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도시철도

Pika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9월 22일 (목) 19:17 판 (→‎노선)
서울 도시철도
대중교통망 정보
나라 대한민국
지역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광명시, 부천시, 성남시)
종류 도시철도
소유자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부천시
운영자 서울교통공사, 서울시메트로9호선,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남서울경전철, 로템SRS
노선 11개
정거장 347개
영업거리 364.9 km

서울 도시철도서울특별시 도시교통실에서 관리하는 도시철도망이다. 서울 지하철로도 불린다.

연혁

노선

색상 노선명 기점 종점 역 수 거리 운영자
1 1호선 서울역 청량리
(서울시립대입구)
10개 7.8 km 서울교통공사
2 2호선 시청 시청 44개 48.8 km
성수 신설동 5개 5.4 km
신도림 까치산 5개 6.0 km
3 3호선 지축 오금 34개 38.2 km
4 4호선 당고개 남태령 26개 31.7 km
5 5호선 방화 상일동
마천
52개 본선: 45.2 km
지선: 7.1 km
6 6호선 응암 신내 39개 36.4 km
7 7호선 장암 석남 53개 61.3 km
8 8호선 암사 모란 17개 17.7 km
9 9호선 개화 중앙보훈병원 38개 40.8 km 서울시메트로9호선
서울교통공사
우이 우이신설선 북한산우이 신설동 13개 11.0 km 우이신설경전철
우이신설경전철운영
신림 신림선 샛강 관악산(서울대) 11개 7.5 km 남서울경전철
로템SRS

건설 중

노선명 구간 거리 개통시기
동북선 왕십리 상계 13.34 km 2025년
위례선 마천 복정
남위례
5.4 km 2025년
9호선 중앙보훈병원 샘터공원 4.1 km 2028년

계획

제2차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구축계획(안).jpg
노선명 구간 거리 특징
면목선 청량리 신내 9.05 km
서부선 새절 서울대입구 15.77 km 급행 운행, 남부연장 있음
우이신설연장선 솔밭공원 방학 3.5 km
목동선 신월동 당산 10.87 km
난곡선 보라매공원 난향동 4.1 km
위례신사선 위례내부 신사 14.8 km
강북횡단선 목동 청량리 25.72 km 급행 운행
서부선 남부연장 서울대입구 서울대 정문 1.72 km
신림선 북부연장 샛강 서부선 0.34 km 서부선 역과 환승 가능
4호선 급행화 당고개 남태령 기존선 급행화
5-5호선 직결화 둔촌동 굽은다리 해당 구간에 신선을 건설하여 직결 운행
9호선 4단계 추가연장 샘터공원 강일 1.5 km (조건부 노선)[1]
난곡선 금천연장 (후보 노선)
7호선 급행화 (후보 노선) 기존선 급행화
화곡~홍대입구선 화곡 홍대입구 11.79 km 후보 노선이었으나 광역철도 사업으로 전환
DMC선 사업성 부족으로 제외되었다.

역사

1기 지하철

  • 1974년 1호선(종로선) 개통
  • 1984년 2호선 완전 개통
  • 1985년 3호선 완전 개통(지축~양재)
  • 1985년 4호선 완전 개통(당고개~사당)

1985년 1기 지하철 개통이 마무리되어 가자 거리비례제였던 지하철 운임제도를 도심-외곽 2구역 구간제도로 바꾸어 운임제도를 간소화했다.[2] 이때 국철은 그대로 거리비례로 두었다.

2기 지하철

  • 1996년 5호선 완전 개통
  • 1999년 8호선 완전 개통
  • 2000년 7호선 완전 개통
  • 2000년 6호선 완전 개통

1995년 2기 지하철이 속속 개통함에 따라, 기존 5구역에 강서·강동구역을 추가하여 도심구역(1구역)과 외곽 6개구역, 국철구간으로 나누어 권역내이동 또는 인접권역 이동시 1구간, 그 외 2구간 요금으로 책정했으며 국철구간은 거리비례제도를 그대로 적용했다.[3]

이후

3기 지하철이라는 계획이 있었으나, IMF 위기로 2기 지하철 공사도 간신히 진행하는 마당에 3기 지하철을 추진할 여력은 없어서 계획이 완전 무산되었다. 다만 2기 지하철 당시 3기 지하철 환승역 구축을 위해 일부 지하구조물을 먼저 시공한 게 있어서, 이걸 토대로 신규 노선이 3기 지하철의 선형을 일부 따라가는 형태로 남게 되었다.

9호선까지 개통한 뒤로는 음영지역을 가리기 위한 경전철 위주의 계획이 추진되고 있다.

서울시 교통정비 중기계획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구축계획

도시철도법 제5조에 의해 도시철도를 건설ㆍ운영하려면 10년 단위의 도시철도망구축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2007년 6월 26일 '서울시 10개년 도시철도 계획안'이 발표되었고, 2008년 11월 26일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 기본계획'이 고시되었다.[4]

2013년 7월 24일 2008년의 기본계획에서 수정한 '서울시 도시철도 종합발전방안'을 공개하였고,[5] 2015년 6월 30일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구축계획<변경>'이 고시되었다.[6]

2019년 2월 20일 '제2차 서울특별시 10개년 도시철도망구축계획(안)'이 공개되었고[7][8], 2020년 11월 17일 국토교통부의 심의를 통과하였다.[9]

각주

  1. 2021년 광역철도 지정 전제 하
  2. 본격 지하철시대始発시발 <10> 3.4號線 특징과 이용방법, 매일경제, 1985.10.18.
  3. 2기 지하철 요금 2구간 이상 450원, 조선일보, 1994.05.04.
  4. 국토해양부 고시 제2008-673호
  5. '서울 어디서나 도시철도 10분' - 철도 중심시대가 열립니다, 서울특별시 교통 새소식
  6.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5-423호
  7. 서울시, 제2차 서울시 도시철도망 구축계획(안) 발표, 서울특별시 보도자료
  8. ‘지역균형발전’ 강북횡단선 등 서울도시철도 10개 확충, 서울특별시 내 손안에 서울
  9. 국토교통부고시제2020-82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