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표/인터넷 사건: 두 판 사이의 차이

< 연표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3번째 줄: 3번째 줄:
* [[1986년]] [[9월]] : [[데이콤]]에서 [[천리안]]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86년]] [[9월]] : [[데이콤]]에서 [[천리안]]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86년]] [[11월]] : [[한국경제신문]]에서 [[하이텔]]의 전신인 [[한경KETEL]]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86년]] [[11월]] : [[한국경제신문]]에서 [[하이텔]]의 전신인 [[한경KETEL]]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0년대]] : PC통신에서 인터넷으로의 전환 ==
== [[1990년대]] : PC통신에서 인터넷으로의 전환 ==
* [[1991년]] [[12월]] : 한국경제신문과 [[한국통신]]의 합작법인 한국PC통신이 설립되어 KETEL이 [[하이텔]]이 되다.
* [[1991년]] [[12월]] : 한국경제신문과 [[한국통신]]의 합작법인 한국PC통신이 설립되어 KETEL이 [[하이텔]]이 되다.
8번째 줄: 9번째 줄:
* [[1996년]] [[4월]] : [[삼성SDS]]에서 [[유니텔]]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6년]] [[4월]] : [[삼성SDS]]에서 [[유니텔]] 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7년]] [[5월]] : [[이메일|웹메일]] 서비스 [[다음|한메일넷]]이 문을 열다.<ref name="daumhistory">[http://www.daumkakao.com/about/history 연혁], 다음카카오</ref>
* [[1997년]] [[5월]] : [[이메일|웹메일]] 서비스 [[다음|한메일넷]]이 문을 열다.<ref name="daumhistory">[http://www.daumkakao.com/about/history 연혁], 다음카카오</ref>
* [[1998년]] [[9월 1일]] : [[MMORPG]] 《[[리니지]]》가 상용화되다.
* [[1999년]] [[4월 1일]] : [[하나로통신]]이 국내 최초 [[ADSL]] 상용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9년]] [[4월 1일]] : [[하나로통신]]이 국내 최초 [[ADSL]] 상용서비스를 시작하다.
* [[1999년]] [[4월 26일]] : [[CIH 바이러스]] 대란이 터지다. 국내 PC 유저들의 보안 인식 수준이 대폭 상향되는 계기가 되다.
* [[1999년]] [[4월 26일]] : [[CIH 바이러스]] 대란이 터지다. 국내 PC 유저들의 보안 인식 수준이 대폭 상향되는 계기가 되다.
21번째 줄: 23번째 줄:


== [[2000년대]] : '인터넷 시대'의 시작 ==
== [[2000년대]] : '인터넷 시대'의 시작 ==
2000년대부터는 [[대한민국]]에서 [[VT 통신]]이 사양세로 접어들고 정보통신망의 기반이 [[인터넷]]으로 이동했다. 나우누리·천리안·하이텔 등의 기존 VT 통신 서비스도 인터넷으로 그 터전을 옮기며 새 시대의 적응을 꾀했다.
=== [[2000년]] ===
=== [[2000년]] ===
* [[1월 1일]] : [[2000년 문제]](밀레니엄 버그)의 우려가 예측되었으나 별다른 이상 없이 무사히 새해를 맞이하다.
* [[1월 12일]] : [[루리웹]]이 문을 열다.<ref name="ruliweb">[https://ko.wikipedia.org/wiki/%EB%A3%A8%EB%A6%AC%EC%9B%B9 루리웹], 한국어 위키백과, 2015.06.04. 확인</ref>
* [[1월 12일]] : [[루리웹]]이 문을 열다.<ref name="ruliweb">[https://ko.wikipedia.org/wiki/%EB%A3%A8%EB%A6%AC%EC%9B%B9 루리웹], 한국어 위키백과, 2015.06.04. 확인</ref>
* [[1월]] : [[다음]]이 검색 서비스를 시작하다.<ref name="daumhistory" />
* [[1월]] : [[다음]]이 검색 서비스를 시작하다.<ref name="daumhistory" />
29번째 줄: 34번째 줄:
*[[1월 1일]] : 소니 PDA 동호회 [[클리앙]]이 개인 사이트로 독립하다.
*[[1월 1일]] : 소니 PDA 동호회 [[클리앙]]이 개인 사이트로 독립하다.
*[[7월 5일]] : [[디시인사이드]]에서 병욱대첩이 발발하다.
*[[7월 5일]] : [[디시인사이드]]에서 병욱대첩이 발발하다.
*[[10월 7일]] : 인터넷 커뮤니티 사이트인 [[프리챌]]이 천천천 캠페인 공지를 올렸다. 요지는 전격적인 커뮤니티 서비스의 유료화로 만일 유료화를 하지 않는다면 커뮤니티 운영, 개설이 불가능해지며, 기존의 자료는 열람도 불가능하게 바뀌는 것이었다. 이 여파로 프리챌의 커뮤니티를 운영하던 사람들 중 일부는 해당 커뮤니티의 내용을 프로그램을 써서 크롤링을 하기도 하였으며, 상당수의 유저들이 이 당시 단체로 이탈을 하게 된다. 이 이탈한 인구 중 상당수가 당시 커뮤니티 기능의 무료를 선언한 [[싸이월드]]로 이동을 하게 되면서 이듬해인 [[2003년]]에 싸이월드의 [[미니홈피]] 열풍이 불게 된다.
*[[10월 7일]] : 포털 사이트 [[프리챌]]이 천천천 캠페인 공지를 올리다. 요지는 전격적인 커뮤니티 서비스의 유료화로 만일 유료화를 하지 않는다면 커뮤니티 운영, 개설이 불가능해지며, 기존의 자료는 열람도 불가능하게 바뀌는 것이었다. 이 여파로 프리챌의 커뮤니티를 운영하던 사람들 중 일부는 해당 커뮤니티의 내용을 프로그램을 써서 크롤링을 하기도 하였으며, 상당수의 유저들이 이 당시 단체로 이탈을 하게 된다. 이 이탈한 인구 중 상당수가 당시 커뮤니티 기능의 무료를 선언한 [[싸이월드]]로 이동을 하게 되면서 이듬해인 [[2003년]]에 싸이월드의 [[미니홈피]] 열풍이 불게 된다.
* [[10월 12일]] : [[한국어 위키백과]]가 문을 열다.
* [[10월 12일]] : [[한국어 위키백과]]가 문을 열다.
* [[11월]] : [[루리웹]]이 인티즌에 영입되다.<ref name="ruliweb" />
* [[11월]] : 포털 파괴자 [[루리웹]]이 인티즌에 영입되다.<ref name="ruliweb" />


=== [[2003년]] ===
=== [[2003년]] ===
39번째 줄: 44번째 줄:
=== [[2004년]] ===
=== [[2004년]] ===
* [[2월 4일]] : [[페이스북]]이 문을 열다.
* [[2월 4일]] : [[페이스북]]이 문을 열다.
* [[7월 17일]] : [[한미르]]를 통합한 [[포털]] 사이트 [[파란]]이 문을 열다.<ref name="paran">[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B%9E%80_(%ED%8F%AC%ED%84%B8) 파란 (포털)], 한국어 위키백과, 2015.06.04. 확인</ref>
* [[7월 17일]] : [[한미르]]를 통합한 포털 사이트 [[파란]]이 문을 열다.<ref name="paran">[https://ko.wikipedia.org/wiki/%ED%8C%8C%EB%9E%80_(%ED%8F%AC%ED%84%B8) 파란 (포털)], 한국어 위키백과, 2015.06.04. 확인</ref>
* [[9월]] : [[루리웹]]이 [[드림위즈]]로 넘어가다.<ref name="ruliweb" />
* [[9월]] : 포털 파괴자 [[루리웹]]이 [[드림위즈]]로 넘어가다.<ref name="ruliweb" />


=== [[2005년]] ===
=== [[2005년]] ===
* [[9월 13일]] : [[MMORPG]]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에서 [[오염된 피 사건]]이 발생하다.
* ? : [[오늘의유머]]가 [[드림위즈]]와 통합하다.
* ? : [[오늘의유머]]가 [[드림위즈]]와 통합하다.


65번째 줄: 71번째 줄:
** [[루리웹]]이 [[네이트]]로 이전되다.<ref name="ruliweb" />
** [[루리웹]]이 [[네이트]]로 이전되다.<ref name="ruliweb" />
* [[7월 7일]] : [[청와대]], [[국방부]] 등 주요 인터넷 사이트가 [[DDos]] 공격을 받아 마비되다.
* [[7월 7일]] : [[청와대]], [[국방부]] 등 주요 인터넷 사이트가 [[DDos]] 공격을 받아 마비되다.
* [[11월 28일]] : KT를 통해 [[아이폰 3GS]]가 출시되었다. 이는 모바일 인터넷 생태계의 신호탄이 되었다.
* [[11월 28일]] : KT를 통해 [[아이폰 3GS]]가 출시되고 이는 모바일 인터넷 생태계의 신호탄이 되다.
* ? : [[오늘의유머]]가 [[파란]]으로 서버를 이전하다.
* ? : [[오늘의유머]]가 [[파란]]으로 서버를 이전하다.
* ? : 모에명수가 [[일간베스트]]를 열었다가 문을 닫다.
* ? : 모에명수가 [[일간베스트]]를 열었다가 문을 닫다.
71번째 줄: 77번째 줄:
== [[2010년대]] ==
== [[2010년대]] ==
=== [[2010년]] ===
=== [[2010년]] ===
* [[3월 1일]] : [[한국]]의 '테대연'과 [[2ch]] 간에 [[삼일절 사이버 전쟁]]이 일어나다.
* [[3월 1일]] : [[한국]]의 '테대연'과 [[일본]]의 [[2ch]] 간에 [[삼일절 사이버 전쟁]]이 일어나다.
* [[3월]] : [[카카오톡]]이 문을 열다.<ref name="daumhistory" />
* [[3월]] : [[카카오톡]]이 문을 열다.<ref name="daumhistory" />
* ? : '쥐빠는SAD해'가 [[일간베스트]]를 열다.
* ? : '쥐빠는SAD해'가 [[일간베스트]]를 열다.


=== [[2011년]] ===
=== [[2011년]] ===
* [[3월]] : [[루리웹]]이 [[다음]]으로 이전되다.<ref name="ruliweb" />
* [[3월]] : 포털 파괴자 [[루리웹]]이 [[다음]]으로 이전되다.<ref name="ruliweb" />
* [[5월 20일]]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 [[알렉스 퍼거슨]]이 불후의 명언 "[[트위터는 인생의 낭비]]"를 남기다.<ref>[[위키인용집:알렉스 퍼거슨]]</ref>
* [[5월 20일]] :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감독 [[알렉스 퍼거슨]]이 불후의 명언 "[[트위터는 인생의 낭비]]"를 남기다.<ref>[[위키인용집:알렉스 퍼거슨]]</ref>


83번째 줄: 89번째 줄:


=== [[2013년]] ===
=== [[2013년]] ===
* [[1월 1일]] : 포털 사이트 [[야후! 코리아]]가 문을 닫다.
* [[1월 31일]] : 포털 사이트 [[나우누리]]가 서비스를 종료하다.<ref>[http://economy.hankooki.com/lpage/it/201301/e20130129100108117720.htm 나우누리 추억속으로… 31일 서비스 종료]. 서울경제. 2013.01.29.</ref>
* [[1월 31일]] : 포털 사이트 [[나우누리]]가 서비스를 종료하다.<ref>[http://economy.hankooki.com/lpage/it/201301/e20130129100108117720.htm 나우누리 추억속으로… 31일 서비스 종료]. 서울경제. 2013.01.29.</ref>
* [[3월 15일]] : [[윈도 라이브 메신저]]가 서비스를 종료하다.<ref name="msn" />
* [[3월 15일]] : [[윈도 라이브 메신저]]가 서비스를 종료하다.<ref name="msn" />
99번째 줄: 106번째 줄:
* [[6월 3일]]
* [[6월 3일]]
**[[다음]] 카페 '[[도탁스]]'에 상업화의 불이 붙다.
**[[다음]] 카페 '[[도탁스]]'에 상업화의 불이 붙다.
**[[질병관리본부]]가 자신들의 공식 [[트위터]] 계정을 비공개로 돌려버린다. 정부 공식 트위터 계정이 비공개로 전환된 것은 최초다.
**[[질병관리본부]]가 자신들의 공식 [[트위터]] 계정을 비공개로 돌려버리다. 정부 공식 트위터 계정이 비공개로 전환된 사례로는 최초다.


{{주석}}
{{주석}}

2015년 6월 4일 (목) 08:44 판

틀:집단연구

1980년대 : PC통신의 개막

1990년대 : PC통신에서 인터넷으로의 전환

2000년대 : '인터넷 시대'의 시작

2000년대부터는 대한민국에서 VT 통신이 사양세로 접어들고 정보통신망의 기반이 인터넷으로 이동했다. 나우누리·천리안·하이텔 등의 기존 VT 통신 서비스도 인터넷으로 그 터전을 옮기며 새 시대의 적응을 꾀했다.

2000년

2002년

  • 1월 1일 : 소니 PDA 동호회 클리앙이 개인 사이트로 독립하다.
  • 7월 5일 : 디시인사이드에서 병욱대첩이 발발하다.
  • 10월 7일 : 포털 사이트 프리챌이 천천천 캠페인 공지를 올리다. 요지는 전격적인 커뮤니티 서비스의 유료화로 만일 유료화를 하지 않는다면 커뮤니티 운영, 개설이 불가능해지며, 기존의 자료는 열람도 불가능하게 바뀌는 것이었다. 이 여파로 프리챌의 커뮤니티를 운영하던 사람들 중 일부는 해당 커뮤니티의 내용을 프로그램을 써서 크롤링을 하기도 하였으며, 상당수의 유저들이 이 당시 단체로 이탈을 하게 된다. 이 이탈한 인구 중 상당수가 당시 커뮤니티 기능의 무료를 선언한 싸이월드로 이동을 하게 되면서 이듬해인 2003년에 싸이월드의 미니홈피 열풍이 불게 된다.
  • 10월 12일 : 한국어 위키백과가 문을 열다.
  • 11월 : 포털 파괴자 루리웹이 인티즌에 영입되다.[5]

2003년

  • 1월 25일 : 슬래머 웜 대란이 터지다. MS-SQL 서버의 취약점을 노린 공격으로 국내 ISP에서 운영하는 DNS 서버가 잇따라 무너짐에 따라 인터넷이 마비되다.
  • 2월 26일 : 오픈소스게시판 그누보드가 개발되다.

2004년

2005년

2006년

2007년

2008년

2009년

2010년대

2010년

2011년

2012년

2013년

2014년

2015년

각주

  1. 1.0 1.1 1.2 1.3 1.4 연혁, 다음카카오
  2. NAVER소개, NAVER
  3. 3.0 3.1 위키백과:윈도 라이브 메신저
  4. 4.0 4.1 위키백과:엠파스
  5. 5.0 5.1 5.2 5.3 5.4 5.5 루리웹, 한국어 위키백과, 2015.06.04. 확인
  6. 6.0 6.1 파란 (포털), 한국어 위키백과, 2015.06.04. 확인
  7. 위키인용집:알렉스 퍼거슨
  8. 나우누리 추억속으로… 31일 서비스 종료. 서울경제. 2013.0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