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단 디나르

Text-Justify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5월 11일 (수) 20:51 판
요르단 디나르
دينار أردني
CBJordanLogos.jpg
화폐 정보
사용국 요르단
비공식 사용국:
ISO JOD
기호 JD (비공식)
보조단위
1/10 디르함
1/100 키르쉬 [q]
1/1000 필스[2]
지폐 JD 1, JD 5, JD 10, JD 20, JD 50
(구권 : JD ½)
동전 5q, 10q, JD ¼, JD ½
(드물게 통용 : ½q, 1q, 2½q, JD 1)
중앙은행 요르단 중앙은행 (البنك المركزي الاردني)
환율 1,680원/JD (2019.12.06 기준)
(범위값 1,400 ~ 1,700)
고정환율 JD 0.709/USD (1995.10.23 ~)[3]
이전 화폐
영국령 팔레스타인 파운드 (~ 1949)
교환비 [1 : 1], 1950.09.30 교환 종료

Jordanian Dinar 조데이니언 디나en

소개

요르단의 디나르 계열 통화이다.

특이하게도 보조단위가 무려 세 가지 있는데, 2014년 기준으로 필스 단위는 표기상으로 쓰이지 않으므로[4] 사실상 중국 위안과 함께 둘 뿐인 세 단위를 동시에 사용하는 통화가 되었다. 하지만 2019년 기준으로는 중국에서 펀(分) 단위를 쓰지 않고, 요르단에서도 분수 표현이 불가능하다면 '필스' 단위를 우선적으로 언급하는데다, 디르함(디람) 단위는 거의 사멸 직전이다보니, 유명무실해진 개념에 가깝다.

환전 및 사용

다른 아랍 국가처럼 요르단도 분수 단위를 즐겨 쓰는데, ½단위는 "누우스", ¼단위는 "루비아"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JD ½(=500f, 50q)는 "누우스 디나르"가 되고, JD ¾(=750f, 75q)는 "쌀라싸루비아 디나르"가 된다. 그리고 분수만으로는 표현이 불가하여 소수점으로 환산할 때에는 필스(Fils) 단위를 사용한다.

중앙은행권

동전

  • 첫 발행은 1949년으로, 1, 5, 10, 20, 50, 100필스의 6종이 발행되었다.
    • 이후 20필스(1965), 25필스(1968), ¼디나르(1970)가 추가되었다.
    • 1986년에 1필스 동전이 발행 중단되었다.
  • 90년대(1992 ~ 1999)에 이르러서는 ½, 1, 2½, 5, 10키르쉬 및 ¼, ½(2종), 1(2종)디나르까지 총 10종이나 발행되었다.
    • 2000년부터 1, 5, 10키르쉬 및 ½디나르의 4종이 신형으로 교체되어 발행되었다.

2~4차 발행

Jordan Dinar 2nd ~ 4th Series
액면 4차 발행 (2002 ~ 현재) 3차 발행 (1992/1994[5] ~ 2002) 2차 발행 (1975 ~ 1992)
50JD 압둘라 이븐 후세인 2세 (現 국왕 (2대))
라가단 왕궁
20JD 후세인 빈 탈랄 (초대국왕)
바위의 돔 (마스지드 쿱밧 아스사크라)
10JD 탈랄 빈 압둘라
JOD505s.jpg
첫 국회의사당 건물
5JD 압둘라 이븐 알 후세인
마안 왕궁
1JD 샤리프 후세인 빈 알리
1916년 아랍 반란 사건에서 튀르크를 상대로 승리함을 모티프로 한 그림
½JD
  • 세로 74mm 고정에 가로만 133mm에서 4mm씩 증가하는 형태이다.
  • 같은 시기 동전은 6번째(2000~)로서 ¼디나르(2004)가 추가로 발행되었다.
  • 2차 발행권의 20디나르화는 색상만 다른 2종류(갈색(구), 청색(신))가 있다.

1차 (1959 ~ 1974)

국가 발행권 (1949)

1952년 개정판에는 지나치게 가치가 크던 50디나르화가 빠졌다.

각주

  1. 이스라엘 세켈과 같이 사용하고 있다.
  2. 로마자 표기는 각각 Dirham, Qirsh (영어/불어로는 피아스트(piastre)), Fils. 여기서 "Fils"는 복수(-s)형태가 아닌 단수형태이다.
  3. SDR(IMF 특별인출권)에 고정된 환율이다. 용도를 불문하고, 공식 절차로 환전을 거치게 되면, 별도로 중앙은행에서 1필스(JD 0.001)씩 추가로 징수한다. 이런 구두쇠 같으니
  4. 1992년까지 필스만 정식 표기하고 나머지는 비공식화 시킨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5. 94년판부터 국명(요르단 하시미테 왕국)이 추가로 붙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