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제 | |
---|---|
지역 정보 | |
종류 | 시 |
시장 | 박준배 (더불어민주당) |
국회의원 | 이원택 (더불어민주당) (김제·부안) |
행정구역 | 4 행정동, 30 법정동, 1 읍, 14 면 |
인구 | 88,721 명 |
면적 | 546.75 km2 |
기타 정보 | |
상징 | 느티나무 (나무) 백일홍 (꽃) 비둘기 (새) |
웹사이트 | http://www.gimje.go.kr/ |
김제시(金堤市)는 대한민국 전라북도 중서부에 있는 시이다. 북쪽으로는 만경강을 경계로 군산시, 익산시와 접하고, 동쪽으로 전주시, 완주군과 접하며, 남쪽으로는 정읍시, 부안군(동진강이 경계)과 접한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 1895년 6월 23일(음력 윤5월 1일) : 전주부 김제군[1]
- 1896년 8월 4일 : 전라북도 김제군[2]
- 1914년 4월 1일 : 김제군, 만경군, 금구군이 김제군으로 통합하였다.[3]
- 1931년 11월 1일 : 김제면이 김제읍으로 승격하였다.[4]
- 1935년 3월 1일 : 하리면·초처면이 봉남면으로 합면하고, 쌍감면이 황산면으로, 수류면이 금산면으로 개칭하고, 전주군 우림면 청도리가 금산면에 편입되었다.[5][6] (1읍 15면)
- 1949년 : 진봉면을 분면하여 광활면이 신설되었다. (1읍 16면)
- 1989년 1월 1일 : 김제군 김제읍·월촌면 일원과 백산면 하리·흥사리·상동리, 황산면 난봉리·황산리·오정리, 봉남면 월성리를 관할로 김제시가 설치되었다.[7] (15면)
- 1994년 12월 26일 : 김제군 백구면 도덕리, 강흥리, 도도리와 용지면 남정리가 전주시에 편입되고, 용지면 금평리가 완주군 이서면에 편입되었다.[8]
- 1995년 1월 1일 : 김제시와 김제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인 김제시가 되었다.[9]
- 1995년 3월 2일 : 만경면이 만경읍으로 승격하였다.[10] (1읍 14면)
- 1998년 9월 26일 : 서흥동이 요촌동에, 봉황동이 신풍동에 통합되고, 교동과 월촌동이 교동월촌동으로 합동하였다.[11] (1읍 14면 4행정동)
- 2011년 12월 26일 : 교동월촌동을 교월동으로 개칭하였다.[12]
- 2015년 11월 13일 : 새만금 2호 방조제의 행정구역이 김제시로 결정 공고 되었다.[13]
- 2016년 6월 : 새만금 2호 방조제 1,688,883.2㎡(32필지)를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편입하였다.[14][15]
지리[편집 | 원본 편집]
김제시에는 금만평야(金萬平野: 김제·만경 평야)라고 불리는 드넓은 평야가 펼쳐져 있어서 기원 전부터 벼농사가 성했고, 백제 비류왕 때(330년) 축조된 한반도 최대의 고대 수리시설인 벽골제가 있다. 김제시는 1960년에 음력 9월 9일을 '김제시민의 날'로 정하고, 벽골제 쌍룡(雙龍)놀이와 김제 지평선 축제를 매년 10월에 개최하고 있다.
새만금[편집 | 원본 편집]
김제시는 2015년 10월 26일 행정자치부 중앙분쟁조정위원회의 결정과 11월 13일 공고에 따라 새만금 방조제 중 2호 방조제를 관할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동진강과 만경강 사이 153㎢가 김제시의 행정구역으로 편입될 예정이다.[16]
행정구역[편집 | 원본 편집]
김제시의 행정구역은 1읍, 14면, 4행정동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은 546.75 ㎢(새만금 2호 방조제 포함)이며, 인구는 2015년 12월 말 주민등록 기준으로 8만8721 명, 4만1438 가구이다.[17] 2015년 11월 13일 편입된 새만금 2호 방조제는 지도에 나와있지 않은데, 진봉면 심포리에 속한다.
읍면동 | 한자 | 면적 | 인구 | 세대 | 행정구역도 |
---|---|---|---|---|---|
만경읍 | 萬頃邑 | 23.96 | 3,115 | 1,583 | |
죽산면 | 竹山面 | 36.81 | 2,891 | 1,519 | |
백산면 | 白山面 | 29.35 | 2,815 | 1,409 | |
용지면 | 龍池面 | 34.9 | 4,272 | 2,018 | |
백구면 | 白鷗面 | 21.98 | 4,309 | 2,016 | |
부량면 | 扶梁面 | 20.1 | 1,504 | 745 | |
공덕면 | 孔德面 | 29.2 | 2,911 | 1,360 | |
청하면 | 靑蝦面 | 19.79 | 2,046 | 1,021 | |
성덕면 | 聖德面 | 22.22 | 2,023 | 1,055 | |
진봉면 | 進鳳面 | 48.78 | 3,079 | 1,599 | |
금구면 | 金溝面 | 42.48 | 5,176 | 2,498 | |
봉남면 | 鳳南面 | 23.73 | 2,565 | 1,362 | |
황산면 | 凰山面 | 18.14 | 2,151 | 1,131 | |
금산면 | 金山面 | 66.78 | 5,202 | 2,704 | |
광활면 | 廣活面 | 32.14 | 1,538 | 777 | |
요촌동 | 堯村洞 | 11.06 | 10,394 | 4,721 | |
신풍동 | 新豊洞 | 23.09 | 13,970 | 5,819 | |
검산동 | 劒山洞 | 14.14 | 11,881 | 4,914 | |
교월동 | 校月洞 | 27.94 | 6,879 | 3,187 | |
김제시 | 金堤市 | 546.75 | 88,721 | 41,438 |
인구[편집 | 원본 편집]
김제시 해당지역 역대 인구 추이 [18]
연도 | 인구 | |
---|---|---|
1960년 | 234,187명 | |
1966년 | 254,999명 | |
1970년 | 228,749명 | |
1975년 | 221,414명 | |
1980년 | 193,095명 | |
1985년 | 170,990명 | |
1990년 | 149,791명 | |
1995년 | 115,427명 | |
2000년 | 102,589명 | |
2005년 | 90,376명 | |
2010년 | 94,346명 | |
2015년 | 88,721명 |
문화[편집 | 원본 편집]
축제[편집 | 원본 편집]
교육 기관[편집 | 원본 편집]
|
|
|
|
|
김제초등학교, 김제중앙초등학교, 김제동초등학교, 김제검산초등학교, 김제북초등학교, 만경초등학교, 청하초등학교, 진봉초등학교, 심창초등학교, 광활초등학교, 성덕초등학교, 청하초등학교, 공덕초등학교, 치문초등학교, 백구초등학교, 백석초등학교, 난산초등학교, 월촌초등학교, 부량초등학교, 죽산초등학교, 금구초등학교, 원평초등학교, 화율초등학교, 금산초등학교, 금남초등학교, 황강초등학교, 황산초등학교, 남양초등학교, 용지초등학교, 용동초등학교, 비룡초등학교, 종정초등학교, 청운초등학교, 월성초등학교, 부용초등학교, 봉남초등학교 |
교통[편집 | 원본 편집]
출신 인물[편집 | 원본 편집]

자매 도시[편집 | 원본 편집]
바깥 고리[편집 | 원본 편집]
- (한국어/영어/일본어/중국어) 김제시청 (공식)
각주
- ↑ 칙령 제98호 地方制度改正件 (1895년 음력 5월 26일)
- ↑ 칙령 제36호 地方制度官制改正件 (1896년 8월 4일)
- ↑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 ↑ 조선총독부령 제132호 (1931년 10월 20일)
- ↑ 조선총독부령 제6호 (1935년 1월 26일)
- ↑ 전라북도령 제1호 (1935년 1월 30일)
- ↑ 법률 제4050호 오산시등12개시및태안군설치와군의명칭변경에관한법률 (1988년 12월 31일)
- ↑ 대통령령 제14434호
- ↑ 법률 제4774호 경기도남양주시등33개도농복합형태의시설치등에관한법률 (1994년 8월 3일)
- ↑ 김제시 조례 제121호
- ↑ 김제시 조례 제245호
- ↑ 김제시 조례 제778호
- ↑ 행정자치부 공고 제2015-319호 매립지 등이 속할 지방자치단체 결정 공고 2015년 11월 13일
- ↑ 새만금방조제 전 구간 지적등록 완료
- ↑ 새만금방조제 지번 부여 논란…군산 반발, 김제시는 환영
- ↑ 10년 투쟁 끝에…새만금 2호 방조제 관할권 찾아 서울신문 2016-03-17 15면
- ↑ 행정자치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2016년 3월 9일 확인.
- ↑ 통계청, 인구주택총조사
전라북도의 기초자치단체 |
|
---|---|
자치시 | |
자치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