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산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한 몫 (하|한|할|함|합|해|했)" 문자열을 "한몫$1" 문자열로)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사용자:Pika/대체용 틀 +철도 노선 정보))
 
(사용자 19명의 중간 판 132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수도권 3호선 틀}}
{{철도 노선 정보
|이름    = 일산선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alt  =
|나라    = {{나라|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간선철도|간선]])
|번호    = 319
|구간    = [[지축역|지축]] ~ [[대화역|대화]]
|영업거리 = 19.2 km
|역수    = 11개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 [[1996년]] [[1월 30일]]
|폐지일  =
|경유노선 =
|차량기지 =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2
|전기    =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신호    = [[ATC]]
|비고    =
}}


{{+1|一山線 / Ilsan line}}
{| class="wikitable"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fe5b10; color: white;" align="center" | '''일산선'''
|-
| align="center" | '''운영기관'''
|| [[한국철도공사]]
|-
| align="center" | '''영업거리'''
|| 19.2km
|-
| align="center" | '''궤간'''
|| 1435mm [[표준궤]]
|-
| align="center" | '''역 수'''
|| 10
|-
| align="center" | '''신호'''
|| [[ATS]]
|-
| align="center" | '''차량기지'''
|| [[지축차량사업소]]
|-
| align="center" | '''지상구간'''
|| 대곡역, 원당역, 지축역
|-
| align="center" | '''연혁'''
|| 1996. 01. 12 대화↔지축<br />2014. 12. 27 원흥역
|}
== 개요 ==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역]]과 [[덕양구]] [[지축역]]까지를 연결하는 [[광역전철]] 노선. [[지축역]]에서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운행하여 [[수도권 전철 3호선]]을 이루고 있다.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역]]과 [[덕양구]] [[지축역]]까지를 연결하는 [[광역전철]] 노선. [[지축역]]에서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운행하여 [[수도권 전철 3호선]]을 이루고 있다.


[[코레일]] 소속의 광역철도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업무는 [[서울메트로]]가 위탁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 심지어 3호선 열차 시간표 작성 권한도 모두 서메에 위임되어 있다. <s>이쯤 되면 그냥 서메 소속 일산선</s>
[[코레일]] 소속의 광역철도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업무는 [[서울교통공사]]가 위탁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 심지어 3호선 열차 시간표 작성 권한도 모두 서교공에 위임되어 있다. <s>이쯤 되면 그냥 서교공 소속 일산선</s>


== 연혁 ==
== 연혁 ==
당초 [[1985년]] [[서울 지하철 3호선]]이 완공되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3호선은 구파발역에서 삼송리를 거쳐 벽제리까지 연장할 계획이었다. [[1990년]] [[지축역]]을 개업한 이유도 이 때문.
당초 [[1985년]] [[서울 지하철 3호선]]이 완공되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3호선은 구파발역에서 삼송리를 거쳐 벽제리까지 연장할 계획이었다. [[1990년]] [[지축역]]을 개업한 이유도 이 때문.


그러나 [[1989년]] 1기 신도시 계획이 발표, [[일산신도시]]가 지어지기 시작하면서 해당 신도시에 광역전철이 필요하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1990년 당초 벽제 연장을 [[백지화]]하고 [[대화역]]에서 일산신도시를 거쳐 화정지구, 삼송리를 거쳐 지축역을 연결하는 일산선 광역전철 건설이 추진되었다.
그러나 [[1989년]] 1기 신도시 계획이 발표, [[일산신도시]]가 지어지기 시작하면서 해당 신도시에 광역전철이 필요하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1990년]] 당초 벽제 연장을 [[백지화]]하고 [[대화역]]에서 일산신도시를 거쳐 화정지구, 삼송리를 거쳐 지축역을 연결하는 일산선 광역전철 건설이 추진되었다.


그러다가 중간에 원당지구 주민들의 요구 등으로 [[원당역]]이 추가되면서 노선이 <del>드리프트</del> 부분 변경되었으며, [[1991년]] 착공하여 [[1996년]] [[1월 12일]] 개통했다.
그러다가 중간에 원당지구 주민들의 요구 등으로 [[원당역]]이 추가되면서 노선이 <del>드리프트</del> 부분 변경되었으며, [[1991년]] 착공하여 [[1996년]] [[1월 30일]] 개통했다.


[[2014년]] [[12월 27일]]에는 [[원흥역]]이 추가로 개업하였다.
[[2014년]] [[12월 27일]]에는 [[원흥역]]이 추가로 개업하였다.
* [[2019년]] [[4월 17일]] : 노선번호가 305에서 319로 변경됨.<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5309930817000&tocId=00000000000000001555373583857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173%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20%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2%2588%25ED%2598%25B8%2520%25EB%25B3%2580%25EA%25B2%25BD)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 선형 ==
== 선형 ==
51번째 줄: 47번째 줄:
이렇게 된 것은 당초 서울 3호선은 벽제 연장을 염두해두고 만든 노선이었던 것인데, 이걸 어거지로 화정택지지구와 [[일산신도시]]를 커버치려다 보니 노선 선형이 드리프트의 연속이라는, 매우 극악한 모습이다. 더군다나 본래에는 화정에서 곧바로 삼송으로 직선으로 갈 계획이었으나, 중간에 [[원당역]]이 추가되면서 여기서 드리프트가 추가로 생겼다(...)
이렇게 된 것은 당초 서울 3호선은 벽제 연장을 염두해두고 만든 노선이었던 것인데, 이걸 어거지로 화정택지지구와 [[일산신도시]]를 커버치려다 보니 노선 선형이 드리프트의 연속이라는, 매우 극악한 모습이다. 더군다나 본래에는 화정에서 곧바로 삼송으로 직선으로 갈 계획이었으나, 중간에 [[원당역]]이 추가되면서 여기서 드리프트가 추가로 생겼다(...)


그나마 1991년 착공 당시만 하더라도 행신-수색 라인은 도로도 뚫리기 전이었고, [[경의선]]에 광역전철도 안 다녔던 때라서(...) 여러모로 당시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긴 했다. 3호선의 태생적 한계+화정지구, 원당지구 수요 잡기 등도 필요했으니.
그나마 [[1991년]] 착공 당시만 하더라도 행신-수색 라인은 도로도 뚫리기 전이었고, [[경의선]]에 광역전철도 안 다녔던 때라서(...) 여러모로 당시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긴 했다. 3호선의 태생적 한계+화정지구, 원당지구 수요 잡기 등도 필요했으니.


그리고 화정지구나 원당지구 입장에서는 서울 접근성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이기도 하다. 삼송지구는..뭐 말이 필요한가?
그리고 화정지구나 원당지구 입장에서는 서울 접근성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이기도 하다. 삼송지구는..뭐 말이 필요한가?
58번째 줄: 54번째 줄:


== 기타 ==
== 기타 ==
* 흔히 백석역에서부터 구파발역까지를 [[롤러코스터]](...)라고 부르기도 했다. 왜 그랬느냐면, [[원흥역]]이 개통하기 전만 하더라도 [[백석역]](지하) - [[대곡역]](지상) - [[화정역]](지하) - [[원당역]](지상) - [[삼송역]](지하) - [[지축역]](지상) - [[구파발역]](지하) 순으로, 그야말로 지상과 지하를 왔다갔다 했었기 때문. 이는 [[2014년]] [[원흥역]]이 개업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ㅊ|위 아래 위위 아래}}
* 흔히 백석역에서부터 구파발역까지를 [[롤러코스터]](...)라고 부르기도 했다. 왜 그랬느냐면, [[원흥역]]이 개통하기 전만 하더라도 [[백석역]](지하) - [[대곡역 (고양)|대곡역]](지상) - [[화정역 (고양)|화정역]](지하) - [[원당역]](지상) - [[삼송역]](지하) - [[지축역]](지상) - [[구파발역]](지하) 순으로, 그야말로 지상과 지하를 왔다 갔다 했었기 때문. 이는 [[2014년]] [[원흥역]]이 개업할 때까지 계속되었다. {{ㅊ|위 아래 위위 아래}}


* 개업 당시에는 국철의 일부로 취급하여 [[서울 지하철 3호선]]과는 달리 남색을 썼으나, 2000년 3호선 색깔인 주황색으로 통일했다.
* 개업 당시에는 국철의 일부로 취급하여 [[서울 지하철 3호선]]과는 달리 남색을 썼으나, [[2000년]] 3호선 색깔인 주황색으로 통일했다.
 
* 당초 이 노선도 [[철도청]]이 짓는 노선이었던 탓에 좌측통행에 교류 전원을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이미 [[1994년]] 건립된 [[과천선]]-[[서울 지하철 4호선]] 간 [[꽈배기굴]]이라는 [[병크]]를''' 보다 못한 [[감사원]]에서 도시철도 규격을 권고, 광역전철임에도 우측통행과 직류로 다닌다. 만일 여기서도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면 지상 꽈배기다리가 탄생했을 수도(...)
* 당초 이 노선도 [[철도청]]이 짓는 노선이었던 탓에 좌측통행에 교류 전원을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이미 [[1994년]] 건립된 [[과천선]]-[[서울 지하철 4호선]] 간 [[꽈배기굴]]이라는 [[병크]]를''' 보다 못한 [[감사원]]에서 도시철도 규격을 권고, 광역전철임에도 우측통행과 직류로 다닌다. 만일 여기서도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면 지상 꽈배기굴이 탄생했을 수도(...)
 
* 노선의 특성 상 1990년대 후반부터 교하지구, 현 [[운정신도시]] 일원으로 연장하자는 제안이 자주 있었다. 실제로 2000년대 들어서 [[파주시]]에서 몇 번 추진했었으나, 결론부터 말하면 수요 문제 등으로 인하여 무산되었다(...) 다만 [[2014년]]에 새로운 파주시장이 이 노선 연장을 재추진하겠다고 밝혀서 추진 의지는 있다고 봐야겠다. 특히 차량기지까지 유치하겠다고 나올 정도면(...) {{ㅊ|[[진접선]]?}} 왜냐하면 운정신도시에서 [[운정역]]의 접근성이 시원찮은 데다가(...), 결론적으로 운정신도시-대화역 혹은 일산선 구간 수요 자체도 많은 터라 운정-대화역 간 시내버스도 많은 것도 한몫할 것이다. [[GTX]]와 연계해서 추진하겠다고 하니...<del>물론 이게 언제 이루어질지는 따져보진 말자(...)</del> 추진 노선은 교하차량기지 - 신운정 - 송포 - 대화역.
 
* [[2015년]] [[4월 18일]] 오후 11시 35분 일산선의 전 역이 작성 완료되었다.{{ㅊ|이제 서울 지하철 3호선 전 역 작성완료를 목표로...}}


== 역 목록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아래 역들은 모두 [[경기도]] [[고양시]]에 있다.
|+ 광역전철 일산선 역 목록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역번호
|-
! 번호
! km
! km
! colspan="2" | 역명
! 정거장
! 승강장
! 연계 노선
! 환승
! colspan="2" | 소재지
|-
|-
| style="background-color: #fe5b10; color: white;" | 30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19
| style="text-align: right;" | 19.2
| style="text-align: right;" | 0.0
| [[대화역|대 화]]
| [[지축역|지축]]
| 大 化
| style="text-align: left;" | [[서울 도시철도 3호선|3호선]] (연결)
| │■│
|
| style="width: 1.2em;" rowspan="11"|[[경기도]] [[고양시]]
|rowspan="2"|[[일산서구]]
|-
|-
| style="background-color: #fe5b10; color: white;" | 31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18
| style="text-align: right;" | 17.8
| style="text-align: right;" | 1.7
| [[주엽역|주 엽]]
| [[삼송역|삼송]]
| 注 葉
| style="text-align: left;" |  
| ■││■
|
|-
|-
| style="background-color: #fe5b10; color: white;" | 31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17
| style="text-align: right;" | 16.2
| style="text-align: right;" | 3.8
| [[정발산역|정발산]]
| [[원흥역|원흥]]
| 鼎鉢山
| style="text-align: left;" |  
| ■││■
|
|rowspan="3"|[[일산동구]]
|-
|-
| style="background-color: #fe5b10; color: white;" | 31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16
| style="text-align: right;" | 15.3
| style="text-align: right;" | 6.7
| [[마두역|마 두]]
| [[원당역|원당]]
| 馬 頭
| style="text-align: left;" |  
| ■││■
|
|-
|-
| style="background-color: #fe5b10; color: white;" | 31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15
| style="text-align: right;" | 13.9
| style="text-align: right;" | 9.3
| [[백석역|백 석]]
| [[화정역 (고양)|화정]]
| 白 石
| style="text-align: left;" |  
| │■│
|
|-
|-
| style="background-color: #fe5b10; color: white;" | 31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15
| style="text-align: right;" | 11.4
| style="text-align: right;" | 7.8
| [[대곡역|대 곡]]
| [[대곡역 (고양)|대곡]]
| 大 谷
| style="text-align: left;" | [[경의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의중앙}} [[경의·중앙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br />[[교외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GTXA}} [[GTX A노선]] (예정)''
| ■││■
| <span style="color: #73c7a6;">●</span>[[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경의·중앙선]]<br />[[교외선]]<br /><del>[[대곡소사선]]</del>
|rowspan="6"|[[덕양구]]
|-
|-
| style="background-color: #fe5b10; color: white;" | 31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13
| style="text-align: right;" | 9.3
| style="text-align: right;" | 13.9
| [[화정역|화 정]]
| [[백석역|백석]]
| 花 井
| style="text-align: left;" |  
| ■││■
|
|-
|-
| style="background-color: #fe5b10; color: white;" | 316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12
| style="text-align: right;" | 6.7
| style="text-align: right;" | 15.3
| [[원당역|원 당]]
| [[마두역|마두]]
| 元 堂
| style="text-align: left;" |  
| ■││■
|
|-
|-
| style="background-color: #fe5b10; color: white;" | 31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11
| style="text-align: right;" | 3.8
| style="text-align: right;" | 16.2
| [[원흥역|원 흥]]
| [[정발산역|정발산]]
| 元 興
| style="text-align: left;" |  
| ■││■
|
|-
|-
| style="background-color: #fe5b10; color: white;" | 31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10
| style="text-align: right;" | 1.7
| style="text-align: right;" | 17.8
| [[삼송역|삼 송]]
| [[주엽역|주엽]]
| 三 松
| style="text-align: left;" |  
| ■││■
|
|-
|-
| style="background-color: #fe5b10; color: white;" | 31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3}}; color: white;" | 309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 19.2
| [[지축역|지 축]]
| [[대화역|대화]]
| 紙 杻
| style="text-align: left;" |  
| │■│
|
|-
|-
| colspan="8" |↓ [[구파발역|구파발]]
|}
|}


== 참조 ==
{{각주}}
<references/>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분류:수도권 전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틀: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2023년 9월 10일 (일) 18:09 기준 최신판

일산선
나라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간선)
번호 319
구간 지축 ~ 대화
영업거리 19.2 km
역 수 11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1996년 1월 30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직류 1,500 V, 가공전차선
신호 ATC

경기도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역덕양구 지축역까지를 연결하는 광역전철 노선. 지축역에서 서울 지하철 3호선과 직결운행하여 수도권 전철 3호선을 이루고 있다.

코레일 소속의 광역철도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업무는 서울교통공사가 위탁을 받아 운영하고 있다. 심지어 3호선 열차 시간표 작성 권한도 모두 서교공에 위임되어 있다. 이쯤 되면 그냥 서교공 소속 일산선

연혁[편집 | 원본 편집]

당초 1985년 서울 지하철 3호선이 완공되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3호선은 구파발역에서 삼송리를 거쳐 벽제리까지 연장할 계획이었다. 1990년 지축역을 개업한 이유도 이 때문.

그러나 1989년 1기 신도시 계획이 발표, 일산신도시가 지어지기 시작하면서 해당 신도시에 광역전철이 필요하게 되었고, 결과적으로 1990년 당초 벽제 연장을 백지화하고 대화역에서 일산신도시를 거쳐 화정지구, 삼송리를 거쳐 지축역을 연결하는 일산선 광역전철 건설이 추진되었다.

그러다가 중간에 원당지구 주민들의 요구 등으로 원당역이 추가되면서 노선이 드리프트 부분 변경되었으며, 1991년 착공하여 1996년 1월 30일 개통했다.

2014년 12월 27일에는 원흥역이 추가로 개업하였다.

선형[편집 | 원본 편집]

위 아래 위위 아래 광역전철 주제에 선형이 매우 나쁜 편이다(...)

이렇게 된 것은 당초 서울 3호선은 벽제 연장을 염두해두고 만든 노선이었던 것인데, 이걸 어거지로 화정택지지구와 일산신도시를 커버치려다 보니 노선 선형이 드리프트의 연속이라는, 매우 극악한 모습이다. 더군다나 본래에는 화정에서 곧바로 삼송으로 직선으로 갈 계획이었으나, 중간에 원당역이 추가되면서 여기서 드리프트가 추가로 생겼다(...)

그나마 1991년 착공 당시만 하더라도 행신-수색 라인은 도로도 뚫리기 전이었고, 경의선에 광역전철도 안 다녔던 때라서(...) 여러모로 당시로서는 어쩔 수 없는 선택이긴 했다. 3호선의 태생적 한계+화정지구, 원당지구 수요 잡기 등도 필요했으니.

그리고 화정지구나 원당지구 입장에서는 서울 접근성 자체는 나쁘지 않은 편이기도 하다. 삼송지구는..뭐 말이 필요한가?

일산신도시에서 서울로 나가는 광역전철의 노선으로서는 영 좋지 않긴 하지만, 정작 일산신도시 내 전철역의 접근성은 모두 좋은 편이며, 일산신도시 뿐만 아니라 고양시의 도시철도 기능으로서는 괜찮은 노선인 셈. 이름과 실제가 다른 것?

기타[편집 | 원본 편집]

  • 개업 당시에는 국철의 일부로 취급하여 서울 지하철 3호선과는 달리 남색을 썼으나, 2000년 3호선 색깔인 주황색으로 통일했다.
  • 당초 이 노선도 철도청이 짓는 노선이었던 탓에 좌측통행에 교류 전원을 도입할 계획이었으나, 이미 1994년 건립된 과천선-서울 지하철 4호선꽈배기굴이라는 병크 보다 못한 감사원에서 도시철도 규격을 권고, 광역전철임에도 우측통행과 직류로 다닌다. 만일 여기서도 합의가 이루어지지 못했다면 지상 꽈배기다리가 탄생했을 수도(...)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319 0.0 지축 3호선 (연결)
318 1.7 삼송
317 3.8 원흥
316 6.7 원당
315 9.3 화정
315 7.8 대곡 경의선: 경의·중앙선
서해선
교외선
GTX A노선 (예정)
313 13.9 백석
312 15.3 마두
311 16.2 정발산
310 17.8 주엽
309 19.2 대화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