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X

Pika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8월 27일 (일) 18:13 판 (→‎역사)

ITX(Intercity Train eXpress)는 코레일에서 운영하는 여객 열차의 등급 명칭이다. 도시간을 잇는 열차로 KTX보다 느리며 더 많은 역에 정차한다.

객차 노후로 새마을호무궁화호 모두 2030년 안에 폐지할 운명인지라 코레일이 운영하는 여객열차 등급은 KTX와 ITX로 정리될 가능성이 높다. 그런데 무궁화호를 대체할 것으로 여겨졌던 ITX-마음ITX-새마을과 동일하게 운영하는 것으로 보아 상당수 무궁화호는 지역 광역전철로 대체될 가능성이 있다.

역사

차량

ITX-청춘
2012년 2월 28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열차로 ITX라는 명칭을 최초로 사용했다. 경춘선 복선전철화 개량 이후 기존에 운행하던 무궁화호 대체하여 운행한다. 하지만 다른 열차와 달리 광역철도본부에서 운행하며 운임 역시 다르기 때문에 이 문서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ITX-새마을
현대로템에서 제작한 차량으로 6량 1편성으로 구성된다.
ITX-마음
다원시스에서 제작한 차량으로 4량 1편성(220000호대)과 6량 1편성(230000호대) 두 종류가 있다. 4량 1편성 차량은 복합열차로도 운행한다.

계통

ITX-마음이 ITX-새마을보다 늦게 도입했지만 정차역이 적기 때문에 먼저 서술한다.

  • 2023년 9월 1일 시간표 기준
  • 굵은 글자: 모든 열차가 정차하는 역

ITX-마음

경부선 (1100번대)
호남선 (1160번대)
전라선 (1180번대)
태백선 (1190번대)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경부선 1100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2] - 천안 - 대전 - 김천 - 구미 - 대구 - 동대구 - 구포 - 부산 매일 2왕복
호남선 116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3] - 서대전 - 논산 - 익산 - 김제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일로[4] - 목포 매일 2왕복
전라선 118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5] - 서대전 - 논산 - 익산 - 전주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매일 2왕복
태백선 1190 청량리 - 양평 - 용문 - 양동 - 원주 - 제천 - 영월 - 민둥산 - 사북 - 태백 - 도계 - 동해 매일 1왕복

ITX-새마을

경부선 (1000번대, 1020번대)
1000번대는 서울~부산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020번대는 서울~신해운대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2016년 12월 9일 신설되었다.
경전선 (1030번대)
서울~진주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로, 새마을호 시절에는 PP동차 도입과 함께 마산역으로 단축되었던 것을 다시 원상복구한 형태. 16년 12월 시각표 개정으로 1왕복이 더 추가되었다.
호남선 (1060번대, 1070번대)
1060번대는 용산~목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1070번대는 용산~광주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전라선 (1080번대)
용산~여수엑스포 구간을 운행하는 열차이다. 전라선 계통 역시 KTX가 투입되면서 새마을 때보다 운행횟수가 대폭 감편되었다.
중앙선 (1090번대)
2021년 1월 5일 KTX-이음으로 대체되었지만 2022년 11월 5일부터 운행을 재개했다. 당시 열차번호는 1070번대였다.
계통 번호 정차역 운행
경부선 1000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대전 - 옥천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 - 밀양 - 삼랑진 - 물금 - 구포 - 부산 매일 7왕복
경부선 1020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6] - 대전 - 옥천[6] - 영동[6] - 김천 - 구미 - 왜관[6] - 대구 - 동대구 - 경산 - 청도[6] - 밀양 - 구포 - 부전 - 신해운대 평일 1왕복
휴일 2왕복
경전선 1030 서울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대전 - 옥천[7] - 영동 - 김천 - 구미 - 왜관 - 대구 - 동대구 - 경산[7] - 청도 - 밀양 - 진영 - 창원중앙 - 창원 - 마산 - 함안 - 진주 매일 2왕복
호남선 106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장성 - 광주송정 - 나주 - 함평 - 몽탄 - 일로 - 목포 매일 2왕복
호남선 107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김제 - 신태인 - 정읍 - 백양사 - 장성 - 광주 매일 4왕복
전라선 1080 용산 - 영등포 - 수원 - 평택 - 천안 - 조치원 - 신탄진[8] - 서대전 - 계룡 - 논산 - 강경 - 익산 - 삼례 - 전주 - 임실[8] - 오수 - 남원 - 곡성 - 구례구 - 순천 - 여천 - 여수엑스포 매일 2왕복
중앙선 1090 청량리 - 덕소 - 양평 - 용문 - 지평 - 석불 - 일신 - 매곡 - 양동 - 삼산 - 서원주 - 원주 - 봉양 - 제천 - 단양 - 풍기 - 영주 - 안동 매일 2왕복

각주

  1. 새마을호 열차 대체 'ITX-새마을' 첫 운행, 연합뉴스, 정찬욱
  2. 상행 1편성(1102)만 정차
  3. 상행 1편성(1164)만 정차
  4. 상행 1편성(1162)만 정차
  5. 상행 1편성(1184)만 정차
  6. 6.0 6.1 6.2 6.3 6.4 상행 1편성(1022)만 정차
  7. 7.0 7.1 하행 1편성(1031)만 정차
  8. 8.0 8.1 상행 1편성(1084)만 정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