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차량)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한겨례 +한겨레))
 
(사용자 9명의 중간 판 18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수도권 전철 목록}}
{{수도권 분당수인선 틀}}
{{+1|분당선}}<br />盆唐線<br />Bundang Line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분당선
|이름    = 분당선
|노선명2 =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그림 =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alt  =  
|그림크기2 =
|나라    = {{나라|대한민국}}
|그림설명2 =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광역철도]]
|종류 = [[간선철도]] ([[일반철도]]) ·[[광역철도]]<br />[[운행 계통]]
|번호     = 318
|나라 = {{국기|대한민국}}
|구간    = [[왕십리역|왕십리]] ~ [[수원역|수원]]
|체계 = [[수도권 전철]]
|번호 = 318
|상태 = 영업 중
|노선 =
|기점 = [[왕십리역|왕십리]]
|종점 = [[수원역|수원]]
|역수 = 36
|차량기지 = [[분당차량사업소]]
|이용자 =
|개통일 = [[1994년]] [[9월 1일]]
|폐지일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br />([[한국철도시설공단]] 위탁)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영업거리 = 52.9 km
|영업거리 = 52.9 km
|실거리 =  
|역수    = 36개
|시설연장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궤간 = 1,435 mm ([[표준궤]])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궤도 =
|개통일  = [[1994년]] [[9월 1일]]
|선로 = 2 (전 구간)
|폐지일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경유노선 =
|신호 = [[ATC]]
|차량기지 =  
|영업최고속도 = 110 km/h
|궤간     = 1,435 mm ([[표준궤]])
|설계최고속도 =
|선로     = 2
|주석 =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 [[ATC]]
|비고    =  
}}
}}


== 개요 ==
'''분당선'''은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역]]과 [[경기도]] [[수원시]] [[수원역]]을 연결하는 [[간선철도]]이다.
[[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역]]과 [[경기도]] [[수원시]] [[수원역]]을 연결하는 [[광역전철]] 겸 [[수도권 전철]] 노선.


노선 색은 노란색이지만 [[1990년]]대에는 주황색이었다. 추후 [[수인선]]의 [[한대앞역]]~[[수원역]] 구간이 완공되면 직결 운행할 예정이다. <del>문제는 언제 될 지 모른다는 것이지만</del>
[[수원역]]과 [[인천역]]을 잇는 [[수인선]] 및 [[경원선]] 일부 구간과 [[직결운행]]하는데, 이 [[운행계통]]을 '''[[수인·분당선]]'''이라 부른다. 개통 당시에는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의 부속 노선으로 간주하여, 노선 색상이 3호선과 같은 주황색이었으나, [[2000년]] [[4월 1일]]부터 현재의 색상을 사용한다.


사실 [[1997년]] 확정된 [[3기 지하철 계획]]에 따르면, '''지하철 12호선'''(왕십리~광운대)이 [[왕십리역]]에서 분당선과 직결운행할 계획이었다. 즉 이 노선이 예정대로 지어졌으면, 분당선은 '''수도권 전철 12호선의 일부''' 구간이 되었겠지만...'''[[IMF]]로 망했어요'''<ref>대신 이 노선을 부분 계승한 [[서울 경전철 동북선|동북선]] 경전철이 예정되어 있는데, 문제는 경전철이라 직통운전이 불가능하다(...) 그러다 보니 동북선 연선 주민들은 12호선처럼 지하 중전철로 지어달라고 요구하고 있지만 [[서울특별시]]는 먼산</ref>
== 역사 ==
[[1989년]]에 계획이 발표된 [[분당신도시]]의 교통 공급을 위해 추진된 노선이다.<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9121200329201010&editNo=3&printCount=1&publishDate=1989-12-12&officeId=00032&pageNo=1&printNo=13604&publishType=00020 城南(성남)·盆唐(분당)·一山(일산)전철 92년완공], 경향신문</ref> 당초에는 왕십리~오리 구간만 계획되어 있었으나,<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1090100289113001&editNo=4&printCount=1&publishDate=1991-09-01&officeId=00028&pageNo=13&printNo=1019&publishType=00010 분당 전철 수원까지 안간다], 한겨레</ref> 1998년 수원으로의 연장이 확정되었다.<ref>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02호</ref> 하지만 비용 문제로 노선 건설이 지연되었고, 특히 왕십리~선릉 구간은 무기한 연장되다가 2004년 11월 1일에야 착공하였다.<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18&aid=0000218361 분당선 왕십리~선릉 복선전철 공사착공], 이데일리</ref>


만악의 근원으로 유명한 '''강남리 마을 전철 3개 '''이 이 노선에 있다
[[수인선]]과의 직결은 늦어도 1994년부터 계획되었으며,<ref>[https://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94082300209127011&editNo=45&printCount=1&publishDate=1994-08-23&officeId=00020&pageNo=27&printNo=22606&publishType=00010 水仁線(수인선) 협궤열차 단축운행 내달부터 수원~한대앞驛()만], 동아일보</ref> 2020년 [[수인선]] 수원~한대앞 구간 재개통으로 직결운행이 성사되어 현재에 이른다.


== 연혁 ==
=== 연혁 ===
{{인용문2|1994. 09. 01 수서 ↔오리<br />1996. 11. 23 복정<br />2003. 09. 03 선릉 ↔ 수서<br />2004. 01. 16 이매<br />2004. 09. 24 구룡<br />2004. 11. 26 (舊)보정역<br />2007. 12. 14 오리 ↔ 죽전<br />2011. 12. 28 죽전 ↔ 기흥<br />2012. 10. 06 왕십리 ↔ 선릉<br />2012. 12. 01 기흥 ↔ 망포<br />2013. 11. 30 망포 ↔ 수원<br />2017 [[수인선]]과 직결 운행(예정)|분당선의 연혁}}
* [[1994년]] [[9월 1일]]: [[수서역|수서]] ~ [[오리역|오리]] 구간 개통<ref>철도청고시 제1994-46호</ref>
[[1990년대]] 초 수도권 5대 신도시 ([[산본신도시|산본]], [[평촌신도시|평촌]], [[분당신도시|분당]], [[일산신도시|일산]], [[중동신도시|중동]]) 건설과 함께 추진된 노선이...긴 하나 사실 이 노선의 계획은 일찍이 '''[[1960년]]대(!!!)'''에 이 노선의 전신이 되는 성남-왕십리 간 광역전철 계획에서 출발할 수 있겠으나, 근처 [[서울공항]] 등으로 개발이 어려워(...)<ref>사실 이 공항 때문에 [[성남시]] 뿐만 아니라 [[용인시]] 일부 지역까지 고도 제한이 걸려 있었다(...) 그러다가 나중에 [[2009년]] [[롯데월드타워]]를 허가하면서(...) 서울공항 B 활주로의 각도를 틀기로 했지만.</ref> 최종적으로 [[분당신도시]]가 들어선 뒤인 [[1990년]]대에야, 그것도 지하철로(...) 착공을 하게 된다.<ref>사실 [[1960년]]대 계획에서는 [[탄천]]변을 따라 지상 전철로 건설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이렇게 20년 가까이 묵혀두는 동안(...) 때마침 [[1993년]] [[동부간선도로]] 남부 구간이 탄천변을 따라 지어졌고, 결국 지하철로 짓게 된다(...)</ref>
* [[1996년]] [[11월 23일]]: [[서울 지하철 8호선]] 개통과 함께 [[복정역]] 개업
* [[2002년]] [[9월 25일]]: 초림역과 백궁역의 역명을 각각 '''[[수내역|수내]]''', '''[[정자역|정자]]'''로 변경
* [[2003년]] [[9월 3일]]: [[수서역|수서]] ~ [[선릉역|선릉]] 구간 개통<ref>철도청고시 제2003-21호</ref>
* [[2004년]] [[1월 16일]]: [[야탑역|야탑]]과 [[서현역|서현]] 사이에 [[이매역]] 개업<ref>철도청고시 제2004-2호</ref>
* [[2004년]] [[9월 24일]]: [[도곡역|도곡]]과 [[개포동역|개포동]] 사이에 [[구룡역]] 개업<ref>철도청고시 제2004-37호</ref>
* [[2004년]] [[11월 26일]]: [[보정역]]을 임시역사로 개업<ref>철도청고시 제2004-41호</ref><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0&aid=0000210057 분당선 보정역 2004년4월 운행], 동아일보</ref>
* [[2007년]] [[12월 24일]]: [[오리역|오리]]와 보정 사이에 [[죽전역 (용인)|죽전]] 개업<ref>건설교통부고시 제2007-592호</ref>
* [[2011년]] [[12월 28일]]: [[죽전역 (용인)|죽전]] ~ [[기흥역|기흥]] 구간 개통 및 보정역을 현위치로 이전하고 기존 임시역사를 폐쇄.<ref>국토해양부고시 제2011-683호</ref> 경원대역 역명을 '''[[가천대역|가천대]]'''로 변경<ref>국토해양부고시 제2011-749호</ref>
* 2012년 9월 18일: [[왕십리역|왕십리]] ~ [[선릉역|선릉]] 구간 및 [[기흥역|기흥]] ~ [[망포역|망포]] 구간 철도거리표 고시<ref name="B2012">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ref>
* [[2012년]] [[10월 6일]]: 왕십리 ~ 선릉 구간 개통<ref name="B2012" />
* [[2012년]] [[12월 1일]]: 기흥 ~ 망포 구간 개통<ref name="B2012" />
* 2013년 10월 7일: [[망포역|망포]] ~ [[수원역|수원]] 구간 철도거리표 고시<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3-585호</ref>
* [[2013년]] [[11월 30일]]: 망포 ~ 수원 구간 개통. 급행열차 운행 개시
* [[2018년]] [[12월 31일]]: 경원선 [[청량리역|청량리]] ~ [[왕십리역|왕십리]] 구간에 전동차 연장 운행 개시<ref>[https://www.yna.co.kr/view/AKR20181220058200063 분당선 전철,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31일부터 평일 18회], 연합뉴스</ref>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304에서 318로 변경<ref>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당초 분당([[오리역|오리]]) ~ [[왕십리역|왕십리]]의 전 구간 동시 개통이 예정되어 있었으나, [[수서역|수서]] ~ [[오리역|오리]] 구간만 1차적으로 착공, [[1994년]] 개통되었다.
== 운행 ==
{{참고|수인·분당선}}


[[1995년]] [[선릉역|선릉]] ~ [[수서역|수서]] 연장 구간 공사가 시작되었으나, [[왕십리역|왕십리]] ~ [[선릉역|선릉]] 구간 공사는 무기 연기되었다. 분당선 1단계 구간 완공 당시 [[선릉역|선릉]] ~ [[수서역|수서]] 구간의 완공 예정은 당초 [[1998년]]이었고, [[왕십리역|왕십리]] ~ [[선릉역|선릉]]의 완공 예정은 [[2002년]]이었으나, [[선릉역|선릉]] ~ [[수서역|수서]] 구간은 [[2003년]]에야 개통되었다...
노선이 매우 길기 때문에 상당수 열차는 왕십리 ~ 죽전(또는 [[수인선]] [[고색역|고색]]) 구간만 운행한다.
 
정작 [[왕십리역|왕십리]] ~ [[선릉역|선릉]] 구간은 본래 [[1994년]] 당시부터 지으려 했으나, 지하 하저터널로 계획되었고, 더군다나 이곳에 예상치 못하게 단층대가 있다는 게 밝혀지면서(...) 공사는 무기한 지연되었고, 게다가 [[1997년]] [[IMF]]로 더욱 더 짓지 못하고 있었다(...) <del>안습</del>
 
결국 이 구간이 착공된 건, [[광역철도]]로 지정되고 [[2004년]], 게다가 워낙 심한 난공사였는지라 8년이 지난(...) [[2012년]] [[10월 6일]]에 개통되었다. 개통과 함께 서울 강북지역과의 연계를 도모하고 [[수도권 전철 중앙선|중앙선]],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과의 연계도 확충되었으며, 이후에는 [[선정릉역]]에서도 [[2015년]] [[3월 28일]]에 연장 개통된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2단계 [[신논현역|신논현]] ~ [[종합운동장역 (서울)|종합운동장]] 구간과 [[환승]]이 가능해졌다.
 
또 이와는 별도로 [[분당구]] 남쪽의 [[용인시]] 지역의 개발로 인한 수요 증가에 대비하기 위하여 [[용인시]] [[수지구]], [[기흥구]]를 거쳐 [[수원역]]까지의 노선 연장이 계획되었다. [[오리역|오리]] ~ [[수원역]] 구간에서는 급행 열차 운행에 대비하여 일부 역에 대피선이 설치되었으며, [[수원역]]에 도착한 분당선 열차는 [[수인선]] 복선 전철과 [[직결 운행]]하여 [[인천역|인천]]까지 운행할 예정이다. 문제는...[[1994년]]에 지어진 [[오리역]]~[[수서역]] 구간은 대피선 [[그런 거 없다|그딴 거 없다]]는 게 문제다(...) 그래서 전구간을 급행으로 운행하지는 못하고 있다.
 
[[오리역|오리]] ~ [[수원역]] 구간 중 [[보정역]]은 [[2004년]] [[11월 26일]]에, [[죽전역 (용인)|죽전역]]은 [[2007년]] [[12월 24일]]에 개통되었으며, [[죽전역 (용인)|죽전]] ~ [[기흥역|기흥]] 구간은 [[용인 경전철]] 환승 편의를 위하여 [[2011년]] [[12월 28일]]에 개통되었다. 이때 [[경원대역]]이 [[가천대역]]으로 역명이 변경되었고, [[보정역]]은 [[분당차량사업소|차량기지]] 내 지상 임시역에서 지하 정식역으로 이전·승격되었다. 또한 [[기흥역|기흥]] ~ [[망포역|망포]] 구간은 [[2012년]] [[12월 1일]]에 개통되었으며, [[망포역|망포]] ~ [[수원역]] 구간은 [[2013년]] [[11월 30일]]에 개통되었다. [[2021년]]에는 [[수인선]]과 [[직결 운행]]하게 된다.
 
* [[2019년]] [[4월 17일]] : 노선번호가 304에서 318로 변경됨.<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5309930817000&tocId=00000000000000001555373583857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173%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20%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2%2588%25ED%2598%25B8%2520%25EB%25B3%2580%25EA%25B2%25BD)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 운영 ==
=== 운행 ===
상행은 [[죽전역 (용인)|죽전행]]과 [[왕십리역|왕십리행]]이 있으며 하행은 [[죽전역 (용인)|죽전행]], [[수원역|수원행]]이 있다. 운행 계통은 다음과 같다.
 
* 총 운행횟수: 평일 : 352회(급행 12회 포함), 주말, 공휴일 : 280회
** 왕십리 - 수원: 평일 : 194회, 주말, 공휴일 : 142회
** 왕십리 - 수원 (급행): 평일 : 12회
** 왕십리 - 죽전: 평일 : 136회, 주말, 공휴일 : 132회
** 죽전 - 수원: 평일 : 18회, 주말, 공휴일 : 6회
 
심야 막차 시간대에 중간역에 주박하는 열차는 없고, 왕십리 막차 1편성은 [[왕십리역]]에서 주박한다, [[죽전역 (용인)|죽전]] 종착 후 [[분당차량사업소|차량기지]]에 입고하는 편성만 있다. [[2017년]] 이후에는 [[수인선]]과 상호 직결 운행될 예정이다. [[수원역]]에서 출발하는 급행열차는 평일 출근 시간에만 4회, 평일 퇴근시간에만 2회 운행되며 [[수원역]], [[수원시청역|수원시청]], [[망포역|망포]], [[기흥역|기흥]], [[죽전역 (용인)|죽전]]에만 정차하고 [[죽전역 (용인)|죽전]]부터 [[왕십리역|왕십리]]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왕십리역|왕십리]]에서 출발하는 급행열차는 평일 출근 시간에만 2회, 평일 퇴근시간에만 4회 운행되며 [[왕십리역|왕십리]]부터 [[죽전역 (용인)|죽전]]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하고 [[죽전역 (용인)|죽전]]부터는 [[기흥역|기흥]], [[망포역|망포]], [[수원시청역|수원시청]], [[수원역]]에만 정차한다. 승강장은 [[왕십리역|왕십리]], [[선릉역|선릉]] ~ [[오리역|오리]] 구간은 10량<ref>다만, 스크린도어는 8량 기준으로 설치되었다.</ref>, 이 외의 나머지 모든 구간은 8량을 기준으로 건설되었으나, 현재 분당선의 모든 전동차들은 6량 1편성으로 운행하고 있다. [[2017년]]부터는 급행열차 운행을 30분 간격으로 대폭 확대하여 운행 중이다.


=== 차량 ===
=== 차량 ===
* [[코레일 통근형 VVVF 전동차/1세대]]
* [[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1세대)]]
* [[코레일 통근형 VVVF 전동차/2세대]]
* [[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2세대)]]
* [[코레일 통근형 VVVF 전동차/3세대]]
* [[한국철도공사 통근형 VVVF 전동차 (현대로템 3세대)]]
 
== 논란 ==
사실 이 노선은 광역전철로 건설하는 긴 시간 동안 여러 가지 논란(...)에 시달리게 된다. 자세한 건 후술.
=== 초기의 소음 문제 ===
초창기 개통 당시만 하더라도 [[수서역|수서]]에서 [[오리역|오리]]까지의 전 구간이 말 그대로 [[지하철]]이었다. 당시에는 유지 보수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선로에 자갈을 깔지 않고, 그 대신 침목도 모두 [[콘크리트]]로 대체하였다.
 
그러나 이 때문에 침목이 소음을 흡수하지 못하고 열차가 운행할 때 나는 소음이 오히려 터널 내에서 들리게 되었다. 게다가 급하게 개통시킨 탓인지(...) 용접이 마무리가 안 되었고, 더군다나 지은지 얼마 되었다고 선로까지 마모되면서(...) 그로 인하여 분당선은 결국 '''"소음선"'''(...)이라는 별명이 붙어 비판을 받게 되었다. <del>[[서울 지하철 5호선|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보라빛 지하철]]이 떠오른다면 그건 기분 탓이다.</del> 이게 어느 정도였냐면, 대화 소리가 잘 들리지 않는 건 기본이요, 심지어 '''앞 역에서 나는 발차음이 들릴 정도로'''(!!!) 심했다고 하니...
 
당시 측정 결과 '''100[[데시벨|dB]]'''다고 하니 [[흠좀무]]. 이 때문에 당시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은 그야말로 민원 폭탄을 맞게 된다.<ref>[http://news.chosun.com/svc/content_view/content_view.html?contid=1997021170247 `소음 전동차'…안내 방송도 안 들려]《조선일보》[[1997년]] [[2월 11일]]</ref> <del>자업자득</del>
 
다행히 최근에는 승강장 [[스크린도어]] 설치와 일부 전동차의 주변환장치 [[VVVF]] 인버터를 [[도시바]]제 [[게이트 턴 오프 사이리스터|GTO]]에서 우진산전제 [[IGBT]]로 교체하고, 신규 전동차를 점진적으로 도입함에 따라 소음이 어느 정도 감소되었다. <del>5호선은 언제 해결될지는...먼산</del>
 
=== 서울 도심 접근 문제 ===
분당선은 초창기 개통 당시 [[경기도]] [[성남시]]에서 [[서울특별시]]로 빠르게 접근하기 위하여 계획된 [[광역철도]]이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분당선은 [[분당구|분당]]에서 [[선릉역|선릉]] 사이의 전 구간을 동시에 개통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그러나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하여 처음에 [[수서역]]까지 부분적으로 개통하면서 문제가 시작되었다.
 
개통 초기에는 분당선의 출발역이자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의 [[종착역]]이었던 [[수서역]]에서만,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으로의 환승을 통하여 서울에 접근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일부 시민들은 [[수서역]]에서 환승 없이 곧바로 서울로 갈 수 있는 것으로 오해하였다. 당시 [[서울 강남]], [[경기도]] [[분당신도시|분당]], [[죽전동 (용인시)|죽전신도시]] 아파트 분양 광고에서도 이와 같이 입주 예정자들을 속이기도 하였다. 그 이유는 당시 노선도 중 일부에서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과 분당선을 안내할 때 같은 색상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ref>참고로 지하철 역사 내에서도 실제로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과 같은 주황색을 사용하였다. 이 문제는 [[2000년]] [[수도권 전철]] 노선명 통합으로 K2호선으로 개정됨과 동시에 [[노랑|노란색]]으로 바뀌면서 해결되었다.</ref> 그러나 실제로는 분당선과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은 환승만 가능하였기 때문에, 시민들은 여전히 불편과 혼란을 겪어야 하였다. 이러한 오해는 분당선이 [[2003년]]에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선릉역]]까지 연장 개통 전까지도 계속되었다.
 
이후 [[1996년]]에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이 개통되어, [[복정역]]에서 8호선으로 갈아탈 수 있게 되어 승객이 다소 늘어났다. 그러나 분당 지역에서 [[서울특별시|서울]]로 빠르게 접근한다는 본래의 목적을 이루기에는 부족하였다. 그 이후로도 여러 가지 사정 때문에 연장 구간마저 개통이 지연되었다. 또한 당초 노선 자체가 우회하도록 설계되어 있어 분당 지역과 서울 강북의 도심 지역을 단시간으로 연결될 수 없도록 되어 있었다. 이렇게 되자 [[광역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분당 지역에서 서울 도심으로 접근할 때 분당선을 이용하는 것보다 시간면에서 훨씬 유리하게 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7&oid=078&aid=0000015725 민자 참여 신분당선에 기대 크다]《대한민국정책포럼》[[2005년]] [[6월 29일]]</ref>


{{참조|신분당선}}
== 특징 ==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기존의 분당선과는 별개로 [[분당신도시]] 지역과 [[서울특별시]] [[강남대로]] 지역 및 [[강북]]의 도심 지역을 직통으로 더욱 빠르게 연결할 수 있는 [[신분당선]]이 민자 사업으로 추진되어 현재 1단계 구간이 완공되었으며, 2, 3단계 구간이 건설 중에 있다. [[신분당선]]은 1차로 [[강남역]]을 1단계 종착역으로 하여 영업 중에 있다. 신분당선은 [[분당신도시]] 인근에 새롭게 개발되는 [[판교신도시]]의 교통대책과도 연계되어 건설되고 있기도 하다. 급행 [[광역철도]]인 [[신분당선]]은 기존 분당선에 비하여 표정 속도가 2배 정도 빠르다. {{ㅊ|절대 분당선이 너무나도 속 터지게 느린 것이 아니다.}} 이렇게 되어 [[분당구]] [[정자역]]에서 [[강남역]]으로 진입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이 40분에서 16분으로 크게 줄어들었다.<ref>[http://www.shinbundang.co.kr/business/business02.asp 신분당선 주식회사 - 사업 특징]</ref>
; 많은 역으로 인한 낮은 표정속도
 
: 분당선은 성남, 판교, 죽전 등지와 서울을 연결하는 철도이지만, 설치된 역이 많아 빠른 이동이 불가능하다. 특히, [[도곡역]][[대모산입구역]] 사이 구간은 역간 거리가 1km도 되지 않을 정도이다. 이 때문에, 서울과 경기 동남부를 빠르게 잇는 [[신분당선]]과 [[GTX A노선]]을 건설하는 중복투자를 발생시켰다.
=== 분당선 역사 추가 건설 문제 ===
==== [[도곡역|도곡]] ~ [[수서역|수서]] 구간 ====
당초 [[수서역]]에서 [[선릉역]]까지의 구간에는, [[서울 강남구]] [[일원동]]과 [[개포동]] 일원에 1개 역만 건설하기로 계획되어 있었다. 이 지역은 상업 지역도 아닌 데다 집객 효과를 유발할만한 요소도 없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ref name="c">[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17&oid=078&aid=0000029433 분당선 전철역 하루 이용객 10~18명]《국정브리핑》[[2007년]] [[1월 26일]]</ref>
 
그러나 교통영향평가에서 이 구간에 역을 1개 정도 추가로 건설해도 큰 문제가 없다고 발표하자, [[강남구]] 측에서 역을 증설할 것을 요구하였다. 그리고 당시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이 주민들의 요구를 받아들임으로써 문제가 제기되었다.<ref name="c"></ref> 
 
결국 [[수서역]]과 [[도곡역]] 사이의 구간에는, [[대모산입구역]]과 [[개포동역]]과 [[구룡역 (서울)|구룡역]]을 신설하기로 최종적으로 정해졌고, [[수서역]] ~ [[선릉역]] 구간의 공사는 예산 재원 문제로 매우 지연되어 [[대모산입구역]]과 [[개포동역]]에서만 영업을 시작한 상태에서 개통할 수밖에 없었다. [[구룡역 (서울)|구룡역]]은 1년이 지나서야 완공되어 영업을 시작하였다.
 
신설된 3개 역은 서로간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서, 앞뒤 역에 정차한 열차의 모습이 보이기도 하고, 역 안에 게시된 주변 지역 안내도에도 3개 역이 동시에 표시될 정도이다. 이에 따라서 열차의 표정 속도도 수서역과 보정역 사이의 구간 (39.5km/h)에 비하여 약 6km/h가 낮은 33.0km/h이다. 이는 [[구룡역 (서울)|구룡역]] 근처에서 선형이 직각에 가깝게 틀어지므로, 열차가 속도를 낮추어 운전하여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또 [[2006년]] 기준으로 3개 역 중 가장 많은 1일 이용객을 가진 [[개포동역]]보다 이용객수가 적은 역은 [[대모산입구역]]과 [[구룡역 (서울)|구룡역]]을 제외하곤 35곳밖에 불과하다.<ref name="c"></ref>
 
이 때문에 시간과 [[에너지]], 세금 등의 여러 가지 측면에서 낭비가 심하다는 비판이 있는데, 이는 역간 소요 시간이 매우 짧고, 3개 역 사이의 구간에 대체 교통 수단이 충분히 있으며, 지역 주민들의 이기심 ([[핌피 현상|핌피]], PIMFY) 때문에 세워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용하는 사람이 매우 적다는 현실이 반영된 것이다.<ref name="c"></ref>
 
==== [[모란역|모란]] ~ [[서현역|서현]] 구간 ====
분당선의 2단계 연장 구간 공사가 진행될 당시, [[성남시]] [[분당구]] [[이매동]] 주민들이 서현역과 야탑역의 역간 거리가 멀어 분당선 이용에 불편사항이 많다는 이유를 들어 역 신설을 지속적으로 요구한 결과, [[철도청]](현 [[한국철도공사]]) 측에서는 점을 고려하여 요구를 받아들여, [[이매역]]을 [[2000년]] [[3월]] 착공하여 [[2004년]] [[1월 16일]] 개통시켰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28&aid=0000041555 분당선 이매역 오늘 개통]《한겨레》[[2004년]] [[1월 16일]]</ref> 분당선 2단계 구간 건설시와 같은 공법으로 건설되었기 때문에, [[이매역]] 역시 [[선릉역|선릉]] ~ [[수서역|수서]] 구간 역사와 비슷한 형태를 갖는다.
 
[[성남시]]에서도 [[성남시|성남시청]] 신청사 이전 건립 전부터 [[모란역|모란]] - [[야탑역|야탑]] 2.3km 구간에 여러 차례 역사 유치를 위해 관련 기관과 업무 협의를 하였으나, 종단기울기 및 터널공법구간 등의 기술적인 문제로 역사 추가 설치가 어렵다는 의견으로 무산되었고, 실제로도 해당 구간은 [[절연 구간]]이다.
 
==== [[분당차량사업소]] 내 [[보정역]] 건설 ====
당시 종착역이었던 [[오리역]]과 [[분당차량사업소]] 간의 거리가 약 2.5km 정도로 꽤 멀리 떨어져 있어서, [[오리역]]에 종착한 후 [[분당차량사업소]]까지 승객 없이 주행하는 [[전기 동력분산식 열차|전동차]]를 눈앞에 두고도 [[오리역]]까지의 거리가 상당히 멀어 분당선 이용에 불편을 호소하던 인근 [[용인시]] [[구성읍]] 보정리 (현 [[기흥구]] [[보정동]]) 주민들의 민원으로 인해 차량기지 내에 역사를 건설할 계획이 당초에는 없었으나, 풍덕천사거리 인근에 건설될 [[죽전역 (용인)|죽전역]]을 대신하여 [[용인시]]에서 총 54억원의 건설 비용 중 49억 5천여 만원을 부담하여 [[보정역]] 임시 승강장을 설치하여 영업하게 되었다.<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32&aid=0000095252 지하철 분당선 용인까지 연장]《경향신문》[[2004년]] [[11월 23일]]</ref> 본래 [[보정역]]은 [[죽전역 (용인)|죽전역]]이 개통되면 폐지될 예정이었고, 인근 주민들의 요구로 존치되어 계획보다 오래 영업하였으나, [[분당차량사업소]]는 [[2011년]] [[10월 28일]]에 개통된 [[신분당선 D000호대 전동차|신분당선 전동차]]까지 임시로 수용해야 하는 등의 문제로 인해 기지 내 용량 확대를 위해 [[기흥역]] 구간 연장 개통과 함께 임시 역사를 폐지<ref>[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9&aid=0000511291 분당선 연장구간 보정~상갈 신역세권 뜬다]《매일경제》[[2006년]] [[6월 19일]]</ref>하고 [[기흥역]] 연장 개통과 동시에 지하로 [[보정역]]을 이전했다.
 
=== 연장 문제 ===
* [[죽전역 (용인)|죽전]] - [[기흥역|기흥]] 구간은 당초 [[2009년]] [[7월]] 개통 예정이었으나, 2년 6개월이나 늦은 [[2011년]] [[12월 28일]]에야 개통되었고, 기존 [[수려선]] 구간을 일부 변경하여 건설되고 있었던 [[용인 경전철]]은 여러 차례 개통을 연기한 끝에 [[2013년]] [[4월 26일]]에야 뒤늦게 개통되었다.
* [[죽전역 (용인)|죽전]] - [[기흥역|기흥]] 구간의 개통이 연기되면서 [[기흥역]] - [[수원역]] 구간의 공사 역시 지연되어서 완공하였으며, [[직결 운행]]할 예정인 [[수인선]]의 [[복선 전철화]] 공사도 역시 지연되고 있다.
* [[왕십리역|왕십리]] - [[청량리역|청량리]] 구간을 단선으로 추가 부설하여 일부 열차에 한해 연장하자는 지역구 [[민주당 (대한민국, 2011년)|민주당]] [[민병두]] 국회의원의 공약이 있고 해당 지역 차원에서 여러 가지 실질적으로 다양한 방안이 나오고 있으며, 아직 해결 된 상황이 아니다.<ref>[http://www.upkorea.net/news/articleView.html?idxno=28981 김인호 의원, 분당선 왕십리역~청량리역 직결 운행 본격 추진주장]</ref>
* [[왕십리역|왕십리]] - [[상계역|상계]] 구간으로 개통될 예정인 [[서울 경전철 동북선|경전철 동북선]]을 중전철로 건설하여 분당선과 직결시키자는 주장이 지역사회에서 나오고 있다.<ref>[http://www.yonhap21.com/detail.php?number=5741&thread=22r12 강남은 중전철! 강북은 경전철? 서울 동북부 5개 구민, 동북선 중전철화 요구]</ref> 중전철화되면 분당선은 노원구까지 이어지는 거대노선이 되지만 서울 시청에서는 이에 대해 경전철로 한다고 못박아 버렸다. 하지만 경전철을 담당하던 경남기업이 [[2015년]]에 무너지면서 이제 어떻게 될 지 예상할 수 없는 상황이 되었다.
 
=== 부실 공사 문제 ===
분당선의 [[오리역|오리]] - [[수서역|수서]] 구간은 [[1990년]]에 착공되어 4년 뒤인 [[1994년]]에 완공되었다. 전 구간이 지하로 건설되었고 그만큼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였다. 하지만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에서 엄격한 관리를 하지 않았고, 이 때문에 특정 구간에서 부실 공사가 진행되어 문제가 되었다. 당시 [[일산선]], [[과천선]] 등에서도 이와 같은 문제가 발견된 적이 있다.
 
첫 번째 문제는 시공사의 터널 콘크리트 부실 시공이다. 마대를 붙이고 시멘트를 덧칠하는 바람에 터널 사이의 공간이 많이 벌어져 벽면이 상당히 약해졌고<ref>[http://imnews.imbc.com/20dbnews/history/1993/1755646_6127.html MBC 카메라 취재 - 분당선 지하철공사, 시공부실]</ref>, 곳곳에서 누수 등의 문제가 발생하게 되었다.<ref>[http://imnews.imbc.com//20dbnews/camera/1937831_3817.html MBC 뉴스 1994.9.7. - 감사원, 분당선 부실공사 110군데 누수 적발]</ref>
 
두 번째 문제는 [[대한민국 철도청|철도청]]의 부실 관리이다. 분당선 건설 당시 [[다이너마이트]]를 이용한 발파를 하였다. 발파시에는 [[경찰]]이나 기타 화약 전문가들의 엄격한 관리가 필요하였는데, 공사 당시에는 화약이 아무곳에나 방치되었고 전문가가 아닌 일반 건설업자들이 직접 발파 작업까지 하는 등 주먹구구식 관리로 인하여 자칫 대형 사고를 불러올 수도 있었다. 이 뿐만 아니라, 건설에 사용될 철근의 길이도 뒤죽박죽이어서 3m 짜리 철근을 사용해야 하는 곳에 2m 철근과 1m 철근을 붙여 사용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 측량도 엉터리로 진행하여 일부 구간에서는 터널의 모양이 흐트러져 재시공하기까지 하였다.
 
==== 콘크리트 침목 문제 ====
[[2009년]] [[2월 20일]] 분당선의 2단계 구간에서 궤도 옆부분의 콘크리트에서 심각한 균열이 발생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선릉역|선릉]] - [[한티역|한티]]에서만 40개가 넘는 균열이 발생했고, 그중 큰 것은 7[[미터|m]]가 넘는 것도 있었다. 문제가 발생한 원인은 분당선에 콘크리트 시공법이 처음 시도되어 시행 착오가 있었고, 한국철도기술공사에서 잘못된 침목 설계를 했기 때문인 것으로 드러났다. 분당선 구간의 배수구에서 흐르는 물이 침목에 유입되지 않도록 팽창제를 설치했는데, 이 팽창제가 물을 흡수하면서 점점 팽창하여 콘크리트에 균열이 발생한 것이다. 철도시설공단에서는 운행에는 문제가 없다며 문제가 생긴 구간에만 긴급 조치를 취해놓은 상태였지만, 아직 안전을 보장할 수 없는 상태이다. 분당선은 1단계 구간 공사 당시에도 부실 공사가 행해졌으며,<ref>[[1994년]] 1단계 구간 개통당시 부실공사로 인해 누수되어 '''"소음선"'''에 이어 '''"누수선"'''이라는 별명까지 붙고 비판을 받게 되었다.</ref> 2단계 구간에서도 역시 문제가 발견되면서, 이후에 연장된 구간에도 이와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ref>[http://news.kbs.co.kr/society/2009/02/19/1725781.html KBS 뉴스 2009.2.9. - <nowiki>[취재현장]</nowiki> 분당선도 곳곳서 균열]</ref>
 
=== 왕십리역 전동차 전기스파크 발생  ===
[[2015년]] [[3월 16일]] 오후 20시 20분경 서울 지하철 분당선 왕십리역 승강장에서 351x08편성 지하수원행으로 출발하던 열차가 전동차에서 전원 공급장치에 전기스파크가 발생해 승객 180여 명이 긴급 대피했다.


== 역 목록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급'''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 번호
! km
! km
! 역 번호
! 정거장
! colspan="2" | 역명
!
! 급행
! 연계 노선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 style="text-align: right;" | -2.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09
| [[청량리역|청량리]]
| 淸凉里
| rowspan="25" | 급<br />행<br />전<br />역<br />정<br />차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ITX-청춘}} [[ITX-청춘]] · 코레일 일반열차<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 [[수도권 전철 경춘선|경춘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10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10
| [[왕십리역|왕십리]]
| [[왕십리역|왕십리]]
| 往十里
| rowspan="24" style="background: #eee;" | {{세로|전역 정차}}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ITX-청춘}} [[ITX-청춘]]<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 ([[경원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동북}} [[서울 경전철 동북선|동북선]]''
| style="text-align: left;" | [[경원선]] (연결):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ITX-청춘}} [[ITX-청춘]]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5}} [[서울 지하철 5호선|5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동북}} [[동북선]] (예정)''
| rowspan="13" | {{세로|[[서울특별시]]}}
| rowspan="2" | [[성동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11
| style="text-align: right;" | 2.2
| style="text-align: right;" | 2.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11
| [[서울숲역|서울숲]]
| [[서울숲역|서울숲]]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12
| style="text-align: right;" | 4.1
| style="text-align: right;" | 4.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12
| [[압구정로데오역|압구정로데오]]
| [[압구정로데오역|압구정로데오]]
| 押鷗亭로데오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10"| [[강남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13
| style="text-align: right;" | 5.3
| style="text-align: right;" | 5.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13
| [[강남구청역|강남구청]]
| [[강남구청역|강남구청]]
| 江南區廳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7}}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7}} [[서울 지하철 7호선|7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14
| style="text-align: right;" | 6.0
| style="text-align: right;" | 6.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14
| [[선정릉역|선정릉]]
| [[선정릉역|선정릉]]
| 宣靖陵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9}}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9}} [[서울 지하철 9호선|9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15
| style="text-align: right;" | 6.7
| style="text-align: right;" | 6.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15
| [[선릉역|선릉]]
| [[선릉역|선릉]]
| 宣陵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16
| style="text-align: right;" | 7.7
| style="text-align: right;" | 7.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16
| [[한티역|한티]]
| [[한티역|한티]]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17
| style="text-align: right;" | 8.4
| style="text-align: right;" | 8.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17
| [[도곡역|도곡]]
| [[도곡역|도곡]]
| 道谷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18
| style="text-align: right;" | 9.0
| style="text-align: right;" | 9.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18
| [[구룡역|구룡]]
| [[구룡역 (서울)|구룡]]
| style="text-align: left;" |  
| 九龍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19
| style="text-align: right;" | 9.7
| style="text-align: right;" | 9.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19
| [[개포동역|개포동]]
| [[개포동역|개포동]]
| 開浦洞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20
| style="text-align: right;" | 10.3
| style="text-align: right;" | 10.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20
| [[대모산입구역|대모산입구]]
| [[대모산입구역|대모산입구]]
| 大母山入口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21
| style="text-align: right;" | 13.3
| style="text-align: right;" | 13.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21
| [[수서역|수서]]
| [[수서역|수서]]
| 水西
| style="text-align: left;" | [[수서평택고속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SRT}} [[SRT]]<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서울 지하철 3호선|3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GTXA}} [[GTX A노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SRT}} [[SRT]]<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3}} [[수도권 전철 3호선|3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22
| style="text-align: right;" | 16.5
| style="text-align: right;" | 16.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22
| [[복정역|복정]]
| [[복정역|복정]]
| 福井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8}}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8}}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rowspan="1" | [[송파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23
| style="text-align: right;" | 18.9
| style="text-align: right;" | 18.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23
| [[가천대역|가천대]]
| [[가천대역|가천대]]
| 嘉泉大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23" | {{세로|[[경기도]]}}
| rowspan="10" | [[성남시]]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24
| style="text-align: right;" | 19.9
| style="text-align: right;" | 19.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24
| [[태평역|태평]]
| [[태평역|태평]]
| 太平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25
| style="text-align: right;" | 20.8
| style="text-align: right;" | 20.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25
| [[모란역|모란]]
| [[모란역|모란]]
| 牡丹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8}}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8}} [[서울 지하철 8호선|8호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26
| style="text-align: right;" | 23.1
| style="text-align: right;" | 23.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26
| [[야탑역|야탑]]
| [[야탑역|야탑]]
| 野塔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27
| style="text-align: right;" | 24.8
| style="text-align: right;" | 24.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27
| [[이매역|이매]]
| [[이매역|이매]]
| 二梅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강}} [[경강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강}} [[경강선|경강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28
| style="text-align: right;" | 26.2
| style="text-align: right;" | 26.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28
| [[서현역|서현]]
| [[서현역|서현]]
| 書峴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29
| style="text-align: right;" | 27.3
| style="text-align: right;" | 27.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29
| [[수내역|수내]]
| [[수내역|수내]]
| 藪內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30
| style="text-align: right;" | 28.9
| style="text-align: right;" | 28.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30
| [[정자역|정자]]
| [[정자역|정자]]
| 亭子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분당}} [[신분당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분당}} [[신분당선|신분당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31
| style="text-align: right;" | 30.7
| style="text-align: right;" | 30.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31
| [[미금역|미금]]
| [[미금역|미금]]
| 美金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분당}} [[신분당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분당}} [[신분당선|신분당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32
| style="text-align: right;" | 31.8
| style="text-align: right;" | 31.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32
| [[오리역|오리]]
| [[오리역|오리]]
| 梧里
| style="text-align: left;" | [[분당기지선]] (연결)
|
|-
! colspan="6" | [[분당기지선]]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33
| style="text-align: right;" | 33.6
| style="text-align: right;" | 33.6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33
| [[죽전역 (용인)|죽전]]
| [[죽전역 (용인)|죽전]]
| 竹田
| style="text-align: left;" | [[분당기지선]] (연결)<ref>실제로는 연결되지만 누락되어 있다. 이 노선을 통해 [[분당차량사업소]]와 연결되며,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오리역 대신 죽전역에서 분당기지선이 분기하는 것으로 간주한다.</ref>
|
| rowspan="6" | [[용인시]]
| <s>[[분당기지선]]</s><ref>실제로는 접속하지만 누락되어 있다. 이 노선을 통해 [[분당차량사업소]]와 연결되며,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오리역 대신 죽전역에서 분당기지선이 분기하는 것으로 간주한다.</ref>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34
| style="text-align: right;" | 34.9
| style="text-align: right;" | 34.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34
| [[보정역|보정]]
| [[보정역|보정]]
| 寶亭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35
| style="text-align: right;" | 36.5
| style="text-align: right;" | 36.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35
| [[구성역|구성]]
| [[구성역|구성]]
| 駒城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GTXA}} [[GTX A노선]] (예정)''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36
| style="text-align: right;" | 38.1
| style="text-align: right;" | 38.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36
| [[신갈역|신갈]]
| [[신갈역|신갈]]
| 新葛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37
| style="text-align: right;" | 39.5
| style="text-align: right;" | 39.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37
| [[기흥역|기흥]]
| [[기흥역|기흥]]
| 器興
| ●
| ●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용인}} [[용인 경전철]]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용인}} [[용인에버라인]]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38
| style="text-align: right;" | 41.4
| style="text-align: right;" | 41.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38
| [[상갈역|상갈]]
| [[상갈역|상갈]]
| 上葛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39
| style="text-align: right;" | 44.2
| style="text-align: right;" | 44.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39
| [[청명역|청명]]
| [[청명역|청명]]
| 淸明
|
|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7" | [[수원시]]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40
| style="text-align: right;" | 45.3
| style="text-align: right;" | 45.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40
| [[영통역|영통]]
| [[영통역|영통]]
| 靈通
|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동탄인덕원}} [[동탄인덕원선]] (예정)''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41
| style="text-align: right;" | 46.8
| style="text-align: right;" | 46.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41
| [[망포역|망포]]
| [[망포역|망포]]
| 網浦
| ●
| ●
|  
| style="text-align: left;"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42
| style="text-align: right;" | 48.6
| style="text-align: right;" | 48.6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42
| [[매탄권선역|매탄권선]]
| [[매탄권선역|매탄권선]]
| 梅灘勸善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43
| style="text-align: right;" | 50.0
| style="text-align: right;" | 50.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43
| [[수원시청역|수원시청]]
| [[수원시청역|수원시청]]
| 水原市廳
| ●
| ●
|  
| style="text-align: left;"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44
| style="text-align: right;" | 51.4
| style="text-align: right;" | 51.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44
| [[매교역|매교]]
| [[매교역|매교]]
| 梅橋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45
| style="text-align: right;" | 52.9
| style="text-align: right;" | 52.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분당}}; color: white;" | K245
| [[수원역|수원]]
| [[수원역|수원]]
| 水原
| ●
| ●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 코레일 일반열차<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경부선]])
| style="text-align: left;" | [[수인선]] (연결)<br />[[경부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 코레일 여객열차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 style="opacity: 0.6; font-style: italic;"
! colspan="6" | ''[[수인선]] 직결 운행 (예정)''
|}
 
== 개통 연혁 ==
* [[1989년]] [[11월 2일]] : [[선릉역|선릉]] - [[왕십리역|왕십리]] 구간 실시 설계
* [[1990년]] [[2월 26일]] : [[수서역|수서]] - [[오리역|오리]] 구간 착공
* [[1992년]] [[6월]] ~ [[11월]] : [[오리역|오리]] - [[수서역|수서]] 구간 타당성조사 ([[서울대학교]] 공학연구소)
* [[1992년]] [[12월 23일]] : [[선릉역|선릉]] - [[왕십리역|왕십리]] 구간 무기 연기
* [[1994년]] [[9월 1일]] : [[수서역|수서]] - [[오리역|오리]] 구간 개통
* [[1995년]] [[3월 29일]] : [[수서역|수서]] - [[선릉역|선릉]] 구간 착공
* [[1996년]] [[11월 23일]] : [[복정역]] 개통 및 [[서울 지하철 8호선]] 환승 ([[모란역]] 포함)
* [[2000년]] [[9월]] ~ [[2001년]] [[10월 23일]] : [[오리역|오리]] - [[수원역|수원]] 구간 기본 설계
* [[2001년]] [[12월]] ~ : [[오리역|오리]] - [[수원역|수원]] 구간 노반 실시 설계
* [[2002년]] : [[대한민국 국회|국회]]에 [[대모산입구역|대모산입구]] ~ [[수서역|수서]] 사이에 탄천역 추가를 요청했지만 거절
* [[2002년]] [[9월 16일]] : [[오리역|오리]] - [[죽전역 (용인)|죽전]] 구간 착공
* [[2002년]] [[9월 25일]] : [[성남시]]의 행정구역 변경에 따라 '''초림역'''과 '''백궁역'''을 각각 [[수내역]], [[정자역]]으로 역명 변경
* [[2002년]] [[11월 22일]] : [[죽전역 (용인)|죽전역]] 지상화 결정
* [[2003년]] [[6월 20일]] : [[선릉역|선릉]] - [[강남구청역|강남구청]] 구간 착공
* [[2003년]] [[7월]] : [[보정역|죽전임시역(보정역)]] 타당성 조사 통과, 설치 결정
* [[2003년]] [[8월]] : [[용인시]] 구간의 추가역 2개 신설 결정 (현 [[보정역]]과 [[신갈역]]으로, 기존 계획에 없었음)
* [[2003년]] [[8월]] : [[죽전역 (용인)|죽전역]] 노반 공사 착공
* [[2003년]] [[9월 3일]] : [[수서역|수서]] - [[선릉역|선릉]] 구간 개통
* [[2004년]] [[1월 16일]] : [[야탑역|야탑]] - [[서현역|서현]] 구간에 [[이매역]] 개통
* [[2004년]] [[9월 24일]] : [[구룡역 (서울)|구룡역]] 개통
* [[2004년]] [[10월 1일]] : [[선릉역|선릉]] - [[왕십리역|왕십리]] 구간 착공
* [[2004년]] [[10월 14일]] : [[죽전역 (용인)|죽전]] - [[기흥역|기흥]] 구간 착공
* [[2004년]] [[11월 26일]] : [[경기도]] [[용인시]] [[구성읍]] (현 [[기흥구]])에 [[보정역]]을 임시역 형태로 개통
* [[2006년]] [[12월 22일]] : [[기흥역|기흥]] - [[수원역|수원]] 구간 착공
* [[2007년]] [[12월 24일]] : [[오리역|오리]] - [[죽전역 (용인)|죽전]] 구간 개통
* [[2011년]] [[10월 28일]] : [[신분당선]] 개통과 함께 [[정자역]] 환승 개통
* [[2011년]] [[12월 28일]] : [[죽전역 (용인)|죽전]] - [[기흥역|기흥]] 구간 개통, '''경원대역'''이 [[가천대역]]으로 역명 변경,[[보정역|보정임시역]] 폐쇄
* [[2012년]] [[10월 6일]] : [[선릉역|선릉]] - [[왕십리역|왕십리]] 구간 개통
* [[2012년]] [[12월 1일]] : [[기흥역|기흥]] - [[망포역|망포]] 구간 개통
* [[2013년]] [[4월 26일]] : [[용인경전철]] 개통과 함께 [[기흥역]] 환승 개통
* [[2013년]] [[11월 30일]] : [[망포역|망포]] - [[수원역|수원]] 구간 개통과 동시에 급행열차 운행개시
* [[2015년]] [[3월 28일]] : [[서울 지하철 9호선]] 개통과 함께 [[선정릉역]] 환승 개통
* [[2018년]] [[12월 31일]] : 분당선 [[왕십리역|왕십리]] - [[청량리역|청량리]] 구간 연장으로 중간역으로 전환.<ref>[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1&aid=0010536858 분당선 전철,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31일부터 평일 18회]</ref>
 
== 승차량 변동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right;"
|+승차 인원<ref name="a">원자료는 [[수도권 전철#이용 규모]] 주석 1번 참조</ref>
!구간
!colspan="2"|[[2000년]]
!colspan="2"|[[2001년]]
!colspan="2"|[[2002년]]
!colspan="2"|[[2003년]]
|-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ref name="b">가시성을 높이기 위해, 역당 평균량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ref>
!구간총량
!역당평균<ref name="b" />
!구간총량
!역당평균<ref name="b" />
!구간총량
!역당평균<ref name="b" />
|-----
|align="center"|노선 전체
|85516
|''7774''
|111073
|''10098''
|134545
|''12231''
|214466
|''13404''
|-----
|align="center"|분당 지역([[오리역|오리]]~[[야탑역|야탑]])
|56423
|''9404''
|74811
|''12469''
|93044
|''15507''
|106337
|''17723''
|-----
|align="center"|성남 구시가([[모란역|모란]]~[[가천대역|가천대]])
|25931
|''8644''
|31889
|''10630''
|36606
|''12202''
|40810
|''13604''
|-----
|align="center"|서울 시계내([[복정역|복정]]~[[수서역|수서]])
|3161
|''1581''
|4371
|''2186''
|4894
|''2447''
|67318
|''9617''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right;"
|+승차 인원<ref name="a" />
!구간
!colspan="2"|[[2004년]]
!colspan="2"|[[2005년]]
!colspan="2"|[[2006년]]
|-
|-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ref name="b" />
!구간총량
!역당평균<ref name="b" />
!구간총량
!역당평균<ref name="b" />
|-----
|align="center"|노선 전체
|166230
|''8749''
|170824
|''8991''
|177452
|''9340''
|-----
|align="center"|분당 이남 지역([[보정역|보정]]~[[야탑역|야탑]])
|101302
|''12663''
|103718
|''12965''
|107390
|''13424''
|-----
|align="center"|성남 구시가([[모란역|모란]]~[[가천대역|가천대]])
|33242
|''11081''
|33248
|''11083''
|34340
|''11447''
|-----
|align="center"|서울 시계내([[복정역|복정]]~[[선릉역|선릉]])
|31686
|''3961''
|33857
|''4232''
|35721
|''4465''
|}
|}


 
== 지선 ==
== 같이 보기 ==
* [[분당기지선]]
* [[신분당선]]
* [[수인선]]
* [[수도권 전철]]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분당선| ]]
[[분류:수도권 전철 분당선| ]]
[[분류:서울특별시의 교통]]
[[분류:성남시의 교통]]
[[분류:용인시의 교통]]
[[분류:수원시의 교통]]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광역철도 노선}}
{{퍼온문서|분당선||일부}}

2024년 1월 18일 (목) 23:45 기준 최신판

분당선
나라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간선), 광역철도
번호 318
구간 왕십리 ~ 수원
영업거리 52.9 km
역 수 36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1994년 9월 1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ATC

분당선서울특별시 성동구 왕십리역경기도 수원시 수원역을 연결하는 간선철도이다.

수원역인천역을 잇는 수인선경원선 일부 구간과 직결운행하는데, 이 운행계통수인·분당선이라 부른다. 개통 당시에는 3호선의 부속 노선으로 간주하여, 노선 색상이 3호선과 같은 주황색이었으나, 2000년 4월 1일부터 현재의 색상을 사용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1989년에 계획이 발표된 분당신도시의 교통 공급을 위해 추진된 노선이다.[1] 당초에는 왕십리~오리 구간만 계획되어 있었으나,[2] 1998년 수원으로의 연장이 확정되었다.[3] 하지만 비용 문제로 노선 건설이 지연되었고, 특히 왕십리~선릉 구간은 무기한 연장되다가 2004년 11월 1일에야 착공하였다.[4]

수인선과의 직결은 늦어도 1994년부터 계획되었으며,[5] 2020년 수인선 수원~한대앞 구간 재개통으로 직결운행이 성사되어 현재에 이른다.

연혁[편집 | 원본 편집]

운행[편집 | 원본 편집]

노선이 매우 길기 때문에 상당수 열차는 왕십리 ~ 죽전(또는 수인선 고색) 구간만 운행한다.

차량[편집 | 원본 편집]

특징[편집 | 원본 편집]

많은 역으로 인한 낮은 표정속도
분당선은 성남, 판교, 죽전 등지와 서울을 연결하는 철도이지만, 설치된 역이 많아 빠른 이동이 불가능하다. 특히, 도곡역대모산입구역 사이 구간은 역간 거리가 1km도 되지 않을 정도이다. 이 때문에, 서울과 경기 동남부를 빠르게 잇는 신분당선GTX A노선을 건설하는 중복투자를 발생시켰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수인·분당선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K210 0.0 왕십리
전역 정차
경원선 (연결): ITX-청춘 · 경의·중앙선
2호선, 5호선, 동북선 (예정)
성동구
K211 2.2 서울숲
K212 4.1 압구정로데오 강남구
K213 5.3 강남구청 7호선
K214 6.0 선정릉 9호선
K215 6.7 선릉 2호선
K216 7.7 한티
K217 8.4 도곡 3호선
K218 9.0 구룡
K219 9.7 개포동
K220 10.3 대모산입구
K221 13.3 수서 수서평택고속선: SRT
3호선, GTX A노선
K222 16.5 복정 8호선 송파구
K223 18.9 가천대 성남시
K224 19.9 태평
K225 20.8 모란 8호선
K226 23.1 야탑
K227 24.8 이매 경강선
K228 26.2 서현
K229 27.3 수내
K230 28.9 정자 신분당선
K231 30.7 미금 신분당선
K232 31.8 오리 분당기지선 (연결)
K233 33.6 죽전 분당기지선 (연결)[19] 용인시
K234 34.9 보정
K235 36.5 구성 GTX A노선 (예정)
K236 38.1 신갈
K237 39.5 기흥 용인에버라인
K238 41.4 상갈
K239 44.2 청명 수원시
K240 45.3 영통 동탄인덕원선 (예정)
K241 46.8 망포
K242 48.6 매탄권선
K243 50.0 수원시청
K244 51.4 매교
K245 52.9 수원 수인선 (연결)
경부선: KTX · 코레일 여객열차 · 1호선

지선[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城南(성남)·盆唐(분당)·一山(일산)전철 92년완공, 경향신문
  2. 분당 전철 수원까지 안간다, 한겨레
  3. 건설교통부고시 제1998-202호
  4. 분당선 왕십리~선릉 복선전철 공사착공, 이데일리
  5. 水仁線(수인선) 협궤열차 단축운행 내달부터 수원~한대앞驛(역)만, 동아일보
  6. 철도청고시 제1994-46호
  7. 철도청고시 제2003-21호
  8. 철도청고시 제2004-2호
  9. 철도청고시 제2004-37호
  10. 철도청고시 제2004-41호
  11. 분당선 보정역 2004년4월 운행, 동아일보
  12. 건설교통부고시 제2007-592호
  13.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683호
  14. 국토해양부고시 제2011-749호
  15. 15.0 15.1 15.2 국토해양부고시 제2012-610호
  16. 국토교통부고시 제2013-585호
  17. 분당선 전철, 청량리역까지 연장 운행…31일부터 평일 18회, 연합뉴스
  18.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
  19. 실제로는 연결되지만 누락되어 있다. 이 노선을 통해 분당차량사업소와 연결되며, 한국철도공사에서는 오리역 대신 죽전역에서 분당기지선이 분기하는 것으로 간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