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이신설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대한민국의 철도을(를) 삭제함)
 
(사용자 10명의 중간 판 10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수도권 전철 목록}}
{{수도권 전철 목록}}
{{서울 경전철 목록}}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이름    = 우이신설선
|노선명2 =  
|원어이름 =  
|배경색 = {{철도 노선색|S|SLRT1}}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그림 = 우이신설선 노선도.jpg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노선도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alt  =  
|그림크기2 =
|나라     = {{나라|대한민국}}
|그림설명2 =
|종류    = [[도시철도]]([[서울 도시철도|서울]]), [[경전철]], [[운행계통]]([[수도권 전철]])
|종류 = [[경전철]]
|번호    =  
|나라 = {{국기|대한민국}}
|구간    = [[북한산우이역|북한산우이]] ~ [[신설동역|신설동]]
|체계 =  
|영업거리 = 11.4 km
|상태 = 건설중
|역수    = 13개
|노선 =  
|소유자  = [[서울특별시]]
|기점 = L01역
|운영자  = [[우이신설경전철]]<ref>[[BTO]]사업자</ref>, [[우이신설경전철운영]]<ref>위탁 운영사</ref>
|종점 = [[신설동역]]
|개통일  = [[2017년]] [[9월 2일]]
|역수 = 13
|폐지일  =  
|차량기지 =  
|경유노선 =  
|이용자 =  
|차량기지 = [[우이차량사업소]]
|개통일 = [[2017년]] 예정
|궤간     = 1,435 mm ([[표준궤]])
|폐지일 =
|선로     = 2
|소유자 = [[서울특별시]]
|전기    = [[직류]] 750 V, [[제3궤조]]
|운영자 = [[우이신설경전철주식회사]]
|신호     = [[열차자동방호시스템]]/[[ATO]]
|영업거리 = 11.4 km
|비고    =  
|실거리 =  
|시설연장 =  
|궤간 = 1435mm ([[표준궤]])
|궤도 =
|선로 = 복선
|전철화 = 직류 750 V
|신호 = [[ATP]]/[[ATO]]
|영업최고속도 =
|설계최고속도 =
|주석 =  
}}
}}


==개요==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의 [[북한산우이역]]과 서울시 동대문구 신설동의 [[신설동역]]을 잇는 경전철 노선이다.


==역사==
== 역사 ==
*[[2009년]] [[9월 15일]] : 착공
* [[2009년]] [[9월 15일]]: 착공
* [[2017년]] [[9월 2일]]: 개통


==역 목록==
== 역 목록 ==
{{철도역 범례}}
* 아래 역들은 모두 [[서울특별시]]에 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번호
|-
! 번호
! km
! km
! colspan="2" | 역명
! 정거장
! 환승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
|-
| colspan="5" | [[차량기지]]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10'''
| rowspan="14" style="width: 1.2em;" | [[서울특별시]]
| style="text-align: right;" | 0.0
| rowspan="9" | [[강북구]]
| [[북한산우이역|북한산우이(도선사입구)]]
|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8" | [[강북구]]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0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11'''
| 0.0
| style="text-align: right;" | 0.8
| L01
| [[솔밭공원역|솔밭공원]]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0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12'''
|  
| style="text-align: right;" | 1.5
| L02
| [[4.19민주묘지역|4.19민주묘지(덕성여대)]]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0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13'''
|  
| style="text-align: right;" | 2.4
| L03
| [[가오리역|가오리]]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0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14'''
|  
| style="text-align: right;" | 3.2
| L04
| [[화계역|화계]]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0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15'''
|  
| style="text-align: right;" | 4.0
| L05
| [[삼양역|삼양]]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06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16'''
|  
| style="text-align: right;" | 4.7
| L06
| [[삼양사거리역|삼양사거리]]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0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17'''
|  
| style="text-align: right;" | 5.5
| L07
| [[솔샘역|솔샘]]
|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0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18'''
|  
| style="text-align: right;" | 6.7
| L08
| [[북한산보국문역|북한산보국문(서경대)]]
|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4" | [[성북구]]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0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19'''
|  
| style="text-align: right;" | 7.9
| L09
| [[정릉역|정릉(국민대입구)]]
|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9" | [[성북구]]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1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20'''
|  
| style="text-align: right;" | 9.1
| L10
| [[성신여대입구역|성신여대입구(돈암)]]
|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1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21'''
|
| style="text-align: right;" | 10.0
| [[성신여대입구역|성신여대입구]]
| 誠信女大入口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4}};">●</span>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12
|
| [[보문역|보문]]
| [[보문역|보문]]
| 普門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6}}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6}};">●</span> [[서울 지하철 6호선|6호선]]
|-
|-
| style="background-color: {{철도 노선색|S|SLRT1}}; color: {{철도 노선색|S|SLRT2}};" | L1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우이}}; color: white;" | '''S122'''
|
| style="text-align: right;" | 11.0
| [[신설동역|신설동]]
| [[신설동역|신설동]]
| 新設洞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서울 지하철 1호선|1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2}}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 성수지선]]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1}};">●</span>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br><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2}};">●</span> [[서울 지하철 2호선|2호선]]<br>([[성수지선]])
| [[동대문구]]
|-
|}
|}


== 영상 ==
<div style="text-align:center;">{{유튜브|Hdm6jcZTsJk||||전 구간 주행 영상}}</div>
== 사건사고==
*2017년 12월 25일 개통한지 3개월만에 단전으로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7/12/850543/ 전 구간 운행이 중단되는 사고]가 있었다. 8시간 동안 마비상태로 있다가 부분 운행 재개를 통한 임시복구 후 복구되었다. {{ㅊ|크리스마스 선물... 아니 빅엿 수준}}
*2018년 3월 5일 오후 7시 3분 [https://www.mk.co.kr/news/society/view/2018/03/146232/ 선로전환기 장애로 42분간 전 구간 차량운행이 중단]되었다.
*2018년 3월 17일 [[솔샘역]]의 신호장애 문제로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836518.html 12시 11분부터 전구간 운행이 중단]되었다. 개통 이후 세 번째 운행중단 사고 {{ㅊ|이쯤되면 슬슬 중단철의 스멜이 난다}}
*2018년 6월 4일 오전 9시 5분 [[솔샘역]]을 출발한 11054열차의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8/04/2018080400623.html 전동차 내부 장치 고장으로 15분간 열차 운행이 중단]되었다.
*2018년 12월 19일 [https://news.joins.com/article/23222189 지연사고]가 발생했다. 원인은 출입문 센서에 승객의 옷에서 떨어진 단추와 출입문 센서에 붙은 껌 때문이라고(...)
*2018년 11월 9일 오후 9시 5분경 신호장치 오류로 수동운행방식으로 전환하면서 1시간 11분동안 지연운행을 하였다.
*2018년 12월 11일 오전 7시 40분 [[화계역]] 승강장의 [https://www.sedaily.com/NewsView/1S8F9545 V7 스크린도어가 고장]나면서 화계에서 신설동 방향으로 가는 열차들이 줄줄이 지연을 먹었다.
*2018년 12월 21일 [[성신여대역]]에서 40명 가까이 타고 있던 [http://www.yonhapnewstv.co.kr/MYH20181224000600038/ 엘리베이터가 고장으로 멈춰서면서 내부에 승객이 갇히는 사고]가 있었다.
*2019년 3월 11일 [http://www.kukinews.com/news/article.html?no=640249 퇴근 시간대에 열차 고장으로 멈춰서는 사고]가 발생했다. 후속조치는 빨랐는데 하필 시간대가 퇴근시간인 오후 6시 38분이었다. 어떤 상황이 생겼을지는 알아서 생각하자(...)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도시철도 노선}}


[[분류:서울 경전철 우이신설선|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여객열차 및 광역전철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2024년 1월 20일 (토) 00:33 기준 최신판

수도권 전철 노선
1 2 3 4 5 6 7 8 9 공항 인천1 인천2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신분당 경강 서해 우이 신림 의정부 용인 김포
우이신설선
나라 대한민국
종류 도시철도(서울), 경전철, 운행계통(수도권 전철)
구간 북한산우이 ~ 신설동
영업거리 11.4 km
역 수 13개
소유자 서울특별시
운영자 우이신설경전철[1], 우이신설경전철운영[2]
개통일 2017년 9월 2일
차량기지 우이차량사업소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직류 750 V, 제3궤조
신호 열차자동방호시스템/ATO

서울시 강북구 우이동의 북한산우이역과 서울시 동대문구 신설동의 신설동역을 잇는 경전철 노선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S110 0.0 북한산우이(도선사입구) 강북구
S111 0.8 솔밭공원
S112 1.5 4.19민주묘지(덕성여대)
S113 2.4 가오리
S114 3.2 화계
S115 4.0 삼양
S116 4.7 삼양사거리
S117 5.5 솔샘
S118 6.7 북한산보국문(서경대) 성북구
S119 7.9 정릉(국민대입구)
S120 9.1 성신여대입구(돈암) 4호선
S121 10.0 보문 6호선
S122 11.0 신설동 1호선, 2호선 성수지선 동대문구

영상[편집 | 원본 편집]

전 구간 주행 영상

사건사고[편집 | 원본 편집]

각주

  1. BTO사업자
  2. 위탁 운영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