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서울 요금소에서 찍은 네이버 본사(그린팩토리). |
|
웹사이트 정보 | |
URL | NAVER |
종류 | 포털 사이트 |
언어 | 한국어 |
시작일 | 1998년 6월 1일 |
회원가입 | 선택적 |
영리여부 | 영리 |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네이버 주식회사에서 운영하는 대한민국의 포털 사이트로, 정식 서비스는 1998년 6월 1일에 시작되었다.관련기사 검색 엔진의 경우 2016년 11월에서 88%라는 독보적인 수준의 점유율을 기록했다가, 2019년 기준 대한민국에서 약 58%의 점유율을 차지하며 2위인 구글(약 34%)에 따라잡히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InternetTrend™
전 세계적으로 점유율이 높은 구글 홈페이지는 검색 기능에 중점을 두고 다른 서비스는 바로 안 보이게 해둔 데 반해, 한국에서 점유율 과반수를 차지하는 네이버는 홈페이지에서부터 대부분의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서비스 종류는 참 다양하지만, 없어진 서비스들도 많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네이버는 삼성SDS의 사내 프로젝트로 시작되었으며, 1997년 말에 삼성SDS에서 자체적으로 개발한 검색엔진인 '웹글라이더'와 '유니파인더', 그리고 나우누리의 사용자들이 운영하던 검색 서비스인 'ZIP!'을 통합하여 얻은 결과물이다.관련기사 네이버는 당시에는 흔하지 않았던 이미지 검색 등 멀티미디어 검색 서비스로 인기를 끌었고, 이 인기에 힘입어 1998년 6월 1일에 정식 서비스를 시작하였다. 이후 1999년 5월에 삼성SDS는 당시 추진하던 3개의 사내 프로젝트 중 2개를 벤처기업으로 독립시키는데, 네이버 역시 이 기간에 독립하여 '네이버컴'이라는 기업이 운영하는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가 된다.관련기사
독립 이후 네이버는 당시 국산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던 심마니를 제치는 데는 성공했지만, 2000년 5월의 페이지 뷰가 다음의 22%밖에 되지 않는 등 2000년대 초반까지는 야후! 코리아, 다음, 라이코스코리아 등의 종합 포털사이트보다 이용자 수가 작았으며, 엠파스와 대한민국의 검색 특화 포털사이트 중 1위의 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관계에 있었다.관련기사 하지만 2000년대 중반부터는 다음(Daum)에서 빠져나온 사용자들을 빨아들이고 네이버 지식인 같은 사용자가 참여할 수 있는 서비스를 운영하며 성장해나가 지금의 위치에 이르게 되었다.
서비스[편집 | 원본 편집]

기능 및 팁[편집 | 원본 편집]
검색옵션과 상세검색[편집 | 원본 편집]
네이버 기본 검색만으로 원하는 정보를 찾기 어려울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들이다.
검색옵션은 검색결과 창에서 …를 누르면 보이며, 검색결과 정렬 방식과 기간 옵션을 지정할 수 있다. 정렬은 관련도순과 최신순으로 나뉜다. 기간 옵션은 기본적으로 전체, 1시간, 1일, 1주, 1개월, 3개월, 6개월, 1년을 지원하고, 직접입력으로 들어가서 1990년 1월 1일부터 당일 날짜 사이 중 기간을 정할 수 있다.
상세검색은 검색 연산자로 검색 결과의 정확성을 높이는 방식을 말한다. 4가지 연산자를 지원한다.
- 정확히 일치하는 단어: 큰따옴표("")
- 예시
"검색어"
,기본검색어 "일치검색어"
두 단어 이상일 경우, 큰따옴표 앞에 띄어쓰기를 넣어야 한다.
- 예시
- 반드시 포함하는 단어: 플러스(+)
- 예시
+포함검색어
,기본검색어 +포함검색어
두 단어 이상일 경우, 플러스 앞에 띄어쓰기를 넣어야 한다.
- 예시
- 제외하는 단어: 마이너스(-)
- 예시
기본검색어 -제외검색어
참고로 다른 단어 없이-검색어
이런 식으로 쓰면검색어
와 비슷한 결과가 나온다. 아예 결과를 내지 않는 구글과는 다른 점.
- 예시
- 입력한 단어를 하나 이상 포함: 수직선 (|)
- 예시
기본검색어 | 포함검색어1 | 포함검색어2
포함할 단어 앞에 수직선 기호를 넣는데, 수직선 기호 앞뒤로 띄어쓰기가 되어 있어야 한다.
- 예시
다이렉트 검색[편집 | 원본 편집]
네이버 검색창에서 특정 키워드를 치면 이용할 수 있는 도구들로, 따로 사이트를 두지 않고 검색 결과 창에서 기능을 바로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 [1] 네이버는 기존에도 편의성 증진을 위해 생활검색 기능을 두고 있었으며, 2005년 4월 14일에 기능을 추가, 개명하였다.관련기사 네이버에서 100%의 정확성을 보증하지 않으니, 엄밀한 정확도를 따져야 하는 상황에서는 다른 도구를 사용할 것이 권장된다.
- 도구 모음모바일
- 주요 도구들의 모음. 단, 모바일 버전에서만 적용되며 PC 버전에서는 도구 모음이 뜨지 않는다.
물론 위 링크는 PC에서도 모바일 버전으로 띄어주니 PC에서도 볼 수 있다.여담으로, 도구 모음뿐 아니라 다른 도구들에서도 PC와 모바일 웹 및 공식 모바일 앱에서 UI가 약간씩 다르거나, 모바일에서만 이용 가능한 도구가 존재한다.
이하는 도구 모음에 있는 도구들.
- 계산기 목록
- 계산기, 퍼센트 계산기, 이자 계산기, 학점 계산기, 각자내기 계산기, 관부가세 계산기, 비만도 계산기, 칼로리 계산기
- 달력/날짜계산 목록
- 달력, 양음력 변환기, 날짜 계산기, 전역일 계산기, 만 나이 계산기, 배란일 계산기
- 단위변환/측정 목록
- 단위 변환기(길이, 넓이, 무게, 부피, 온도, 압력, 속도, 연비, 데이터양, 시간), 각도기
- 생활정보 목록
- 로또6/45, 연금복권720+
- 우편번호, 지역번호, 영문주소 검색
-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 택배 배송 조회
- 네이버 시계
- 기차 승차권 예매, 고속버스 시간표
- 간단게임
- 가위바위보 게임, 당첨자 추첨, 사다리게임, 원판돌리기, 주사위 굴리기, 제비뽑기, 화살표돌리기, 포춘쿠키, 난센스 퀴즈
- 세계정보 목록
- 세계시간, 국가번호, Papago
이하는 도구 모음에 없는 도구들이다. 더 있으면 추가바람
- 색상 팔레트
- 증권정보
여담[편집 | 원본 편집]
- 2016년 2월 21일 기준 네이버는 Tor을 통한 접속을 막고 있지 않으며, 뉴스, 웹툰, 메일, 블로그, 카페 등 대부분의 비회원 서비스는 별 문제 없이 이용할 수 있지만, Tor을 통한 검색 서비스는 제한되고 있다. Tor로 검색이 되는 경우는 네이버가 미처 잡아내지 못한 Tor의 출구 IP주소를 통해 접속했을 때이다.Tor을 사용하면서 한글 검색을 하고 싶다면 다음(네이트)[2], zum, 드림위즈, Bing, 구글 등 한국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다른 포털 사이트의 검색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 네이버는 메인 화면의 뉴스스탠드를 임의로 조정해 기사 노출도를 조작한다는 의혹이 있다. 네이버 고위층 금OO이사는 한국프로축구연맹 김00 홍보팀장로부터 '축구연맹 비판 기사 편집 청탁'을 받았고, 네이버 측은 실제로 이 기사를 일반 대중이 잘 볼 수 없는 곳에 재배치한 사실이 있다.[3]
- 2023년 5월 17일 PC와 모바일의 UI를 통합하였다. PC답게, 때론 모바일처럼. 모바일 위주로 통합하였기 때문에 PC를 기준으로 예전에 口 모양이었던 양쪽 공간이 중앙의 凸 자처럼 몰려 시선의 가독성이 나빠졌다. PC 사용자의 위와 좌우부터 먼저 본 다음 중앙과 아래를 향하는 습관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비판점이 있다.[4]
- 2023년 5월 30일 기준 이미지 검색의 제공 수의 편차가 생겼다. 이전에는 편차 없이 6페이지 정도, 당시 기준 1페이지부터 6페이지까지의 차이를 보인다. 제공 수가 줄어드는 검색 알고리즘 조건은 밝혀지지 않았다.
각주
- ↑ 구글이나 덕덕고 등 다른 포털사이트에도 비슷한 기능이 존재한다.
- ↑ 2016년 3월 기준, 네이트는 다음의 검색결과를 그대로 가져와서 검색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 ↑ 기사 재배치 비리 기사
- ↑ 스마트폰은 가독성이 중앙으로 모이기 쉬워 시청 시 눈의 섬모체 근육이 긴장하여 안압이 평상시보다 다소 강해져 무리가 간다. 권선미. “잠자기 전 불 끄고 폰 본다?…"실명할 수 있다" 의사 경고 왜”, 《중앙일보》, 2022년 3월 7일 작성. 2023년 5월 17일 확인.
한국의 포털 사이트 |
|
---|---|
운영 중인 포털 사이트 |
|
타 사이트에 흡수된 포털 사이트 | |
폐쇄된 포털 사이트 |
운영 중 | |
---|---|
운영 종료 |
서비스 | |
---|---|
운영 | |
관련 인물 | |
기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