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백선

KRBOT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2월 18일 (목) 19:10 판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br> +<br/>))
{{{이름}}}
나라 대한민국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간선)
구간 제천 ~ 백산 (104.1 km, 19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1955년 12월 31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제천 ~ 입석리)
1 (입석리 ~ 백산)
전기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ATS

제천역에서 시작하여 백산역까지 연결되는 길이 104.1 km의 간선철도이다.

역사

태백선은 1949년에 착공하여 1955년에 완공된 영월선을 서쪽 구간의 기반으로, 한편으로 1962년에 건설된 황지지선을 동쪽 구간의 기반으로 하여 건설된 철도이다. 태백선의 성장은 광산 개발과 맥을 같이하는 형태로 진척되는데, 이는 별다른 동력자원이 없이 무연탄만이 유일한 자급가능 자원이던 여건이어서 국가의 중점 사업으로 이루어진 면이 강하다.

여기에 언급되는 영월선은 1937년에 조선철도가 충북선의 연장선 개념으로 인가를 받았으나, 실제 착공에는 이르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다만, 1943년에 영월 화력 발전소가 개소를 한 것으로 보아서는 일제강점기 당시에 발전소 인입철도로서 일부 시설물 건설이 있었을 개연성은 있어 보인다.

태백선은 노선이 단계적으로 건설되다 보니 노선 명칭이 확립된 것은 최초 건설선으로부터 거의 20년이 지난 시점에 이루어졌다. 초기에 함백선정선선이 분리될 당시에 이를 태백선이라 명명하겠다는 1963년 당시의 교통부 장관의 언급이 있으나[1] 실제로 명칭 자체가 처음으로 사용된건 제천~증산(현 민둥산역)~고한 간이 개통되면서 안내명칭으로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당시 증산~고한간은 고한선으로 부르기도 하는 등 선명 자체는 좀 확정적이진 않았으나, 이후 고한~황지(이후의 태백역)간이 개통되어 전구간이 완공되면서 태백선이라는 이름이 확립되었다.

연혁

이하는 위키백과에서 인용.

특징

이 철도는 강원도 산간지역의 지하자원과 시멘트 수송의 역할이 강한 산업철도이다. 이로 인해 일찍부터 전철화가 이루어진 노선이다. 그만큼 1970년대의 대한민국 산업에 있어서는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였던 철도이다. 이러한 이유로 사실 이 노선은 여객수송이 부가기능이고, 화물수송이 주 기능인 노선이다. 여객 수요가 사실상 망한 수준임에도 불구하고 보통역의 지위를 유지하는 역들이 있는 이유도 이러한 화물 수송기능이 여객 수송보다 더 많은 비중을 차지하기 때문이다.(원래 태백선의 여객 수송은 화물을 수송하면서 남는 선로용량에 여객을 끼워넣은 것에 가까웠다)

태백선은 험준한 강원도 산악지형을 넘나드는지라 기본적으로 20퍼밀이 넘어가는 급경사와 이로 인한 급구배는 기본으로 장착되어 있고, 심한 경우 철도차량의 한계 경사인 30퍼밀을 살짜쿵 넘나드는 구간도 존재한다. 이로 인해 고속화는 꿈도 꾸지 못하는 상황이며, 과거 전철화가 되기 전이나, 전기 기관차의 힘이 시원찮던 시절에는 브레이크 역할을 해 주는 보조기관차를 달고서야 운행이 가능했을 정도로 험한 구간이다. 물론 기관차의 힘이 좋아진 21세기에도 열차에 화물을 좀 실었다 하면 중련 총괄제어는 기본으로 해야 하는 동네이다. 참고로 남한에서 가장 높은 곳에 위치한 역인 추전역도 이 태백선상에 위치해 있다.

운행

무궁화호 · 누리로

무궁화호누리로지역간 수송(Regional)을 주로 담당하는 열차다. 정차역은 일정치 않다.

  • 무궁화호 · 누리로 (1630, 1640): (중앙선 경유 청량리 발착 ←) 제천 - 쌍룡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사북 - 고한 - 태백 (→ 영동선 경유 동해 발착)

관광열차

정선아리랑열차
(중앙선 구간) - 제천 - 영월 - 예미 - 민둥산 - (정선선 구간)

역 목록

  • : 무궁화호 및 누리로
  • ●: 필수 정차역, ▲: 일부 열차 정차역, ┃: 통과역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0.0 제천 중앙선, 제천조차장선 (연결) 충청북도 제천시
13.7 입석리
18.3 쌍룡 강원도 영월군
25.9 연당
31.6 청령포
34.7 영월
37.4 탄부
42.3 연하
49.0 석항
52.1 예미 함백선 (연결) 정선군
58.7 조동 함백선 (연결)
63.1 자미원
69.8 민둥산 정선선 (연결)
75.8 사북
80.4 고한
89.4 추전 태백시
95.4 태백
98.4 문곡
102.9 (태백선분기) 태백삼각선 (연결)
104.1 백산 영동선 (연결)

지선

일반 지선

폐역 목록

각주

  1. "咸白線(함백선) 太白線(태백선)으로 金交通(김교통) 改稱(개칭)을示唆(시사)". 경향신문 1963.06.14. 보도.
  2. 철도청 고시 제207호 (1966년 1월 13일)
  3. 철도청 고시 제208호 (1966년 1월 13일)
  4. 철도청 고시 제305호 (1967년 1월 13일)
  5. 대한민국 관보 제12939호 (1995년 2월 14일), 32p
  6. 당시 정차역은 청량리에서 제천까지는 중앙선과, 동해에서 강릉까지는 바다열차와 각각 동일하고 제천에서 동해까지는 영월역, 민둥산역, 사북역, 고한역, 태백역, 도계역에 정차했었다.
  7.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
Wikipedia-ico-48px.png
이 문서의 일부는 한국어 위키백과태백선 문서를 원출처로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