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분당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상세)
잔글 (디자인 수정)
 
(사용자 24명의 중간 판 196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미개통구간}}
{{수도권 전철 목록}}
{{수도권 전철 목록}}
{{+1|首都圈電鐵 新盆唐線 / Shinbundang (New Bundang) Line}}
{{철도 노선 정보
{| class="wikitable"
|이름    = 신분당선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align="center" |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원어이름 =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 align="center" | '''운영기관'''
|글자색  = white
|| [[신분당선주식회사]]<BR>[[네오트랜스주식회사]]<BR>[[경기철도주식회사]]
|그림    =
|-
|그림크기 =  
| align="center" | '''영업거리'''
|그림설명 =
|| 17.3km
|그림alt  =
|-
|나라    = {{나라|대한민국}}
| align="center" | '''궤간'''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광역철도]], [[운행계통]]([[수도권 전철]])
|| 1435mm [[표준궤]]
|번호    = 320
|-
|구간    = [[신사역|신사]] ~ [[광교역|광교]]
| align="center" | '''역 수'''
|영업거리 = 33.5 km
|| 6
|역수    = 12개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 align="center" | '''신호'''
|운영자  = [[새서울철도]]<ref>용산~[[강남역|강남]] [[BTO]]사업자</ref>, [[신분당선 (기업)|신분당선]]<ref>1단계(강남 ~ [[정자역|정자]]) [[BTO]]사업자</ref>, [[경기철도]]<ref>2단계(정자 ~ 광교) [[BTO]][사업자</ref>,<br />[[네오트랜스]]<ref>위탁 운영사</ref>
|| RF-CBTC
|개통일  = [[2011년]] [[10월 28일]]
|-
|폐지일  =  
| align="center" | '''차량기지'''
|경유노선 =
|| [[죽전차량사업소]]<ref>2단계 구간 개통 시 광교차량기지 사용 예정</ref>
|차량기지 = [[광교차량사업소]]
|-
|궤간    = 1,435 mm ([[표준궤]])
| align="center" | '''지상구간'''
|선로    = 2
|| 없음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
|신호    = [[IL-CBTC]]
| align="center" | '''연혁'''
|비고    =
|| 2011. 10. 28 강남 ↔정자<br />2016. 02. 07 정자 ↔ 경기대(예정)
}}
|}


== 개요 ==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경기도]] [[수원시]]까지 운행 중인 [[수도권 전철]] 노선.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경기도]] [[성남시]]까지 운행 중인 [[수도권 전철]] 노선으로 과거 계획 상으로는 11호선이었다.


본래 [[1993년]] [[3기 지하철 계획]] 당시 포이(양재시민의숲역)-강남-녹사평-목동-신월 간 '''지하철 11호선'''으로 계획된 노선을 부분 계승함과 동시에, 광역전철 기능을 더하여 지은 전철 노선이다. 특히 '''강남리 마을 전철'''로 인하여 표정속도가 엉망인(...) [[분당선]]의 부분적인 급행철도 역할도 한다. <del>[[분당선]]이여 허리를 펴라</del>
[[3기 지하철 계획]]의 11호선을 부분적으로 계승한 노선이다. 특히 '''강남리 마을 전철'''로 표정속도가 엉망인(...) [[분당선]]의 급행 역할도 한다. 노선색은 [[심홍색]]을 사용한다.


== 상세 ==
== 역사 ==
<del>분당선과는 다르다! 분당선과는!</del><BR>분당선과는 별개의 노선이다. 게다가 민자운영 노선이다.<BR>  
* [[2010년]] [[7월 29일]]:  2단계 구간 착공
1구간 건설업체는 [[신분당선주식회사]], 운영업체는 [[네오트랜스주식회사]]. 광역전철로 지정되었기 때문에 통행방식은 좌측통행이다. 노선색은 국철과 통합되기 이전의 [[서울 지하철 1호선]]과 같은 [[빨간색]]을 사용한다.
* [[2011년]] [[10월 28일]] : 개통식
* [[2011년]] [[10월 29일]] : [[강남역]] - [[정자역]] 구간 개통 (차량기지는 [[분당차량사업소]]에 위탁)
* [[2015년]] [[3월]]: 2단계 구간 시운전
* [[2016년]] [[1월 30일]] : [[정자역]] - [[광교역]] 구간 개통 ([[미금역]] 미개통) 및 [[광교차량사업소]] 개업
* [[2016년]] 8월: 신사~강남 구간 착공<ref>[https://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60426_0014046917&cID=10401&pID=10400 신분당선 '신사~강남 구간' 착공…2022년 개통], 뉴시스</ref>
* [[2018년]] [[4월 28일]] : [[미금역]] 개통
* [[2019년]] [[4월 17일]] : 노선번호가 306에서 320으로 변경됨.<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5309930817000&tocId=00000000000000001555373583857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173%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20%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2%2588%25ED%2598%25B8%2520%25EB%25B3%2580%25EA%25B2%25BD)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 [[2022년]] [[5월 28일]] : 신사~강남 구간 개통


2011년 10월 28일 개통식을 가졌고, 영업운전은 10월 29일부터 개시했다. 현재 차량기지는 분당선 보정역 부근 분당차량사업소를 대여하고 있으며, 2차 구간 개통 때 맞춰 수원 광교신도시 경기대학교 부근에 차량기지를 새로 건설하여 옮길 예정이다. [[민자사업]]으로 건설되었지만 건설비의 60% 정도만 민간자본이고 40% 정도는 국비가 투입되었다. 이는 "사회기반시설에 대한 민간투자법"에 따른 것으로, 민자사업이라고 해도 국가예산이나 지방자치단체예산을 아예 안 쓸 수는 없게 해놨기 때문이다.
== 운영 ==
[[파일:Shinbundang_Line_transfer_music.mp3|섬네일]]
환승음악은 자체제작 음악이다. {{-}}


== 요금 ==
===요금===
신분당선의 기본요금(10km)은 1950원이고, 5km 초과시마다 100원씩 추가되어, 현행 전 구간인 [[강남역]]~[[정자역]]간 총요금은 2,150원. 청소년 요금은 1440원. {{ㅊ|이런 [[청동]]같은... 민자인데, 이해해주자.}}
신분당선의 기본요금(10 km)은 2,250원인데, 수도권 전철 기본요금 1,250원에 추가요금 1,000원으로 구성된다. 구간요금이 있어서 강남~정자와 정자~광교를 오가면 300원을 추가 부과한다. 현행 전 구간인 [[강남역]]~[[광교역]]간 교통카드 기준 요금은 3,050원.
*신분당선↔수도권 전철 환승시
**출발지가 신분당선인 경우 승차 게이트에서 기본요금 2,250원이 부과되고 환승 게이트에서 구간요금(2구간 이용시)이 부과된다.
**타 노선에서 환승해서 신분당선에서 내리는 경우 승차역에서 통상운임(1,250원)으로 기본료를 냈기 때문에 하차역에서 거리비례 요금과 추가 운임(1,000원~1,300원)을 함께 정산한다.


출발지가 신분당선인 경우 처음엔 기본요금 1,950원이 부과되고 하차시 추가요금이 부과되는 시스템이며, 신분당선에서 타 노선으로 갈아타면 환승 게이트에서 추가 운임이 부과된다. 타 노선에서 환승해서 신분당선에서 내리는 경우 하차역에서 거리비례 요금과 추가 운임을 함께 정산한다.
본래 타 노선처럼 노약자와 장애인 등에게는 운임을 징수하지 않았으나, 2017년 7월 7일, 신분당선(주)는 국토교통부에 운임 적용을 요청했다.<ref>[http://m.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17&NewsCode=001420170712112326639372 신분당선, 무임승차 대상에 장애인 제외 추진], 에이블뉴스, 2017.07.12.</ref> 이에 대하여 장애인 단체 등은 성명서를 내고 강하게 반발했다.<ref>[http://m.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14&NewsCode=001420170713174818319785 신분당선 장애인 무임승차 제외추진에 ‘반발’], 에이블뉴스, 2017.07.13.</ref> 검토 결과 실제로 폐지되진 않았다.


때문에, 일반지하철을 승차해서 신분당선을 이용할 경우, 1,950원+거리비례요금+일반지하철요금과 거리비례요금을 합산해야만 최종요금이 정산 된다. {{ㅊ|이렇게 된 이상 버스로 간다!}}
===차량 ===
무인운행 열차라서 맨 앞에 타면 확 트인 앞을 볼 수 있다. CBTC 적용차량이라 완전 무인운전을 할 수 있으나 안전상 자동운전 상태에서 안전요원이 선두 오른편에 탑승한다.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


== 무인운행 ==
==연장 구간 논란==
이 노선의 특징 중의 특징.{{ㅊ|뭐래. 요즘 무인운전열차가 늘어나고 있는데}} 무인운행 열차라서 맨 앞에 타면 확 트인 앞을 볼 수 있다. 무지개터널이라고 온갖 색 조명과 LED로 장식해놓은 터널구간이 있다. 이렇게 해 놓은 이유는 정자 이남 연장이 완공될 경우, 이 무지개 구간을 통과해야 추가요금을 물리게 할 예정이기 때문이다. 무지개 구간은 서울특별시와 경기도의 경계선이다. 즉, 열차를 타면서 무지개를 못 봤다면 기존 수도권 통합 요금만을 물리고, 무지개를 보고 내리게 되면 그 역에서 추가요금을 물게 되는 것.  
===강남 이북===
;계획의 시초, 11호선
:신분당선은 [[IMF]]로 엎어진 [[3기 지하철]] '''11호선'''의 후계 노선으로, 11호선은 녹사평 - 시청 - 독립문으로 계획되었다. 2001년 용산~정자 노선으로 부활하였고,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운행을 도모하였다. 하지만 용산역 근처에 욱천배수펌프장이 있어서 직결이 불가능했다.


== 디자인 ==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좌초
{{ㅊ|다행히}} 서울시 디자인 정책의 대상이 되지 않아서 역 출입구와 승강장 디자인의 개성이 살아 있다. 여기에 폰트도 서울남산체가 아닌 기존의 지하철체이다. 벽면 [[역명판]]도 달랑 역 이름만 써놓은 서울 지하철 9호선과는 달리, 기본 틀은 같지만 역마다 독자적인 색깔과 디자인을 쓰고 있다. 아쉬운 점이라면 [[역명판|환승띠]]가 없는 점이지만, 대신 벽면 환승 사인을 큼지막하게 하여 눈에 띄기 쉽게 하여서 큰 문제는 없을 듯 하다.
:그럼에도 용산국제업무지구가 있기에 사업 타당성은 괜찮았으나,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계획이 크게 흔들렸다. 2013년 3월 13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자금난으로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졌고<ref>[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3/03/13/2013031300487.html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 결국 디폴트], 조선비즈</ref>, 결국 동년 4월로 예정되었던 강남 ~ 용산 구간 착공이 무기한 연기되었다. 그럼에도 국토해양부에서는 '신분당선 노선은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을 논의하기 전에 이미 확정된 것'이라면서 용산 구간의 노선 변경을 검토하지 않는다고 하였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30402201100003 신분당선, 강남∼신사 먼저 착공…용산은 연기], 연합뉴스</ref> 그리고 [[2013년]] [[9월 5일]], 용산국제업무지구가 지정해제되었다.<ref>[https://www.yna.co.kr/view/AKR20130905151800004 용산국제업무지구 지정해제…6년 만에 종지부(종합)], 연합뉴스</ref>
:[[2013년]] [[9월 4일]], [[감사원]]은 신분당선 용산연장에 대한 전면 재검토 지시를 내렸다. 용산국제업무지구 무산 이후 교통수요 예측 재조사를 기획재정부에 요청하지 않았기 때문이다.<ref>[https://newsis.com/ar_detail/view.html?ar_id=NISX20130904_0012332975&cID=10301&pID=10300 감사원 "신분당선 '용산~강남' 경제성 없다"], 뉴시스</ref> 국토부는 수요 적정성을 재검토 중이라고 밝혔다.<ref>[https://www.korea.kr/news/actuallyView.do?newsId=148766800&call_from=extlink 신분당선 용산~강남 구간 수요 적정성 재검토 중], 정책브리핑</ref> 2014년 12월 KDI의 연구 결과, 수요 감소율은 16%로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성 검토를 다시 해야 하는 허용기준인 30%보다 적어 용산 연장이 재추진되었다.<ref>[http://www.lenews.co.kr/newsdb/newsread.asp?uid=37650 신분당선, 용산~강남구간 재추진], 국토경제신문</ref>


== 안내방송 ==
;광화문 연장안 등장
'''신분당선의 유일한 흠'''<BR>
:한편, 2008년 [[포스코]]에서 용산 대신 광화문 연장을 [[서울특별시]]에 제안했다. 이는 많은 버스들이 오가는 강남과 도심을 빠르게 연결하기 때문에, 철도 동호회 내에서 단숨에 큰 지지를 얻었다. 하지만 [[2010년]] [[1월]] 수립된 '[[2010년]] 민간투자 정책방향' 및 [[2013년]] [[1월 1일]] 2013년 예산안 등 용산 연장은 계속 추진되었다.
'''듣다보면 손발이 오그라드는 방송'''
:[[2013년]] [[7월 24일]], 서울시는 동빙고에서 분기하여 삼송까지 연장하는 노선을 담은 '서울시 도시철도 종합발전방안'을 발표했다. 사업비 절감을 위해 [[GTX]] A 노선과 공용하자는 제안도 있었다.<ref>[http://opengov.seoul.go.kr/sanction/3477626 시의원 요구자료 제출(요구번호 1094번, 남재경의원, 도시계획관리위원회)], 서울특별시</ref>
:더 나아가 [[2014년]] [[고양시]]에서는 신분당선을 삼송에서 식사동을 거쳐 [[KINTEX]]까지 연장하는 것을 정부에 건의하였고,<ref>[https://www.yna.co.kr/view/AKR20140207155600060 고양시 '신분당선 서북부노선' 킨텍스 연장 추진], 연합뉴스</ref>{{ㅊ|신[[일산선]]??}} 경기도의회에서 추진 촉구안이 통과되었다.<ref>[http://www.asiatoday.co.kr/view.php?key=20140415010008996 신분당선 삼송-식사-중산-킨텍스 구간 연장 건의안 경기도의회 통과], 아시아투데이</ref>


신분당선 안내방송은 TTS를 사용한다.{{ㅊ|오마이갓, 세상에.}} 성우 고용하는 게 비싸다며 그냥 TTS를 써버렸다.{{ㅊ|헐}} 그래서 한국어 안내방송을 들으면... 영어는 발음을 굴려서 흠이고. 참고로  [[코레일]]과 [[서울메트로]]와 [[서울도시철도공사]]의 영어 방송을 담당하는 성우인 제니퍼 클라이드가 한국계 미국인인 영향으로 방송이 정자역의 발음이 분당선에서는 한국어 발음 "정자"라고 들린다.
===정자 이남===
;광교역 역명 논란
:역명에 차량기지 부지를 제공한 경기대를 넣어야 한다는 경기대 주장과 광교를 넣어야 한다는 광교신도시 주민 주장이 크게 맞붙었다.


== 연장 논란 ==
; 광교 이남
사실 이 노선은 [[1993년]] [[3기 지하철 계획]] 당시부터 2015년 현재까지 여러 연장 문제 논란에 시달렸다(...) <del>원인은 만악의 근원 구토부</del> 자세한 건 후술한다.
:3단계 구간은 광교중앙 ~ 호매실, 4단계 구간은 호매실 - 향남으로 계획되어 있다. 그런데 [[KDI]]가 3단계 구간의 예비타당성을 조사한 결과, BC(경제성분석) 이 0.57, AHP가 0.345로 나타나 탈락했다. 문제는 호매실지구 입주민들이 신분당선 교통 분담금을 냈다는 점이다! [[청라국제도시]] 사건 2탄이 될 지경<ref>[[서울 지하철 7호선|지하철 7호선]]이 청라지구로 연장될 예정이었고, 해당 입주민들이 이 분담금을 냈는데, LH가 제멋대로 7호선 연장을 취소하고 그 돈을 [[먹튀]]했었던 사건이다.</ref>
=== [[신사역]] 이북 구간: [[용산역]]? [[광화문역]]~[[삼송역]]? ===
:타당성이 낮게 나온 이유는 신분당선의 요금을 독립적인 요금제로 적용해 분석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토교통부가 수도권 통합 요금제로 재산정해서 타당성 조사를 다시 요청했고, [[2020년]] [[1월 15일]] 예비타당성을 통과하여 2023년쯤에 착공할 예정이다.<ref>[https://yonhapnewstv.co.kr/news/MYH20200115020100038?did=1947 수원 호매실서 강남까지 47분…신분당선 연장선 추진], 연합뉴스TV</ref>
당초 [[3기 지하철]] 계획 시 11호선은 [[신사역]]과 [[한남역]]을 거친 다음, [[녹사평역|녹사평]]-[[시청역 (서울)|시청]]-[[가좌역|가좌]]-남가좌-[[마포구청역|마포구청]]-[[신목동역|신목동]]-[[오목교역|오목교]]-신월 계획이었다. 당시 녹사평을 경유한 이유는 서울시청을 이곳으로 이전할 계획이 있었기 때문.


그러나 [[IMF]]로 [[2000년]] 3기 지하철을 말아먹으면서(...) [[2004년]]무렵 정부에서 짓는 현재의 신분당선으로 부분 부활을 하게 되는데, 당시부터 [[용산역]] 근방에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 계획이 잡히면서 신분당선의 종착지점은 용산역이 된다. 특히 당시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용산역에서 직결운행을 하겠다는 계획이었으므로 당시만 하더라도 계획 자체는 괜찮았다. 더군다나 [[2007년]]무렵부터 [[용산국제업무지구]] 계획이 매우 크고 아름다워지면서(...) 그때에는 최선이라 선택되었다. '''그때까지는.'''
==역 목록==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그러나 용산역 근방 욱천배수펌프장이 있어 직결하기에는 답이 안 나와 경의선과의 직결은 나가리되었고, 게다가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용산국제업무지구 계획이 크게 흔들리게 된다.<ref>어느 정도였냐면, 금융위기 전 용산 랜드마크 빌딩의 높이는 '''153층에 높이 660m'''였으나, 이후 2011년까지는 '''100층에 485m(...)'''로 축소한다.</ref> 이때 새로운 제안이 [[서울특별시]]나 [[포스코]]를 중심으로 제안되었는데, 그게 다름아닌 '''신분당선을 강남-광화문으로 연장하자'''는 <del>매우 바람직한</del> 제안.
|-
 
!번호
특히 예나 지금이나 [[강남대로]]의 [[버스철]]현상은 희대의 [[헬게이트]]를 만들었고, 특히 이 노선들이 대부분 강남을 거쳐 도심으로 가는 노선다는 점인데, 만일 강남대로 직통 노선인 신분당선이 광화문으로 가준다면? 그 수 많은 버스 노선들을 신분당선으로 대체하여 '''서울 시내 교통 혼잡도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어''' 철도 동호회 내에서 단숨에 큰 지지를 얻게 된다. 실제로 과거 3기 지하철 당시 11호선이 이와 비슷한 계획이었다.
!km
 
!정거장
실제로 서울시 뿐만 아니라 일부 대기업 등지에서는 [[2008년]]부터 해당 제안을 하기 시작했고, 많은 [[철도 동호인]]들도 지지를 보내게 된다. '''문제는 그 놈의 [[국토해양부]]'''
!연계 노선
 
국토해양부는 다음과 같은 어처구니없는 [[개드립]]을 치는데, 다음과 같다.
 
{{인용문|이미 버스가 다수 다니고 있는데 굳이 철도를 중복해서 놓을 필요는 없다. 철도는 버스가 안 다니는 곳에 놓아야 한다<ref>이게 왜 개소리냐면, 기본적으로 지하철이 버스보다 한번에 수송하는 승객이 더 많고 정시성이 보장된다. 그렇기 때문에 기본적인 교통 공학에서는 '''주간선은 철도, 지선은 버스'''가 맞다. 그런데 국토해양부의 대답은 그걸 바꿔놓은 것이다(...) <del>이건 뭐 [[러시아식 유머]]냐.</del></ref>|<del>구토해악부</del> 국토해양부}}
 
<del>그래서 [[신안산선]] 착공을 하지도 않은 거냐????</del> <del>애당초 [[급행]] 그런 거 씹어먹는 놈들인데 뭘 바라랴</del>
 
[[2010년]] 1월 수립된 '2010년 민간투자 정책방향'에서 신분당선을 [[용산역]] 방향으로 연장하는 것을 최종 결정하였다. 그리고 자연스럽게 광화문 노선은 <del>껒여.</del> 나가리(...) [[2013년]] 1월 1일 국회에서 처리된 2013년 예산안에서 용산~강남 연장 안을 반영하는 등 용산 연장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다.
 
정부가 그렇게 용산 연장을 강요하게 되자, 서울시에서는 타협안으로 [[동빙고역]]에서 분기하는 안을 내 놓는다. 그러나 이때 양 쪽에서 큰 비판에 직면하는데, [[서울 지하철 5호선]]의 Y자 분기를 보면 알겠지만 분기 구간에서는 배차간격이 두 배로 늘기 때문(...) 그렇게 용산으로 가는구나...이렇게 되고 있는 상황에서.
 
'''2013년 3월 초, [[용산국제업무지구]]가 온갖 파행(...)을 거듭하다 최종적으로 무산되었다!'''
 
결국 3월 21일, 본래 4월로 예정되었던 강남-용산 구간 착공이 무기한 연기되고 말았다. 이렇게 되자 4월 3일에는 '''강남~신사 구간을 우선 착공하고 신사-용산 구간은 2016년 이후 다시 협의하자'''는 기사가 나왔다. 이에 대해 <del>만악의 근원</del> 국토해양부에서는 '신분당선 노선은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을 논의하기 전에 이미 확정된 것'이라면서 용산 구간의 노선 변경 및 무기한 연기가 아니라 일축했다. <del>답이 없다.</del>
 
한편, [[서울특별시]]에서는 별도로 [[2013년]] [[10월]] '''동빙고역에서 분기하여 [[녹사평역]]-[[회현역]]-[[시청역 (서울)|시청역]]-[[광화문역]]-[[경복궁역]]-세검정역-[[독바위역]]-은평역-[[삼송역]] 간 민자 [[도시철도]]''' 노선을 확정한다. 즉 분기안을 다시 내밀었던 셈, 특히 [[대중교통]] 면에서 상대적으로 열세였던 [[은평구]]의 교통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계획.<ref>실제로 2000년대 중후반에 시청-은평간 경전철도 추진된 바 있었다.</ref>
 
2013년 [[9월 4일]] [[감사원]]은 신분당선 용산노선에 대한 전면 재검토 지시를 내렸다. 용산국제업무지구 무산 이후 재조사가 없고 2012년 4월 경제성이 없는 요금체계로 협약을 맺었다는 것이다. 다음날인 9월 5일에는 문제의 용산국제업무지구가 '''완전히 종지부를 찍었다는 기사가 나온 것으로 볼 때''' 용산 연장의 완공 시기는 더욱 불투명해졌다.
 
더 나아가 2014년 [[고양시]]에서는 신분당선을 삼송과 식사동-구일산을 거쳐 [[KINTEX]]까지 연장하는 것을 요구하였다. 그러나 이 경우 [[GTX]] A 노선과 중복투자 문제가 생기기 때문에, 고양시에서는 이 노선을 약간 틀어 '''삼송-고양시청-식사동-[[풍산역 (경의선)|풍산]]-[[정발산역|정발산]]-킨텍스'''로 변경 제안을 하게 되고<ref>즉 고양시(일산신도시) 제2 도시철도 기능도 수행하는 셈. 실제로 [[2008년]] 비슷한 구간으로 [[고양 경전철]]이 추진된 바 있었다. 말아먹어서 그렇지(...)</ref>, 경기도의회에서 추진 촉구안이 통과된다.
 
2014년 11월에는 GTX A 노선과 같이 지어서 서로 환승할 수 있게 하자는 제안도 나왔다. 다만 이럴 경우 GTX A선은 반 고자가 될 가능성이 높다(...)
 
[[2014년]]말 "[[2015년]]말에 용산-강남 구간을 착공하겠다"라는 기사가 나왔다(...) 다만 서울시가 분기안을 꺼낸 이상 사실상 분기해서 지어질 가능성이 높다. 이럴 경우 도심 구간이 서울 지하철로 지어진다면 '''서울 지하철 11호선'''이라는 번호를 받을 가능성도 있을 듯(...)<ref>10호선은 [[우이신설선]]이 가져갈 가능성이 높으므로.</ref>
 
=== [[정자역]] 이남 구간: [[SB05-1역|2단계 구간 종착역]] 역명 논란 ===
2단계 구간인 [[강남역]]-경기대역 구간은 위의 서울시 구간과는 달리 공사가 다소 순조로운 편이었다. [[2010년]] [[7월 29일]] 2단계 구간이 착공되었으며, [[2015년]] [[3월]]부터는 철로 시운전이 개시되어, 당초 [[2016년]] [[2월 7일]] 개통 예정이나, 빠르면 [[2015년]]말에 개통될 가능성도 높다.
 
특히 [[용인시]] [[수지구]]를 관통하여, 그동안 [[난개발]] 등으로 수지지옥(...)이라는 교통 지옥이었던 수지구에서는 특히 교통 문제에 있어 획기적인 변화가 될 것임에는 분명하다. 다만 가칭 수지역으로 된 곳이 [[크고 아름다운]] 수지구청 코앞에 들어서다보니 역명이 '''수지구청역'''으로 확정되었다(...)<ref>이럴 경우 전국 최초로 일반구 구청 명칭이 역명에 붙게 된다.</ref>
 
특이하게 '''광역 철도'''임에도 부본선이나 대피선 같은 게 거의 설치되지 않았다(...) 기지 입출고선상에 있는 [[광교중앙역]]이 유일한 쌍섬식 승강장. 급행 운행 계획이 없는 듯(...) <del>이뭐병...</del>
 
그런데 개통을 1년여 정도 앞둔 [[2015년]] 초부터 [[광교신도시]] 지역 내에 위치한 역들의 명칭 문제로 [[수원]]과 [[용인]] 간 갈등이 벌어지고 있다. [[핌피현상|역마다 죄다 광교를 집어넣으려고 하는 데다]] 차량기지 부지를 제공한 [[경기대학교]] 측에서도 차량기지 내 역은 대학 명칭으로 역명을 부여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복마전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2단계 종착역인 [[SB05-1역]].
 
=== 3, 4단계 구간 ===
3단계 구간은 '''경기도청(광교중앙)-수원월드컵경기장-동수원-[[화서역]]-구운-호매실'''으로 추진되고 있으며, 4단계 구간은 '''호미실역-봉담역-향남역'''으로 계획되어 있다.
 
그런데 3단계 구간을 KDI가 타당성 조사를 해보니 중간결과 BC(경제성분석) 값이 0.57, AHP가 0.345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정상 개통이 사실상 불가능한 것으로 알려졌다. <del>그런데 [[서울 지하철 9호선|이 노]][[용인 경전철|선들]] 케이스를 보면 타당성 조사 맞긴 한 건가?</del> 문제는, 호매실지구 입주 당시 이 입주민들이 '''신분당선 교통 분담금을 냈다는 점이다!''' 잘못하면 '''[[청라국제도시]] 사건 2탄이 될 지경(...)'''<ref>당초 [[서울 지하철 7호선|지하철 7호선]]이 청라지구로 연장될 예정이었고, 해당 입주민들이 이 분담금을 냈는데, LH가 제멋대로 7호선 연장을 취소하고 그 돈을 [[먹튀]]했던 사건이다.</ref>
 
다만 이렇게 용역으로 낮게 나온 이유는 사실 신분당선의 별도 요금제에다가 [[인천국제공항철도]] 요금 방식을 합쳐서 그대로 산정한 탓이라고 한다. 이럴 경우 [[강남역]] 기점으로 [[화서역]]의 경우 요금이 무려 '''6300원!!!''', 호매실역의 경우 '''7000원!!'''으로 산정되었다. 당연하겠지만, 이거 편도 요금이다. <del>이러면 당연히 아무도 안 타지</del> 그러다 보니 수원시와 국토교통부가 이 구간을 수도권 통합 요금제로 재산정해서 타당성 조사를 다시 요청하기로 한다.
 
[[2015년]] 현재 3단계 구간은 [[2017년]] 착공 예정이라는데, 어떻게 될 지는 알 수가 없는 상태(...)
 
== 역 목록 ==
<!--개통 이후에 역 목록 테이블 통합해주세요-->
* 역명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09-55호<ref>[http://gwanbo.korea.go.kr/upload/2009/02/0210000000.pdf 관보 제16935호] ''신분당선 전철 역명 결정고시'' ([[2009년]] [[2월 10일]]), [[대한민국 정부]]. p.79</ref>에서 결정되었다.
* [[판교역 (성남)|판교역]]의 역명은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3-8호 '''신분당선 전철 역〈정거장〉명'''으로 인해 변경되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신분당선 역 목록
! 역번호
! km
! colspan="2" | 역명
! 승강장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0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04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0.0
| [[강남역|강 남]]
|[[신사역|신사]]
| 江 南
| style="text-align: left;"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 ■││■
| rowspan="7" |{{세로|[[서울특별시]]}}
{{한국 도시철도|2}}
| rowspan="4" |[[강남구]]
| style="width: 1.2em;" rowspan="4"|[[서울특별시]]
|[[강남구]]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0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05
| style="text-align: right;" | 1.5
| style="text-align: right;" |0.7
| [[양재역|양 재]]
|[[논현역|논현]]
| 良 才
| style="text-align: left;"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7}}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
| {{한국 도시철도|3}}
| rowspan="3"|[[서초구]]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0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06
| style="text-align: right;" | 3.1
| style="text-align: right;" |1.5
| [[양재시민의숲역|양재시민의숲<br />(매 헌)]]
|[[신논현역|신논현]]
| 良才市民의숲<br />(梅 軒)
| style="text-align: left;"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9}}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1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07
| style="text-align: right;" | 6.0
| style="text-align: right;" |2.4
| [[청계산입구역|청계산입구]]
|[[강남역|강남]]
| 淸溪山入口
| style="text-align: left;"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 ■││■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1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08
| style="text-align: right;" | 14.2
| style="text-align: right;" |3.9
| [[판교역 (성남)|판 교<br />(판교테크노밸리)]]
|[[양재역|양재(서초구청)]]
| 板 橋
| style="text-align: left;"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 ■││■
| rowspan="3" |[[서초구]]
|  <del><span style="color: #019587;">●</span> [[중부내륙선|성남여주선]]</del>
| style="width: 1.2em;" rowspan="2"|[[경기도]]
|rowspan="2"|[[성남시]]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1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09
| style="text-align: right;" | 17.3
| style="text-align: right;" |5.5
| [[정자역|정 자]]
|[[양재시민의숲역|양재시민의숲(매헌)]]
| 亭 子
| style="text-align: left;" |
| ■││■
| {{한국 도시철도|K2}}
|-
|-
| colspan="8" |이하 구간은 [[2015년]]말~[[2016년]] 개통 예정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10
| style="text-align: right;" |8.4
|[[청계산입구역|청계산입구]]
| style="text-align: left;"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1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11
| style="text-align: right;" | 19.6
| style="text-align: right;" |16.6
| [[미금역|미 금]]
|[[판교역|판교<br />(판교테크노밸리)]]
| 美 金
| style="text-align: left;"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강}} [[경강선]]: 코레일 일반열차
| ■││■
| rowspan="10" |{{세로|[[경기도]]}}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BS}};">●</span> [[분당선]]
| rowspan="3" |[[성남시]]
| style="width: 1.2em;" rowspan="6"|[[경기도]]
|[[성남시]]<br />[[분당구]]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1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12
| style="text-align: right;" | 21.2
| style="text-align: right;" |19.7
| [[동천역 (용인)|동 천]]
|[[정자역|정자]]
| 東 川
| style="text-align: left;" |[[분당선]] (연결):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
| ■││■
|rowspan="4"|[[용인시]]<br />[[수지구]]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1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13
| style="text-align: right;" | 23.3
| style="text-align: right;" |21.6
| [[수지구청역|수지구청]]
|[[미금역|미금]]
| 水枝區廳
| style="text-align: left;" |[[분당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
| ■││■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16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14
| style="text-align: right;" | 25.0
| style="text-align: right;" |23.2
| [[성복역|성 복]]
|[[동천역 (용인)|동천]]
| 星 福
| style="text-align: left;" |
| ■││■
| rowspan="4" |[[용인시]]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1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15
| style="text-align: right;" | 27.0
| style="text-align: right;" |25.3
| [[신대역 (용인)|신 대]]
|[[수지구청역|수지구청]]
| 新 垈
| style="text-align: left;" |
| ■││■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1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16
| style="text-align: right;" | 29.4
| style="text-align: right;" |27.0
| [[광교중앙역|광교중앙<br />(경기도청)]]
|[[성복역|성복]]
| 光敎中央
| style="text-align: left;" |
| │■││■│
|  광교기지선<br /><del><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YL}};">●</span> [[용인 경전철]]</del><br /><del>[[인덕원동탄선]]</del>
|[[수원시]]<br />[[영통구]]
|-
|-
| colspan="8" |이하 구간은 [[2017년]] 착공 예정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17
|-
| style="text-align: right;" |29.1
|}
|[[상현역|상현]]
 
| style="text-align: left;"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광교기지선 역 목록<ref>2단계 건설 시 같이 개통될 예정이다.</ref>
! 역번호
! km
! colspan="2" | 역명
! 승강장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1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18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31.5
| [[광교중앙역|광교중앙<br />(경기도청)]]
|[[광교중앙역|광교중앙(아주대)]]
| 光敎中央
| style="text-align: left;" |
| │■││■│
| rowspan="3" |[[수원시]]
|  본선<br /><del><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YL}};">●</span> [[용인 경전철]]</del><br /><del>[[인덕원동탄선]]</del>
|rowspan="2"|[[수원시]]<br />[[영통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D19
| style="text-align: right;" |33.4
| [[광교역|광교(경기대)]]
| style="text-align: left;"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18-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1.9
| style="text-align: right;" |33.5
| [[SB05-1역|경기대<br />(광 교)]]<ref>역명이 확정이 안 되었는데, 역명을 둘러싼 논란이 있다. 항목 참조.</ref>
|(종점)
| 京機大<br />(光 敎)
| style="text-align: left;" |
| ■││■
|
|-
|-
|}
|}
=== 연장 예정 구간 ===
 
==== 용산 운행 계통 ====
==계획==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용산 연장
|+ 신분당선 (용산연장선) 역 목록
:용산 - 국립박물관 - 동빙고 - 신사로 계획되었으며, 착공시점은 미정이다.
! 역번호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번호
! km
! km
! colspan="2" | 역명
! 정거장
! 승강장
! 연계 노선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0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 D01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 0.0
| [[용산역|용 산]]
| [[용산역|용산]]
| 龍 山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br />[[용산선]], [[경원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신용산역]])''
|
| rowspan="3" | [[서울특별시]]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1}};">●</span>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br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GJ}};">●</span>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br /><del><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4}};">●</span>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del>
| rowspan="3" | [[용산구]]
| style="width: 1.2em;" rowspan="7"|[[서울특별시]]
|rowspan="3"|[[용산구]]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0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 D02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동빙고역|동빙고]]
| [[국립박물관역|국립박물관]]
| 東氷庫
| style="text-align: left;" |  
|  
|  <del>서울 지하철<br />동빙고-삼송선</del><br />(직결운행)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0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 D03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한남역|한 남]]
| [[동빙고역|동빙고]]
| 漢 南
| style="text-align: left;" |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GJ}};">●</span>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04
|}
| style="text-align: right;" |
-->
| [[신사역|신 사]]
 
| 新 沙
; 호매실 연장
| ■││■
:광교중앙 - 수원월드컵경기장 - 동수원 - 화서 - 호매실로 계획되었으며, 2023년 착공 예정이다. 원래 계획은 단선이었지만, 복선으로 변경되었다.<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388호</ref>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3}};">●</span>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br /><del>[[서울 경전철 위례신사선|위례신사선]]</del>
<!--
|rowspan="4"|[[강남구]]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05
| style="text-align: right;" |
| [[논현역|논 현]]
| 論 峴
|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7}};"></span>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06
| style="text-align: right;" |
| [[신논현역|신논현]]
| 新論峴
|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9}};">●</span>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D07
| style="text-align: right;" |
| [[강남역|강 남]]
| 江 南
|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2}};">●</span>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
|-
|}
! 번호
==== 도심 운행 계통 ====
* 만일 직결되는 별도의 도시철도<ref>대강 [[서울 지하철 1호선]]과 [[경부선]] 등의 수도권 전철과의 관계 즈음.</ref>로 확정되고 노선 착공이 확실시 되면 별도 문서로 분리하기 바람. <del>서울 지하철 11호선?</del>
* [[고양시]]에서 추진하는 전철 연장선은 반영하지 않았다. 연장이 확정되면(...) 추가하기 바람. 자세한 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POD&mid=tvh&oid=057&aid=0000279005 이 기사를 참조]할 것.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서울 도시철도 삼송-동빙고선 역 목록
! 역번호
! km
! km
! colspan="2" | 역명
! 정거장
! 승강장
! 연계 노선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0.0
| [[삼송역|삼 송]]
| 三 松
|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3}};">●</span>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 style="width: 1.2em;"|[[경기도]]
|[[고양시]]<br />[[덕양구]]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진관역|진 관]]
| 津 寬
|
| style="width: 1.2em;" rowspan="12"|[[서울특별시]]
|rowspan="3"|[[은평구]]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은평역|은 평]]
| 恩 平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독바위역|독바위]]
|
|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6}};">●</span>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세검정역|세검정]]
| 洗劍亭
|
|
|rowspan="6"|[[종로구]]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청운역|청 운]]
| 淸 雲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경복궁역|경복궁<br />(정부서울청사)]]
| 景福宮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3}};">●</span>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광화문역|광화문]]
| 光化門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5}};">●</span>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시청역 (서울)|시 청]]
| 市 廳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1}};">●</span>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br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2}};">●</span>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회현역|회 현<br />(남대문시장)]]
| SB06
| 會 賢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4" | [[경기도]]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4}};">●</span>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 rowspan="4" | [[수원시]]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후암역|후 암]]
| SB07
| 厚 岩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3"|[[용산구]]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녹사평역|녹사평]]
| [[화서역|화서]]
| 綠莎坪
| style="text-align: left;" | [[경부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6}};">●</span>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B}};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신분당}};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 style="text-align: right;" |  
| [[동빙고역|동빙고]]
| SB09
| 東氷庫
| style="text-align: left;" |  
|
|  <del>신분당선<br />본선</del><br />(직결운행)
|-
| colspan="8" |↓ [[한남역|한 남]]
|-
|-
|}
|}
-->
;서북부연장 (동빙고~삼송)
:동빙고에서 분기하여 삼송까지 연결하는 노선으로,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에 [[광역철도]]로 포함되었다. 하지만 사전 타당성 결과가 좋지 않아, 서울시는 용산에서 삼송으로 연장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봉담 / 향남 연장
:호매실에서 [[수인선]] [[오목천역]]과 [[화성시]] 향남까지 연장하는 계획이다. 그런데 봉담 연장이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B/C=0.26으로 나타나 경제성이 없어 미래가 불투명하다.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지하철 경전철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광역전철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2024년 6월 11일 (화) 00:21 기준 최신판

수도권 전철 노선
1 2 3 4 5 6 7 8 9 공항 인천1 인천2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신분당 경강 서해 A 우이 신림 의정부 용인 김포
신분당선
나라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간선), 광역철도, 운행계통(수도권 전철)
번호 320
구간 신사 ~ 광교
영업거리 33.5 km
역 수 12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새서울철도[1], 신분당선[2], 경기철도[3],
네오트랜스[4]
개통일 2011년 10월 28일
차량기지 광교차량사업소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IL-CBTC

서울특별시 강남구에서 경기도 수원시까지 운행 중인 수도권 전철 노선.

3기 지하철 계획의 11호선을 부분적으로 계승한 노선이다. 특히 강남리 마을 전철로 표정속도가 엉망인(...) 분당선의 급행 역할도 한다. 노선색은 심홍색을 사용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운영[편집 | 원본 편집]

환승음악은 자체제작 음악이다.

요금[편집 | 원본 편집]

신분당선의 기본요금(10 km)은 2,250원인데, 수도권 전철 기본요금 1,250원에 추가요금 1,000원으로 구성된다. 구간요금이 있어서 강남~정자와 정자~광교를 오가면 300원을 추가 부과한다. 현행 전 구간인 강남역~광교역간 교통카드 기준 요금은 3,050원.

  • 신분당선↔수도권 전철 환승시
    • 출발지가 신분당선인 경우 승차 게이트에서 기본요금 2,250원이 부과되고 환승 게이트에서 구간요금(2구간 이용시)이 부과된다.
    • 타 노선에서 환승해서 신분당선에서 내리는 경우 승차역에서 통상운임(1,250원)으로 기본료를 냈기 때문에 하차역에서 거리비례 요금과 추가 운임(1,000원~1,300원)을 함께 정산한다.

본래 타 노선처럼 노약자와 장애인 등에게는 운임을 징수하지 않았으나, 2017년 7월 7일, 신분당선(주)는 국토교통부에 운임 적용을 요청했다.[7] 이에 대하여 장애인 단체 등은 성명서를 내고 강하게 반발했다.[8] 검토 결과 실제로 폐지되진 않았다.

차량[편집 | 원본 편집]

무인운행 열차라서 맨 앞에 타면 확 트인 앞을 볼 수 있다. CBTC 적용차량이라 완전 무인운전을 할 수 있으나 안전상 자동운전 상태에서 안전요원이 선두 오른편에 탑승한다.

연장 구간 논란[편집 | 원본 편집]

강남 이북[편집 | 원본 편집]

계획의 시초, 11호선
신분당선은 IMF로 엎어진 3기 지하철 11호선의 후계 노선으로, 11호선은 녹사평 - 시청 - 독립문으로 계획되었다. 2001년 용산~정자 노선으로 부활하였고, 수도권 전철 경의선과 직결운행을 도모하였다. 하지만 용산역 근처에 욱천배수펌프장이 있어서 직결이 불가능했다.
용산국제업무지구의 좌초
그럼에도 용산국제업무지구가 있기에 사업 타당성은 괜찮았으나, 2008년 세계 금융 위기로 계획이 크게 흔들렸다. 2013년 3월 13일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자금난으로 디폴트(채무불이행)에 빠졌고[9], 결국 동년 4월로 예정되었던 강남 ~ 용산 구간 착공이 무기한 연기되었다. 그럼에도 국토해양부에서는 '신분당선 노선은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을 논의하기 전에 이미 확정된 것'이라면서 용산 구간의 노선 변경을 검토하지 않는다고 하였다.[10] 그리고 2013년 9월 5일, 용산국제업무지구가 지정해제되었다.[11]
2013년 9월 4일, 감사원은 신분당선 용산연장에 대한 전면 재검토 지시를 내렸다. 용산국제업무지구 무산 이후 교통수요 예측 재조사를 기획재정부에 요청하지 않았기 때문이다.[12] 국토부는 수요 적정성을 재검토 중이라고 밝혔다.[13] 2014년 12월 KDI의 연구 결과, 수요 감소율은 16%로 조사되었다. 이는 사업성 검토를 다시 해야 하는 허용기준인 30%보다 적어 용산 연장이 재추진되었다.[14]
광화문 연장안 등장
한편, 2008년 포스코에서 용산 대신 광화문 연장을 서울특별시에 제안했다. 이는 많은 버스들이 오가는 강남과 도심을 빠르게 연결하기 때문에, 철도 동호회 내에서 단숨에 큰 지지를 얻었다. 하지만 2010년 1월 수립된 '2010년 민간투자 정책방향' 및 2013년 1월 1일 2013년 예산안 등 용산 연장은 계속 추진되었다.
2013년 7월 24일, 서울시는 동빙고에서 분기하여 삼송까지 연장하는 노선을 담은 '서울시 도시철도 종합발전방안'을 발표했다. 사업비 절감을 위해 GTX A 노선과 공용하자는 제안도 있었다.[15]
더 나아가 2014년 고양시에서는 신분당선을 삼송에서 식사동을 거쳐 KINTEX까지 연장하는 것을 정부에 건의하였고,[16]일산선?? 경기도의회에서 추진 촉구안이 통과되었다.[17]

정자 이남[편집 | 원본 편집]

광교역 역명 논란
역명에 차량기지 부지를 제공한 경기대를 넣어야 한다는 경기대 주장과 광교를 넣어야 한다는 광교신도시 주민 주장이 크게 맞붙었다.
광교 이남
3단계 구간은 광교중앙 ~ 호매실, 4단계 구간은 호매실 - 향남으로 계획되어 있다. 그런데 KDI가 3단계 구간의 예비타당성을 조사한 결과, BC(경제성분석) 이 0.57, AHP가 0.345로 나타나 탈락했다. 문제는 호매실지구 입주민들이 신분당선 교통 분담금을 냈다는 점이다! 청라국제도시 사건 2탄이 될 지경[18]
타당성이 낮게 나온 이유는 신분당선의 요금을 독립적인 요금제로 적용해 분석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국토교통부가 수도권 통합 요금제로 재산정해서 타당성 조사를 다시 요청했고, 2020년 1월 15일 예비타당성을 통과하여 2023년쯤에 착공할 예정이다.[19]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D04 0.0 신사 3호선 강남구
D05 0.7 논현 7호선
D06 1.5 신논현 9호선
D07 2.4 강남 2호선
D08 3.9 양재(서초구청) 3호선 서초구
D09 5.5 양재시민의숲(매헌)
D10 8.4 청계산입구
D11 16.6 판교
(판교테크노밸리)
경강선: 코레일 일반열차 성남시
D12 19.7 정자 분당선 (연결): 수인·분당선
D13 21.6 미금 분당선: 수인·분당선
D14 23.2 동천 용인시
D15 25.3 수지구청
D16 27.0 성복
D17 29.1 상현
D18 31.5 광교중앙(아주대) 수원시
D19 33.4 광교(경기대)
33.5 (종점)

계획[편집 | 원본 편집]

용산 연장
용산 - 국립박물관 - 동빙고 - 신사로 계획되었으며, 착공시점은 미정이다.
호매실 연장
광교중앙 - 수원월드컵경기장 - 동수원 - 화서 - 호매실로 계획되었으며, 2023년 착공 예정이다. 원래 계획은 단선이었지만, 복선으로 변경되었다.[20]
서북부연장 (동빙고~삼송)
동빙고에서 분기하여 삼송까지 연결하는 노선으로, 제3차 대도시권 광역교통 시행계획에 광역철도로 포함되었다. 하지만 사전 타당성 결과가 좋지 않아, 서울시는 용산에서 삼송으로 연장하는 것을 추진 중이다.
봉담 / 향남 연장
호매실에서 수인선 오목천역화성시 향남까지 연장하는 계획이다. 그런데 봉담 연장이 예비타당성조사 결과 B/C=0.26으로 나타나 경제성이 없어 미래가 불투명하다.

각주

  1. 용산~강남 BTO사업자
  2. 1단계(강남 ~ 정자) BTO사업자
  3. 2단계(정자 ~ 광교) BTO[사업자
  4. 위탁 운영사
  5. 신분당선 '신사~강남 구간' 착공…2022년 개통, 뉴시스
  6.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
  7. 신분당선, 무임승차 대상에 장애인 제외 추진, 에이블뉴스, 2017.07.12.
  8. 신분당선 장애인 무임승차 제외추진에 ‘반발’, 에이블뉴스, 2017.07.13.
  9. 용산 국제업무지구 개발 사업, 결국 디폴트, 조선비즈
  10. 신분당선, 강남∼신사 먼저 착공…용산은 연기, 연합뉴스
  11. 용산국제업무지구 지정해제…6년 만에 종지부(종합), 연합뉴스
  12. 감사원 "신분당선 '용산~강남' 경제성 없다", 뉴시스
  13. 신분당선 용산~강남 구간 수요 적정성 재검토 중, 정책브리핑
  14. 신분당선, 용산~강남구간 재추진, 국토경제신문
  15. 시의원 요구자료 제출(요구번호 1094번, 남재경의원, 도시계획관리위원회), 서울특별시
  16. 고양시 '신분당선 서북부노선' 킨텍스 연장 추진, 연합뉴스
  17. 신분당선 삼송-식사-중산-킨텍스 구간 연장 건의안 경기도의회 통과, 아시아투데이
  18. 지하철 7호선이 청라지구로 연장될 예정이었고, 해당 입주민들이 이 분담금을 냈는데, LH가 제멋대로 7호선 연장을 취소하고 그 돈을 먹튀했었던 사건이다.
  19. 수원 호매실서 강남까지 47분…신분당선 연장선 추진, 연합뉴스TV
  20. 국토교통부고시 제2021-1388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