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랍에미리트 디르함: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외환}} 아랍어 : درهم إماراتي / 영어 : United Arab Emirates Dirham == 소개 == 아랍에미리트의 통화이다. ISO 4217코드는 AED, 기호...)
태그: 분류가 필요합니다!
 
 
(사용자 5명의 중간 판 1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외환}}
{{외환}}
[[아랍어]] : درهم إماراتي
{{화폐 정보
/ [[영어]] : United Arab Emirates Dirham
|화폐이름 =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원어이름 = درهم إماراتي
|그림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2설명=
|사용국  = {{나라|아랍에미리트}}
|비공식  =
|ISO      = AED
|기호    = د.إ / DH(Dhs)
|보조단위 =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0
|이름 = 필스(fils)<ref>실질적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ref>
}}
|지폐    = Dhs 5, Dhs 10, Dhs 20, Dhs 50, Dhs 100, Dhs 200, Dhs 500, Dhs 1000
|동전    = 25f(Dhs ¼), 50f(Dhs ½), Dhs 1
|중앙은행 =
|인쇄처  =
|조폐국  =
|환율    = 323원/Dhs<small> (2019.12.07 기준)</small>
|고정환율 = Dhs 3.6725/US$ (1997.11 ~)
|이전화폐 = [[걸프 루피]]
|이후화폐 =
|비고    =
}}
United Arab Emirates Dirham<small> 에미레이츠 디람<sup>[[영어|en]]</sup></small>
== 개요 ==
[[아랍에미리트]]의 디르함 계열 통화이다. 정식 한국어 명칭은 '디르함'이나 발음 특성상 '디람'이라고도 한다.


== 소개 ==
1973년 5월 19일부터 출범한 단위로, 전신은 아랍에미리트의 두 대장이었던 카타르-[[두바이]]의 리얄화였다. 그중 [[카타르]]가 연합에서 탈퇴하여 만들어진 것이 AED라는 것. 단, 현재는 킹왕짱인 [[아부다비]]는 조금 더 늦은 시기에 합류하였다. 첫 환율은 더 이전에 쓰였던 [[걸프 루피]](※[[인도 루피]] 전신의 친척)와 같은 값(Rs.13⅓/GBP)으로 매겨졌다가 1997년 11월부터 미국 달러 고정환(Dhs 3.6725/USD)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아랍에미리트]]의 통화이다. [[ISO 4217]]코드는 AED, 기호는 د.إ을 사용한다. (로마자 표기는 DH / Dhs) 보조단위로 필스가 설정되어 있으나 실질적으로는 잘 쓰이지 않으며, 굳이 언급하는 경우엔 쿼터/하프 디르함 단위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  


1973년 5월 19일부터 출범한 단위로, 전신은 아랍에미리트의 두 대장이었던 카타르-[[두바이]]의 리얄화였다. 그 중 [[카타르]]가 연합에서 탈퇴하여 만들어진 것이 AED라는 것. 단, 현재는 킹왕짱인 [[아부다비]]는 조금 더 늦은 시기에 합류하였다. 첫 환율은 더 이전에 쓰여졌던 [[걸프 루피]](※[[인도 루피]] 전신의 친척)와 동일한 값(Rs.13⅓/GBP)으로 매겨졌다가 1997년 11월부터 미국 달러 고정환(Dhs 3.6725/USD)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 환전 및 사용 ===
주로 아시아-유럽-아프리카 삼각 환승장사가 메인인 [[에미레이트 항공]] [[에티하드 항공]]을 이용한 경유 여행 때문에 의외의 잠재 수요가 있고, 두바이에 진출하는 사업가가 <s>많았던</s> 많은 관계로 한국에서 정식 취급하게 되었으나 대우가 썩 좋지만은 않다.


정식 한국어 명칭은 '디르함'이나 발음 특성상 '디람'이라고도 한다.
의외로 거래량이 시망급이라서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시중은행에서는 미리 예약문의라도 넣지 않으면 거의 볼 수 없고, KEB하나은행의 본점에서조차 새로 들여오거나 하지 않고 팔려온 것을 묵혀두기만 할 정도이다. 비치된 통화는 대개 Dhs 100 및 Dhs 500.


=== 환전 및  사용 ===
그러다보니 일반적으로 여행객들은 달러 들고서 현지에서 조금씩 깨가며 쓰거나 ATM으로 뽑아다 쓰는게 보통이다.
주로 아시아-유럽-아프리카 삼각 환승장사가 메인인 [[에미레이트 항공]] 및 [[에티하드 항공]]을 이용한 경유여행 때문에 의외의 수요가 있고, 두바이로 진출하는 사업가가 <s>많았던</s> 많은 관계로 한국에서 정식 취급하게 되었으나 대우가 썩 좋지만은 않다.  


또한 AED는 흥청망청 사용하기 쉬운 통화이다. 평균적으로 두바이 물가는 한국과 유사한 편인데, 흔하게 사용하는 단위가 Dhs 100 혹은 Dhs 20짜리고<ref>ATM인출 혹은 환전소 환전시 대개 Dhs 100단위부터 내주다보니 '만원짜리'로 인식하기 딱 좋다.</ref>, 그 단위값이 300원/Dhs (따라서 각각 3만원/6천원권)인지라 대개 물가를 가늠하기 어려워 한다. 그리고 이런 여행지에 장기간 머무르는 여행객도 많지 않으니 환전량 조절 실패로 남겨오는 경우도 적지 않다.  
AED는 흥청망청 사용하기 쉬운 통화이다. 평균적으로 두바이 물가는 일부 특이케이스를 제하고는 대체로 한국과 유사한 편인데, 흔하게 사용하는 단위가 Dhs 100 혹은 Dhs 20짜리고<ref>ATM 인출 혹은 환전소 환전 시 대개 Dhs 100단위부터 내주다보니 '만원짜리'로 인식하기 딱 좋다.</ref>, 그 단위값이 300원/Dhs (따라서 각각 3만원/6천원권)인지라 대개 물가를 가늠하기 어려워한다. 그리고 이런 여행지에 장기간 머무르는 여행객도 많지 않으니 환전량 조절 실패로 남겨오는 경우도 적지 않다.


== 현찰 시리즈 ==
== 현찰 시리즈 ==
=== 2차 ===
=== 3차 (2022 신권) ===
=== 1차 ===
2021년 4월 UAE의회에서 독립 50주년을 맞이하는 신 시리즈를 발행하기로 결정하였고, 동년도 12월 7일에 그 내용을 담은 50Dhs 기념권을 발행했다. 그리고 이듬해(2022년) 4월 말 5Dhs/10Dhs 두 권종의 폴리머 신권을 발행하였다.


{{화폐}}
신권이 발행되어도 구권 사용이 중단되지는 않으며, 따라서 급하게 교체할 이유가 없다보니 나머지 권종의 발행은 느긋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 class="wikitable"
! colspan="3" | 알 이마라트 알 아라비야 디르함 / 3기 시리즈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Dhs.5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Dhs.10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Dhs.50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ED3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ED3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다야 요새 (라스 알 카이마)
| style="text-align: center;" | 콜 파칸 원형극장
| style="text-align: center;" | 두바이 에티하드 박물관
|-
| style="text-align: center;" | Dhs.100
| style="text-align: center;" | Dhs.500
| style="text-align: center;" | Dhs.1,000
|-
| style="text-align: center;" | (발행예정)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ED3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ED315.jpg]]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ref>UAE 첫 원전으로, 한국전력과 두산중공업의 기술로 건립했다. 때문에 한국에서는 이례적으로 해외의 새 화폐 발행 소식이 [https://shindonga.donga.com/3/all/13/3814180/1 기사화] 되기도 했다.</ref>
|}
 
=== 2차 (현행권) ===
{| class="wikitable"
! colspan="4" | 알 이마라트 알 아라비야 디르함 / 2기 시리즈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Dhs.5 샤르자 중앙시장 (샤르자 수크)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Dhs.10 칸자르 (오스만식 짧은 S자칼)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Dhs.20 두바이 골프 & 요트 클럽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5%;" | Dhs.50 [[오릭스]]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ED201(2).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ED203(2).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ED205(2).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ED207(3).jpg]]
|-
| style="text-align: center;" | 알 무타와 모스크 & [[샤르자]]의 해안
| style="text-align: center;" | 흔한 농장 & [[대추야자]]나무
| style="text-align: center;" | 사마아 ([[다우]](Dhow))
| style="text-align: center;" | 알 자흘리 요새 (알 아인)
|-
| style="text-align: center;" | Dhs.100 알 파히디 요새
| style="text-align: center;" | Dhs.200 자이드 스포츠 시티 & 샤리아 법정 ([[아부다비]])
| style="text-align: center;" | Dhs.500 옆줄무늬매 (헨다손매, 세이커매)
| style="text-align: center;" | Dhs.1,000 [[카스르 알 호슨]] (아부다비)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ED209(3).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ED211(3).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ED213(4).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AED215(3).jpg]]
|-
| style="text-align: center;" | [[두바이]] 국제무역센터 빌딩
| style="text-align: center;" | 중앙은행 본청사
| style="text-align: center;" | [[주메이라 모스크]]
| style="text-align: center;" | 아부다비 시티 스카이라인
|}
 
=== 1차 (구권) ===
 
{{아시아의 화폐}}
<references />
[[분류:화폐]]

2024년 4월 3일 (수) 15:08 기준 최신판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درهم إماراتي
화폐 정보
사용국 아랍에미리트
ISO AED
기호 د.إ / DH(Dhs)
보조단위
1/100 필스(fils)[1]
지폐 Dhs 5, Dhs 10, Dhs 20, Dhs 50, Dhs 100, Dhs 200, Dhs 500, Dhs 1000
동전 25f(Dhs ¼), 50f(Dhs ½), Dhs 1
환율 323원/Dhs (2019.12.07 기준)
고정환율 Dhs 3.6725/US$ (1997.11 ~)
이전 화폐

United Arab Emirates Dirham 에미레이츠 디람en

개요[편집 | 원본 편집]

아랍에미리트의 디르함 계열 통화이다. 정식 한국어 명칭은 '디르함'이나 발음 특성상 '디람'이라고도 한다.

1973년 5월 19일부터 출범한 단위로, 전신은 아랍에미리트의 두 대장이었던 카타르-두바이의 리얄화였다. 그중 카타르가 연합에서 탈퇴하여 만들어진 것이 AED라는 것. 단, 현재는 킹왕짱인 아부다비는 조금 더 늦은 시기에 합류하였다. 첫 환율은 더 이전에 쓰였던 걸프 루피(※인도 루피 전신의 친척)와 같은 값(Rs.13⅓/GBP)으로 매겨졌다가 1997년 11월부터 미국 달러 고정환(Dhs 3.6725/USD)으로 바뀌어 현재에 이른다.

환전 및 사용[편집 | 원본 편집]

주로 아시아-유럽-아프리카 삼각 환승장사가 메인인 에미레이트 항공에티하드 항공을 이용한 경유 여행 때문에 의외의 잠재 수요가 있고, 두바이에 진출하는 사업가가 많았던 많은 관계로 한국에서 정식 취급하게 되었으나 대우가 썩 좋지만은 않다.

의외로 거래량이 시망급이라서 기본적으로 대부분의 시중은행에서는 미리 예약문의라도 넣지 않으면 거의 볼 수 없고, KEB하나은행의 본점에서조차 새로 들여오거나 하지 않고 팔려온 것을 묵혀두기만 할 정도이다. 비치된 통화는 대개 Dhs 100 및 Dhs 500.

그러다보니 일반적으로 여행객들은 달러 들고서 현지에서 조금씩 깨가며 쓰거나 ATM으로 뽑아다 쓰는게 보통이다.

AED는 흥청망청 사용하기 쉬운 통화이다. 평균적으로 두바이 물가는 일부 특이케이스를 제하고는 대체로 한국과 유사한 편인데, 흔하게 사용하는 단위가 Dhs 100 혹은 Dhs 20짜리고[2], 그 단위값이 300원/Dhs (따라서 각각 3만원/6천원권)인지라 대개 물가를 가늠하기 어려워한다. 그리고 이런 여행지에 장기간 머무르는 여행객도 많지 않으니 환전량 조절 실패로 남겨오는 경우도 적지 않다.

현찰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3차 (2022 신권)[편집 | 원본 편집]

2021년 4월 UAE의회에서 독립 50주년을 맞이하는 신 시리즈를 발행하기로 결정하였고, 동년도 12월 7일에 그 내용을 담은 50Dhs 기념권을 발행했다. 그리고 이듬해(2022년) 4월 말 5Dhs/10Dhs 두 권종의 폴리머 신권을 발행하였다.

신권이 발행되어도 구권 사용이 중단되지는 않으며, 따라서 급하게 교체할 이유가 없다보니 나머지 권종의 발행은 느긋하게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알 이마라트 알 아라비야 디르함 / 3기 시리즈
Dhs.5 Dhs.10 Dhs.50
AED301.jpg AED303.jpg
다야 요새 (라스 알 카이마) 콜 파칸 원형극장 두바이 에티하드 박물관
Dhs.100 Dhs.500 Dhs.1,000
(발행예정) AED313.jpg AED315.jpg
바라카 원자력 발전소[3]

2차 (현행권)[편집 | 원본 편집]

알 이마라트 알 아라비야 디르함 / 2기 시리즈
Dhs.5 샤르자 중앙시장 (샤르자 수크) Dhs.10 칸자르 (오스만식 짧은 S자칼) Dhs.20 두바이 골프 & 요트 클럽 Dhs.50 오릭스
AED201(2).jpg AED203(2).jpg AED205(2).jpg AED207(3).jpg
알 무타와 모스크 & 샤르자의 해안 흔한 농장 & 대추야자나무 사마아 (다우(Dhow)) 알 자흘리 요새 (알 아인)
Dhs.100 알 파히디 요새 Dhs.200 자이드 스포츠 시티 & 샤리아 법정 (아부다비) Dhs.500 옆줄무늬매 (헨다손매, 세이커매) Dhs.1,000 카스르 알 호슨 (아부다비)
AED209(3).jpg AED211(3).jpg AED213(4).jpg AED215(3).jpg
두바이 국제무역센터 빌딩 중앙은행 본청사 주메이라 모스크 아부다비 시티 스카이라인

1차 (구권)[편집 | 원본 편집]

  1. 실질적으로는 잘 쓰이지 않는다.
  2. ATM 인출 혹은 환전소 환전 시 대개 Dhs 100단위부터 내주다보니 '만원짜리'로 인식하기 딱 좋다.
  3. UAE 첫 원전으로, 한국전력과 두산중공업의 기술로 건립했다. 때문에 한국에서는 이례적으로 해외의 새 화폐 발행 소식이 기사화 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