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을(를) 삭제함,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을(를) 추가함)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호남선
|노선명 = 호남본선
|노선명2 = 湖南線<br>Honam Line
|노선명2 =  
|배경색 = {{철도 노선색|}}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KR}}
|그림 =   
|그림 =   
|그림크기 =  
|그림크기 =  
12번째 줄: 12번째 줄:
|나라 = {{국기|대한민국}}
|나라 = {{국기|대한민국}}
|체계 =  
|체계 =  
|상태 = 영업중
|번호 = 204
|상태 = 영업 중
|노선 =  
|노선 =  
|기점 = [[대전조차장역]]
|기점 = [[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종점 = [[목포역]]
|종점 = [[목포역|목포]]
|역수 = 48
|역수 = 48
|차량기지 =  
|차량기지 =  
22번째 줄: 23번째 줄:
|폐지일 =  
|폐지일 =  
|소유자 = [[한국철도시설공단]]
|소유자 =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한국철도공사 (KORAIL)]]
|영업거리 = 252.5 km
|영업거리 = 252.5 km
|실거리 =  
|실거리 =  
|시설연장 =  
|시설연장 =  
|궤간 = 1435mm ([[표준궤]])
|궤간 = [[표준궤]] 1,435 mm
|궤도 =  
|궤도 =  
|선로 = 복선
|선로 = 2 (전 구간)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 [[ATS]]
|신호 = [[ATS]]
|영업최고속도 =  
|영업최고속도 =  
36번째 줄: 37번째 줄:
}}
}}


{{+1|호남선 / 湖南線 / Honam Line}}<br />'''남행열차'''


<del>비내리는 호남선 [[남행열차]]에 흔들리는 차창 너머로(...)</del>
== 개요 ==
노선명 그대로, 호남 지방을 잇는 노선으로, 호남 지방 중에서도 중서부 지역을 훑는 노선이다. 경부선 다음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간선으로, 정확히는 [[대전광역시|대전]]과 [[목포시|목포]]를 잇는 노선이다.
 
정확한 노선명은 '''호남본선'''(湖南本線)으로, '''호남선'''은 본선을 포함한 지선군을 묶어둔 선로부에 해당된다. 하지만 일상 용어로는 호남선이 더 선호되므로, 표제명도 호남선을 사용한다.
 
== 역사 ==
[[1914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 개요 ==
호남선 복선화는 [[1970년]]대 말에 이미 [[고속철도]]사업이 논의되기 시작하던 [[경부선]]과는 달리 매우 늦은 시기에 이루어졌다. 대전 ~ 익산 구간이 [[1978년]], 익산 ~ 정읍 구간은 [[1985년]], 정읍 ~ 장성 구간은 [[1987년]]에 복선이 완성되었고, [[1988년]]에 이르러서야 광주시내의 광주송정까지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대전광역시]] [[대덕구]][[대전조차장역]][[전라남도]] [[목포시]][[목포역]]을 잇는 [[코레일]]의 간선 [[철도]] 노선이다. 일반적으로는 호남본선만을 가리켜 ‘호남선’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지만, 정식 명칭은 호남본선이며, 노선 번호는 204이다.
 
광주송정 ~ 목포 구간의 복선화는 [[2000년]]대에 들어와 완성되었는데, 광주송정에서 목포 교외의 임성리역까지는 [[2002년]] [[12월]], 임성리 ~ 목포 시내구간은 [[2003년]] [[12월]]에 전철화 사업과 함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전라도와 호남은 동의어이지만, 철도에서는 특이하게 전라선과 호남선이 별개의 노선이다. 물론 둘 다 호남 지역의 철도 노선이다.
== 문제점 ==
하지만 호남선은 건설 당시, 한국의 교통 흐름 자체보다, 일제의 일부(조선총독부)로서의 교통 기능이 우선시되었던 탓에 현재까지 남아있는 문제점이 많다.


호남선 구간의 주요역은 [[대전조차장]] - [[서대전역]] - [[논산역]] - [[익산역]] - [[김제역]] - [[정읍역]] - [[장성역]] - [[광주송정역]] - [[나주역]] - [[목포역]]이며 대전에서 [[경부선]], 익산에서 [[전라선]] 및 [[장항선]], 광주에서 [[경전선]]과 접속한다.
; 대전 접속 문제
: 원래 호남선은 서울 방향으로 연결되지 않고 부산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는 일본 방향의 수송의 거점이 [[부산광역시|부산]]에 있었기 때문에, 부산에서 호남 지방으로 연결하는 선로로써 지어진 탓이다. 때문에 현대 들어서 오정선(이후 대전선으로 변경, 현재는 호남선의 일부)을 지어 서울 방향으로 직접 연결했고, 그 때문에 대전의 철도역은 [[대전역]][[서대전역]]으로 쪼개지게 되었다.
: 또, 부산 방향에 붙이기 위해 지형상 덜 문제가 되는 지점을 찾다보니 대전에서 접속하게 되었는데, 당시 대전(회덕)은 조그만 시골이었으나 호남선의 연결 이후 대전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서울과의 교통로에서 대전은 서울과 상당히 먼 지점일뿐만 아니라, 선형 역시 돌아가는 형태로 유지되어 문제를 낳게 된다. 도로의 경우도 호남고속도로가 이런 문제점을 답습했으나, 현재는 [[논산천안고속도로]]의 신설로 해결된 반면, [[호남고속선]]은 또 다른 문제를 낳고 말았다. 해당 항목 참조.
; 전주 미경유 문제
: 전주에서의 반대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일제가 익산(당시 이리)를 선호한 것은 이리의 규모가 엄청 작은 편도 아니었고, 당시 일본인 거주구가 있었던 [[군산시|군산]]과의 연결도 용이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전주 방향은 나중에 [[전라선]]을 신설하여 해결하게 되었는데, 도시 규모상 호남선이 전주를 통과하지 않게되는 바람에 호남선의 수요가 분산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낳았다.
; 광주 도심 문제
: 광주의 경우는 전주처럼 미경유까지는 아니지만, 이 역시 문제가 조금 있다. [[광주광역시]]에는 일부 걸치지만, 외곽지에 해당하는 [[광주송정역|송정리]]에서의 접속만이 이루어졌고, 정작 광주는 [[광주선]] 같은 지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이다. 이나마도 사실 [[경전선]] 본선이 들어가던 것을 이설하면서 지선화한 것. 고속철도 운행 이후에는 문제가 더 심각해지고 있다.


[[2014년]], 전구간 [[개통]] 100주년을 맞았다.
== 운행 ==
처음부터 서울에서 출발한게<ref>일반적으로 수도와의 연결성을 고려한 철도들은 대부분 수도에서 처음부터 갈라진 방향으로 운행된다. 가령 영국의 경우 글래스고 방면의 [[영국 서해안본선|서해안본선]]과 에든버러 방면의 [[영국 동해안본선|동해안본선]]의 차이라든지. 프랑스 같은 경우도 비슷한 느낌이 있다.</ref> 아니라 [[경부선]]으로의 접속을 위한 노선이었기 때문에, 현재도 경부선의 상당 구간(약 160 km 상당)을 경유한다. 이 때문에 용량 문제 등이 남아있는 편.


== 역사 ==
호남선은 호남선 자체의 운행 뿐만 아니라, [[전라선]]의 경유 노선으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호남선 열차'''로 불리는 노선들에 대해서만 기재해둔다.
[[1914년]]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호남선 복선화는 [[1970년]]대 말에 이미 [[고속철도]]사업이 논의되기 시작하던 [[경부선]]과는 달리 매우 늦은 시기에 이루어졌다. 대전~익산 구간이 [[1978년]], 익산~정읍 구간은 [[1985년]], 정읍~장성 구간은 [[1987년]]에 복선이 완성되었고, [[1988년]]에 이르러서야 광주시내의 광주송정까지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 고속철도 ===
[[KTX]]는 최초 운행 시부터 [[호남고속선]]이 없었던 탓에 호남선 기존선을 활용하여 운행되었다. 하지만 호남고속선 신설 이후에는 고속선으로 거점이 옮겨지며, 현재는 서대전 경유 기존선 열차만 남아있다. 고속선 열차에 대해서는 [[KTX]], 병행 고속선은 [[호남고속선]]을 참조하기 바라며, 기존선 경유 열차는 다음과 같다.


광주송정~목포 구간의 복선화는 [[2000년]]대에 들어와 완성되었는데, 광주송정에서 목포 교외의 임성리역까지는 [[2002년]] [[12월]], 임성리~목포 시내구간은 [[2003년]] [[12월]]에 전철화 사업과 함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 '''KTX''' (650): (경부고속본선 경유 ←) [[서대전역|서대전]] - [[계룡역|계룡]] - [[논산역|논산]] - [[익산역|익산]] (1일 약 8 ~ 9왕복 운행)


== 운행 계통 ==
=== [[ITX-새마을]] ===
=== [[ITX-새마을]] ===
*호남선 계통
ITX-새마을은 [[새마을호]]를 전신으로 하는 열차로, 이 등급의 열차는 '''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기울임체''를 사용한 구간은 [[경부선]]을 의미한다.
**([[경부선]] 구간) - [[서대전역|서대전]] - [[계룡역|계룡]] - [[논산역|논산]] - [[익산역|익산]] - [[김제역|김제]] - [[신태인역|신태인]] - [[정읍역|정읍]] - [[장성역|장성]]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나주역|나주]] - [[함평역|함평]] - [[일로역|일로]] - [[목포역|목포]]


*[[광주선]] 계통
* '''ITX-새마을''' (1100): ''[[용산역|용산]] - [[영등포역|영등포]] -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역|김제]] - [[정읍역|정읍]] - [[장성역|장성]]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나주역|나주]] - [[목포역|목포]] (1일 2왕복)
**(경부선 구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역|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북송정삼각선]] 구간)
* '''ITX-새마을''' (1110): ''용산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역|광주]] (1일 4왕복)


=== [[무궁화호]] ===
=== [[무궁화호]] ===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로, 현재 운행되는 호남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ITX-새마을의 정차역에 더해 더 많은 역을 정차하나 정차역의 패턴은 일정치 않다.
* '''무궁화호''' (1400): ''용산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1일 6왕복)
* '''무궁화호''' (1420): ''용산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 (1일 4왕복)
** 서대전 ~ 광주만을 운행하는 구간 열차(1460)도 1왕복 추가 운행된다.
* '''무궁화호''' (1440): ''용산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 [[서광주역]] 경유 [[경전선|경전본선]] 방면 직결) (1일 1왕복)
* '''무궁화호''' (1550 / '''장항선 열차'''): (장항선 직결 ←) - 익산 - 논산 - 계룡 - 서대전 (1일 1왕복 직결)
* '''무궁화호''' (1950): (경전본선 직결 ←)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역|함평]] - [[일로역|일로]] - 목포 (1일 1왕복)
* '''무궁화호''' (1980): [[광주역|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1일 1왕복)


== 역 목록 ==
== 역 목록 ==
{{철도역 범례}}
* '''K''' / KTX, '''새''' / ITX-새마을, '''무''' / 무궁화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 / 필수 정차역, ■ / 일부 열차 통과역, ▲ / 일부 열차 정차역, | / 통과역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km
! km
! colspan="2" | 역명
! colspan="2" | 역명
! 등급
! style="background-color: #1d2088; color: white;" | K
! 접속노선
! style="background-color: #0068b7; color: white;" | 새
! 환승
! style="background-color: #e60012; color: white;" | 무
! colspan="2" | 소재지
! 접속 노선
|+ 호남본선 역 목록
|-
| 0.0
! colspan="7" | [[경부선|경부본선]] [[천안역|천안]] · [[수원역|수원]] · [[용산역|용산]] 방면 직결
|-
| style="text-align: right;" | 0.0
| [[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 [[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 大田操車場
| 大田操車場
| {{색|GREEN|◎}}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경부고속선]]<br>(대전북연결선)<br>[[경부선]]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rowspan="4" style="width: 1.2em;" | [[대전광역시]]
|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br />[[경부선|경부본선]] (직결)
| [[대덕구]]
|-
|-
| 5.7
| style="text-align: right;" | 5.7
| [[서대전역|서대전]]
| [[서대전역|서대전]]
| 西大田
| 西大田
| {{색|RED|◎}}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대전선]]
| [[대전선]]
|
| [[중구 (대전)|중구]]
|-
|-
| 11.8
| style="text-align: right;" | 11.8
| [[가수원역|가수원]]
| [[가수원역|가수원]]
| 佳水院
| 佳水院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rowspan="2" | [[서구 (대전)|서구]]
|  
|-
|-
| 17.3
| style="text-align: right;" | 17.3
| [[흑석리역|흑석리]]
| [[흑석리역|흑석리]]
| 黑石里
| 黑石里
| {{색|GREEN|○}}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25.4
| style="text-align: right;" | 25.4
| [[계룡역|계룡]]
| [[계룡역|계룡]]
| 鷄龍
| 鷄龍
| {{색|RED|○}}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rowspan="7" | [[충청남도]]
| [[계룡시]]
|-
|-
| 34.7
| style="text-align: right;" | 34.7
| [[개태사역|개태사]]
| [[개태사역|개태사]]
| 開泰寺
| 開泰寺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rowspan="6" | [[논산시]]
|
|-
|-
| 39.6
| style="text-align: right;" | 39.6
| [[연산역 (논산)|연산]]
| [[연산역 (논산)|연산]]
| 連山
| 連山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44.5
| style="text-align: right;" | 44.5
| [[부황역|부황]]
| [[부황역|부황]]
| 夫皇
| 夫皇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50.8
| style="text-align: right;" | 50.8
| [[논산역|논산]]
| [[논산역|논산]]
| 論山
| 論山
| {{색|RED|○}}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57.5
| style="text-align: right;" | 57.5
| [[채운역|채운]]
| [[채운역|채운]]
| 彩雲
| 彩雲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강경선]]
| [[강경선]]
|
|-
|-
| 60.7
| style="text-align: right;" | 60.7
| [[강경역|강경]]
| [[강경역|강경]]
| 江景
| 江景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66.7
| style="text-align: right;" | 66.7
| [[용동역|용동]]
| [[용동역|용동]]
| 龍東
| 龍東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rowspan="13" | [[전라북도]]
|
| rowspan="4" | [[익산시]]
|-
|-
| 71.8
| style="text-align: right;" | 71.8
| [[함열역|함열]]
| [[함열역|함열]]
| 咸悅
| 咸悅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81.2
| style="text-align: right;" | 81.2
| [[황등역|황등]]
| [[황등역|황등]]
| 黃登
| 黃登
| {{색|GREEN|○}}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87.9
| style="text-align: right;" | 87.9
| [[익산역|익산]]
| [[익산역|익산]]
| 益山
| 益山
| {{색|RED|◎}}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호남고속선]]<br>[[전라선]]<br>[[장항선]]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호남고속선|호남고속본선]]<br />[[전라선|전라본선]]<br />[[장항선]]
|-
|-
| 95.3
| style="text-align: right;" | 95.3
| [[부용역|부용]]
| [[부용역|부용]]
| 芙蓉
| 芙蓉
|
| rowspan="15" style="width: 1.2em; background-color: #c7c0df;" | [[호남고속선|호남고속본선]] 경유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rowspan="3" | [[김제시]]
|-
|-
| 98.5
| style="text-align: right;" | 98.5
| [[와룡역|와룡]]
| [[와룡역|와룡]]
| 臥龍
| 臥龍
| {{색|GREEN|◑}}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105.6
| style="text-align: right;" | 105.6
| [[김제역|김제]]
| [[김제역|김제]]
| 金堤
| 金堤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 112.4
| style="text-align: right;" | 112.4
| [[감곡역|감곡]]
| [[감곡역|감곡]]
| 甘谷
| 甘谷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rowspan="6" | [[정읍시]]
|-
|-
| 117.9
| style="text-align: right;" | 117.9
| [[신태인역|신태인]]
| [[신태인역|신태인]]
| 新泰仁
| 新泰仁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 123.5
| style="text-align: right;" | 123.5
| [[초강역|초강]]
| [[초강역|초강]]
| 楚江
| 楚江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 131.4
| style="text-align: right;" | 131.4
| [[정읍역|정읍]]
| [[정읍역|정읍]]
| 井邑
| 井邑
| {{색|RED|◎}}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호남고속선]]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호남고속본선
|-
|-
| 137.4
| style="text-align: right;" | 137.4
| [[천원역|천원]]
| [[천원역|천원]]
| 川原
| 川原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 141.6
| style="text-align: right;" | 141.6
| [[노령역|노령]]
| [[노령역|노령]]
| 蘆嶺
| 蘆嶺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 148.6
| style="text-align: right;" | 148.6
| [[백양사역|백양사]]
| [[백양사역|백양사]]
| 白羊寺
| 白羊寺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rowspan="3" | [[전라남도]]
| rowspan="3" | [[장성군]]
|-
|-
| 160.1
| style="text-align: right;" | 160.1
| [[안평역 (장성)|안평]]
| [[안평역 (장성)|안평]]
| 安平
| 安平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장성화물선]]
| [[장성화물선]]
|
|-
|-
| 163.8
| style="text-align: right;" | 163.8
| [[장성역|장성]]
| [[장성역|장성]]
| 長城
| 長城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 174.7
| style="text-align: right;" | 174.7
| [[임곡역|임곡]]
| [[임곡역|임곡]]
| 林谷
| 林谷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rowspan="4" | [[광주광역시]]
| rowspan="4" | [[광산구]]
|-
|-
| 181.2
| style="text-align: right;" | 181.2
| [[하남역|하남]]
| [[하남역|하남]]
| 河南
| 河南
| {{색|GREEN|○}}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184.0
| style="text-align: right;" | 184.0
| [[북송정역|북송정]]
| [[북송정역|북송정]]
| 北松汀
| 北松汀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북송정삼각선]]
| [[북송정삼각선]]
|
|-
|-
| 185.7
| style="text-align: right;" | 185.7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광주송정역|광주송정]]
| 光州松汀
| 光州松汀
| {{색|RED|◎}}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호남고속선]]<br>[[경전선]]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G|1}};">●</span> [[광주 도시철도 1호선|광주 1호선]] (지하) <ref> [[광주송정역]]에서 [[옥동사업소]]로 들어가는 인입선이 있었다. 광주 1호선 전동차 2차분이 이 선로를 따라 들어왔으나 호남고속선 개통 준비 과정에서 KTX 승강장과 인입선이 평면교차한다고 인입선을 끊어놔 지금은 이 인입선을 이용할 수 없다. </ref>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호남고속본선<br />[[경전선|경전본선]] [[광주선]]<ref>경전선에서 분기하지만 도중분기되므로 접속역이라 볼 수 있음.</ref>)<br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G|1}};">●</span> [[광주 도시철도 1호선|광주 1호선]]
|-
|-
|-
| style="text-align: right;" | 195.0
| 195.0
| [[노안역|노안]]
| [[노안역|노안]]
| 老安
| 老安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rowspan="10" | [[전라남도]]
|
| rowspan="4" | [[나주시]]
|-
|-
| 201.5
| style="text-align: right;" | 201.5
| [[나주역|나주]]
| [[나주역|나주]]
| 羅州
| 羅州
| {{색|RED|◎}}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208.9
| style="text-align: right;" | 208.9
| [[다시역|다시]]
| [[다시역|다시]]
| 多侍
| 多侍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212.1
| style="text-align: right;" | 212.1
| [[고막원역|고막원]]
| [[고막원역|고막원]]
| 古幕院
| 古幕院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218.9
| style="text-align: right;" | 218.9
| [[함평역|함평]]
| [[함평역|함평]]
| 咸平
| 咸平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함평군|함평군]]
|  
|-
|-
| 226.5
| style="text-align: right;" | 226.5
| [[무안역|무안]]
| [[무안역|무안]]
| 務安
| 務安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rowspan="3" | [[무안군]]
|
|-
|-
| 230.3
| style="text-align: right;" | 230.3
| [[몽탄역|몽탄]]
| [[몽탄역|몽탄]]
| 夢灘
| 夢灘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239.9
| style="text-align: right;" | 239.9
| [[일로역|일로]]
| [[일로역|일로]]
| 一老
| 一老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대불선]]
| [[대불선]]
|
|-
|-
| 245.2
| style="text-align: right;" | 245.2
| [[임성리역|임성리]]
| [[임성리역|임성리]]
| 任城里
| 任城里
|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rowspan="2" | [[목포시]]
|
|-
|-
| 252.5
| style="text-align: right;" | 252.5
| [[목포역|목포]]
| [[목포역|목포]]
| 木浦
| 木浦
| {{색|RED|◎}}
| style="background-color: #c7c0df;"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
|}
|}



2016년 5월 12일 (목) 01:06 판

{{{이름}}}
나라 대한민국
종류 간선철도
번호 204
영업거리 252.5 km
역 수 48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1914년 1월 11일
시설 정보
궤간 표준궤 1,435 mm
선로 2 (전 구간)
신호 ATS

호남선 / 湖南線 / Honam Line
남행열차

개요

노선명 그대로, 호남 지방을 잇는 노선으로, 호남 지방 중에서도 중서부 지역을 훑는 노선이다. 경부선 다음으로 중요하게 여겨지는 간선으로, 정확히는 대전목포를 잇는 노선이다.

정확한 노선명은 호남본선(湖南本線)으로, 호남선은 본선을 포함한 지선군을 묶어둔 선로부에 해당된다. 하지만 일상 용어로는 호남선이 더 선호되므로, 표제명도 호남선을 사용한다.

역사

1914년 전 구간이 개통되었다.

호남선 복선화는 1970년대 말에 이미 고속철도사업이 논의되기 시작하던 경부선과는 달리 매우 늦은 시기에 이루어졌다. 대전 ~ 익산 구간이 1978년, 익산 ~ 정읍 구간은 1985년, 정읍 ~ 장성 구간은 1987년에 복선이 완성되었고, 1988년에 이르러서야 광주시내의 광주송정까지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광주송정 ~ 목포 구간의 복선화는 2000년대에 들어와 완성되었는데, 광주송정에서 목포 교외의 임성리역까지는 2002년 12월, 임성리 ~ 목포 시내구간은 2003년 12월에 전철화 사업과 함께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문제점

하지만 호남선은 건설 당시, 한국의 교통 흐름 자체보다, 일제의 일부(조선총독부)로서의 교통 기능이 우선시되었던 탓에 현재까지 남아있는 문제점이 많다.

대전 접속 문제
원래 호남선은 서울 방향으로 연결되지 않고 부산 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었다. 이는 일본 방향의 수송의 거점이 부산에 있었기 때문에, 부산에서 호남 지방으로 연결하는 선로로써 지어진 탓이다. 때문에 현대 들어서 오정선(이후 대전선으로 변경, 현재는 호남선의 일부)을 지어 서울 방향으로 직접 연결했고, 그 때문에 대전의 철도역은 대전역서대전역으로 쪼개지게 되었다.
또, 부산 방향에 붙이기 위해 지형상 덜 문제가 되는 지점을 찾다보니 대전에서 접속하게 되었는데, 당시 대전(회덕)은 조그만 시골이었으나 호남선의 연결 이후 대전이 발전하는 계기가 되기도 한다. 하지만, 서울과의 교통로에서 대전은 서울과 상당히 먼 지점일뿐만 아니라, 선형 역시 돌아가는 형태로 유지되어 문제를 낳게 된다. 도로의 경우도 호남고속도로가 이런 문제점을 답습했으나, 현재는 논산천안고속도로의 신설로 해결된 반면, 호남고속선은 또 다른 문제를 낳고 말았다. 해당 항목 참조.
전주 미경유 문제
전주에서의 반대도 있었지만, 무엇보다 일제가 익산(당시 이리)를 선호한 것은 이리의 규모가 엄청 작은 편도 아니었고, 당시 일본인 거주구가 있었던 군산과의 연결도 용이했기 때문이다. 때문에 전주 방향은 나중에 전라선을 신설하여 해결하게 되었는데, 도시 규모상 호남선이 전주를 통과하지 않게되는 바람에 호남선의 수요가 분산될 수 밖에 없는 환경을 낳았다.
광주 도심 문제
광주의 경우는 전주처럼 미경유까지는 아니지만, 이 역시 문제가 조금 있다. 광주광역시에는 일부 걸치지만, 외곽지에 해당하는 송정리에서의 접속만이 이루어졌고, 정작 광주는 광주선 같은 지선으로 연결되어 있을 뿐이다. 이나마도 사실 경전선 본선이 들어가던 것을 이설하면서 지선화한 것. 고속철도 운행 이후에는 문제가 더 심각해지고 있다.

운행

처음부터 서울에서 출발한게[1] 아니라 경부선으로의 접속을 위한 노선이었기 때문에, 현재도 경부선의 상당 구간(약 160 km 상당)을 경유한다. 이 때문에 용량 문제 등이 남아있는 편.

호남선은 호남선 자체의 운행 뿐만 아니라, 전라선의 경유 노선으로도 사용되기 때문에, 여기서는 호남선 열차로 불리는 노선들에 대해서만 기재해둔다.

고속철도

KTX는 최초 운행 시부터 호남고속선이 없었던 탓에 호남선 기존선을 활용하여 운행되었다. 하지만 호남고속선 신설 이후에는 고속선으로 거점이 옮겨지며, 현재는 서대전 경유 기존선 열차만 남아있다. 고속선 열차에 대해서는 KTX를, 병행 고속선은 호남고속선을 참조하기 바라며, 기존선 경유 열차는 다음과 같다.

ITX-새마을

ITX-새마을은 새마을호를 전신으로 하는 열차로, 이 등급의 열차는 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기울임체를 사용한 구간은 경부선을 의미한다.

무궁화호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로, 현재 운행되는 호남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ITX-새마을의 정차역에 더해 더 많은 역을 정차하나 정차역의 패턴은 일정치 않다.

  • 무궁화호 (1400): 용산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목포 (1일 6왕복)
  • 무궁화호 (1420): 용산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 (1일 4왕복)
    • 서대전 ~ 광주만을 운행하는 구간 열차(1460)도 1왕복 추가 운행된다.
  • 무궁화호 (1440): 용산 - 영등포 - 수원 - 천안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 서광주역 경유 경전본선 방면 직결) (1일 1왕복)
  • 무궁화호 (1550 / 장항선 열차): (장항선 직결 ←) - 익산 - 논산 - 계룡 - 서대전 (1일 1왕복 직결)
  • 무궁화호 (1950): (경전본선 직결 ←)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1일 1왕복)
  • 무궁화호 (1980): 광주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 - 목포 (1일 1왕복)

역 목록

  • / KTX, / ITX-새마을, / 무궁화
  • ● / 필수 정차역, ■ / 일부 열차 통과역, ▲ / 일부 열차 정차역, | / 통과역
km 역명 접속 노선
경부본선 천안 · 수원 · 용산 방면 직결
0.0 대전조차장 大田操車場 경부고속본선
경부본선 (직결)
5.7 서대전 西大田 대전선
11.8 가수원 佳水院
17.3 흑석리 黑石里
25.4 계룡 鷄龍
34.7 개태사 開泰寺
39.6 연산 連山
44.5 부황 夫皇
50.8 논산 論山
57.5 채운 彩雲 강경선
60.7 강경 江景
66.7 용동 龍東
71.8 함열 咸悅
81.2 황등 黃登
87.9 익산 益山 호남고속본선
전라본선
장항선
95.3 부용 芙蓉 호남고속본선 경유
98.5 와룡 臥龍
105.6 김제 金堤
112.4 감곡 甘谷
117.9 신태인 新泰仁
123.5 초강 楚江
131.4 정읍 井邑 호남고속본선
137.4 천원 川原
141.6 노령 蘆嶺
148.6 백양사 白羊寺
160.1 안평 安平 장성화물선
163.8 장성 長城
174.7 임곡 林谷
181.2 하남 河南
184.0 북송정 北松汀 북송정삼각선
185.7 광주송정 光州松汀 호남고속본선
경전본선광주선[2])
광주 1호선
195.0 노안 老安
201.5 나주 羅州
208.9 다시 多侍
212.1 고막원 古幕院
218.9 함평 咸平
226.5 무안 務安
230.3 몽탄 夢灘
239.9 일로 一老 대불선
245.2 임성리 任城里
252.5 목포 木浦

지선

일반 지선

화물선

삼각선

폐역 목록


각주

  1. 일반적으로 수도와의 연결성을 고려한 철도들은 대부분 수도에서 처음부터 갈라진 방향으로 운행된다. 가령 영국의 경우 글래스고 방면의 서해안본선과 에든버러 방면의 동해안본선의 차이라든지. 프랑스 같은 경우도 비슷한 느낌이 있다.
  2. 경전선에서 분기하지만 도중분기되므로 접속역이라 볼 수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