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레인 디나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File|file): +[[파일:))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외환}}
{{외환}}
[[아랍어]] : دينار بحريني ()
{{화폐 정보
 
|화폐이름 = 바레인 디나르
|원어이름 = دينار بحريني
|그림    = CBBahrainLogo.jpg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2설명=
|사용국  = {{나라|바레인}}
|비공식  = {{나라|사우디아라비아}}<small> (국경 근처 한정)</small>
|ISO      = BHD
|기호    = د.ب, BD
|보조단위 =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00
|이름 = 필(fil)
}}
|지폐    = BD ½, BD 1, BD 5, BD 10, BD 20
|동전    = 5f, 10f, 25f, 50f, 100f<ref>대부분의 나라에서 소액단위 100은 통상단위 1에 해당하다보니, 100필스 동전을 자칫 1디나르와 동일한 값이라 혼동하기 쉬우니 주의할 것.</ref>
|중앙은행 =
|인쇄처  =
|조폐국  =
|환율    = 3,200원/BD<small> (2019.10.2 기준)</small>
|고정환율 = 10[[사우디아라비아 리얄|SAR]] = 1BHD<br />BD 0.376 / USD<ref>2001년부터 고정화 된 값으로, 정확히 걸프 루피의 10배이다. 2001년 이전에는 SDR(특별인출권)에 의한 고정환율을 실시하고 있었다.</ref>
|이전화폐 = [[인도 루피|걸프 루피]] [10 : 1]
|이후화폐 =
|비고    =
}}
Bahraini Dinar<small> (바레이니 디나르<sup>[[영어|en]]</sup>)</small>
== 개요 ==
== 개요 ==
[[바레인]]의 통화이다. [[ISO 4217]]코드는 BHD, 보조단위는 필스(1/1000단위)이다. 때문에 가격표기시 3자리를 추가표기하는 것이 기본. (ex : BD 4,100 (=4.1디나르) )기호 및 약칭은 .د.ب (셈), BD(라틴)로 표기한다. 인플레이션은 3.1%(2013년)로 과거 8%(2008년)급으로 오른 것에 비하면 많이 안정되기는 했다. <s>역시 장사는 술장사가 제격</s> 전신은 영국령 [[인도 루피|걸프 루피]](1디나르 = 10루피)이다.
[[바레인]]의 디나르 계열 통화이다. 보조단위가 1/1000 단위라서 1 미만 소수를 3자리 추가하는데, 숫자 형태도 쉼표를 소수점으로 쓰는 유럽식을 따르기 때문에 잠깐 흠칫할 수도 있다.(ex : BD 4,100 (=4.1디나르)) [[쿠웨이트 디나르]]처럼 1단위 값의 가치가 높으며, 세계 2위이다.
 
인근 [[사우디아라비아]]나 [[카타르]]와는 달리 [[쿠웨이트]]처럼 유럽 기원의 디나르(데나리우스) 단위를 쓰고 있다. 그래서인지 <s>[[이라크 디나르|이라크]]는 그냥 예외라 치고</s> 단위환율이 어마어마하다.<ref>[[쿠웨이트 디나르]] 다음으로 단위값이 세다. 즉, 세계 2위.</ref> 고정환율이며 0.376디나르/USD (2014년 5월 기준 약 2,870원/디나르). 이는 2001년부터 고정화 된 값인데 사실, 걸프 루피의 10배값(1 걸프 루피 = 1 사우디 리얄이었으므로)을 상정하고 만든 값이다. 이렇다보니 사우디아라비아에서 <s>[[술]] 사러</s> 건너온 여행객들의 편의를 위해 [[사우디 리얄]]화를 받아주고 있다. 다만 1:10 교환의 편의상인지 아니면 너무 값이 커서 그런지 500리얄화는 통용되지 않는다고.


2001년 이전에는 SDR(특별인출권)에 의한 고정환율을 실시하고 있었다.
바레인과 이어진 국경 근처의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쓸 수 있는데, 이는 사우디 쪽에서 바레인으로 넘어와 사용할 디나르가 필요하다는 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주요 목적은 사우디에선 불법이지만 바레인에선 합법인 것을 거래하기 위함이다. <s>역시 장사는 [[술]]장사가 제격</s> 반대로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건너온 여행객들의 편의를 위해 [[사우디 리얄]]화를 받아주고 있다. 다만 1:10 교환의 편의상인지, 아니면 너무 값이 커서 그런지 사우디 500리얄화 만큼은 바레인에서 통용되지 않는다.


=== 환전 및 사용 ===
=== 환전 및 사용 ===
KEB하나은행에서 취급하는 통화 중 하나이나, 그렇찮아도 수요량이 처참한 중동지역 화폐 중에서도 중요도가 많이 낮아서 잘 들여놓지 않는다.  
KEB하나은행에서 취급하는 통화 중 하나이나, 그렇찮아도 수요량이 처참한 중동지역 화폐 중에서도 중요도가 많이 낮아서 잘 들여놓지 않는다.


{{-}}
== 중앙은행권 (2006, 현행권) ==
== 중앙은행권 (2006, 현행권) ==
표기상 출범날짜인 2006년(9월 7일)은 중앙은행으로 변경된 해를 가리키고, 실물 화폐는 2008년 3월 17일에 발행되었다.  
표기상 출범날짜인 2006년(9월 7일)은 중앙은행으로 변경된 해를 가리키고, 실물 화폐는 2008년 3월 17일에 발행되었다.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BD ½ 구 대법원 (마나마)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BD 1 알 헤다야 알 칼리피야 학교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BD 5 세이크 이사 저택<ref>前 아미르,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의 저택.</ref> & 리파 항구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4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4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405.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½
| style="text-align: center;" | 구 대법원 (마나마 소재)
| style="text-align: center;" | 바레인 국제 서킷<ref>2004년 3월 17일 개장한 사힐에 세워진 스포츠카 경기장. 15개 코너에 주행길이는 총 6.3km 이다.</ref>, VIP 타워
| style="text-align: center;" | 바레인 국제 서킷<ref>2004년 3월 17일 개장한 사힐에 세워진 스포츠카 경기장. 15개 코너에 주행길이는 총 6.3km 이다.</ref>, VIP 타워
| style="text-align: center;" | 돛과 진주의 기념비, 말 5마리
| style="text-align: center;" | 알루미늄 산업체<ref>"알루미늄 바레인" 약칭, 알바 (Alba)라고 불리며, 열 손가락 안으로 꼽히는 대규모 알루미늄 제조업체이다.</ref>, 천연가스 시추선
|-
|-
|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BD 10 & BD 20 하마드 빈 이사 할리파 (現 아미르(국왕))
| style="text-align: center;" | BD 1
|
| style="text-align: center;" | 알 헤다야 칼리피야 학교
| style="text-align: center;" | 돛과 진주의 기념비, 말 5마리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4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BD 5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4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세이크 이사 저택<ref>前 아미르,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의 저택.</ref>
|
& 리파 항구
| style="text-align: center;" | 알루미늄 산업체<ref>"알루미늄 바레인" 약칭, 알바 (Alba)라고 불리며, 열 손가락 안으로 꼽히는 대규모 알루미늄 제조업체이다.</ref>, 천연가스 시추선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10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하마드 빈 이사 알 할리파
(現 아미르(국왕))
| style="text-align: center;" |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 대교(大橋)
| style="text-align: center;" |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 대교(大橋)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20
| style="text-align: center;" | 아흐메드 알 파테<ref>정식으로는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 이븐 칼리파, 바레인 왕조의 선조에 해당하는 인물이다.</ref> 회교도 센터
| style="text-align: center;" | 아흐메드 알 파테<ref>정식으로는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 이븐 칼리파, 바레인 왕조의 선조에 해당하는 인물이다.</ref> 회교도 센터
|
|}
|}
* BD 5, BD 10, BD 20 세 권종은 보안요소가 강화된 개정판이 있다. 겉보기에 가장 큰 차이점은 좌측의 금속 부착형 홀로그램이 특수 색변조 잉크 인쇄<ref>보는 시각에 따라 색상이 바뀌고, 입체형상으로 보이는 빛의 고리가 1겹과 2겹으로 변화한다.</ref>로 변경된 것이다.
{{폐기권}}


{{폐기권}}
== 통화기관권 ==
== 통화기관권 ==
=== 1993년 시리즈 ===
=== 1993년 시리즈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BD ½ 바미 자르마의 특산물인 전통직물 짜는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BD 1 딜문<ref>Dilmun.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인더스 문명간 교역 중개지로 유명했던 곳. 명확한 위치는 현재까지 밝혀내지 못했지만, 바레인과 카타르 및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중간에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라고는 해도 거의 바레인이라고 몰아가는 분위기.</ref>의 문장(紋章)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BD 5 리파 알 샤르키 (요새) 남서부 탑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301.jpg]]
| style="text-align: center;" | 앞문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303.jpg]]
| style="text-align: center;" | 뒷문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305.jpg]]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½
| style="text-align: center;" | 바미 자르마의 특산물인 전통직물 짜는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 알루미늄 산업체
| style="text-align: center;" | 알루미늄 산업체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1
| style="text-align: center;" | 딜문<ref>Dilmun.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인더스 문명간 교역 중개지로 유명했던 곳. 명확한 위치는 현재까지 밝혀내지 못했지만, 바레인과 카타르 및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중간에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라고는 해도 거의 바레인이라고 몰아가는 분위기.</ref>의 문장(紋章)
| style="text-align: center;" | 바레인 중앙은행 건물
| style="text-align: center;" | 바레인 중앙은행 건물
| style="text-align: center;" | 바레인 국제공항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10 다우선
| style="text-align: center;" | BD 5
| style="text-align: center;" | BD 20<sup><small>구형</small></sup> 밥 바레인 (바레인의 대문)
| style="text-align: center;" | 리파 샤르키 (요새) 남서부 탑
| style="text-align: center;" | BD 20<sup><small>신형</small></sup> 하마드 빈 이사 알 할리파
| style="text-align: center;" | 바레인 국제공항
|-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307.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10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309.jpg]]
| style="text-align: center;" | 다우선
| style="text-align: center;" | 세관과 입국의 섬, 일명 '중앙섬'<ref>사우디아라비아와 바레인을 잇는 킹파트 교량 중간에 있는 섬. 특별히 이름이 지어져 있진 않다.</ref>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일명 '중간 섬'<ref>사우디아라비아와 바레인을 잇는 킹파트 교량 중간에 있는 섬으로, 특별히 이름이 지어져 있진 않다. 바레인 측의 국경(및 세관) 검문소 역할을 한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 BD 20
(구형)
| style="text-align: center;" | 밥 알 바레인 (바레인의 대문)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아흐메드 알 파테 회교도 센터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아흐메드 알 파테 회교도 센터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20
(신형)
| style="text-align: center;" | 하마드 빈 이사 알 할리파
|}
|}
* 이 시기에 발행된 20디나르화는 총 3종류가 있다. 1993년형(보라색 구형), 1998년형(사막색 구형), 2001년형.
* 위 표에서 구형 20디나르화(위쪽)는 바리에이션으로 4종류가 있다. 1993년판(보라색), 1993년 유출판(보라색), 1998년판(보라색+홀로그램), 1998년판(사막색+홀로그램).
* 그 중에서 1998년형 20디나르화는 정교하게 만들어진 위폐가 다량으로 인출되는 사태로 인해 2001년 신권이 등장하자마자 바로 통용이 중단되었다. 현재도 이 위폐는 회수되지 못하고 여기저기 떠돌고 있는 중이라 의외로 손쉽게 구할 수 있다.  
* 20디나르화에 한하여 이렇게 종류가 다양한 것은 1993년, 바레인의 갱단이 20디나르 판형을 구해다가 정교하게 만들어서 대량으로 배포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출판) 차이점은 일련번호의 아랍문자가 진품에 비해 미묘하게 떨어져 있는 것 정도인데, 사전지식 없이 이를 구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고, 거래가가 당시 환율(약 6만원)의 밑인가 위인가로 판별하는 것이 차라리 더 현실적일 판이다.
** 바레인 통화국은 이런 위폐(?)가 늘어나는 것에 대처하기 위해 긴급히 홀로그램을 박은 신권을 만들어 배포하였는데, 그럼에도 혼동하지 않도록 3개월만에 색상 자체를 사막색으로 바꾸었다. 때문에 보라색이면서 홀로그램이 붙은 1998년판은 무조건 경매로 부쳐질 정도로 레어템이 되었다.


=== 1973년 시리즈 ===
=== 1973년 시리즈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모습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앞면 공통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좌측하단)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BD ½ 청동제 소머리 장식 (바르바르 지방 인근 사원에서 출토)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BD 1 마나마 모스크의 미너렛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½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202.jpg]]
| style="text-align: center;" | 청동제 소머리 장식 (바르바르 지방 인근 사원에서 출토)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204.jpg]]
| style="text-align: center;" | 알루미늄 사업체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1
| style="text-align: center;" | 알루미늄 사업체
| style="text-align: center;" | 마나마 모스크의 미너렛
| style="text-align: center;" | 바레인 중앙은행 건물
| style="text-align: center;" | 바레인 중앙은행 건물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5 수크 알 카미스(목요일 시장)의 미너렛
| style="text-align: center;" | BD 5
| style="text-align: center;" | BD 10 바람의 탑
| style="text-align: center;" | 수크 카미스(목요일 시장)의 미너렛
| style="text-align: center;" | BD 20 파델 모스크의 미너렛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206.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208.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210.jpg]]
|-
| style="text-align: center;" | 진주조개 낚시하는 다우선
| style="text-align: center;" | 진주조개 낚시하는 다우선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10
| style="text-align: center;" | 바람의 탑
| style="text-align: center;" | 무하라크 섬의 조선소 도크
| style="text-align: center;" | 무하라크 섬의 조선소 도크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BD 20
| style="text-align: center;" | 알 파델 모스크의 미너렛
| style="text-align: center;" | 정부청사
| style="text-align: center;" | 정부청사
|}
|}
* 앞면에는 기본적으로 '''바레인 지도(하와르 제도 포함), 다우, 국장'''이 포함되어 있다.
* 앞면에는 기본적으로 '''바레인 지도(하와르 제도 포함), 다우, 국장'''이 포함되어 있다.


== 커런시 보드 (1964) ==
== 1차 (Curruncy Board (1965)) ==
* 독립(1783년) 이후 영국 보호령 종료(1971년 8월 15일) 이전에 발행한 통화이다.
{| class="wikitable"
! colspan="3"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BHD102.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BHD104.jpg]]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파일:BHD106.jpg]]
|-
| style="text-align: center;" | BD 0.1
| style="text-align: center;" | BD ¼
| style="text-align: center;" | BD ½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108.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110.jpg]]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BHD112.jpg]]
|-
| style="text-align: center;" | BD 1
| style="text-align: center;" | BD 5
| style="text-align: center;" | BD 10
|}
* 독립(1783년) 이후 영국 보호령 종료(1971년 8월 15일) 이전에 발행한 통화이다.
* 표에 걸린 사진은 모두 뒷면이다. 앞면은 공통디자인으로 다우가 3척, 그리고 바레인 국장(國章)이 그려져 있다.


{{각주}}
{{아시아의 화폐}}


위성도시 개념으로 등장했고, 중산층이 많이 사는 마을이다. 이곳은 옛부터 전통시장이 유명했는데 2012년 7월 15일 대화재 사건으로 인해 대략 ⅔인 상점 450개가 파괴되고 소방수 2명이 부상을 입는 등의 어마어마한 피해를 당했다. 현재 복구중.] ||
[[분류:바레인]]
 
{{각주}}
{{화폐}}

2022년 8월 29일 (월) 00:29 기준 최신판

바레인 디나르
دينار بحريني
CBBahrainLogo.jpg
화폐 정보
사용국 바레인
비공식 사용국:
사우디아라비아 (국경 근처 한정)
ISO BHD
기호 د.ب, BD
보조단위
1/1000 필(fil)
지폐 BD ½, BD 1, BD 5, BD 10, BD 20
동전 5f, 10f, 25f, 50f, 100f[1]
환율 3,200원/BD (2019.10.2 기준)
고정환율 10SAR = 1BHD
BD 0.376 / USD[2]
이전 화폐
걸프 루피 [10 : 1]

Bahraini Dinar (바레이니 디나르en)

개요[편집 | 원본 편집]

바레인의 디나르 계열 통화이다. 보조단위가 1/1000 단위라서 1 미만 소수를 3자리 추가하는데, 숫자 형태도 쉼표를 소수점으로 쓰는 유럽식을 따르기 때문에 잠깐 흠칫할 수도 있다.(ex : BD 4,100 (=4.1디나르)) 쿠웨이트 디나르처럼 1단위 값의 가치가 높으며, 세계 2위이다.

바레인과 이어진 국경 근처의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쓸 수 있는데, 이는 사우디 쪽에서 바레인으로 넘어와 사용할 디나르가 필요하다는 수요가 있기 때문이다. 주요 목적은 사우디에선 불법이지만 바레인에선 합법인 것을 거래하기 위함이다. 역시 장사는 장사가 제격 반대로 사우디아라비아에서도 건너온 여행객들의 편의를 위해 사우디 리얄화를 받아주고 있다. 다만 1:10 교환의 편의상인지, 아니면 너무 값이 커서 그런지 사우디 500리얄화 만큼은 바레인에서 통용되지 않는다.

환전 및 사용[편집 | 원본 편집]

KEB하나은행에서 취급하는 통화 중 하나이나, 그렇찮아도 수요량이 처참한 중동지역 화폐 중에서도 중요도가 많이 낮아서 잘 들여놓지 않는다.

중앙은행권 (2006, 현행권)[편집 | 원본 편집]

표기상 출범날짜인 2006년(9월 7일)은 중앙은행으로 변경된 해를 가리키고, 실물 화폐는 2008년 3월 17일에 발행되었다.

BD ½ 구 대법원 (마나마) BD 1 알 헤다야 알 칼리피야 학교 BD 5 세이크 이사 저택[3] & 리파 항구
BHD401.jpg BHD403.jpg BHD405.JPG
바레인 국제 서킷[4], VIP 타워 돛과 진주의 기념비, 말 5마리 알루미늄 산업체[5], 천연가스 시추선
BD 10 & BD 20 하마드 빈 이사 알 할리파 (現 아미르(국왕))
BHD407.jpg BHD409.jpg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 대교(大橋) 아흐메드 알 파테[6] 회교도 센터
  • BD 5, BD 10, BD 20 세 권종은 보안요소가 강화된 개정판이 있다. 겉보기에 가장 큰 차이점은 좌측의 금속 부착형 홀로그램이 특수 색변조 잉크 인쇄[7]로 변경된 것이다.
 발권은행 정책에 따라 폐기되거나 시중에서 사용이 중단되어, 국내외 환전도 할 수 없는 통화입니다.
 해당 국가 방문시 현금거래 중 받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통화기관권[편집 | 원본 편집]

1993년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BD ½ 바미 자르마의 특산물인 전통직물 짜는 모습 BD 1 딜문[8]의 문장(紋章) BD 5 리파 알 샤르키 (요새) 남서부 탑
BHD301.jpg BHD303.jpg BHD305.jpg
알루미늄 산업체 바레인 중앙은행 건물 바레인 국제공항
BD 10 다우선 BD 20구형 밥 알 바레인 (바레인의 대문) BD 20신형 하마드 빈 이사 알 할리파
BHD307.jpg BHD309.jpg
일명 '중간 섬'[9] 아흐메드 알 파테 회교도 센터
  • 위 표에서 구형 20디나르화(위쪽)는 바리에이션으로 4종류가 있다. 1993년판(보라색), 1993년 유출판(보라색), 1998년판(보라색+홀로그램), 1998년판(사막색+홀로그램).
  • 20디나르화에 한하여 이렇게 종류가 다양한 것은 1993년, 바레인의 갱단이 20디나르 판형을 구해다가 정교하게 만들어서 대량으로 배포한 적이 있었기 때문이다. (※유출판) 차이점은 일련번호의 아랍문자가 진품에 비해 미묘하게 떨어져 있는 것 정도인데, 사전지식 없이 이를 구분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고, 거래가가 당시 환율(약 6만원)의 밑인가 위인가로 판별하는 것이 차라리 더 현실적일 판이다.
    • 바레인 통화국은 이런 위폐(?)가 늘어나는 것에 대처하기 위해 긴급히 홀로그램을 박은 신권을 만들어 배포하였는데, 그럼에도 혼동하지 않도록 3개월만에 색상 자체를 사막색으로 바꾸었다. 때문에 보라색이면서 홀로그램이 붙은 1998년판은 무조건 경매로 부쳐질 정도로 레어템이 되었다.

1973년 시리즈[편집 | 원본 편집]

앞면 공통 BD ½ 청동제 소머리 장식 (바르바르 지방 인근 사원에서 출토) BD 1 마나마 모스크의 미너렛
BHD202.jpg BHD204.jpg
알루미늄 사업체 바레인 중앙은행 건물
BD 5 수크 알 카미스(목요일 시장)의 미너렛 BD 10 바람의 탑 BD 20 알 파델 모스크의 미너렛
BHD206.jpg BHD208.jpg BHD210.jpg
진주조개 낚시하는 다우선 무하라크 섬의 조선소 도크 정부청사
  • 앞면에는 기본적으로 바레인 지도(하와르 제도 포함), 다우, 국장이 포함되어 있다.

1차 (Curruncy Board (1965))[편집 | 원본 편집]

BHD102.jpg BHD104.jpg BHD106.jpg
BD 0.1 BD ¼ BD ½
BHD108.jpg BHD110.jpg BHD112.jpg
BD 1 BD 5 BD 10
  • 독립(1783년) 이후 영국 보호령 종료(1971년 8월 15일) 이전에 발행한 통화이다.
  • 표에 걸린 사진은 모두 뒷면이다. 앞면은 공통디자인으로 다우가 3척, 그리고 바레인 국장(國章)이 그려져 있다.

각주

  1. 대부분의 나라에서 소액단위 100은 통상단위 1에 해당하다보니, 100필스 동전을 자칫 1디나르와 동일한 값이라 혼동하기 쉬우니 주의할 것.
  2. 2001년부터 고정화 된 값으로, 정확히 걸프 루피의 10배이다. 2001년 이전에는 SDR(특별인출권)에 의한 고정환율을 실시하고 있었다.
  3. 前 아미르, 이사 빈 살만 알할리파의 저택.
  4. 2004년 3월 17일 개장한 사힐에 세워진 스포츠카 경기장. 15개 코너에 주행길이는 총 6.3km 이다.
  5. "알루미늄 바레인" 약칭, 알바 (Alba)라고 불리며, 열 손가락 안으로 꼽히는 대규모 알루미늄 제조업체이다.
  6. 정식으로는 아흐마드 이븐 무함마드 이븐 칼리파, 바레인 왕조의 선조에 해당하는 인물이다.
  7. 보는 시각에 따라 색상이 바뀌고, 입체형상으로 보이는 빛의 고리가 1겹과 2겹으로 변화한다.
  8. Dilmun. 메소포타미아 문명과 인더스 문명간 교역 중개지로 유명했던 곳. 명확한 위치는 현재까지 밝혀내지 못했지만, 바레인과 카타르 및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중간에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라고는 해도 거의 바레인이라고 몰아가는 분위기.
  9. 사우디아라비아와 바레인을 잇는 킹파트 교량 중간에 있는 섬으로, 특별히 이름이 지어져 있진 않다. 바레인 측의 국경(및 세관) 검문소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