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국제공항철도: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주석 항목은 깔끔함을 망칠 뿐입니다. ----<references/>를 생활화합시다!)
39번째 줄: 39번째 줄:


2014년 6월 30일에는 기존 경의선-공항철도 간 수색연결선이 개통되면서 KTX가 인천공항까지의 직통운전을 개시했다.
2014년 6월 30일에는 기존 경의선-공항철도 간 수색연결선이 개통되면서 KTX가 인천공항까지의 직통운전을 개시했다.
== 특징 ==
== 노선 변천사 ==
2007년 3월 23일에 1단계 구간인 인천국제공항역-김포공항역 구간이 개통되고, 2010년 12월 29일에 2단계 구간인 서울역-김포공항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전구간 60km 정도. 추후 정차역이 추가(용유역, 영종역)될 예정. 마곡나루역은 당초 계획에는 포함되어 있었지만 언제 개통될지는 미지수. 실제로 노반은 갖춰놨다.
 
명칭은 초창기 계획상으론 I'REX(아이렉스)였지만, 2007년쯤에 A'REX(에이렉스)로 바뀌었다. 더군더나 운영주도 인천국제공항철도주식회사에서 공항철도주식회사로 바뀌었다. 그러나 어른의 사정이 있어 민간지분 1조 2천억원어치를 코레일이 인수했다. 덕분에 민자사업을 운영하는 공기업이 탄생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이로써 공철은 공기업이 주식을 가지고 있는 출자기관형 공기업(정부재투자기관)으로 탈바꿈했다. 코레일이 공항철도를 인수한 이후 회사명이 코레일공항철도로 창씨개명이 되는 수모를 겪었다. 철도 동호인 중 일부는 이러다 공항철도마저 유리궁전, 자석도색, 코레일블루 역명판으로 바뀌는게 아니냐는 걱정을 하기도. 다만 아직까지 열차 로고는 코레일 것으로 바뀌지 않아 안심. {{ㅊ|로고가 바뀌면 분명 자석도색이 들어가겠지 외국인님들이 보고 계셔서 자석도색 칠하기 쪽팔린가보다}} 열차 로고를 제외한 모든 로고는 죄다 코레일 로고로 떡칠이 되었다.(...) 역사는 민자 시절부터 유리궁전이었고(...) 다만 아직까지 코레일2007체와 코레일블루 역명판은 적용되어 있지 않다. {{ㅊ|적용되면 안된다. 근데 그러잖아도 재민영화 얘기가 나오는 마당이라서...}}
 
2014년 5월 9일부로 도시철도에서 일반철도로 전환되어 철도사업법의 적용을 받기 시작했고, 5월 29일부로 청라국제도시역을 시범운행하면서 시간표가 모두 바뀌었다. 청라국제도시역의 정식 개통일은 6월 21일.
 
==역 목록==
==역 목록==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2015년 4월 26일 (일) 15:38 판

수도권 전철 노선
1 2 3 4 5 6 7 8 9 공항 인천1 인천2
경의중앙 경춘 수인분당 신분당 경강 서해 A 우이 신림 의정부 용인 김포

仁川國際空港鐵道 / A'REX

colspan="2"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인천국제공항철도
운영기관 코레일공항철도
영업거리 58.0km
궤간 1435mm 표준궤
역 수 11
신호 ATC, ATO ATS[1]
차량기지 용유차량사업소
지상구간 용유차량기지, 운서-계양, 마곡철교
연혁 2001. 4. 30. 착공
2007. 3. 23. 인천국제공항↔김포공항
2010. 12. 29. 서울역↔김포공항
2011. 11. 30. 공덕역
2014. 6. 21. 청라국제도시역
2014. 6. 30. KTX 직통운행 개시
2015. 3. 28. 서울역 1,4호선 환승통로 개통

개요

서울역김포국제공항인천국제공항을 연결하는 공항철도 노선.

A'REX라는 약칭을 가지고 있으며,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 최초로 민간 자본을 투입하여 건설된 철도이나, 현재는 국고 사업(준공영화)으로 전환되었다. 서울역부터 인천국제공항역까지의 노선을 인천국제공항선, 인천국제공항역부터 용유차량기지역까지를 용유차량기지선으로 구분한다.

연혁

2001년 인천국제공항이 개항함에 따라 인천공항과 수도권 지역을 빠르고 편리하게 이어줄 철도 노선이 필요하게 되었고, 이 해에 인천국제공항-김포공항 노선이 1단계로 착공, 2004년에는 남은 김포공항-서울역 구간이 착공하였다.

이후 2007년 1단계 구간인 김포공항-인천국제공항 구간이 개통되었으며, 2010년에는 서울역까지 완공되어 직통열차가 운행을 개시했다.

2014년 6월 30일에는 기존 경의선-공항철도 간 수색연결선이 개통되면서 KTX가 인천공항까지의 직통운전을 개시했다.

노선 변천사

2007년 3월 23일에 1단계 구간인 인천국제공항역-김포공항역 구간이 개통되고, 2010년 12월 29일에 2단계 구간인 서울역-김포공항역 구간이 개통되었다. 전구간 60km 정도. 추후 정차역이 추가(용유역, 영종역)될 예정. 마곡나루역은 당초 계획에는 포함되어 있었지만 언제 개통될지는 미지수. 실제로 노반은 갖춰놨다.

명칭은 초창기 계획상으론 I'REX(아이렉스)였지만, 2007년쯤에 A'REX(에이렉스)로 바뀌었다. 더군더나 운영주도 인천국제공항철도주식회사에서 공항철도주식회사로 바뀌었다. 그러나 어른의 사정이 있어 민간지분 1조 2천억원어치를 코레일이 인수했다. 덕분에 민자사업을 운영하는 공기업이 탄생하는 기염을 토하기도 했다. 이로써 공철은 공기업이 주식을 가지고 있는 출자기관형 공기업(정부재투자기관)으로 탈바꿈했다. 코레일이 공항철도를 인수한 이후 회사명이 코레일공항철도로 창씨개명이 되는 수모를 겪었다. 철도 동호인 중 일부는 이러다 공항철도마저 유리궁전, 자석도색, 코레일블루 역명판으로 바뀌는게 아니냐는 걱정을 하기도. 다만 아직까지 열차 로고는 코레일 것으로 바뀌지 않아 안심. 로고가 바뀌면 분명 자석도색이 들어가겠지 외국인님들이 보고 계셔서 자석도색 칠하기 쪽팔린가보다 열차 로고를 제외한 모든 로고는 죄다 코레일 로고로 떡칠이 되었다.(...) 역사는 민자 시절부터 유리궁전이었고(...) 다만 아직까지 코레일2007체와 코레일블루 역명판은 적용되어 있지 않다. 적용되면 안된다. 근데 그러잖아도 재민영화 얘기가 나오는 마당이라서...

2014년 5월 9일부로 도시철도에서 일반철도로 전환되어 철도사업법의 적용을 받기 시작했고, 5월 29일부로 청라국제도시역을 시범운행하면서 시간표가 모두 바뀌었다. 청라국제도시역의 정식 개통일은 6월 21일.

역 목록

인천국제공항철도 역 목록
역번호 km 역명 승강장 환승 소재지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01 0.0 서 울 │■││■ 1호선
4호선
경의·중앙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02 3.3 공 덕 孔 德 ■││■ 5호선
6호선
경의·중앙선
신안산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03 6.1 홍대입구 弘大入口 ■││■ 2호선
경의·중앙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04 9.5 디지털미디어시티 │■││■│ 6호선
경의·중앙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13.6 고 양 高  陽 │■││■│ 수색연결선[2]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041 마곡나루 麻谷나루 ■││■ 9호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05 20.4 김포공항 金浦空港 │■│■│(B3F)
│■│(B4F)
5호선
9호선
김포 도시철도
대곡소사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06 27.0 계 양 桂 陽 ■││■ 인천 1호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07 32.5 검 암 黔 岩 ■││■ 인천 2호선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071 37.3 청라국제도시 靑羅國際都市 │■│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072 47.6 영 종 永 宗 │■││■│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08 51.1 운 서 雲 西 ■││■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09 55.4 공항화물청사 空港貨物廳舍 ■││■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A10 58.0 인천국제공항 仁川國際空港 │■││■│
style="background: 틀:철도 노선색; color: #ffca00;" | 제2여객터미널 第二旅客터미널

  1. KTX를 공항철도에 굴리기 위함이다
  2. KTX가 이 선로로 합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