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여담)
잔글 (→‎여담)
141번째 줄: 141번째 줄:
* 고속선의 선형은 고속주행에 걸맞게 직선화 시공이 이뤄졌다. 주 사업자인 [[TGV]]의 본진인 [[프랑스]]만큼 평탄한 지형은 아니지만 산악 지형이 많은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곡선반경도 매우 여유롭다. 그만큼 고가교와 장대터널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으며, [[율현터널]]과 [[대관령터널]]의 관통으로 비록 3인자의 자리에 물러났지만 한때 우리나라 철도터널중 최장거리를 보유했었던 [[금정터널]]을 비롯, [[일직터널]]이나 [[황학터널]]같은 10km급 장대터널이 상당히 많다. 고속선의 설계최고 시속은 450km/h급, 영업최고시속은 305km/h 정도로 설정되었다. 영업최고시속은 운행중인 차량들의 스펙에 맞춰놓은 것으로, 향후 성능이 향상된 350km/h급 또는 [[HEMU-430X]]와 같은 400km/h급 이상의 열차도 신호계량을 거친다면 충분히 투입할 수 있다.
* 고속선의 선형은 고속주행에 걸맞게 직선화 시공이 이뤄졌다. 주 사업자인 [[TGV]]의 본진인 [[프랑스]]만큼 평탄한 지형은 아니지만 산악 지형이 많은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곡선반경도 매우 여유롭다. 그만큼 고가교와 장대터널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으며, [[율현터널]]과 [[대관령터널]]의 관통으로 비록 3인자의 자리에 물러났지만 한때 우리나라 철도터널중 최장거리를 보유했었던 [[금정터널]]을 비롯, [[일직터널]]이나 [[황학터널]]같은 10km급 장대터널이 상당히 많다. 고속선의 설계최고 시속은 450km/h급, 영업최고시속은 305km/h 정도로 설정되었다. 영업최고시속은 운행중인 차량들의 스펙에 맞춰놓은 것으로, 향후 성능이 향상된 350km/h급 또는 [[HEMU-430X]]와 같은 400km/h급 이상의 열차도 신호계량을 거친다면 충분히 투입할 수 있다.


* 대구~부산 사이의 선형은 최단거리를 고려하면 기존 [[경부선]]의 선형과 유사하게 설계되었어야 한다. 하지만 관광객 수요를 무시할 수 없는 [[경주시|경주]]와 동남권 공업도시이자 광역시인 [[울산광역시|울산]]을 무시하기는 어려웠으므로 [[경부고속도로]]의 선형과 유사하게 경주와 울산을 거치는 꽤 굴곡진 선형이 적용되었다. 다만 고속선답게 직선화를 위해 곡선반경을 크게 잡다보니 [[신경주역]]이나 [[울산역]] 모두 시가지에서 다소 떨어진 위치에 건설되었다. 하지만 당초 우려와는 달리 [[울산역]]은 흥행하고 있으며, [[신경주역]]도 점점 수요를 늘려가는 추세에 시내와 대중교통 연계를 지속적으로 개량하면서 세금이 아까운 현상은 벌어지지 않고 있다.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2016년 5월 8일 (일) 16:04 판

경부고속선
京釜高速線
Gyeongbu High-speed Railway

{{{이름}}}
나라 대한민국
종류 간선철도 (고속철도)
번호 101 (본선)
영업거리 본선 398.2 km
역 수 9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2004년 4월 1일
시설 정보
궤간 표준궤 1,435 mm
선로 2 (전 구간)
신호 TVM430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선

개요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선이자, 최대 간선인 경부선을 따라가는 고속철도 노선이다. 기존선인 경부선은 굴곡이 심할 뿐만 아니라, 여객/화물 운행으로 이미 빈도가 포화상태에 이르러 있기 때문에 건설된 노선으로, 흔히 경부고속철도[1]로 알려져있다.

연혁

역 목록

km 역명 접속 노선
시흥연결선 경유 경부본선 용산 · 서울 방면 직결
0.0 시흥연결선 (분기점) 시흥연결선
2.8 광명 光明 수도권 1호선 (광명셔틀)
59.2 (분기점) 수도권고속본선 (지제 방면)
76.8 천안아산 (온양온천) 天安牙山 장항선 · 수도권 1호선 (아산역)
104.7 (분기점) 호남고속본선
105.5 오송 五松 호남고속본선
충북선
오송선
135.9 대전조차장[2] 大田操車場 경부본선
호남본선
140.6 대전 大田 경부본선
대전 1호선
214.4 김천(구미) 金泉龜尾
267.5 동대구 東大邱 경부본선
대구 1호선
309.3 (분기점) 건천연결선
316.5 신경주 新慶州
346.5 울산 蔚山
398.2 부산 釜山 경부본선
부산 1호선

지선

경부고속선은 별도의 선로가 아니라 기존선을 사용해도록 건설된 특성상 기존선과의 연결을 위한 지선들을 갖는다.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문서로 분리하였다. 해당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여담

  • 노린건지 모르겠지만 은근히 고속도로와 겹치도록[3] 설계된 구간[4]이 많다. 특히 정체가 심한 명절날 막히는 고속도로에서 고속선을 질주하는 KTX를 보고 있는 운전자들의 스트레스는 가중되는 듯. 일직터널 인근에서 서해안고속도로 위를 지나가며, 청주대전 인근에서는 경부고속도로 주변 잘 보이는 곳에 고가교가 보인다. 김천 인근에서도 경부고속도로와 평행하게 놓인 고가교를 볼 수 있다.
  • 고속선의 선형은 고속주행에 걸맞게 직선화 시공이 이뤄졌다. 주 사업자인 TGV의 본진인 프랑스만큼 평탄한 지형은 아니지만 산악 지형이 많은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곡선반경도 매우 여유롭다. 그만큼 고가교와 장대터널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으며, 율현터널대관령터널의 관통으로 비록 3인자의 자리에 물러났지만 한때 우리나라 철도터널중 최장거리를 보유했었던 금정터널을 비롯, 일직터널이나 황학터널같은 10km급 장대터널이 상당히 많다. 고속선의 설계최고 시속은 450km/h급, 영업최고시속은 305km/h 정도로 설정되었다. 영업최고시속은 운행중인 차량들의 스펙에 맞춰놓은 것으로, 향후 성능이 향상된 350km/h급 또는 HEMU-430X와 같은 400km/h급 이상의 열차도 신호계량을 거친다면 충분히 투입할 수 있다.
  • 대구~부산 사이의 선형은 최단거리를 고려하면 기존 경부선의 선형과 유사하게 설계되었어야 한다. 하지만 관광객 수요를 무시할 수 없는 경주와 동남권 공업도시이자 광역시인 울산을 무시하기는 어려웠으므로 경부고속도로의 선형과 유사하게 경주와 울산을 거치는 꽤 굴곡진 선형이 적용되었다. 다만 고속선답게 직선화를 위해 곡선반경을 크게 잡다보니 신경주역이나 울산역 모두 시가지에서 다소 떨어진 위치에 건설되었다. 하지만 당초 우려와는 달리 울산역은 흥행하고 있으며, 신경주역도 점점 수요를 늘려가는 추세에 시내와 대중교통 연계를 지속적으로 개량하면서 세금이 아까운 현상은 벌어지지 않고 있다.

각주

  1. 이 용어는 대개 노선과 운행 계통을 분리해서 볼 떄 경부고속선을 사용해 운행되는 열차 계통을 이른다. 다만 흔히 불리는 명칭에서는 경부고속선과 거의 혼용되는 상태.
  2. 정식으로 거리표에 등재되지는 않았지만, 과거 연결선상에 있었으며 현재도 호남선 기존선 경유 KTX가 이 곳을 통해 운행된다.
  3. 사실 세계적으로 봤을 땐 그리 이상하진 않은 편이다. 가령 독일의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의 경우 아우토반 A3을, 네덜란드 ~ 벨기에의 HSL-Zuid ~ HSL-4의 경우 네덜란드 A16 ~ 벨기에 A1을, 프랑스의 동유럽 고속선이 오토루트 A4를 따라가는 선형이며, 이 사례는 일부고 이 외에도 많다.
  4. 그 유명한 KTX 탈걸... 이라는 광고판을 세웠을 정도로 홍보효과를 얻을 수 있는 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