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선: 두 판 사이의 차이

1번째 줄: 1번째 줄:
{{+1|경부고속선}}<br />京釜高速線<br />Gyeongbu High-speed Railway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경부고속선
|노선명 = 경부고속선의 지선
|노선명2 =  
|노선명2 =  
|배경색 = {{철도 노선색|KR}}
|배경색 = {{철도 노선색|KR}}
13번째 줄: 12번째 줄:
|나라 = {{국기|대한민국}}
|나라 = {{국기|대한민국}}
|체계 =  
|체계 =  
|번호 = 101 (본선)
|번호 = 1011 (시흥연결선)<br />1013 (대전남연결선)<br />1014 (대구북연결선)<br />1015 ~ 1017 (주박기지선)<br />1020 (건천연결선)
|상태 = 영업 중
|상태 = 영업 중
|노선 =  
|노선 =  
|기점 = 시흥연결선 분기점
|기점 =  
|종점 = [[부산역|부산]]
|종점 =  
|역수 = 9
|역수 =  
|차량기지 =  
|차량기지 =  
|이용자 =  
|이용자 =  
|개통일 = [[2004년]] [[4월 1일]]
|개통일 = [[2004년]] [[4월 1일]] (1011 ~ 1017호선)<br />[[2015년]] [[8월 1일]] (1020호선)
|폐지일 =  
|폐지일 =  
|소유자 = [[한국철도시설공단]]
|소유자 =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영업거리 = 본선 398.2 km
|영업거리 = 각 단락 참조
|실거리 =  
|실거리 =  
|시설연장 =  
|시설연장 =  
|궤간 = [[표준궤]] 1,435 mm
|궤간 = [[표준궤]] 1,435 mm
|궤도 =  
|궤도 =  
|선로 = 2 (전 구간)
|선로 =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전철화 = 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 [[TVM430]]
|신호 = [[TVM430]]
|영업최고속도 = 305 km/h
|영업최고속도 =  
|설계최고속도 = 350 km/h
|설계최고속도 =  
|주석 =  
|주석 =  
}}
}}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선'''
이 문서에서는 [[경부고속선]]군의 지선 문서에 대해서 다룬다.


== 개요 ==
== 시흥연결선 ==
[[대한민국]] 최초의 고속선이자, 최대 간선인 [[경부선]]을 따라가는 고속철도 노선이다. 기존선인 경부선은 굴곡이 심할 뿐만 아니라, 여객/화물 운행으로 이미 빈도가 포화상태에 이르러 있기 때문에 건설된 노선으로, 흔히 [[경부고속철도]]<ref>용어는 대개 노선과 운행 계통을 분리해서 볼 떄 경부고속선을 사용해 운행되는 열차 계통을 이른다. 다만 흔히 불리는 명칭에서는 경부고속선과 거의 혼용되는 상태.</ref>로 알려져있다.
* 노선번호 '''1011'''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km
! 역명
! 접속 노선
|-
! colspan="3" | [[경부선|경부본선]] [[용산역|용산]] · [[서울역|서울]] 방면 직결
|-
| style="text-align: right;" | 0.0
| 시흥분기점
| [[경부선|경부본선]]
|-
| style="text-align: right;" | 1.5
| 시흥연결선 (분기점)
|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
! colspan="3" |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광명역|광명]] · [[천안아산역|천안아산]] 방면 직결
|-
|}
 
[[금천구청역|금천구청역 (구 시흥역)]]과 [[광명역]]간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시흥시가 아닌 금천구 소재인데 이는 과거 금천구청역의 구 역명이 시흥역이었기 때문이다. 관련 내용은 [[금천구청역]]을 참조. 복복선인 경부선 본선의 내측에서 분기하여 지하통로를 통해 [[경부고속선]]과 연결되며 [[광명역]]으로 향한다. 4량 1편성의 일명 '''광명셔틀''' 전동차도 연결선을 타고 [[영등포역]]과 광명역 사이를 오간다.
 
== 대전남연결선 ==
* 노선번호 '''1013'''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km
! 역명
! 접속 노선
|-
! colspan="3" | 경부본선 대전 방면 직결
|-
| style="text-align: right;" | 0.0
| 대전남연결선(경부선) (분기점)
| [[경부선|경부본선]]
|-
| style="text-align: right;" | 4.2
| 대전남연결선(경부고속선) (분기점)
|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
! colspan="3" | 경부고속본선 [[김천구미역|김천구미]] 방면 직결
|-
|}


== 연혁 ==
대전 도심구간이 개통하기 전까지 [[옥천역]] 인근에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던 노선이다. 공식 거리표 상에서 폐선되지는 않았지만, 지역 주민의 반발로 인해서 선로가 철거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폐선'''된 상태이다.
* [[1990년]] [[6월 30일]]: [[천안아산역]] 예정 부지에서 기공식이 열림
* [[1992년]] [[6월 30일]]: 시험선 착공
** [[외환위기]]로 [[동대구역]]을 기준으로 [[서울역|서울]] ~ [[동대구역|동대구]] 1단계 구간, 동대구 ~ [[부산역|부산]] 2단계 구간으로 분리
* [[2003년]] [[11월]]: 1단계 완공 (도심구간 제외), 전 구간 시험운행 개시
* [[2009년]] [[3월]]: [[대전광역시|대전]] · [[대구광역시|대구]] 도심 구간 착공
* [[2010년]] [[11월 1일]]: 2단계 완공, [[오송역]]·[[김천구미역]] 개업
* [[2015년]] [[8월 1일]]: 대전·대구 도심구간 개통


== 역 목록 ==
== 대구북연결선 ==
* 노선번호 '''1014'''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 km
! km
! colspan="2" | 역명
! 역명
! 접속 노선
! 접속 노선
|-
|-
! colspan="4" | [[경부고속선/지선#시흥연결선|시흥연결선]] 경유 [[경부선|경부본선]] [[용산역|용산]] · [[서울역|서울]] 방면 직결
! colspan="3" | 경부본선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직결
|-
|-
| style="text-align: right;" | 0.0
| style="text-align: right;" | 0.0
| 시흥연결선 (분기점)
| 대구북연결선(경부선) (분기점)
|  
| [[경부선|경부본선]]
| [[경부고속선/지선#시흥연결선|시흥연결선]]
|-
| style="text-align: right;" | 3.5
| 대구북연결선(경부고속선) (분기점)
|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
! colspan="3" | 경부고속본선 김천구미 방면 직결
|-
|}
 
대구 도심구간이 개통하기 전까지 [[지천역]] 인근에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던 노선이다. 대구 도심구간이 개통한 이후에도 비상시를 대비하여 여전히 철로는 유지되고 있으나 실제 영업운행은 중단된 상태이다.
 
== 건천연결선 ==
* 노선번호 '''1020'''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km
! 역명
! 접속 노선
|-
! colspan="3" | 경부본선 [[동대구역|동대구]] 방면 직결
|-
| style="text-align: right;" | 0.0
| 건천분기점
|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
| style="text-align: right;" | 3.3
| [[모량역|모량]]
| [[동해선|동해본선]]
|-
! colspan="3" | [[동해선|동해본선]] [[포항역|포항]] 방면 직결
|-
|}
 
[[신경주역]] 부근에서 분기하여 동해본선을 잇는 연결선으로, [[2015년]] [[8월 1일]]부터 운행을 개시한 [[동해선]] 방면 [[포항역|포항 발착]] KTX 계통을 위해 신설되었다.
 
== 기지선 ==
주박 차량, 보선 장비나 구원 장비 등이 자리하는 기지를 연결하는 노선이며, 시운전 등을 진행할 때도 쓰인다.
 
; 광명주박기지선 '''(1015)'''
: [[광명역]]에서 광명기지간을 1.4 km에 잇는다. 광명셔틀 열차 및 광명 시종착 KTX의 회차를 위해서 사용되고 있으며, 광명역 탈선 사고가 나기 전 광명 발착이 편성되었을 때 자주 이용되곤 했다. 광명기지는 궤도 및 전차선 유지보수 장비의 거점으로도 쓰이고 있으며, 주박기지선을 통해 보수작업 차량이 본선으로 출입한다.
; 오송정비기지선 '''(1016)'''
: [[오송역]] 인근에서 오송기지간을 0.3 km에 잇는다. 시험선 등의 용도로도 사용되며, 유지보수 거점 및 고속선용 장대레일의 공급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오송기지에는 건설용 화차 및 기관차, 장비류를 유치하고 있으며, 근래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연구용 차량이나 시설물이 다수 입주해 있다.
; 영동정비기지선 '''(1017)'''
: [[충청북도]] [[영동군]]의 고속선 본선 중간에서 영동기지간을 0.1 km에 잇는다. 시설 유지보수용 장비의 진출선로로 쓰인다. 영동정비기지 또한 연구용 시설물이 일부 설치되어 있다.
 
== 폐선 노선 ==
{{폐지|노선}}
대전 · 대구 도심 구간 개통 이후 본선 편입 등으로 인해 폐지된 노선들이다.
 
=== 대전북연결선 ===
* 노선번호 '''1012'''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km
! 역명
! 접속 노선
|-
! colspan="3" | 경부본선 [[대전역|대전]] 방면 직결
|-
| style="text-align: right;" | 0.0
| 대전북연결선(경부선) (분기점)
| [[경부선|경부본선]]
|-
|-
| style="text-align: right;" | 2.8
| style="text-align: right;" | 3.2
| [[광명역|광명]]
| [[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 光明
| 경부본선<br />[[호남선|호남본선]]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1}};">●</span>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1호선 (광명셔틀)]]
|-
|-
| style="text-align: right;" | 59.2
| style="text-align: right;" | 5.8
| (분기점)
| 대전북연결선(경부고속선) (분기점)
|
|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 [[수도권고속선|수도권고속본선]] ([[지제역|지제]] 방면)
|-
|-
| style="text-align: right;" | 76.8
! colspan="3" | 경부고속본선 천안아산 · 광명 방면 직결
| [[천안아산역|천안아산 (온양온천)]]
| 天安牙山
| [[장항선]] ·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S|1}};">●</span> [[수도권 전철 1호선|수도권 1호선]] ([[아산역]])
|-
|-
| style="text-align: right;" | 104.7
|}
| (분기점)
 
|
대전 도심구간이 개통하기 전까지 [[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 인근에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 그리고 호남선을 연결하던 노선이다. 대전 도심구간 개통 이후 본선 편입이 이루어지면서 폐지되었다.
| [[호남고속선|호남고속본선]]
 
=== 대구남연결선 ===
* 노선번호 '''1018'''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right;" | 105.5
! km
| [[오송역|오송]]
! 역명
| 五松
! 접속 노선
| 호남고속본선<br />[[충북선]]<br />[[오송선]]
|-
|-
| style="text-align: right;" | 135.9
! colspan="3" | 경부본선 동대구 방면 직결
| [[대전조차장역|대전조차장]]<ref>정식으로 거리표에 등재되지는 않았지만, 과거 연결선상에 있었으며 현재도 호남선 기존선 경유 KTX가 이 곳을 통해 운행된다.</ref>
| 大田操車場
| [[경부선|경부본선]]<br />[[호남선|호남본선]]
|-
|-
| style="text-align: right;" | 140.6
| style="text-align: right;" | 0.0
| [[대전역|대전]]
| 대구남연결선(경부선) (분기점)
| 大田
| [[경부선|경부본선]]
| 경부본선<br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DJ|1}};">●</span> [[대전 도시철도 1호선|대전 1호선]]
|-
|-
| style="text-align: right;" | 214.4
| style="text-align: right;" | 4.0
| [[김천구미역|김천(구미)]]
| 대구남연결선(경부고속선) (분기점)
| 金泉龜尾
|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
|-
|-
| style="text-align: right;" | 267.5
! colspan="3" | 경부고속본선 [[신경주역|신경주]] · [[울산역|울산]] 방면 직결
| [[동대구역|동대구]]
| 東大邱
| 경부본선<br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DG|1}};">●</span> [[대구 도시철도 1호선|대구 1호선]]
|-
|-
| style="text-align: right;" | 309.3
|}
| (분기점)
 
|  
대구 도심구간이 개통하기 전까지 [[동대구역]] 인근에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던 노선이다. 대구 도심구간이 개통한 이후에는 본선 편입이 이루어지며 폐지되었다.
| [[경부고속선/지선#건천연결선|건천연결선]]
 
=== 부산연결선 ===
* 노선번호 '''1019'''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 km
! 역명
! 접속 노선
|-
! colspan="3" | 경부본선 [[부산역|부산]] 방면 직결
|-
|-
| style="text-align: right;" | 316.5
| style="text-align: right;" | 0.0
| [[신경주역|신경주]]
| 부산연결선(경부선) (분기점)
| 新慶州
| [[경부선|경부본선]]
|
|-
|-
| style="text-align: right;" | 346.5
| style="text-align: right;" | 1.3
| [[울산역|울산]]
| 부산연결선(경부고속선) (분기점)
| 蔚山
| [[경부고속선|경부고속본선]]
|
|-
|-
| style="text-align: right;" | 398.2
! colspan="3" | 경부고속본선 울산 · 신경주 방면 직결
| [[부산역|부산]]
| 釜山
| 경부본선<br /><span style="color: {{철도 노선색|B|1}};">●</span> [[부산 도시철도 1호선|부산 1호선]]
|-
|-
|}
|}


== [[경부고속선/지선|지선]] ==
대전 · 대구 도심구간이 개통하기 전까지 서류상으로 있던 노선으로, [[부산진역]] 인근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이었다. 하지만 도심구간이 개통하면서 영업거리 개정이 이루어졌고, 이 때 본선 편입으로 정리되면서 같이 없어졌다.
경부고속선은 별도의 선로가 아니라 기존선을 사용해도록 건설된 특성상 기존선과의 연결을 위한 지선들을 갖는다. 길어질 수 있기 때문에 [[경부고속선/지선|별도의 문서]]로 분리하였다. [[경부고속선/지선|해당 문서]]를 참고하기 바란다.


== 여담 ==
{{문서 가져옴|경부고속선|333966}}
* 노린건지 모르겠지만 은근히 고속도로와 겹치도록<ref>사실 세계적으로 봤을 땐 그리 이상하진 않은 편이다. 가령 독일의 [[쾰른-라인마인 고속선|쾰른-라인/마인 고속선]]의 경우 아우토반 A3을, 네덜란드 ~ 벨기에의 [[네덜란드 남부고속선|HSL-Zuid]] ~ [[벨기에 고속철도 4호선|HSL-4]]의 경우 네덜란드 A16 ~ 벨기에 A1을, 프랑스의 [[동유럽 고속선]]이 오토루트 A4를 따라가는 선형이며, 이 사례는 일부고 이 외에도 많다.</ref> 설계된 구간<ref>그 유명한 '''KTX 탈걸...''' 이라는 광고판을 세웠을 정도로 홍보효과를 얻을 수 있는 셈</ref>이 많다. 특히 정체가 심한 명절날 막히는 고속도로에서 고속선을 질주하는 [[KTX]]를 보고 있는 운전자들의 스트레스는 가중되는 듯. [[일직터널]] 인근에서 [[서해안고속도로]] 위를 지나가며, [[청주시|청주]]와 [[대전광역시|대전]] 인근에서는 [[경부고속도로]] 주변 잘 보이는 곳에 고가교가 보인다. [[김천시|김천]] 인근에서도 [[경부고속도로]]와 평행하게 놓인 고가교를 볼 수 있다.
* 고속선의 선형은 고속주행에 걸맞게 직선화 시공이 이뤄졌다. 주 사업자인 [[TGV]]의 본진인 [[프랑스]]만큼 평탄한 지형은 아니지만 산악 지형이 많은 [[한반도]]의 지리적 특성을 고려하더라도 곡선반경도 매우 여유롭다. 그만큼 고가교와 장대터널의 향연이 펼쳐지고 있으며, [[율현터널]]과 [[대관령터널]]의 관통으로 비록 3인자의 자리에 물러났지만 한때 우리나라 철도터널중 최장거리를 보유했었던 [[금정터널]]을 비롯, [[일직터널]]이나 [[황학터널]]같은 10 km급 장대터널이 상당히 많다. 고속선의 선형상 최대 설계 시속은 420 km/h (곡선 반경 7000 m급)이며, 영업최고시속은 운행 중인 차량들의 성능에 맞춰놓은 300 km/h (감속 문제 때문에 현재는 305 km/h 사용)으로, 향후 성능이 향상된 350 km/h<ref>실제로 HEMU-430X는 경부선 시험주행을 하다가 증속 시험을 위해 호남고속선으로 이동해 시험주행을 했다.</ref>급 열차도 신호개량을 거친다면 선형상으로는 아무 문제가 없다. 다만 궤도가 걸림돌인데, 1기 구간은 콘크리트가 아니라 자갈 구간이다보니 자갈 튐 등 고려해야 될 요소가 몇 가지 있어 비용적으로 현재는 보류 중이다.
* 대구 ~ 부산 사이의 선형은 기존 [[경부선|경부본선]]의 선형이 양 도시를 최단거리로 잇는 선형이다. 실제로 [[중앙고속도로]] 민자 남부 구간 (대구부산고속도로)가 경부선을 쫓아가는데 "경부고속도로여, 허리를 펴라"를 캐치프레이즈로 내세울 정도였으니. 하지만 관광객 수요를 무시할 수 없는 [[경주시|경주]](및 배후 수요로 [[포항시|포항]]까지)와 동남권 공업도시이자 광역시인 [[울산광역시|울산]]을 무시하기는 어려웠으므로 [[경부고속도로]]의 선형과 유사하게 경주와 울산을 거치는 꽤 굴곡진 선형이 적용되었다. 다만 고속선답게 직선화를 위해 곡선반경을 크게 잡은 것과, 단층대를 가능하면 피하고 싶은 부분이 있어 [[신경주역]]이나 [[울산역]] 모두 시가지에서 다소 떨어진 위치에 건설되었다. 최초 예상 수요는 울산역이 신경주역보다 더 낮았으며 두 역 다 그다지 밝은 전망은 아니었다. 하지만 울산역의 경우 해당 지역의 소득이 높고, 시간적인 여유를 충분히 제공하는 등 여러가지 유객요소가 잘 작동해 폭발적인 수요를 보여주었다. 오히려 적은 수요로 예상 설계한 역사가 좁을 지경. 반면 신경주역은 [[포항역]] 방면 KTX 개통 이후에는 수요가 줄어들었는데, 다만 신경주역의 존재 의의는 차후 이설되는 [[동해선|동해본선]] 열차와의 환승 제공 정도로 보면 될 듯하다.


{{각주}}
{{각주}}
145번째 줄: 231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고속철도]]
[[분류:경부고속선| ]]
[[분류:경부고속선| ]]
[[분류:수도권 전철 1호선| ]]

2016년 5월 9일 (월) 00:37 판

{{{이름}}}
나라 대한민국
종류 간선철도 (고속철도)
번호 1011 (시흥연결선)
1013 (대전남연결선)
1014 (대구북연결선)
1015 ~ 1017 (주박기지선)
1020 (건천연결선)
영업거리 각 단락 참조
소유자 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개통일 2004년 4월 1일 (1011 ~ 1017호선)
2015년 8월 1일 (1020호선)
시설 정보
궤간 표준궤 1,435 mm
신호 TVM430

이 문서에서는 경부고속선군의 지선 문서에 대해서 다룬다.

시흥연결선

  • 노선번호 1011
km 역명 접속 노선
경부본선 용산 · 서울 방면 직결
0.0 시흥분기점 경부본선
1.5 시흥연결선 (분기점) 경부고속본선
경부고속본선 광명 · 천안아산 방면 직결

금천구청역 (구 시흥역)광명역간을 연결하는 노선이다. 시흥시가 아닌 금천구 소재인데 이는 과거 금천구청역의 구 역명이 시흥역이었기 때문이다. 관련 내용은 금천구청역을 참조. 복복선인 경부선 본선의 내측에서 분기하여 지하통로를 통해 경부고속선과 연결되며 광명역으로 향한다. 4량 1편성의 일명 광명셔틀 전동차도 이 연결선을 타고 영등포역과 광명역 사이를 오간다.

대전남연결선

  • 노선번호 1013
km 역명 접속 노선
경부본선 대전 방면 직결
0.0 대전남연결선(경부선) (분기점) 경부본선
4.2 대전남연결선(경부고속선) (분기점) 경부고속본선
경부고속본선 김천구미 방면 직결

대전 도심구간이 개통하기 전까지 옥천역 인근에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던 노선이다. 공식 거리표 상에서 폐선되지는 않았지만, 지역 주민의 반발로 인해서 선로가 철거되었기 때문에 사실상 폐선된 상태이다.

대구북연결선

  • 노선번호 1014
km 역명 접속 노선
경부본선 동대구 방면 직결
0.0 대구북연결선(경부선) (분기점) 경부본선
3.5 대구북연결선(경부고속선) (분기점) 경부고속본선
경부고속본선 김천구미 방면 직결

대구 도심구간이 개통하기 전까지 지천역 인근에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던 노선이다. 대구 도심구간이 개통한 이후에도 비상시를 대비하여 여전히 철로는 유지되고 있으나 실제 영업운행은 중단된 상태이다.

건천연결선

  • 노선번호 1020
km 역명 접속 노선
경부본선 동대구 방면 직결
0.0 건천분기점 경부고속본선
3.3 모량 동해본선
동해본선 포항 방면 직결

신경주역 부근에서 분기하여 동해본선을 잇는 연결선으로, 2015년 8월 1일부터 운행을 개시한 동해선 방면 포항 발착 KTX 계통을 위해 신설되었다.

기지선

주박 차량, 보선 장비나 구원 장비 등이 자리하는 기지를 연결하는 노선이며, 시운전 등을 진행할 때도 쓰인다.

광명주박기지선 (1015)
광명역에서 광명기지간을 1.4 km에 잇는다. 광명셔틀 열차 및 광명 시종착 KTX의 회차를 위해서 사용되고 있으며, 광명역 탈선 사고가 나기 전 광명 발착이 편성되었을 때 자주 이용되곤 했다. 광명기지는 궤도 및 전차선 유지보수 장비의 거점으로도 쓰이고 있으며, 주박기지선을 통해 보수작업 차량이 본선으로 출입한다.
오송정비기지선 (1016)
오송역 인근에서 오송기지간을 0.3 km에 잇는다. 시험선 등의 용도로도 사용되며, 유지보수 거점 및 고속선용 장대레일의 공급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오송기지에는 건설용 화차 및 기관차, 장비류를 유치하고 있으며, 근래엔 한국철도기술연구원의 연구용 차량이나 시설물이 다수 입주해 있다.
영동정비기지선 (1017)
충청북도 영동군의 고속선 본선 중간에서 영동기지간을 0.1 km에 잇는다. 시설 유지보수용 장비의 진출선로로 쓰인다. 영동정비기지 또한 연구용 시설물이 일부 설치되어 있다.

폐선 노선

틀:폐지 대전 · 대구 도심 구간 개통 이후 본선 편입 등으로 인해 폐지된 노선들이다.

대전북연결선

  • 노선번호 1012
km 역명 접속 노선
경부본선 대전 방면 직결
0.0 대전북연결선(경부선) (분기점) 경부본선
3.2 대전조차장 경부본선
호남본선
5.8 대전북연결선(경부고속선) (분기점) 경부고속본선
경부고속본선 천안아산 · 광명 방면 직결

대전 도심구간이 개통하기 전까지 대전조차장 인근에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 그리고 호남선을 연결하던 노선이다. 대전 도심구간 개통 이후 본선 편입이 이루어지면서 폐지되었다.

대구남연결선

  • 노선번호 1018
km 역명 접속 노선
경부본선 동대구 방면 직결
0.0 대구남연결선(경부선) (분기점) 경부본선
4.0 대구남연결선(경부고속선) (분기점) 경부고속본선
경부고속본선 신경주 · 울산 방면 직결

대구 도심구간이 개통하기 전까지 동대구역 인근에서 경부선과 경부고속선을 연결하던 노선이다. 대구 도심구간이 개통한 이후에는 본선 편입이 이루어지며 폐지되었다.

부산연결선

  • 노선번호 1019
km 역명 접속 노선
경부본선 부산 방면 직결
0.0 부산연결선(경부선) (분기점) 경부본선
1.3 부산연결선(경부고속선) (분기점) 경부고속본선
경부고속본선 울산 · 신경주 방면 직결

대전 · 대구 도심구간이 개통하기 전까지 서류상으로 있던 노선으로, 부산진역 인근을 기점으로 하는 노선이었다. 하지만 도심구간이 개통하면서 영업거리 개정이 이루어졌고, 이 때 본선 편입으로 정리되면서 같이 없어졌다.

이 문서의 전체 혹은 일부는 경부고속선 문서의 333966판에서 가져왔습니다.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