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항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사용자 9명의 중간 판 14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토론중}}
{{다른 뜻|장항선 (배우)|대한민국 철도노선|이 명칭을 예명으로 사용하는 연기자}}
{{다른뜻|장항선 (배우)|대한민국 철도노선|이 명칭을 예명으로 사용하는 연기자}}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장항선
|이름    = 장항선
|노선명2 =  
|원어이름 =  
|배경색 = {{한국 철도 노선색2|KR}}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그림 =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alt  =  
|그림크기2 =
|나라    = {{나라|대한민국}}
|그림설명2 =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종류 = [[간선철도]]
|번호    = 308
|나라 = {{국기|대한민국}}
|구간    = [[천안역|천안]] ~ [[익산역|익산]]
|체계 =  
|영업거리 = 152.8 km
|번호 = 208
|역수    = 29개
|상태 = 영업 중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노선 =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한국철도공사 (KORAIL)]]
|기점 = [[천안역]]
|개통일  = [[1922년]] [[6월 15일]]
|종점 = [[익산역]]
|폐지일  =
|역수 = 30
|경유노선 =  
|차량기지 =  
|차량기지 =  
|이용자 =
|궤간    = 1,435 mm ([[표준궤]])
|개통일 = [[1922년]] [[6월 15일]]
|선로    = 2 (천안 ~ [[홍성역|홍성]], [[대야역|대야]] ~ [[목천신호소|목천]])<br />1 (나머지)
|폐지일 =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천안 ~ 신창, 대야 ~ 익산)
|소유자 = [[한국철도시설공단]]
|신호     = [[ATS]], [[ATP]] (대야 ~ 익산)<br />[[ATS]] (나머지)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한국철도공사 (KORAIL)]]
|비고    =  
|영업거리 = 154.4 km
|실거리 =
|시설연장 =
|궤간 = [[표준궤]] 1,435 mm
|궤도 =
|선로 = 2 (천안–[[신창역|신창]])<br />1 (신창–익산)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br />(천안–신창)
|신호 = [[ATS]]
|영업최고속도 =
|설계최고속도 =
|주석 =  
}}
}}


{{+1|장항선}}<br />長項線 / Janghang Line<br />'''간선이자 로컬선인 아간선의 대표주자'''
== 개요 ==
사철이던 조선경남철도 충남선을 전신으로 하는 노선으로, 한때는 이름 그대로 장항으로 연결되는 노선이었다. 현재의 장항선은 원래의 장항선 뿐만 아니라 [[군산선]]의 익산부터 대야까지의 구간을 금강하구둑에 철도를 부설해 이어만든 노선이다. 즉, [[충청남도]] [[천안시]]부터 [[전라북도]] [[익산시]]까지를 서해안에 근접한 방향으로 따라 잇는 노선이 되었다.
사철이던 조선경남철도 충남선을 전신으로 하는 노선으로, 한때는 이름 그대로 장항으로 연결되는 노선이었다. 현재의 장항선은 원래의 장항선 뿐만 아니라 [[군산선]]의 익산부터 대야까지의 구간을 금강하구둑에 철도를 부설해 이어만든 노선이다. 즉, [[충청남도]] [[천안시]]부터 [[전라북도]] [[익산시]]까지를 서해안에 근접한 방향으로 따라 잇는 노선이 되었다.


장항선은 간선철도면서, 선로 그룹을 형성하는 본선격 노선이지만, 다른 노선과 달리 본선이라는 명칭이 붙지 않는다. 이는 사철을 전신으로 하는 배경도 있는데다가, 본디 간선이지만 배꼽선으로 온전한 간선의 역할을 하기엔 조금 모자른 아간선으로 취급되는 편이었기 때문이다.
장항선의 천안 및 아산 구간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운행을 위해 복선전철화되었다. 나머지 구간의 복선전철화 사업은 천천히 진행중이다.
 
장항선의 천안 및 아산 구간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운행을 위해 복선전철화되었다. 나머지 구간에 대해서는 선형개량 계획만 실현되었거나 진행 중이며, 복선전철화 사업은 [[서해선]]과 맞물려 진행되는 것이 끝이다. 신창부터 홍성까지의 구간은 뚜렷한 복선전철화 계획이 없는 것이 문제.


== 역사 ==
== 역사 ==
* [[1922년]] [[6월 1일]] : 조선경남철도회사에 의해 천안과 온양온천 사이에 철도가 부설되어 충남선이라 명명.
* [[1922년]] [[6월 1일]] : 조선경남철도회사에 의해 천안과 온양온천 사이에 철도가 부설되어 충남선이라 명명.
* [[1931년]] [[8월 1일]] : 장항까지 모든 구간이 개통.
* [[1931년]] [[8월 1일]] : 장항까지 모든 구간이 개통.
* [[1946년]] [[5월]] : 광복 이후 사철의 국유화 정책에 의해 소유권이 대한민국으로 변경.
* [[1946년]] [[5월]] : 광복 이후 사철의 국유화 정책에 의해 소유권이 대한민국으로 변경.
* [[1955년]] [[6월 4일]] : 노선 명칭이 장항선으로 변경.
* [[1955년]] [[6월 4일]] : 노선 명칭이 장항선으로 변경.
60번째 줄: 44번째 줄:
** [[1월]] : [[장항역]]~[[군산역]]~[[대야역]] 구간을 개통하여 [[익산역]]까지의 [[군산선]] 구간이 장항선에 편입. 구 군산역과 장항역은 각각 군산화물역, 장항화물역으로 변경.
** [[1월]] : [[장항역]]~[[군산역]]~[[대야역]] 구간을 개통하여 [[익산역]]까지의 [[군산선]] 구간이 장항선에 편입. 구 군산역과 장항역은 각각 군산화물역, 장항화물역으로 변경.
** [[12월]] : 복선전철화가 진행되어 [[천안역]]~[[신창역]] 구간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 [[12월]] : 복선전철화가 진행되어 [[천안역]]~[[신창역]] 구간까지 [[수도권 전철 1호선]] 개통.
* [[2018년]] [[4월 30일]] : 새마을호 운행 중단.
* [[2018년]] [[4월 30일]] : 객차형 새마을호 운행 중단 및 리미트 객차 개조형 새마을호 투입.
* [[2019년]] [[4월 17일]] : 노선번호가 208에서 308로 변경됨.<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5309930817000&tocId=00000000000000001555373583857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173%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20%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2%2588%25ED%2598%25B8%2520%25EB%25B3%2580%25EA%25B2%25BD)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 문제점 ==
== 문제점 ==
68번째 줄: 53번째 줄:
배차의 경우, 천안 ~ 홍성까지 구간은 병행 고속도로가 없는 구간이다 보니 배짱 영업이 가능해 [[무궁화호]]와 [[새마을호]]가 번갈아 배차된다. 배차 간격 문제는 [[경부선]]을 타고 내려오는 문제(서울 ~ 금천구청) 천안 직전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 등도 공용하는 [[천안직결선]]을 사용해 분기하는 구조상 선로용량 문제로 배차를 늘리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비전화 노선이라, 들어갈 수 있는 차량도 제한될뿐더러, 가장 중요한 문제인 '''단선 구간'''(현재도 10분 정도 지연이 일상화됨)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다만 장기적인 복선전철화에 대비하여 선형개량된 구간의 노반은 복선규격으로 건설되었다.
배차의 경우, 천안 ~ 홍성까지 구간은 병행 고속도로가 없는 구간이다 보니 배짱 영업이 가능해 [[무궁화호]]와 [[새마을호]]가 번갈아 배차된다. 배차 간격 문제는 [[경부선]]을 타고 내려오는 문제(서울 ~ 금천구청) 천안 직전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 등도 공용하는 [[천안직결선]]을 사용해 분기하는 구조상 선로용량 문제로 배차를 늘리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비전화 노선이라, 들어갈 수 있는 차량도 제한될뿐더러, 가장 중요한 문제인 '''단선 구간'''(현재도 10분 정도 지연이 일상화됨)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다만 장기적인 복선전철화에 대비하여 선형개량된 구간의 노반은 복선규격으로 건설되었다.


=== 영 좋지 못한 선형 ===
더불어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사이의 가격차이만큼 시간적인 절약은 미미한 편이며, 이는 수요가 저조한 노선의 특성상 적자를 어떻게든 보전하려는 취지에서 새마을호도 읍단위 정거장에 정차하는 형편이며, 특히 전철화가 진행되지 않아서 지연회복과 가감속 능력이 우수한 ITX-새마을 전동차를 투입할 수 없는 이유도 크게 작용한다. 장항선의 전철화 사업은 [[2022년]]을 목표로 진행중에 있다.
선형 개량화 전에 장항선은 선형이 상당히 불량한 노선이었다. 그도 그럴게 일제 때까지는 사철이었고, 그 이후에 제대로 정비가 이루어지지 았으니. 그래서 선형을 개량했으나... 이번엔 역을 과도하게 멀리 이설한게 문제가 되었다. 장항선 연선의 주요 지점들은 그나마 사정이 낫지만, 중간역들은 거의 다 쳐내졌다. 개량과 더불어 [[금강 하구둑]]을 활용하여 [[충청남도]]와 [[전라북도]]를 이어주게 되었고 [[군산선]]과 통합되었는데, 그 여파로 장항과 군산 시가지로 들어가던 노선은 [[장항화물선]]과 [[군산화물선]]으로 떨어져 나갔고, 장항역과 군산역은 개량된 선형에 맞추다보니 시내에서 저 멀리에 쫓겨나는 신세가 되었다. 수요지와의 접근성을 말아먹은 것은 덤
 
== 전망 ==
[[2015년]] 무렵부터 [[군산시]] 인근에 조성된 군장국가산업단지의 물류를 개선하기 위하여 우선 [[익산역]] ~ [[대야역]] 사이에 복선전철화가 추진되고 있다. [[신창역]] ~ [[대야역]] 사이 구간도 복선전철화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은 수립된 상태이며 [[서해선]]이 [[2020년]] 경에 개통될 경우 [[홍성역]] 이남의 구간은 서해선에 편입될 가능성도 높다.


== 운행 ==
== 운행 ==
[[전라선]]이나 [[호남선]] 등에 비해서 운행거리가 짧은 노선이었던지라, 오래 전부터 오전/오후에 설정된 서울 근교권 통근열차(비둘기호, 통일호 등)의 기착지로 사용되던 전례가 있었다. 현재까지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그 자리를 이어받아 내려오고 있는 상태. 그 외의 일반열차는 대체로 서울 직결로 1시간에 1대 꼴로 운행되는 편이다. 다른 노선에 비해 운행 거리가 짧아 객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다른 계통에 비해 정차역이 많은 편이며, 다른 노선과 달리 독특하게 무궁화호와 새마을호가 교호배차로 1시간 간격을 맞추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2시간에 1대가 되는 역들이 있다.
[[전라선]]이나 [[호남선]] 등에 비해서 운행거리가 짧은 노선이었던지라, 오래 전부터 오전/오후에 설정된 서울 근교권 통근열차(비둘기호, 통일호 등)의 기착지로 사용되던 전례가 있었다. 현재까지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그 자리를 이어받아 내려오고 있는 상태. 그 외의 일반열차는 대체로 서울 직결로 1시간에 1대 꼴로 운행되는 편이다. 다른 노선에 비해 운행 거리가 짧아 객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다른 계통에 비해 정차역이 많은 편이며, 다른 노선과 달리 독특하게 무궁화호와 새마을호가 교호배차로 1시간 간격을 맞추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2시간에 1대가 되는 역들이 있다.


의외로 화물열차의 비중이 좀 있는 편이다. 일단 북부 구간의 경우 [[삽교역]]에 컨테이너 관련 시설이 있어 서해안 방면의 컨테이너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대산쪽 산업단지로의 화물 인입선 건설도 고려되고 있다. 남부 구간의 경우 일단 군산쪽 화물이 아직 부정기지만 살아 있으며, 군장산단 인입선이 개통되면 정기 화물수송이 예정되어 있다. 또 장항선의 중요한 화물 중 하나는 서천화력발전소의 석탄 수송이다. 장항선이 불통되면 석탄 수송이 어려워질 수 있어 조치원 보령선 같은 대체 우회선까지 제안되었을 정도였다. 그러나 신서천화력발전소 건설과 도로망 발달으로 석탄 수송 의존도는 현재 많이 낮아져있는 편이며, 조만간 사용이 중단될 예정이다.
의외로 화물열차의 비중이 좀 있는 편이다. 일단 북부 구간의 경우 [[삽교역]]에 컨테이너 관련 시설이 있어 서해안 방면의 컨테이너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대산쪽 산업단지로의 화물 인입선 건설도 고려되고 있다. 남부 구간은 [[군산항]]과 연결되는 [[군산항선]]에 정기 화물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 [[새마을호]] ===
비전철 노선이다보니 아직까지 새마을호가 유효하게 남은 마지막 노선이 되었다. 이 등급의 열차는 '''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다른 노선의 새마을호에 비해선 정차역이 많지만, 그래도 무궁화호에 비해서는 정차역이 적은 편이다.


* '''새마을호''' (1150): (경부본선 경유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예산 - 홍성 - 광천 - 대천 - 웅천 - 서천 - 장항 - 군산 - 익산 (1일 5왕복)
=== 새마을호 ===
[[새마을호]]는 '''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비전철 노선이라서 새마을호가 남은 마지막 노선이 되었다. 다른 노선의 새마을호에 비해선 정차역이 많지만, 그래도 무궁화호에 비해서는 정차역이 적은 편이다. 주요 간선의 복선전철화가 진행되면서 새마을호가 다니던 곳은 대부분 [[ITX-새마을]]로 교체되었지만, 비전화 구간이 남아있는 장항선의 특성상 마지막까지 객차형 새마을을 운용하다가 내구연한 만료로 인한 공백을 해소하고자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를 리모델링한 객차<ref>외부 도색은 ITX-새마을과 유사하게 변화했고, 동호인들은 리미트 객차가 원판이었기 때문에 '''리마을'''이라는 별칭으로 부른다.</ref>를 투입하고 있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경부선]] 구간이다.
* '''새마을호''' (1050): ''[[용산역|용산]] - [[영등포역|영등포]] - [[수원역|수원]] -'' [[천안역|천안]] - [[아산역|아산]] - [[온양온천역|온양온천]] - [[예산역|예산]] - [[홍성역|홍성]] - [[광천역|광천]] - [[대천역|대천]] - [[웅천역|웅천]] - [[서천역|서천]] - [[장항역|장항]] - [[군산역|군산]] - [[익산역|익산]] (1일 5왕복)


=== [[무궁화호]] · [[누리로]] ===
=== 무궁화호 ===
무궁화호 및 누리로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다. 무궁화호의 경우 2008년 군산선과 연결된 이후 일부 열차가 익산역에서 [[호남선|호남본선]] 직결을 통해 서대전까지 운행했던 전력이 있으나, 운행 지장(평면교차 필요)이나, 수요 저조 등을 이유로 2016년 현재 폐지되어 모든 열차가 선내에서 종착한다. 누리로의 경우에는, 성과연봉제 도입을 반대하는 파업이 장기간 이루어진 것과, 방학기간 수요 저조, 잦은 차출로 인한 운행 합리화 등을 골자로 2016년 가을~겨울동안 잠시 운행이 중단되었고, [[SRT (고속열차)|SRT]] 개통과 함께 [[2016년]] [[12월 9일]]에 개정된 시각표에 의해 장항선 누리로가 전부 호남선, 전라선 계통으로 변경되어 운행하지 않게 되었다. 이에 뜬금없이 서울로 유용하게 접근 가능한 급행 철도를 빼앗긴 [[아산시]]와 누리로의 주요 이용객인 [[순천향대학교]] 등 해당지역 학생들의 민원이 제기되었고, 이에 코레일은 타협안으로 2017년 2월부터  장항선 누리로 운행을 재개할 계획이다. 다만 시각표 개정전에 비하여 열차 편성이 대폭 삭감되어 1일 2왕복이 편성된다.
[[무궁화호]]는 '''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다. 무궁화호의 경우 2008년 군산선과 연결된 이후 일부 열차가 익산역에서 [[호남선]] 직결을 통해 [[서대전역|서대전]]까지 운행했던 전력이 있으나, 운행 지장(평면교차 필요)이나, 수요 저조 등을 이유로 2016년 현재 폐지되었다. 현재 운행되는 장항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경부선]] 구간이다.
* '''무궁화호''' (155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역|평택]] -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예산 - 홍성 - 광천 - 대천 - 웅천 - 서천 - 장항 - 군산 - 익산 (1일 9왕복)


* '''무궁화호''' (1550): (경부본선 경유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예산 - 홍성 - 광천 - 대천 - 웅천 - 서천 - 장항 - 군산 - 익산 (1일 9왕복)
=== 광역전철 ===
* '''누리로''' (1730): (경부본선 경유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신창 (1일 2왕복)
 
=== [[수도권 전철 1호선]] ===
{{참고|수도권 전철 1호선}}
{{참고|수도권 전철 1호선}}
[[수도권 전철]]의 천안 연장이 계획되었던 무렵부터 [[경부고속선]] 접속을 위해 장항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선의 구상이 있었다. 이 지선의 구상이 조금 더 연장되어 [[온양온천역]]까지 연장되었다가, 반복기지 신설을 전제로 [[신창역]]까지 연장되어 2008년에 복선전철화와 함께 개통된 것이 현재에 이른다. 최초의 비수도권 광역전철<ref>그러나 체계 자체는 [[수도권 전철]]이라는 수도권용 체계에 속해있다.</ref> 운행 노선이나, 저조한 수요 및 운용 효율성 등으로 인해 배차 간격은 40분에 1대에 그치고 있다. 수요 저조도 사실 수도권 지역과는 달리 지역 버스편과의 연계성이 떨어진다든지, 넓은 배차간격 등으로 인한 부분이 좀 크기는 하지만.


{{수도권 1호선 틀}}
여담이지만 급행열차는 운행되지 않았다가, 2016년 말에 들어서 누리로가 운행 중단되며 기존 천안급행의 일부편성 종착역이 신창으로 연장되었으며 명칭도 신창급행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누리로 폐지에 따른 지역주민들의 접근성 편의를 위한 목적이었으나, 천안에서 신창사이 구간은 기존 완행전철과 다를바 없는 각역 정차이므로 급행이라는 명칭이 무색한 편이다. 당연히 지역주민들의 거센 반발과 정치권의 민원 제기로 장항선 누리로는 완전 폐지를 번복하고 2017년 2월부로 1일 2왕복이 출퇴근 시간대 한정으로 부활했다. 신창급행도 소수나마 유지중이다. [[2020년]] [[5월 23일]]부로 누리로가 다시 폐지되어 신창급행이 부족하나마 그 위치를 대신하게 되었다.
 
[[수도권 전철]]의 천안 연장이 계획되었던 무렵부터 [[경부고속철도]] 접속을 위해 장항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선의 구상이 있었다. 이 지선의 구상이 조금 더 연장되어 [[온양온천역]]까지 연장되었다가, 반복기지 신설을 전제로 [[신창역]]까지 연장되어 2008년에 복선전철화와 함께 개통된 것이 현재에 이른다. 최초의 비수도권 광역전철<ref>그러나 체계 자체는 [[수도권 전철]]이라는 수도권용 체계에 속해있다.</ref> 운행 노선이나, 저조한 수요 및 운용 효율성 등으로 인해 배차 간격은 40분에 1대에 그치고 있다. 수요 저조도 사실 수도권 지역과는 달리 지역 버스편과의 연계성이 떨어진다든지, 넓은 배차간격 등으로 인한 부분이 좀 크기는 하지만.
 
여담이지만 급행열차는 운행되지 않았다가, 2016년 말에 들어서 누리로가 운행 중단되며 기존 천안급행의 일부편성 종착역이 신창으로 연장되었으며 명칭도 신창급행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누리로 폐지에 따른 지역주민들의 접근성 편의를 위한 목적이었으나, 천안에서 신창사이 구간은 기존 완행전철과 다를바 없는 각역 정차이므로 급행이라는 명칭이 무색한 편이다. 당연히 지역주민들의 거센 반발과 정치권의 민원 제기로 장항선 누리로는 완전 폐지를 번복하고 2017년 2월부로 1일 2왕복이 출퇴근 시간대 한정으로 부활했다. 신창급행도 소수나마 유지중이다.


=== 관광열차 ===
=== 관광열차 ===
[[서해금빛열차]]라는 이름으로 투입되고 있다. 그러나 사실 이 열차는 황금시간대의 열차를 하나 빼서 전환한 열차로, 이 시간대에 원래 1시간이던 일반열차의 간격에 구멍을 만들어 2시간으로 만들게 한 주범으로 취급받는 수준이다. 즉 관광수요도 어느 정도 있는 노선이긴 하더라도, 추가 열차 투입이 아닌 기존 열차 전환을 한 것은 영업 수지 개선이 목적이라는 것. 상행은 새마을호를 뺐지만, 하행은 무궁화호를 빼면서 이전 시간대 열차가 원래 새마을호였던 걸 무궁화호로 전환하면서 정차역 패턴이 깨지게 된 것은 덤이다.
[[서해금빛열차]]라는 이름으로 투입되고 있다. 그러나 사실 이 열차는 황금시간대의 열차를 하나 빼서 전환한 열차로, 이 시간대에 원래 1시간이던 일반열차의 간격에 구멍을 만들어 2시간으로 만들게 한 주범으로 취급받는 수준이다. 즉 관광수요도 어느 정도 있는 노선이긴 하더라도, 추가 열차 투입이 아닌 기존 열차 전환을 한 것은 영업 수지 개선이 목적이라는 것. 상행은 새마을호를 뺐지만, 하행은 무궁화호를 빼면서 이전 시간대 열차가 원래 새마을호였던 걸 무궁화호로 전환하면서 정차역 패턴이 깨지게 된 것은 덤이다.
 
* [[서해금빛열차]] (2550)
* [[서해금빛열차]] (G-Train)


== 역 목록 ==
== 역 목록 ==
* '''새''' / 새마을, '''무''' / 무궁화 및 누리로
=== 천안 ~ 신창 ===
* ● / 필수 정차역, ■ / 일부 열차 통과역, ▲ / 일부 열차 정차역, △ / 누리로 종착열차만 정차, | / 통과역
* '''새''': 새마을호, '''무''': 무궁화호
 
*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열차는 해당 구간의 모든 역에 정차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 번호
! km
! km
! colspan="2" | 역명
! 정거장
! style="background-color: #0068b7; color: white;" | 새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새마을}}; color: white;" | 새
! style="background-color: #e60012; color: white;" | 무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무
! 접속 노선
! 연계 노선
|-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6" | [[천안직결선]] 경유 [[경부선|경부본선]] 직결<br />[[용산역|용산]] · [[영등포역|영등포]] · [[수원역|수원]] 방면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69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 0.0
| [[천안역|천안]]
| [[천안역|천안]]
| 天安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천안직결선]] (연결)<br />[[경부선]]
| [[경부선]] · [[천안직결선]] · <span style="color: {{한국 철도 노선색2|SM|1}};">●</span>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1호선]]
| rowspan="8" | {{세로|[[충청남도]]}}
| rowspan="3" | [[천안시]]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0
| style="text-align: right;" | 1.3
| style="text-align: right;" | 1.3
| [[봉명역|봉명]]
| [[봉명역|봉명]]
| 鳳鳴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1
| style="text-align: right;" | 2.9
| style="text-align: right;" | 2.9
| [[쌍용역|쌍용]] <small>(나사렛대)</small>
| [[쌍용역|쌍용(나사렛대)]]
| 雙龍 <small>(拿撒勒大)</small>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2
| style="text-align: right;" | 4.5
| style="text-align: right;" | 4.5
| [[아산역|아산]]
| [[아산역|아산]]
| 牙山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
|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천안아산역]])
| rowspan="5" | [[아산시]]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3
| style="text-align: right;" | 6.3
| [[탕정역|탕정]]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4
| style="text-align: right;" | 9.4
| style="text-align: right;" | 9.4
| [[배방역|배방]]
| [[배방역|배방]]
| 排芳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6
| style="text-align: right;" | 14.3
| style="text-align: right;" | 14.3
| [[온양온천역|온양온천]]
| [[온양온천역|온양온천]]
| 溫陽溫泉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1}}; color: white;" | P177
| style="text-align: right;" | 19.4
| style="text-align: right;" | 19.4
| [[신창역|신창]] <small>(순천향대)</small>
| [[신창역|신창(순천향대)]]
| 新昌 <small>(順天鄕大)</small>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
 
=== 도고온천 ~ 익산 ===
* '''새''': 새마을호, '''무''': 무궁화호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km
! 정거장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새마을}};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여객|무궁화}}; color: white;" |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
| style="text-align: right;" | 25.2
| style="text-align: right;" | 25.2
| [[도고온천역|도고온천]]
| [[도고온천역|도고온천]]
| 道高溫泉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17" | {{세로|[[충청남도]]}}
| [[아산시]]
|-
|-
| style="text-align: right;" | 29.7
| style="text-align: right;" | 29.7
| [[신례원역|신례원]]
| [[신례원역|신례원]]
| 新禮院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3" | [[예산군]]
|-
|-
| style="text-align: right;" | 34.7
| style="text-align: right;" | 34.7
| [[예산역|예산]]
| [[예산역|예산]]
| 禮山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text-align: right;" | 42.5
| style="text-align: right;" | 42.5
| [[삽교역|삽교]]
| [[삽교역|삽교]]
| 揷橋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text-align: right;" | 49.2
| style="text-align: right;" | 49.2
| [[화양역|화양]]
| [[화양역|화양]]
| 華陽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4" | [[홍성군]]
|-
|-
| style="text-align: right;" | 54.5
| style="text-align: right;" | 54.5
| [[홍성역|홍성]]
| [[홍성역|홍성]]
| 洪城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서해선]] (연결) (예정)''
|
|-
|-
| style="text-align: right;" | 58.6
| style="text-align: right;" | 58.6
| [[신성역|신성]]
| [[신성역|신성]]
| 新城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text-align: right;" | 67.2
| style="text-align: right;" | 67.2
| [[광천역|광천]]
| [[광천역|광천]]
| 廣川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text-align: right;" | 71.3
| style="text-align: right;" | 71.3
| [[원죽역|원죽]]
| [[원죽역|원죽]]
| 元竹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6" | [[보령시]]
|-
|-
| style="text-align: right;" | 75.0
| style="text-align: right;" | 75.0
| [[청소역|청소]]
| [[청소역|청소]]
| 靑所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text-align: right;" | 79.3
| style="text-align: right;" | 79.3
| [[주포역|주포]]
| [[주포역|주포]]
| 周浦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text-align: right;" | 87.6
| style="text-align: right;" | 87.6
| [[대천역|대천]]
| [[대천역|대천]]
| 大川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text-align: right;" | 90.7
| style="text-align: right;" | 90.7
| [[남포역 (보령)|남포]]
| [[남포역 (보령)|남포]]
| 藍浦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text-align: right;" | 101.1
| style="text-align: right;" | 99.7
| [[웅천역|웅천]]
| [[웅천역|웅천]]
| 熊川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text-align: right;" | 104.3
| style="text-align: right;" | 110.9
| [[간치역|간치]]
| 艮峙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style="text-align: right;" | 112.6
| [[판교역 (서천)|판교]]
| [[판교역 (서천)|판교]]
| 板橋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3" | [[서천군]]
|-
|-
| style="text-align: right;" | 121.2
| style="text-align: right;" | 119.5
| [[서천역|서천]]
| [[서천역|서천]]
| 舒川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text-align: right;" | 126.0
| style="text-align: right;" | 124.3
| [[장항역|장항]]
| [[장항역|장항]]
| 長項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장항선/지선#장항화물선|장항화물선]]
|-
|-
| style="text-align: right;" | 133.0
| style="text-align: right;" | 131.3
| [[군산역|군산]]
| [[군산역|군산]]
| 群山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5" | {{세로|[[전라북도]]}}
| rowspan="3" | [[군산시]]
|-
|-
| style="text-align: right;" | 140.2
| style="text-align: right;" | 138.5
| (군산화물선분기)
| (군산화물선분기)
|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del>[[군산화물선]]</del> (연결)
| [[장항선/지선#군산화물선|군산화물선]]
|-
|-
| style="text-align: right;" | 141.2
| style="text-align: right;" | 141.1
| [[대야역|대야]]
| [[대야역|대야]]
| 大野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군산항선]] (연결)
|  
|-
|-
| style="text-align: right;" | 146.4
| style="text-align: right;" | 150.5
| [[임피역|임피]]
| [[목천신호소|목천]]
| 臨陂
| style="background: #c7d6ee;"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style="background: #f9d0ba;"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style="text-align: left;" | [[익산삼각선]] (연결)
|  
| rowspan="2" | [[익산시]]
|-
|-
| style="text-align: right;" | 150.9
| style="text-align: right;" | 152.8
| [[오산리역|오산리]]
| 五山里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
| style="text-align: right;" | 154.4
| [[익산역|익산]]
| [[익산역|익산]]
| 益山
| style="background: #c7d6ee;" | ●
| style="background-color: #c7d6ee;" | ●
| style="background: #f9d0ba;" | ●
| style="background-color: #f9d0ba;" | ●
| style="text-align: left;" | [[호남고속선]], [[호남선]], [[전라선]] (연결)
| [[호남고속선|호남고속본선]]<br />[[호남선|호남본선]]<br />[[전라선|전라본선]]
|-
|-
|}
|}


== 지선 ==
== 폐역 ==
{{본문|장항선/지선}}
{{세로목록|목록=
 
*[[세교역]]
선로 이설으로 인해 생긴 구선의 흔적을 화물선으로 남겨두어 생긴 지선들이 있다. 또한 [[옥구선]]은 구선의 지선이었으며, 현재는 군산화물선의 지선으로(제2지선) 남게되었다.
 
== 폐역 목록 ==
{{참고|분류:장항선의 폐역}}
<!--*[[세교역]]
*[[학성역]]
*[[학성역]]
*[[선장역]]
*[[선장역]]
*[[오가역]]
*[[오가역]]
*[[화양역]]
*[[신곡임시승강장]]
*[[신곡역]]
*[[주교역]]
*[[주교역]]
*[[옥서역]]
*[[옥서역]]
*[[간치역]]
*[[주산역]]
*[[주산역]]
*[[온동역]]
*[[온동역]]
*[[기동역]]
*[[기동임시승강장]]
*[[삼산역 (서천)|삼산역]]
*[[삼산역 (서천)|삼산역]]
*[[구절역]]-->
*[[구절역]]
*[[임피역]]
*[[오산리역]]
}}
 
== 지선 ==
선로 이설으로 인해 생긴 구선의 흔적을 화물선으로 남겨두어 생긴 지선들이 있다.
 
; 화물선
:* [[남포선]] (폐지)
:* [[장항화물선]] (폐지)
:* [[군산화물선]]
:* [[옥구선]]
:* [[군산항선]]
 
; [[삼각선]]
:* [[익산삼각선]]
 
=== 새만금선 ===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새만금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번호    =
|구간    = 옥구 ~ 새만금항
|영업거리 =
|역수    = 3개
|소유자  =
|운영자  =
|개통일  = 미개통
|폐지일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선로    = 1
|전기    =
|신호    =
|비고    = 나머지 정보는 장항선과 동일
}}
 
'''새만금선'''(가칭)은 장항선([[군산항선]])과 [[새만금공항]], [[새만금항]]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1999년 발표된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서 중장기 계획인 새만금~군산 단선전철로 등장하여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부터는 새만금~대야로 노선이 변경되었지만, 새만금 개발이 지연되어 아직까지 계획에 머물러있다.
 
2021년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ref>[https://newsis.com/view/?id=NISX20211228_0001704735 새만금 인입철도 예타 통과에 ‘지역발전 청신호 켜졌다’], 뉴시스</ref>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km
! 정거장
! 연계 노선
|-
| style="text-align: right;" | 0.0
| 옥구
| style="text-align: left;" | [[군산항선]] (연결)
|-
| style="text-align: right;" |
| 새만금공항
| style="text-align: left;" |
|-
| style="text-align: right;" |
| 새만금항
| style="text-align: left;" |
|-
|}


== 여담 ==
== 여담 ==
* 본 문서의 철도노선 명칭을 예명으로 사용하는 연기자 [[장항선 (배우)|장항선]](본명 김봉수)은 배우 데뷔시절 대중에게 확실하게 기억되는 예명을 찾던 중 장항선이라는 이름이 마음에 들었기에 예명으로 정했다고 한다.
* 본 문서의 철도노선 명칭을 예명으로 사용하는 연기자 [[장항선 (배우)|장항선]](본명 김봉수)은 배우 데뷔시절 대중에게 확실하게 기억되는 예명을 찾던 중 장항선이라는 이름이 마음에 들었기에 예명으로 정했다고 한다. 그가 운영하는 장항선 본가라는 음식점 역시 [[쌍용역]] 인근에 자리를 잡고 있다.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장항선| ]]
[[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

2024년 1월 17일 (수) 09:43 기준 최신판

장항선
나라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간선)
번호 308
구간 천안 ~ 익산
영업거리 152.8 km
역 수 29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1922년 6월 15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천안 ~ 홍성, 대야 ~ 목천)
1 (나머지)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천안 ~ 신창, 대야 ~ 익산)
신호 ATS, ATP (대야 ~ 익산)
ATS (나머지)

사철이던 조선경남철도 충남선을 전신으로 하는 노선으로, 한때는 이름 그대로 장항으로 연결되는 노선이었다. 현재의 장항선은 원래의 장항선 뿐만 아니라 군산선의 익산부터 대야까지의 구간을 금강하구둑에 철도를 부설해 이어만든 노선이다. 즉, 충청남도 천안시부터 전라북도 익산시까지를 서해안에 근접한 방향으로 따라 잇는 노선이 되었다.

장항선의 천안 및 아산 구간은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운행을 위해 복선전철화되었다. 나머지 구간의 복선전철화 사업은 천천히 진행중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문제점[편집 | 원본 편집]

수요 및 배차간격[편집 | 원본 편집]

장항선은 홍성역[2]대천역[3]의 수요가 높은 편이지만 여타 간선노선들에 비하면 장거리 수요가 높지는 않은 편이다. 호남선이나 전라선 같은 간선은 주요 도시권을 끼고 있으며, 250 km 이상의 장거리 수요(높은 인·km)를 보여주고 있는 반면, 장항선은 150 km 내외의 중거리 수요가 대부분인 탓에 썩 좋은 편은 아니다.

배차의 경우, 천안 ~ 홍성까지 구간은 병행 고속도로가 없는 구간이다 보니 배짱 영업이 가능해 무궁화호새마을호가 번갈아 배차된다. 배차 간격 문제는 경부선을 타고 내려오는 문제(서울 ~ 금천구청) 천안 직전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 등도 공용하는 천안직결선을 사용해 분기하는 구조상 선로용량 문제로 배차를 늘리기가 쉽지 않다. 게다가 비전화 노선이라, 들어갈 수 있는 차량도 제한될뿐더러, 가장 중요한 문제인 단선 구간(현재도 10분 정도 지연이 일상화됨)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다만 장기적인 복선전철화에 대비하여 선형개량된 구간의 노반은 복선규격으로 건설되었다.

더불어 무궁화호와 새마을호 사이의 가격차이만큼 시간적인 절약은 미미한 편이며, 이는 수요가 저조한 노선의 특성상 적자를 어떻게든 보전하려는 취지에서 새마을호도 읍단위 정거장에 정차하는 형편이며, 특히 전철화가 진행되지 않아서 지연회복과 가감속 능력이 우수한 ITX-새마을 전동차를 투입할 수 없는 이유도 크게 작용한다. 장항선의 전철화 사업은 2022년을 목표로 진행중에 있다.

운행[편집 | 원본 편집]

전라선이나 호남선 등에 비해서 운행거리가 짧은 노선이었던지라, 오래 전부터 오전/오후에 설정된 서울 근교권 통근열차(비둘기호, 통일호 등)의 기착지로 사용되던 전례가 있었다. 현재까지도 수도권 전철 1호선이 그 자리를 이어받아 내려오고 있는 상태. 그 외의 일반열차는 대체로 서울 직결로 1시간에 1대 꼴로 운행되는 편이다. 다른 노선에 비해 운행 거리가 짧아 객을 확보하는 차원에서 다른 계통에 비해 정차역이 많은 편이며, 다른 노선과 달리 독특하게 무궁화호와 새마을호가 교호배차로 1시간 간격을 맞추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2시간에 1대가 되는 역들이 있다.

의외로 화물열차의 비중이 좀 있는 편이다. 일단 북부 구간의 경우 삽교역에 컨테이너 관련 시설이 있어 서해안 방면의 컨테이너 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향후 대산쪽 산업단지로의 화물 인입선 건설도 고려되고 있다. 남부 구간은 군산항과 연결되는 군산항선에 정기 화물수송이 이루어지고 있다.

새마을호[편집 | 원본 편집]

새마을호도시간 철도(Intercity)의 기능을 수행하는 열차다. 비전철 노선이라서 새마을호가 남은 마지막 노선이 되었다. 다른 노선의 새마을호에 비해선 정차역이 많지만, 그래도 무궁화호에 비해서는 정차역이 적은 편이다. 주요 간선의 복선전철화가 진행되면서 새마을호가 다니던 곳은 대부분 ITX-새마을로 교체되었지만, 비전화 구간이 남아있는 장항선의 특성상 마지막까지 객차형 새마을을 운용하다가 내구연한 만료로 인한 공백을 해소하고자 무궁화호 리미트 객차를 리모델링한 객차[4]를 투입하고 있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경부선 구간이다.

무궁화호[편집 | 원본 편집]

무궁화호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다. 무궁화호의 경우 2008년 군산선과 연결된 이후 일부 열차가 익산역에서 호남선 직결을 통해 서대전까지 운행했던 전력이 있으나, 운행 지장(평면교차 필요)이나, 수요 저조 등을 이유로 2016년 현재 폐지되었다. 현재 운행되는 장항선 열차는 다음과 같다. 정차역은 주요역만을 나열하였으며, 기울임체를 사용한 역은 경부선 구간이다.

  • 무궁화호 (155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아산 - 온양온천 - 예산 - 홍성 - 광천 - 대천 - 웅천 - 서천 - 장항 - 군산 - 익산 (1일 9왕복)

광역전철[편집 | 원본 편집]

수도권 전철의 천안 연장이 계획되었던 무렵부터 경부고속선 접속을 위해 장항선 방향으로 연장하는 지선의 구상이 있었다. 이 지선의 구상이 조금 더 연장되어 온양온천역까지 연장되었다가, 반복기지 신설을 전제로 신창역까지 연장되어 2008년에 복선전철화와 함께 개통된 것이 현재에 이른다. 최초의 비수도권 광역전철[5] 운행 노선이나, 저조한 수요 및 운용 효율성 등으로 인해 배차 간격은 40분에 1대에 그치고 있다. 수요 저조도 사실 수도권 지역과는 달리 지역 버스편과의 연계성이 떨어진다든지, 넓은 배차간격 등으로 인한 부분이 좀 크기는 하지만.

여담이지만 급행열차는 운행되지 않았다가, 2016년 말에 들어서 누리로가 운행 중단되며 기존 천안급행의 일부편성 종착역이 신창으로 연장되었으며 명칭도 신창급행으로 변경되었다. 이는 누리로 폐지에 따른 지역주민들의 접근성 편의를 위한 목적이었으나, 천안에서 신창사이 구간은 기존 완행전철과 다를바 없는 각역 정차이므로 급행이라는 명칭이 무색한 편이다. 당연히 지역주민들의 거센 반발과 정치권의 민원 제기로 장항선 누리로는 완전 폐지를 번복하고 2017년 2월부로 1일 2왕복이 출퇴근 시간대 한정으로 부활했다. 신창급행도 소수나마 유지중이다. 2020년 5월 23일부로 누리로가 다시 폐지되어 신창급행이 부족하나마 그 위치를 대신하게 되었다.

관광열차[편집 | 원본 편집]

서해금빛열차라는 이름으로 투입되고 있다. 그러나 사실 이 열차는 황금시간대의 열차를 하나 빼서 전환한 열차로, 이 시간대에 원래 1시간이던 일반열차의 간격에 구멍을 만들어 2시간으로 만들게 한 주범으로 취급받는 수준이다. 즉 관광수요도 어느 정도 있는 노선이긴 하더라도, 추가 열차 투입이 아닌 기존 열차 전환을 한 것은 영업 수지 개선이 목적이라는 것. 상행은 새마을호를 뺐지만, 하행은 무궁화호를 빼면서 이전 시간대 열차가 원래 새마을호였던 걸 무궁화호로 전환하면서 정차역 패턴이 깨지게 된 것은 덤이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천안 ~ 신창[편집 | 원본 편집]

  •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1호선 열차는 해당 구간의 모든 역에 정차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P169 0.0 천안 천안직결선 (연결)
경부선
천안시
P170 1.3 봉명
P171 2.9 쌍용(나사렛대)
P172 4.5 아산 경부고속선 (천안아산역) 아산시
P173 6.3 탕정
P174 9.4 배방
P176 14.3 온양온천
P177 19.4 신창(순천향대)

도고온천 ~ 익산[편집 | 원본 편집]

  • : 새마을호, : 무궁화호
  • ●: 모든 열차 정차,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25.2 도고온천 아산시
29.7 신례원 예산군
34.7 예산
42.5 삽교
49.2 화양 홍성군
54.5 홍성 서해선 (연결) (예정)
58.6 신성
67.2 광천
71.3 원죽 보령시
75.0 청소
79.3 주포
87.6 대천
90.7 남포
99.7 웅천
110.9 판교 서천군
119.5 서천
124.3 장항
131.3 군산 군산시
138.5 (군산화물선분기) 군산화물선 (연결)
141.1 대야 군산항선 (연결)
150.5 목천 익산삼각선 (연결) 익산시
152.8 익산 호남고속선, 호남선, 전라선 (연결)

폐역[편집 | 원본 편집]

지선[편집 | 원본 편집]

선로 이설으로 인해 생긴 구선의 흔적을 화물선으로 남겨두어 생긴 지선들이 있다.

화물선
삼각선

새만금선[편집 | 원본 편집]

새만금선
종류 일반철도(지선)
구간 옥구 ~ 새만금항
역 수 3개
개통일 미개통
시설 정보
선로 1
나머지 정보는 장항선과 동일

새만금선(가칭)은 장항선(군산항선)과 새만금공항, 새만금항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1999년 발표된 국가기간교통망계획에서 중장기 계획인 새만금~군산 단선전철로 등장하여 제2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부터는 새만금~대야로 노선이 변경되었지만, 새만금 개발이 지연되어 아직까지 계획에 머물러있다.

2021년 기획재정부의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6]

km 정거장 연계 노선
0.0 옥구 군산항선 (연결)
새만금공항
새만금항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본 문서의 철도노선 명칭을 예명으로 사용하는 연기자 장항선(본명 김봉수)은 배우 데뷔시절 대중에게 확실하게 기억되는 예명을 찾던 중 장항선이라는 이름이 마음에 들었기에 예명으로 정했다고 한다. 그가 운영하는 장항선 본가라는 음식점 역시 쌍용역 인근에 자리를 잡고 있다.

각주

  1.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
  2. 주변 서산시의 수요와 내포 신도시 완공 후 수요가 더욱 늘어날 가능성이 높은 곳. 향후 서해선 직결시 비중이 더욱 높아질 가능성이 높다.
  3. 특히 피서철 주변 대천 해수욕장과 같은 관광객의 수요가 많다. 피서철이 아니더라도 꾸준히 관광객 수요는 유지하는 곳.
  4. 외부 도색은 ITX-새마을과 유사하게 변화했고, 동호인들은 리미트 객차가 원판이었기 때문에 리마을이라는 별칭으로 부른다.
  5. 그러나 체계 자체는 수도권 전철이라는 수도권용 체계에 속해있다.
  6. 새만금 인입철도 예타 통과에 ‘지역발전 청신호 켜졌다’, 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