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록된 한자 수: 225[1]
- 쉬운 한자 문서부터 생성하고 있습니다.
한자 찾기[편집 | 원본 편집]
모르는 한자는 이곳을 이용하여 찾아보자.
한자를 찾는 방법에 대해서는 자전 찾는 법과 한자사전 참고.
한자 등록[편집 | 원본 편집]
한자 등록 버튼으로 한자 문서를 작성해주세요. 새 한자 등록을 누르면 한자 문서를 등록할 수 있는 양식이 나타납니다.공지사항[편집 | 원본 편집]
- Since 2021년 6월 28일
- 한자를 다루는 문서 특성상 한자 병기가 많을 수 있습니다.
- 쉬운 한자부터 생성할 계획입니다.
- 주관적인 서술이 있을 수 있어 신뢰성을 보장하지 못합니다. 객관적 서술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주세요!
- 한자 표제어는 어문회 자형을 기준으로 합니다. 어문회 급수 한자 이외의 한자(벽자, 고자)는 유니코드를 기준으로 합니다.
- 링크가 깨질 수 있기 때문에 일부 유니코드 공간의 문자를 틀에서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합니다.
- 예시: 𦥑
한자, 왜 배우나요?[편집 | 원본 편집]
한자 학습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된 계기는 다양하다. 예를 들면, 일상생활 속 복잡한 한자어에 대한 이해를 위해 관심을 가지게 되거나, 혹은 고사성어와 그 역사적 맥락을 보고 비유적인 의미를 언어 생활에서 활용하기 위해서, 아니면 중국어나 일본어에 사용되는 한자[2]를 배우기 위해서나 스펙을 위해 한자 자격증을 취득하는 것을 목표로 두는 등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한자 자격증이 '스펙'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점차 감소하고 있고(관련 기사) 한자 병기에서도 논란이 벌어지는 만큼(관련 기사) 한자는 실용성이 감소하고 있지만 외국어 학습의 준비 및 취미/교양을 위해 배우는 경우도 꽤 있을 것이다.
한편, 2024년 기준 2019년 발생한 코로나 사태나 책을 읽지 않는 성인 인구의 증가 등의 이유로 기초 교육의 부실로 인해 한자어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심심(甚深)한 사과와 점심을 뜻하는 중식(中食)이라는 한자어도 이해할 수 없게 되는 상황까지 되었다. 심지어는 자녀를 교육하여야 할 성인 부모조차도 중식을 중국 음식으로 오인하는 경우가 많아졌다고 한다. 한자 학습 말고도 일상적 독서와 시사, 뉴스 등을 보는 습관을 통해 이 현상을 막을 수 있는 방법은 많으나 한자 학습을 통한 한자어의 구성 성분을 파악하는 능력을 갖추게 된다면 보다 깊이 있는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문해력을 위한 한자 학습은 사실 한자어 학습에 가깝다. 한자어의 구성 요소를 파악하면 되기 때문에 한자를 외울 필요가 없고 쓸 줄 몰라도 무관하다.
한자에 대해 알아보기[편집 | 원본 편집]
- 한자의 기초(基礎)
리브레 위키의 한자 문서를 읽어보면 좋다. 특히 '육서'에 대한 부분(한자가 만들어진 원리를 설명)은 용어를 알아두는 것이 좋으며, 부수에 대한 개념은 가지고 있어야 한다. 또한 위키백과의 '한자(Chinese charcters)' 문서도 한자에 대한 정보를 많이 담고 있다. 영어 위키백과의 Chinese characters 문서 또한 네이버 한자사전의 '그림으로 배우는 한자' 역시 한자 학습 시에 유용하다.
국한문혼용체(國漢文混用體)에 대해[편집 | 원본 편집]
한자로의 한글한자자동번역기를 추천한다. 이는 워드프로세서의 애드인과 뉴스 기사를 한자로 볼 수 있는 기능, 또한 텍스트 번역기를 갖추고 있다. 또한 설정을 통해 한자를 병기하는 것과 오직 한자만 단독으로 표기하는 것 모두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1급에서 8급까지 원하는 급수(어문회 기준으로 추정)를 선택할 수 있어 자신의 수준에 맞게 한자를 공부할 수 있다. 그러나, 동음이의어의 경우에는 오류가 있는 경우가 꽤 있어 이에는 유의해야 한다.
한자 자격증을 따고 싶다면[편집 | 원본 편집]
위의 문단에서 설명한 한자능력검정시험에서 심화된 것으로 주최하는 기관마다는 다르지만 보통 3급 정도에서 공인 급수로 인정이 되며, 자격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문해력 향상을 위한 학습자는 패스해도 되는 부분.
한자능력검정시험(漢字能力檢定試驗)[편집 | 원본 편집]
한자능력검정시험이란, 한자와 관련된 능력을 평가하는 시험을 의미한다. 어떤 한자능력검정시험이 있는지 알고 싶다면 해당 문서 참고.
부록[편집 | 원본 편집]
- 음별 목록
- 부수로 찾기, 부수로 찾는 법
- 획수로 찾기
- 자전 찾는 법
- 흔히 혼동하는 한자어
- 한자어는 간혹 접사 역할을 하는 글자의 의미를 혼동해서 의미를 잘못 이해하는 경우도 있다. 그런 경우가 발생했다면 이 링크에서 한자어를 찾아보면 좋다. 새로 알게 된 한자어의 올바른 의미는 여기에서 정리해보자.
시리즈 틀/템플릿[편집 | 원본 편집]
- {{한자 정보}}
- 리브레 위키:템플릿/한자
각주
쉽게 알 수 있는 학문 | |
---|---|
쉽게 할 수 있는 취미 | |
창작 안내서 시리즈 | |
뭘헤매지 시리즈 | |
여행 시리즈 | |
연표 시리즈 | |
생활의 지혜 | |
리브레 기네스 | |
리브레 위키 |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