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리즈:리브레 기네스/철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역)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현대로템 통근형 VVVF 대형전동차 (1세대) +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1세대)))
 
(사용자 6명의 중간 판 35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세계==
==세계==
*가장 긴 철도: {{국기그림|러시아}}[[시베리아 횡단철도]] (약 7,400km)
*가장 긴 철도: {{깃발|러시아}}[[시베리아 횡단철도]] (약 7,400km)
*가장 긴 터널: {{국기그림|스위스}}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57km)
*가장 긴 터널: {{깃발|스위스}} [[고트하르트 베이스 터널]] (57km)
*최고 속도: {{국기그림|일본}} 603km/h(2015년 4월 21일 [[추오 신칸센]] 야마나시 시험선의 [[L0계]] 열차의 주행 기록)
*가장 긴 [[고속철도]]터널: {{깃발|대한민국}} [[율현터널]] (52.25km)
 
*가장 긴 해저터널: {{깃발|일본}} [[세이칸 터널]](53.85km)
*최고 속도: {{깃발|일본}} 603km/h(2015년 4월 21일 [[추오 신칸센]] 야마나시 시험선의 [[L0계]] 열차의 주행 기록)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철도: {{깃발|중국}}[[칭짱 철도]]의 탕구라 고개 구간(5,072m)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철도역: {{깃발|중국}}칭짱 철도의 [[탕구라역]](5,068m)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철도: {{깃발|일본}}[[세이칸 터널]](-240m)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철도역: {{깃발|일본}}세이칸 터널의 [[요시오카 정점]](-150m), 지상역 중에서는 {{국기|이스라엘}}의 [[베트셰안역]](-120m)
*바다와 가장 가까운 역: {{깃발|일본}}[[우미시바우라역]]<ref>[[도시바]] 공장 직원 전용역이므로 일반인의 이용은 불가능하다.</ref>, 일반인 이용이 가능한 역 중에서는 {{깃발|대한민국}}[[정동진역]]<ref>이러한 이유로 [[기네스북]]에는 [[정동진역]]이 등재되어 있다.</ref>
*[[근성열차|가장 장시간 운행하는 계통]]: [[북한 철도성]]의 99·100 열차({{깃발|러시아}} [[모스크바]]~{{깃발|북한}} [[평양역]], 206시간, 8.5일)
*가장 긴 [[승강장]]이 있는 역: {{나라|인도}} [[고락푸르정션역]] (1,355.40m)
*승강장이 가장 많은 역: {{나라|미국}} [[그랜드 센트럴 터미널]] (44개)
==대한민국==
==대한민국==
=== 노선, 선로 ===
=== 노선, 선로 ===
9번째 줄: 18번째 줄:
*최초로 개통한 [[일반철도]]: [[경인선]](1899년 9월 18일)
*최초로 개통한 [[일반철도]]: [[경인선]](1899년 9월 18일)
*최초로 개통한 [[지하철]], [[광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1974년)
*최초로 개통한 [[지하철]], [[광역철도]]: [[수도권 전철 1호선]](1974년)
*최초로 개통한 [[경전철]], 고무차륜철도, 무인운전 철도: [[부산 도시철도 3호선]](2011년)
*최초로 개통한 [[경전철]], 고무차륜철도, 무인운전 철도: [[부산 도시철도 4호선]](2011년)
*가장 긴 철도 노선: [[경부선]](441.7km)
*가장 긴 철도 노선: [[경부선]](441.7km)
*가장 긴 터널: [[율현터널]](52.25km)
*가장 긴 터널: [[율현터널]](52.25km)
*가장 긴 교량: [[풍세교]](6.845km)
*가장 긴 교량: [[풍세교]](6.845km)
*[[구배]]가 가장 가파른 구간: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바위역]]~[[아시아드경기장역]](55‰)
*[[구배]]가 가장 가파른 구간: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검바위역]]~[[아시아드경기장역]](55‰)
*최후의 [[협궤]]철도: [[수인선]](1995년까지 운행, 2020년에 전 구간 개궤 예정.)
*최후의 [[협궤]]철도: [[수인선]](1995년까지 운행, 2020년에 전 구간 개궤.)
* [[근성열차|가장 장시간 운행하는 계통]]: 무궁화호 1681·1682열차(강릉~부전: 약 8시간 30분)
* [[근성열차|가장 장시간 운행하는 계통]]: 무궁화호 1681·1682열차(강릉~부전: 약 8시간 30분)
*가장 긴 역간거리: [[경부고속선]] [[광명역]]~[[천안아산역]](74km)
*가장 짧은 역간거리: [[서울 지하철 1호선]] [[동대문역]]~[[동묘앞역]](0.6km)


=== 역 ===
=== 역 ===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역: [[추전역]](해발 855m)
*가장 높은 곳에 있는 역: [[추전역]](해발 855m)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역: [[여의나루역]](해발 -27.6m)
*가장 낮은 곳에 있는 역: [[여의나루역]](해발 -27.6m)
*지표면으로부터 가장 깊은 역: [[만덕역]](76m)
*지표면으로부터 가장 깊은 역: [[서해선]] [[김포공항역]](83m)
*최북단역: [[제진역]]
*최북단역: [[제진역]], 일반인 이용이 가능한 역 중에서는 [[소요산역]]
*최동단역: [[괴동역]]
*최동단역: [[영일만항역]]
*최남단역: [[여수엑스포역]]
*최남단역: [[여수엑스포역]]
*최서단역: [[목포역]]
*최서단역: [[목포역]]
33번째 줄: 44번째 줄:
* 가장 오래된 종점역: [[경인선]] [[인천역]](경인선 개통 이래 현재까지 쭈욱.)
* 가장 오래된 종점역: [[경인선]] [[인천역]](경인선 개통 이래 현재까지 쭈욱.)
*최초의 지하철 [[환승역]]: [[신설동역]](1980년)
*최초의 지하철 [[환승역]]: [[신설동역]](1980년)
*출구가 가장 많은 역: [[반월당역]](23개)
*노선 수가 가장 많은 지하철 환승역: [[김포공항역]](5개 노선)


=== 차량 ===
=== 차량 ===
*최초의 [[기관차]]: [[모가형 증기 기관차]]
*최초의 [[기관차]]: [[모가형 증기기관차]](1899년 도입)
*최후의 [[증기기관차]]: [[901호 증기 기관차]](2000년에 영업운행에서 퇴역)
*최초의 [[동차]]: [[게하형 가솔린 동차]](1930년 도입)
*최초의 [[VVVF]] [[전동차]]: [[코레일 통근형 VVVF 전동차/1세대|1993년에 도입한 철도청의 통근형 전동차]](일명 납작이)
*최초의 [[전기기관차]]: [[데로형 전기기관차]](1943년 도입)
*최초의 [[디젤기관차]]: [[철도청 2000호대 디젤기관차]](1951년 도입)
*최초의 [[지하철]], [[광역철도]]용 전동차: [[초저항]](1974년 도입)
*최초의 [[여객열차]]용 [[전동차]]<ref>도시철도, 광역철도용 전동차는 제외.</ref>: [[EEC]](1980년 도입)
*최초의 [[고속철도]]용 차량: [[한국철도공사 100000호대 전동차]](2004년부터 운행)
*최초의 국산차량: [[한국철도공사 8000호대 전기기관차]](8091호, 1983년 도입)
*최초의 [[VVVF]] [[전동차]]: [[현대로템 통근형 VVVF 전동차 (1세대)|납작이]](1993년 도입)
*최후의 [[증기기관차]]: [[901호 증기기관차]](2000년에 영업운행에서 퇴역)


=== 기타 ===
=== 기타 ===
*최악의 철도 사고: [[대구 지하철 참사]](192명 사망)
*최악의 철도 사고: [[대구 지하철 참사]](192명 사망)
{{각주}}
{{리브레 시리즈}}
[[분류:리브레 시리즈]][[분류:철도]]
[[분류:리브레 시리즈]][[분류:철도]]

2023년 11월 8일 (수) 00:28 기준 최신판

세계[편집 | 원본 편집]

대한민국[편집 | 원본 편집]

노선, 선로[편집 | 원본 편집]

[편집 | 원본 편집]

차량[편집 | 원본 편집]

기타[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도시바 공장 직원 전용역이므로 일반인의 이용은 불가능하다.
  2. 이러한 이유로 기네스북에는 정동진역이 등재되어 있다.
  3. 도시철도, 광역철도용 전동차는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