 현재는 근교 열차가 발달한 유럽 쪽에서도 70, 80년대에 이르러서야 이러한 근교 열차 운행의 확충이 이루어졌단 걸 감안하면 더더욱 그렇다.

2000년대까지는 광역철도의 확충보다는, 도시철도의 확충을 위주로 체계의 발전이 이루어졌다. 특히 서울 지하철 2기 노선이 개통하면서 현재의 노선도 형태가 어느 정도 자리잡기 시작했다. 서울 교외의 통근 수요를 철도로 전환하여 주먹구구식 도시 개발에 따른 도로 과밀도 덜고 저렴한 정액권·정기권으로 통근 비용도 줄이기 위해 기존 간선철도망의 광역철도화가 검토되었다. 이에 따라 2000년대 이후에는 도시철도의 개통보다는 광역철도 위주의 개통이 활발해지면서, 현재에 이르게 된다.

계통[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에서는 “노선”이란 말을 사용하지만, 실질적으로 이는 “운행 계통”에 가까운 성격을 지니고 있다. 사실 200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1, 3, 4호선과 국철은 서로 직결운행을 하고 있음에도 별도로 표기 되었으며 색상 사용 역시 불규칙했으나, 2002년 한일 월드컵을 앞두고 안내 체계 정비가 이루어지면서 이 때부터 통합된 안내가 시작되었다. 이러한 식으로 번호를 붙이는 방식은 일본 등에서는 그다지 익숙한 체계가 아니나, 독일 등에서 도입되던 근교 통근 전철 체계의 부번 방식과 유사하다. 다양한 노선들을 지나면서도 사실상 고정된 노선의 형태로 다니는 게통 하나에 번호를 하나씩 부번하는 방식은 비교적 직관적이기 때문에 현재까지도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다만 한계점으로는 수도권 전철에서는 계통명으로 숫자를 쓰는 건 도시철도에 한정된 경우가 많고, 광역철도에 대해서는 이에 대해 고민된 바가 없어 명칭이 그대로 쓰인다는 점이 있다.

계통 목록[편집 | 원본 편집]

자세한 사항은 각 문서에 쓰여있으며, 여기서는 간략하게 정리한다.

색상 안내
계통명
영업 주체 기점 종점 경유 노선 영업 거리
1 1호선 코레일
서울교통공사[3]
소요산 인천 경원선, 서울 도시철도 1호선, 경부선, 경인선 89.4 km
광운대 신창(순천향대)
서동탄
경원선, 서울 도시철도 1호선, 경부선,
장항선, 병점기지선
129.3
+ 1.9 km
영등포 광명 경부선, 경부고속선 12.9 km
2 2호선 서울교통공사 시청 시청 (순환) 서울 도시철도 2호선 본선 48.8 km
성수 신설동 서울 도시철도 2호선 성수지선 5.4 km
신도림 까치산 서울 도시철도 2호선 신정지선 6.0 km
3 3호선 코레일
서울교통공사
대화 오금 일산선, 서울 도시철도 3호선 57.4 km
4 4호선 진접 오이도 진접선, 서울 도시철도 4호선, 과천선, 안산선 85.7 km
5 5호선 서울교통공사 방화 하남검단산
마천
서울 도시철도 5호선 본선, 지선, 하남선 52.6
+ 7.1 km
6 6호선 응암[4] 신내 서울 도시철도 6호선 36.4 km
7 7호선 서울교통공사
인천교통공사
장암 석남 서울 도시철도 7호선 61.3 km
8 8호선 서울교통공사 암사 모란 서울 도시철도 8호선 17.7 km
9 9호선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
개화 중앙보훈병원 서울 도시철도 9호선 40.9 km
우이 우이신설선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북한산우이 신설동 우이신설선 11.4 km
신림 신림선 남서울경전철
로템SRS
샛강 관악산(서울대) 신림선 7.5 km
수인
분당
수인·분당선 코레일 청량리 인천 경원선, 분당선, 수인선 107.8 km
경의
중앙
경의·중앙선 문산 지평
서울역
경의선, 용산선, 경원선, 중앙선 122.3
+ 5.8 km
임진강 문산 경의선 6.0 km
경춘 경춘선 청량리
(광운대)
춘천 경춘선 , 중앙선, 망우선 85.3
+ 4.9 km
경강 경강선 판교 여주 경강선 54.8 km
신분당 신분당선 새서울철도
신분당선
경기철도
네오트랜스
신사 광교 신분당선 33.5 km
서해 서해선 서부광역철도
코레일
소사원시운영
소사 원시 서해선 23.4 km
공항 공항철도 공항철도 서울 인천공항2터미널 인천국제공항선 63.8 km
인천1 인천 1호선 인천교통공사 계양 송도달빛축제공원 인천 도시철도 1호선 30.3 km
인천2 인천 2호선 검단오류 운연 인천 도시철도 2호선 29.2 km
의정부 의정부경전철 의정부경량전철
우진메트로
발곡 탑석 의정부경전철 10.6 km
용인 용인에버라인 용인경량전철
네오트랜스
기흥 전대·에버랜드 용인에버라인 18.5 km
김포 김포골드라인 김포골드라인운영 양촌 김포공항 김포도시철도 23.6 km

운임 체계[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통합요금제에 속하기 때문에, 버스와 환승할 경우 통합거리비례제로 운임이 책정된다.

수도권 전철만 이용할 경우, 실제로 이동한 거리에 상관없이 최단거리로 운임이 책정된다.

교통카드 1회용 교통카드 (보증금 별도)
어른 기본운임
(10 km 이내)
추가운임 교통카드 운임에 100원 추가
10 km 초과 ~ 50 km 이내 50 km 초과
1,250원 5 km 마다 100원 8 km 마다 100원
수도권 내·외를 연속하여 이용시 수도권 내의 운임을 먼저 적용한 후,
수도 권외[5] 구간은 4km 마다 100원씩 추가
청소년 어른 운임에서 350원을 빼고 20% 할인 1회용 교통카드 어른 운임 적용
어린이 어른 운임에서 350원을 빼고 50% 할인 교통카드 운임과 동일
무임 노인(만 65세 이상), 장애인(장애 1~3급은 동반1인 포함), 유공자(상이 및 장해등급 1급 동반 포함) 등 법령이 정하는 경우
유아: 만 6세 미만 무임(보호자 1명을 동반하여 최대 3명), 4명부터 추가 1명당 어린이 요금 수수
조조할인제 : 영업시작 ~ 당일 06:30까지 교통카드 사용 승차시 기본 운임의 20% 할인
단, 다른 교통수단과 환승하는 경우 해당 교통수단 운임과의 차액을 징수함[6]

다른 운임 계산 규칙이 적용되는 구간은 다음과 같다.

인천공항 자기부상철도는 아직까지는 운임이 없으며, 수도권 전철 운임 계산에 포함되지 않는다.

정기권은 수도권 전철 정기권 문서 참조.

운임 정산의 경우, 버스↔철도간 환승이 있는 경우 우선 버스 몫을 제한다. 그 다음 운임을 분배하는 데, 별도의 고정된 기준이 없고 불규칙적인 주기로 외부기관에 용역을 맡겨 정산하기 때문에 그때그때 다를 수 있다. 기본운임을 최초 태그한 교통기관에 10%, 최초 탑승한 교통기관에 90%를 배분한다. 예를 들어 신도림역의 경우 2호선 게이트만 있기 때문에 1호선 탑승객의 기본운임 10%는 무조건 서울교통공사 몫이다. 그 다음 거리비례 계산을 하는 데, 기준 자체는 전산상 최단 거리를 기준으로 하나 별도 환승게이트가 없어서 여객이 어느 경로를 사용했는지 알 수 없기 때문에 해당 기간 내에 부과된 모든 초과운임을 모아서 운송기관별 기여도에 따라 분배한다. 단, 환승게이트가 있어 정확한 이용객 데이터 수집이 가능한 노선의 경우 해당 구간 내에서 부과된 초과운임은 해당 노선의 귀속으로 한다.[7]

각주

  1. 철도통계연보 등에서 사용하는 표기이며, 공식적인 표기는 아니다.
  2. 심지어 공항철도는 개통 시점에 행정상 도시철도로 취급되는 노선이었기 때문에 구분의 난점이 극에 달했다.
  3. 관리는 서울역 - 청량리, 운행은 양주 - 인천/서동탄 구간에서만 이루어짐.
  4. 안내에는 응암순환이라는 말이 쓰인다. 단선 루프 구조 때문.
  5. 평택 ~ 신창, 가평 ~ 춘천
  6. http://www.smrt.co.kr/main/publish/view.jsp?menuID=001001005002
  7. 국토해양팀 입법조사관, <수도권 도시철도 요금체계의 문제점과 과제>, 국회입법조사처, 2013.12.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