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인선: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판교역|판교역 +판교역))
 
(사용자 11명의 중간 판 189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미개통|구간}}
{{수도권 전철 목록}}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수도권 전철 수인선
|이름    = 수인선
|노선명2 = 首都圈電鐵 水仁線<br >Seoul Metropolitan Subway Suin Line
|원어이름 =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그림 =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크기 =  
|그림크기 =  
|그림설명 =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alt  =  
|그림크기2 =
|나라    = {{나라|대한민국}}
|그림설명2 =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광역철도]]
|종류 = [[지선철도]] ([[일반철도]]) · [[광역철도]]<br />[[운행 계통]]
|번호    = 30205
|나라 = {{국기|대한민국}}
|구간    = [[수원역|수원]] ~ [[인천역|인천]]
|체계 = [[수도권 전철]]
|영업거리 = 52.3 km
|번호 = 30205
|역수    = 27개
|노선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기점 = [[오이도역]]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종점 = [[인천역]]
|개통일   = [[2012년]] [[6월 30일]]
|역수 = 14
|폐지일   =  
|차량기지 = [[시흥차량사업소]]
|경유노선 =  
|이용자 =
|차량기지 =  
|개통일 = [[2012년]] [[6월 30일]]
|궤간     = 1,435 mm ([[표준궤]])
|폐지일 =  
|선로     = 2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br />([[한국철도시설공단]] 위탁)
|전기    =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신호     = [[ATS]]/[[ATC]]<ref>수원역~고색역</ref>
|영업거리 = 20.5km
|비고    =  
|실거리 =
|시설연장 =  
|궤간 = 1435mm ([[표준궤]])
|궤도 =
|선로 = 복선
|전철화 = 전구간 교류 25,000 V, 60 Hz
|신호 = [[ATS]]
|영업최고속도 =
|설계최고속도 =
|주석 =  
}}
}}


'''수인선'''(水仁線)은 [[경기도]] [[시흥시]][[오이도역]]과 [[인천광역시]] [[중구]][[인천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이다.
'''수인선'''(水仁線)은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수원역]]과 [[인천광역시]] [[인천 중구|중구]]에 있는 [[인천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날짜/출력|2004-12-28}}부터 표준궤 복선 전철화 사업이 시작되어 [[2012년]] [[6월 30일]] [[시흥시]] [[오이도역]][[인천광역시]] [[연수구]] [[송도역]] 사이의 구간이 재개통되었다. 현재는 [[수도권 전철]]의 일부이며, 안내 등에 사용되는 노선색은 [[분당선]]과 동일한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분당수인}}[[노랑|노란색]]이다. [[오이도역]]에서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선]])과 접속하지만 열차를 갈아타야 한다. [[수원역]]~[[한대앞역]] 연장공사가 완료되면 분당선과 직결하여, 한대앞역부터 오이도역까지는 [[안산선]]을 병주하거나 공유한다.
== 역사 ==
소래포구에서 생산된 소금을 운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제강점기 시절인 [[1937년]] [[8월 5일]] [[협궤]]로 개통하였다. 오랜 시간동안 협궤철도로 운영되다가 철도 현대화 계획에 따라 협궤를 걷어내고 직선화된 표준궤 복선철도로 개량하기 위하여 [[1996년]] [[1월 1일]]에 전 구간 영업이 중지되었고 이후 철거하였다. 이후 [[수원역]]부터 [[인천역]]사이 구간에 대한 광역전철화 사업을 시작하여 [[2012년]] [[6월 30일]] [[오이도역|오이도]] ~ [[송도역|송도]] 구간이 개통하였고, [[2020년]] [[9월]] [[수원역|수원]] ~ [[한대앞역|한대앞]]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 재개통이 완료되었다.


== 역사 ==
* [[2012년]] [[6월 30일]]: [[오이도역|오이도]] ~ [[송도역|송도]] 구간 재개통 및 소래역, 논현임시승강장, 남동역 역명을 각각 [[소래포구역]], [[호구포역]], [[남동인더스파크역]]으로 변경
* [[2004년]] [[12월 28일]] : 복선 전철화 및 영업 재개를 위한 준비 시작
* [[2014년]] [[12월 27일]]: [[달월역]] 재개통
* [[2012년]] [[6월 30일]] : [[오이도역|오이도]] ~ [[송도역|송도]] 구간 개통 [[1974년]], [[1994년]]에 폐지되었던 소래역, 논현임시승강장, 남동역을 각각 [[소래포구역]], [[호구포역]], [[남동인더스파크역]]으로 개칭
* [[2016년]] [[2월 27일]]: [[송도역|송도]] ~ [[인천역|인천]] 구간 재개통
* [[2014년]] [[12월 27일]] : [[달월역]] 재개통
* [[2017년]] [[7월 10일]]: 급행 신설
* [[2016년]] [[2월 27일]] : 송도 ~ 인천 구간 및 인천역 환승통로 개통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가 2015에서 30205로 변경됨<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5309930817000&tocId=00000000000000001555373583857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173%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20%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2%2588%25ED%2598%25B8%2520%25EB%25B3%2580%25EA%25B2%25BD)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 [[2019년]] [[4월 17일]] : 노선번호가 2015에서 30205로 변경됨.<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5309930817000&tocId=00000000000000001555373583857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173%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20%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2%2588%25ED%2598%25B8%2520%25EB%25B3%2580%25EA%25B2%25BD)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2020년]] [[9월 12일]]: [[한대앞역|한대앞]] ~ [[수원역|수원]] 구간을 마지막으로 전 구간 재개통


== 운영 ==
== 운행 ==
배차 간격은 평일 출·퇴근 시간대는 10 ~ 12분, 평시와 주말, 공휴일에는 15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다. 모든 열차는 [[오이도역]]과 [[송도역]] 구간만을 왕복 운행하며, 또한 비정기적으로 [[소래포구역]]까지 가는 특별열차가 운행 중이다.
{{참고|수인·분당선}}


급행열차를 운행하고 있다. [[인천역|인천]] - [[인하대역|인하대]] - [[연수역|연수]] - [[원인재역|원인재]] - [[인천논현역|인천논현]] - [[소래포구역|소래포구]] - [[오이도역|오이도]]를 경유하며 통근 시간에 하루 10차례 가까이 운행한다<ref>[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170622010007405 "동인천~용산 9개역 정차 '특급 전동열차' 도입"], 경인일보, 2017-06-23 작성</ref>.
[[2012년]] [[6월 30일]] 수인선을 재개통하면서 광역전철 운행을 시작하였고, [[2020년]] [[9월 12일]] 한대앞 ~ 수원 구간이 재개통하여 [[분당선]]과 직결되어 인천, 수원, 성남시 분당구를 거쳐 서울과 연결되는 거대한 [[광역철도]] 노선이 되었다. 하지만 수인선은 서울로 직접 가지는 않기에, 수요가 분당선에 비해 적어 분당선에 비해 열차 운행 횟수가 적다.


=== 차량 ===
=== 차량 ===
현재 운행되는 차량은 다음과 같다.
*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 [[한국철도공사 351000호대 전동차]]


== 미래 ==
== 미래 ==
[[수원역]]부터 [[인천역]] 전 구간에 걸쳐 복선 전철화 및 표준궤화 공사가 진행 중에 있으며, [[1973년#7월|1973년 7월]] 기존 수인선 구간이었던 동양화학선은 수인선 복선 전철화 사업이 확정됨에 따라 운행을 중지하였다. [[한대앞역]]부터 [[오이도역]]까지는 기존에 부설된 [[수도권 전철 4호선]] ([[안산선]])과 선로를 공용할 예정이며, [[2017년]]에는 [[수원역]]에서 [[분당선]]과 상호 직통 운행이 예정되어 있다. <s>[[2015년]] [[12월]]</s><ref>시운전 규정강화로 인해 개통이 2개월 연장되었다.</ref> [[2016년]] [[2월]]에 [[송도역]] ~ [[인천역]]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잔여 구간인 [[수원역]] ~ [[한대앞역]] 구간의 경우 [[2020년]]에 개통 될 예정이다.
* [[어천역]]에서 수인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여, [[송도역]], [[초지역]]에 [[KTX]]를 운행하는 '''인천발 KTX 직결사업'''이 진행 중이다.
 
* [[월곶역]][[판교역]]을 잇는 [[경강선]](시흥~성남)에 전동열차를 운행하는데, 수인선 일부 구간과 직결운행할 계획이다.
=== 공사 현황과 지연 정보 ===
* 경강선의 끊긴 구간인 여주~원주 구간이 개통하면 송도역에서 경강선 KTX가 착발할 계획이다.
수인선 공사 진행은 오래전부터 지지부진한 모습을 보여왔다. '''수인선 광궤화'''라는 사업 계획은 [[1981년]] 확정되어 [[1983년]] 착공, [[1986년]]까지 완공하려고 했지만<ref>[http://newslibrary.naver.com/viewer/index.nhn?articleId=1981100900209210005&editNo=2&printCount=1&publishDate=1981-10-09&officeId=00020&pageNo=10&printNo=18466&publishType=00020 5차계획 수속부분 내용] - {{날짜/출력|1981-10-9}}, 동아일보</ref> 좌절됐다. 그 사이, 연선은 급격히 개발되어서 아파트가 가까이 들어서게 되었고, 복선 전철화 사업이 [[1995년]] 협궤선 폐지 이후에도 착수되지 못할 정도로 지역 주민들의 [[지하화]] 주장과 예산 부족에 어려움을 겪었다.
 
[[2004년]] 마침내 삽을 떴으며 사업은 크게 3차로 나뉘어 진행된다.
# [[오이도역]] ~ [[송도역]]: 개통 완료
# [[송도역]] ~ [[인천역]]: 개통 완료
# [[수원역]] ~ [[한대앞역]]: 공사중
 
3차 구간의 1공구에서 [[지하화]] 갈등을 겪은 후, 이어서 [[2015년]] [[3월]] 알려진 내용으로, 2-1공구를 맡은 [[한일건설]]의 하청 업체 Y개발이 건설 대금을 들고 [[먹튀]]하는 바람에 공사 속개가 불투명해졌다.<ref>[http://www.kg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410244 수인선 시공업체 ‘먹튀’…2017년 개통 차질 우려] - {{날짜/출력|2015-3-9}}, 경기신문</ref> 이어서 1공구를 맡은 [[경남기업]]의 [[법정관리]]로 인해 무기한 공사 중지에 빠졌다. 2차 구간 개통까지는 어찌어찌 완료를 했지만, 3차 구간은 그냥 답이 없다. {{ㅊ|[[티스푼 공사]]는 계속된다}}  {{ㅊ|[[장비를 정지합니다|공사를 정지합니다]]}}


== 역 목록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 일반열차는 모든 역에 정차
* '''급''':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수인분당}} [[수인·분당선]] 오이도 - 인천 급행
* '''안산선 공용구간''':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서울 지하철 4호선|4호선]] 일반열차 정차역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white-space: nowrap; overflow-x: auto;"
|-
|-
! 노선
! 번호
! 역번호
! km
! km
! colspan="2" | 역명
! 정거장
! 급행
!
! colspan="2" | 환승
! colspan="2" | 연계 노선
! colspan="2" | 소재지
! colspan="2" | 소재지
|-
|-
| style="width: 1.2em;" rowspan="7" | [[수인선]]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4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45
| style="text-align: right;" | 0.0
| <del>0.0</del>
| [[수원역|수원]]
| [[수원역|수원]]
| 水原
| rowspan="13" style="background: #eee; " | {{세로|미운행}}
| rowspan="14" | 미운행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분당선]] (연결)<br />[[경부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코레일 여객열차,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colspan="2"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br />([[경부선]])<br/>{{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분당}} [[수도권 전철 분당선|분당선]]<ref>수원-한대앞 구간이 개통하면, 분당선과 직결운행 예정</ref>
| rowspan="16" | {{세로|[[경기도]]}}
| rowspan="20" style="width: 1.2em;"|[[경기도]]
| rowspan="3" | [[수원시]]
| rowspan="3" | [[수원시]]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46
|  
| style="text-align: right;" | 2.7
| <del>[[고색역|고색]]</del>
| [[고색역|고색]]
| <del>古索</del>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47
|  
| style="text-align: right;" | 4.3
| <del>[[오목천역|오목천]]</del>
| [[오목천역|오목천]]
| <del>梧木川</del>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48
|  
| style="text-align: right;" | 9.4
| <del>[[어천역|어천]]</del>
| [[어천역|어천]]
| <del>漁川</del>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화성고속연결선]] (연결) (예정)''
|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 rowspan="2" | [[화성시]]
| rowspan="2" | [[화성시]]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49
|
| style="text-align: right;" | 12.0
| <del>[[야목역|야목]]</del>
| [[야목역|야목]]
| <del>野牧</del>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50
|  
| style="text-align: right;" | 16.7
| <del>[[사리역|사리]]</del>
| [[사리역|사리]]
| <del>四里</del>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7" | [[안산시]]
|  
| rowspan="8" | [[안산시]]
|-
|-
| rowspan="2"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4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51
| rowspan="2" |
| style="text-align: right;" | 18.9
| rowspan="2" | <del>[[한대앞역|한대앞]]</del>
| [[한대앞역|한대앞]]
| rowspan="2" | 漢大앞
| rowspan="8" style="width: 5em; text-align: left;" | [[안산선]]<br /><small>(공용구간)</small>
| rowspan="8"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br />([[안산선]])
| style="text-align: left;" |
|-
|-
| rowspan="8" | [[안산선]]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52
| style="text-align: right;" | 20.5
| [[중앙역 (안산)|중앙]]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안산}} [[신안산선]] (예정)''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50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53
|  
| style="text-align: right;" | 21.9
| <del>[[중앙역 (안산)|중앙]]</del>
| [[고잔역|고잔]]
| 中央
| style="text-align: left;" |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안산}} <del>[[신안산선]]</del>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5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54
|  
| style="text-align: right;" | 23.4
| <del>[[고잔역|고잔]]</del>
| [[초지역|초지]]
| 古棧
|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서해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신안산}} [[신안산선]] (예정)''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5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55
|  
| style="text-align: right;" | 25.2
| <del>[[초지역|초지]]</del>
| [[안산역|안산]]
| 草芝
| style="text-align: left;" | [[안산연결선]] (연결)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서해}} [[수도권 전철 서해선|서해선]]<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5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56
|  
| style="text-align: right;" | 27.4
| <del>[[안산역|안산]]</del>
| [[신길온천역|신길온천]]
| 安山
|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5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57
|  
| style="text-align: right;" | 30.3
| <del>[[신길온천역|신길온천]]</del>
| [[정왕역|정왕]]
| 新吉溫泉
|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4" | [[시흥시]]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5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58
|  
| style="text-align: right;" | 31.7
| <del>[[정왕역|정왕]]</del>
| [[오이도역|오이도]]
| 正往
|
|  
| style="text-align: left;" | [[시흥기지선]] (연결)
| rowspan="7" | [[시흥시]]
|-
|-
| rowspan="2"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4}}; color: white;" | 456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59
| rowspan="2" | 0.0
| style="text-align: right;" | 33.8
| rowspan="2" | [[오이도역|오이도]]
| rowspan="2" | 烏耳島
| rowspan="2" | ◎
| rowspan="2"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4}} [[수도권 전철 4호선|4호선]]<br />([[안산선]])
|-
| rowspan="17" | [[수인선]]
|-
| colspan="7" |''↳ [[시흥차량사업소]]''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51
| 2.1
| [[달월역|달월]]
| [[달월역|달월]]
| 達月
| ┃
|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 colspan="7" |''↱ [[시흥차량사업소]]''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5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60
| 3.6
| style="text-align: right;" | 35.3
| [[월곶역|월곶]]
| [[월곶역|월곶]]
| 月串
| ┃
| ┃
| rowspan="8"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강}} [[수도권 전철 경강선|경강선]]''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시흥기지선]] (연결)<br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경강}} [[경강선]] (연결) (예정)''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5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61
| 4.9
| style="text-align: right;" | 36.6
| [[소래포구역|소래포구]]
| [[소래포구역|소래포구]]
| 蘇萊浦口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rowspan="13" | {{세로|[[인천광역시]]}}
| rowspan="12" style="width: 1.2em;"|[[인천광역시]]
| rowspan="4" | [[남동구]]
| rowspan="4" | [[남동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54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62
| 5.9
| style="text-align: right;" | 37.6
| [[인천논현역|인천논현]]
| [[인천논현역|인천논현]]
| 仁川論峴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55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63
| 7.2
| style="text-align: right;" | 38.9
| [[호구포역|호구포]]
| [[호구포역|호구포]]
| 虎口浦
| ┃
|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56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64
| 8.5
| style="text-align: right;" | 40.2
| [[남동인더스파크역|남동인더스파크]]
| [[남동인더스파크역|남동인더스파크]]
| 南洞産業團地<ref>이 역의 [[한글전용과 국한문혼용|국한문혼용]] 표기는 ‘南洞인더스파크’가 돼야 하지만, 이 역의 공식 [[한자]] 표기는 ‘南洞産業團地’(남동산업단지)로 확정되었다. 또한 이 역의 축약 역명은 한글 표기와 한자 표기 모두 ‘남동산단(南洞産團)’으로 결정되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3&aid=0004501522 수인선 신설역사 8개역명 확정] 《뉴시스》 2012.5.15, 우은식</ref>
| ┃
|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57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65
| 9.5
| style="text-align: right;" | 41.2
| [[원인재역|원인재]]
| [[원인재역|원인재]]
| 源仁齋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1}} [[인천 도시철도 1호선|인천 1호선]]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인천1}} [[인천 도시철도 1호선]]
| rowspan="3" | [[연수구]]
| rowspan="3" | [[연수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58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66
| 10.4
| style="text-align: right;" | 42.1
| [[연수역|연수]]
| [[연수역|연수]]
| 延壽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59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67
| 13.1
| style="text-align: right;" | 44.8
| [[송도역|송도]]
| [[송도역|송도]]
| 松島
| ┃
| ┃
| ''{{대한민국 철도 노선|여객|KTX}} [[KTX]]''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60
! style="font-style: italic; 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68
| 14.4
| style="background: #eee; font-style: italic; text-align: right;" |
| <del>[[학익역|학익]]</del><ref>주변 개발이 완료되면 개업한다.</ref>
| style="background: #eee; font-style: italic;" | [[학익역|학익]]
| 鶴翼
| style="background: #eee; font-style: italic;" | ┃
| ┃
| colspan="2" style="background: #eee; font-style: italic; text-align: left;" | (미개통)
|
|  
| rowspan="3" | [[미추홀구]]
| rowspan="3" | [[미추홀구]]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61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69
| 15.5
| style="text-align: right;" | 47.2
| [[인하대역|인하대]]
| [[인하대역|인하대]]
| 仁荷大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62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70
| 17.3
| style="text-align: right;" | 49.0
| [[숭의역|숭의]]
| [[숭의역|숭의]]
| 崇義
| ┃
|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63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71
| 18.8
| style="text-align: right;" | 50.5
| [[신포역|신포]]
| [[신포역|신포]]
| 新浦
| ┃
|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rowspan="3" | [[인천 중구|중구]]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K272
| style="text-align: right;" | 51.6
| [[인천역|인천]]
| ●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경인선]]: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분당}}; color: white;" |
| style="text-align: right;" | 52.3
| -
|  
|  
| rowspan="2" | [[중구 (인천광역시)|중구]]
| colspan="2" style="text-align: left;" |  
|-
|-
| style="background: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수도권|수인}}; color: white;" | K264
| 19.9
| [[인천역|인천]]
| 仁川
| ◎
| colspan="2" | {{대한민국 철도 노선|수도권|1}} [[수도권 전철 1호선|1호선]]<br />([[경인선]])
|}
|}
=== 폐역 ===
* [[빈정역]]
* [[성두역]]
* [[문학역]]
* [[남인천역]]


== 논란 ==
== 논란 ==
* 원래 [[수원시]] 구간인 봉담 ~ 고색 구간을 오목천동과 고색동에 지상을 건설해서 [[경부선]]과 수인선을 잇는 [[세류]] ~ 고색 화물용 삼각선 설치 예정이었으나, 해당 주민들의 반발로 차질이 빚어서 착공이 지연되어 왔으나, 지하화로 협약이 체결돼서 고색 구간이 지하화로 삼각선이 폐지되었다.<ref>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138451 수원시-철도공단, 수인선 수원구간 지하화 협약] 《연합뉴스》 2013.03.11 </ref>
* 원래 [[수원시]] 오목천동∼고색동 구간은 지상으로 건설하려고 했으나, 근처 구간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반발로 지하로 바뀌었다. 이에 함께 [[경부선]]과 수인선을 잇는 [[세류역|세류]] ~ [[고색역|고색]] 화물용 [[삼각선]] 설치가 취소되었다.<ref>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2&oid=001&aid=0006138451 수원시-철도공단, 수인선 수원구간 지하화 협약] 《연합뉴스》 2013.03.11 </ref>
*장거리 급행이 실현되지 않고 급행열차가 인천~오이도 구간만 운행한다. 인천에서 수원으로 빠르게 갈려는 승객들의 불편이 예상된다.<ref>[http://www.ohmynews.com/NWS_Web/View/at_pg.aspx?CNTN_CD=A0002673589&CMPT_CD=P0010&utm_source=naver&utm_medium=newsearch&utm_campaign=naver_news 47년 만에... 수인선이 '완벽하게' 돌아온다] - [[오마이뉴스]]</ref>  오목천~사리 구간은 배차간격이 좁아지기 전까지 전역 정차해서 인천에서 수원 이후까지 급행을 굴리자는 의견이 있다.<ref>[http://www.itrailnews.co.kr/news/article.html?no=37663 전구간 개통된 수인선 광역철도에 바라는 점] - [[레일뉴스]]</ref>


{{각주}}
{{각주}}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대한민국의 광역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수도권 전철]]
[[분류:수인선| ]]
[[분류:수도권 전철 수인선| ]]
[[분류:경기도의 철도 교통]]
[[분류:인천광역시의 철도 교통]]
[[분류:시흥시의 교통]]

2024년 1월 15일 (월) 17:30 기준 최신판

수인선
나라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지선), 광역철도
번호 30205
구간 수원 ~ 인천
영업거리 52.3 km
역 수 27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2012년 6월 30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2
전기 교류 25 kV, 60 Hz, 가공전차선
신호 ATS/ATC[1]

수인선(水仁線)은 경기도 수원시에 있는 수원역인천광역시 중구에 있는 인천역을 잇는 철도 노선이다.

역사[편집 | 원본 편집]

소래포구에서 생산된 소금을 운송하기 위한 목적으로 일제강점기 시절인 1937년 8월 5일 협궤로 개통하였다. 오랜 시간동안 협궤철도로 운영되다가 철도 현대화 계획에 따라 협궤를 걷어내고 직선화된 표준궤 복선철도로 개량하기 위하여 1996년 1월 1일에 전 구간 영업이 중지되었고 이후 철거하였다. 이후 수원역부터 인천역사이 구간에 대한 광역전철화 사업을 시작하여 2012년 6월 30일 오이도 ~ 송도 구간이 개통하였고, 2020년 9월 수원 ~ 한대앞 구간이 개통되면서 전 구간 재개통이 완료되었다.

운행[편집 | 원본 편집]

2012년 6월 30일 수인선을 재개통하면서 광역전철 운행을 시작하였고, 2020년 9월 12일 한대앞 ~ 수원 구간이 재개통하여 분당선과 직결되어 인천, 수원, 성남시 분당구를 거쳐 서울과 연결되는 거대한 광역철도 노선이 되었다. 하지만 수인선은 서울로 직접 가지는 않기에, 수요가 분당선에 비해 적어 분당선에 비해 열차 운행 횟수가 적다.

차량[편집 | 원본 편집]

미래[편집 | 원본 편집]

  • 어천역에서 수인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여, 송도역, 초지역KTX를 운행하는 인천발 KTX 직결사업이 진행 중이다.
  • 월곶역판교역을 잇는 경강선(시흥~성남)에 전동열차를 운행하는데, 수인선 일부 구간과 직결운행할 계획이다.
  • 경강선의 끊긴 구간인 여주~원주 구간이 개통하면 송도역에서 경강선 KTX가 착발할 계획이다.

역 목록[편집 | 원본 편집]

  • 수인·분당선 일반열차는 모든 역에 정차
  • : 수인·분당선 오이도 - 인천 급행
  • 안산선 공용구간: 4호선 일반열차 정차역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km 정거장 연계 노선 소재지
K245 0.0 수원
미운행
분당선 (연결)
경부선: KTX, 코레일 여객열차, 1호선
수원시
K246 2.7 고색
K247 4.3 오목천
K248 9.4 어천 화성고속연결선 (연결) (예정) 화성시
K249 12.0 야목
K250 16.7 사리 안산시
K251 18.9 한대앞 안산선
(공용구간)
K252 20.5 중앙 신안산선 (예정)
K253 21.9 고잔
K254 23.4 초지 서해선, 신안산선 (예정)
K255 25.2 안산 안산연결선 (연결)
K256 27.4 신길온천
K257 30.3 정왕 시흥시
K258 31.7 오이도 시흥기지선 (연결)
K259 33.8 달월
K260 35.3 월곶 시흥기지선 (연결)
경강선 (연결) (예정)
K261 36.6 소래포구 남동구
K262 37.6 인천논현
K263 38.9 호구포
K264 40.2 남동인더스파크
K265 41.2 원인재 인천 1호선 연수구
K266 42.1 연수
K267 44.8 송도
K268 학익 (미개통) 미추홀구
K269 47.2 인하대
K270 49.0 숭의
K271 50.5 신포 중구
K272 51.6 인천 경인선: 1호선
52.3 -

폐역[편집 | 원본 편집]

논란[편집 | 원본 편집]

  • 원래 수원시 오목천동∼고색동 구간은 지상으로 건설하려고 했으나, 근처 구간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반발로 지하로 바뀌었다. 이에 함께 경부선과 수인선을 잇는 세류 ~ 고색 화물용 삼각선 설치가 취소되었다.[3]
  • 장거리 급행이 실현되지 않고 급행열차가 인천~오이도 구간만 운행한다. 인천에서 수원으로 빠르게 갈려는 승객들의 불편이 예상된다.[4] 오목천~사리 구간은 배차간격이 좁아지기 전까지 전역 정차해서 인천에서 수원 이후까지 급행을 굴리자는 의견이 있다.[5]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