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호남선
|노선명2 = Honam Line
|배경색 = {{철도 노선색|}}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크기2 =
|그림설명2 =
|종류 = [[간선철도]]
|나라 = {{국기|대한민국}}
|체계 =
|상태 = 영업중
|노선 =
|기점 = [[대전조차장역]]
|종점 = [[목포역]]
|역수 = 48
|차량기지 =
|이용자 =
|개통일 = [[1914년]] [[1월 11일]]
|폐지일 =
|소유자 =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영업거리 = 252.5 km
|실거리 =
|시설연장 =
|궤간 = 1435mm ([[표준궤]])
|궤도 =
|선로 = 복선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 [[ATS]]
|영업최고속도 =
|설계최고속도 =
|주석 =
}}
湖南線 / Honam Line
湖南線 / Honam Line


18번째 줄: 55번째 줄: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복선화는 [[2000년]]대에 들어와 완성되었는데, 광주송정에서 목포 교외의 임성리역까지는 [[2002년]] [[12월]], 임성리~목포 시내구간은 [[2003년]] [[12월]]에 전철화 사업과 함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복선화는 [[2000년]]대에 들어와 완성되었는데, 광주송정에서 목포 교외의 임성리역까지는 [[2002년]] [[12월]], 임성리~목포 시내구간은 [[2003년]] [[12월]]에 전철화 사업과 함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 운행 계통 ==
=== [[ITX-새마을]] ===
*호남선 계통
**([[경부선]] 구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광주선]] 계통
**(경부선 구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북송정삼각선]] 구간)
=== [[무궁화호]] ===


== 역 목록 ==
== 역 목록 ==
=== 봄선 ===
{{철도역 범례}}
{{철도역 범례}}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역명 !! 등급 !!역간거리<br>km !! 영업거리<br>km !! 접속노선 !! 소재지 !! 비고
! km
|-
! colspan="2" | 역명
| [[대전조차장역]]||{{색|GREEN|◎}}||-||0||[[대전북연결선]] [[경부선]]||[[대전광역시]] [[대덕구]]||
! 등급
! 접속노선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호남선 역 목록
| 0.0
| [[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 大田操車場
| {{색|GREEN|◎}}
| [[경부고속선]]<br>(대전북연결선)<br>[[경부선]]
|
| rowspan="4" style="width: 1.2em;" | [[대전광역시]]
| [[대덕구]]
|-
|-
| [[서대전역]]||{{색|RED|◎}}||5.7||5.7||[[대전선]]||[[대전광역시]] [[중구 (대전)|중구]]||
| 5.7
| [[서대전역|서대전]]
| 西大田
| {{색|RED|◎}}
| [[대전선]]
|
| [[중구 (대전)|중구]]
|-
|-
| [[가수원역]]||◑||6.1||11.8||||[[대전광역시]] [[서구 (대전)|서구]]||
| 11.8
| [[가수원역|가수원]]
| 佳水院
| ◑
|
|
| rowspan="2" | [[서구 (대전)|서구]]
|-
|-
| [[흑석리역]]||{{색|GREEN|○}}||5.5||17.3||||[[대전광역시]] [[서구 (대전)|서구]]||
| 17.3
| [[흑석리역|흑석리]]
| 黑石里
| {{색|GREEN|○}}
|
|
|-
|-
| [[계룡역]]||{{색|RED|○}}||8.1||25.4||||[[충청남도]] [[계룡시]]||
| 25.4
| [[계룡역|계룡]]
| 鷄龍
| {{색|RED|○}}
|  
|
| rowspan="7" | [[충청남도]]
| [[계룡시]]
|-
|-
| [[개태사역]]||◑||9.3||34.7||||[[충청남도]] [[논산시]]||
| 34.7
| [[개태사역|개태사]]
| 開泰寺
| ◑
|
|
| rowspan="6" | [[논산시]]
|-
|-
| [[연산역 (논산)]]||○||4.9||39.6||||[[충청남도]] [[논산시]]||
| 39.6
| [[연산역 (논산)|연산]]
| 連山
| ○
|
|
|-
|-
| [[부황역]]||◑||4.9||44.5||||[[충청남도]] [[논산시]]||
| 44.5
| [[부황역|부황]]
| 夫皇
| ◑
|
|
|-
|-
| [[논산역]]||{{색|RED|○}}||6.3||50.8||||[[충청남도]] [[논산시]]||
| 50.8
| [[논산역|논산]]
| 論山
| {{색|RED|○}}
|
|
|-
|-
| [[채운역]]||ⓧ||6.7||57.5||[[강경선]]||[[충청남도]] [[논산시]]||
| 57.5
| [[채운역|채운]]
| 彩雲
| ⓧ
| [[강경선]]
|
|-
|-
| [[강경역]]||○||3.2||60.7||||[[충청남도]] [[논산시]]||
| 60.7
| [[강경역|강경]]
| 江景
| ○
|
|
|-
|-
| [[용동역]]||◑||6||66.7||||[[전라북도]] [[익산시]]||
| 66.7
| [[용동역|용동]]
| 龍東
| ◑
|
|
| rowspan="13" | [[전라북도]]  
| rowspan="4" | [[익산시]]
|-
|-
| [[함열역]]||○||5.1||71.8||||[[전라북도]] [[익산시]]||
| 71.8
| [[함열역|함열]]
| 咸悅
| ○
|
|
|-
|-
| [[황등역]]||{{색|GREEN|○}}||9.4||81.2||||[[전라북도]] [[익산시]]||
| 81.2
| [[황등역|황등]]
| 黃登
| {{색|GREEN|○}}
|
|
|-
|-
| [[익산역]]||{{색|RED|◎}}||6.7||87.9||[[전라선]], [[장항선]], [[호남고속선]]||[[전라북도]] [[익산시]]||
| 87.9
| [[익산역|익산]]
| 益山
| {{색|RED|◎}}
| [[호남고속선]]<br>[[전라선]]<br>[[장항선]]
|
|-
|-
| [[부용역]]||◑||7.4||95.3||||[[전라북도]] [[김제시]]||
| 95.3
| [[부용역|부용]]
| 芙蓉
| ◑
|  
|
| rowspan="3" | [[김제시]]
|-
|-
| [[와룡역]]||{{색|GREEN|◑}}||3.2||98.5||||[[전라북도]] [[김제시]]||
| 98.5
| [[와룡역|와룡]]
| 臥龍
| {{색|GREEN|◑}}
|
|
|-
|-
| [[김제역]]||○||7.1||105.6||||[[전라북도]] [[김제시]]||
| 105.6
| [[김제역|김제]]
| 金堤
| ○
|
|
|-
|-
| [[감곡역]]||◑||6.8||112.4||||[[전라북도]] [[정읍시]]||
| 112.4
| [[감곡역|감곡]]
| 甘谷
| ◑
|
|
| rowspan="6" | [[정읍시]]
|-
|-
| [[신태인역]]||○||5.5||117.9||||[[전라북도]] [[정읍시]]||
| 117.9
| [[신태인역|신태인]]
| 新泰仁
| ○
|
|
|-
|-
| [[초강역]]||◑||5.6||123.5||||[[전라북도]] [[정읍시]]||
| 123.5
| [[초강역|초강]]
| 楚江
| ◑
|
|
|-
|-
| [[정읍역]]||{{색|RED|◎}}||7.9||131.4||||[[전라북도]] [[정읍시]]||
| 131.4
| [[정읍역|정읍]]
| 井邑
| {{색|RED|◎}}
| [[호남고속선]]
|
|-
|-
| [[천원역]]||◑||6||137.4||||[[전라북도]] [[정읍시]]||
| 137.4
| [[천원역|천원]]
| 川原
| ◑
|
|
|-
|-
| [[노령역]]||◑||4.2||141.6||||[[전라북도]] [[정읍시]]||
| 141.6
| [[노령역|노령]]
| 蘆嶺
| ◑
|
|
|-
|-
| [[백양사역]]||○||7||148.6||||[[전라남도]] [[장성군]]||
| 148.6
| [[백양사역|백양사]]
| 白羊寺
| ○
|
|
| rowspan="3" | [[전라남도]]
| rowspan="3" | [[장성군]]
|-
|-
| [[안평역 (장성)]]||◑||11.5||160.1||[[장성화물선]]||[[전라남도]] [[장성군]]||
| 160.1
| [[안평역 (장성)|안평]]
| 安平
| ◑
| [[장성화물선]]
|
|-
|-
| [[장성역]]||○||3.7||163.8||||[[전라남도]] [[장성군]]||
| 163.8
| [[장성역|장성]]
| 長城
| ○
|
|
|-
|-
| [[임곡역]]||{{색|GREEN|◑}}||10.9||174.7||||[[광주광역시]] [[광산구]]||
| 174.7
| [[임곡역|임곡]]
| 林谷
| {{색|GREEN|◑}}
|
|
| rowspan="4" | [[광주광역시]]
| rowspan="4" | [[광산구]]
|-
|-
| [[하남역]]||{{색|GREEN|○}}||6.5||181.2||||[[광주광역시]] [[광산구]]||
| 181.2
| [[하남역|하남]]
| 河南
| {{색|GREEN|○}}
|
|
|-
|-
| [[북송정역]]||⊙||2.8||184||[[북송정삼각선]], [[광주선]]||[[광주광역시]] [[광산구]]||
| 184.0
| [[북송정역|북송정]]
| 北松汀
| ⊙
| [[북송정삼각선]]
|
|-
|-
| [[광주송정역]]||{{색|RED|◎}}||1.7||185.7||[[경전선]]||[[광주광역시]] [[광산구]]||
| 185.7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光州松汀
| {{색|RED|◎}}
| [[호남고속선]]<br>[[경전선]]<br>[[광주선]]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G|1}};">●</span> [[광주 도시철도 1호선|광주 1호선]] (지하)
|-
|-
| [[노안역]]||◑||9.3||195||||[[전라남도]] [[나주시]]||
| 195.0
| [[노안역|노안]]
| 老安
| ◑
|
|
| rowspan="10" | [[전라남도]]  
| rowspan="4" | [[나주시]]
|-
|-
| [[나주역]]||{{색|RED|◎}}||6.5||201.5||||[[전라남도]] [[나주시]]||
| 201.5
| [[나주역|나주]]
| 羅州
| {{색|RED|◎}}
|
|
|-
|-
| [[다시역]]||◑||7.4||208.9||||[[전라남도]] [[나주시]]||
| 208.9
| [[다시역|다시]]
| 多侍
| ◑
|
|
|-
|-
| [[고막원역]]||◑||3.2||212.1||||[[전라남도]] [[나주시]]||
| 212.1
| [[고막원역|고막원]]
| 古幕院
| ◑
|
|
|-
|-
| [[함평역]]||○||6.8||218.9||||[[전라남도]] [[함평군]]||
| 218.9
| [[함평역|함평]]
| 咸平
| ○
|
|
| [[함평군|함평군]]
|-
|-
| [[무안역]]||○||7.6||226.5||||[[전라남도]] [[무안군]]||
| 226.5
| [[무안역|무안]]
| 務安
| ○
|
|
| rowspan="3" | [[무안군]]
|-
|-
| [[몽탄역]]||○||3.8||230.3||||[[전라남도]] [[무안군]]||
| 230.3
| [[몽탄역|몽탄]]
| 夢灘
| ○
|
|
|-
|-
| [[일로역]]||○||9.6||239.9||[[대불선]]||[[전라남도]] [[무안군]]||
| 239.9
| [[일로역|일로]]
| 一老
| ○
| [[대불선]]
|
|-
|-
| [[임성리역]]||○||5.3||245.2||||[[전라남도]] [[목포시]]||
| 245.2
| [[임성리역|임성리]]
| 任城里
| ○
|
|
| rowspan="2" | [[목포시]]
|-
|-
| [[목포역]]||{{색|RED|◎}}||7.3||252.5||{{ㅊ|[[삼학도선]]}}||[[전라남도]] [[목포시]]||
| 252.5
| [[목포역|목포]]
| 木浦
| {{색|RED|◎}}
|  
|
|}
|}


== 기타 ==
=== 지선 ===
==== 일반 지선 ====
*[[강경선]]
 
==== 화물선 ====
*[[장성화물선]]
*[[대불선]]
 
==== [[삼각선]] ====
*[[대전선]]
*[[북송정삼각선]]
 


{{주석}}
{{주석}}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분류:호남선]]
[[분류:호남선|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2016년 1월 1일 (금) 12:34 판

{{{이름}}}
나라 대한민국
종류 간선철도
영업거리 252.5 km
역 수 48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1914년 1월 11일
시설 정보
궤간 1435mm (표준궤)
선로 복선
신호 ATS

湖南線 / Honam Line

비내리는 호남선 남행열차에 흔들리는 차창 너머로(...)

개요

대전광역시 대덕구대전조차장역전라남도 목포시목포역을 잇는 코레일의 간선 철도 노선이다. 일반적으로는 호남본선만을 가리켜 ‘호남선’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정식 명칭은 호남본선이며, 노선 번호는 204이다.

전라도와 호남은 동의어이지만, 철도에서는 특이하게 전라선과 호남선이 별개의 노선이다. 물론 둘 다 호남 지역의 철도 노선이다.

호남선 구간의 주요역은 대전조차장 - 서대전역 - 논산역 - 익산역 - 김제역 - 정읍역 - 장성역 - 광주송정역 - 나주역 - 목포역이며 대전에서 경부선, 익산에서 전라선장항선, 광주에서 경전선과 접속한다.

2014년, 전구간 개통 100주년을 맞았다.

역사

1914년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호남선 복선화는 1970년대 말에 이미 고속철도사업이 논의되기 시작하던 경부선과는 달리 매우 늦은 시기에 이루어졌다. 대전~익산 구간이 1978년, 익산~정읍 구간은 1985년, 정읍~장성 구간은 1987년에 복선이 완성되었고, 1988년에 이르러서야 광주시내의 광주송정까지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복선화는 2000년대에 들어와 완성되었는데, 광주송정에서 목포 교외의 임성리역까지는 2002년 12월, 임성리~목포 시내구간은 2003년 12월에 전철화 사업과 함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운행 계통

ITX-새마을

  • 호남선 계통
    • (경부선 구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 광주선 계통
    • (경부선 구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북송정삼각선 구간)

무궁화호

역 목록

봄선

틀:철도역 범례

km 역명 등급 접속노선 환승 소재지
호남선 역 목록
0.0 대전조차장 大田操車場 경부고속선
(대전북연결선)
경부선
대전광역시 대덕구
5.7 서대전 西大田 대전선 중구
11.8 가수원 佳水院 서구
17.3 흑석리 黑石里
25.4 계룡 鷄龍 충청남도 계룡시
34.7 개태사 開泰寺 논산시
39.6 연산 連山
44.5 부황 夫皇
50.8 논산 論山
57.5 채운 彩雲 강경선
60.7 강경 江景
66.7 용동 龍東 전라북도 익산시
71.8 함열 咸悅
81.2 황등 黃登
87.9 익산 益山 호남고속선
전라선
장항선
95.3 부용 芙蓉 김제시
98.5 와룡 臥龍
105.6 김제 金堤
112.4 감곡 甘谷 정읍시
117.9 신태인 新泰仁
123.5 초강 楚江
131.4 정읍 井邑 호남고속선
137.4 천원 川原
141.6 노령 蘆嶺
148.6 백양사 白羊寺 전라남도 장성군
160.1 안평 安平 장성화물선
163.8 장성 長城
174.7 임곡 林谷 광주광역시 광산구
181.2 하남 河南
184.0 북송정 北松汀 북송정삼각선
185.7 광주송정 光州松汀 호남고속선
경전선
광주선
광주 1호선 (지하)
195.0 노안 老安 전라남도 나주시
201.5 나주 羅州
208.9 다시 多侍
212.1 고막원 古幕院
218.9 함평 咸平 함평군
226.5 무안 務安 무안군
230.3 몽탄 夢灘
239.9 일로 一老 대불선
245.2 임성리 任城里 목포시
252.5 목포 木浦

지선

일반 지선

화물선

삼각선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