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만 리알: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현행권 (가제): 비효율적인 것 같아서 표를 뜯어 고치는 중입니다.)
(중간저장)
23번째 줄: 23번째 줄:
|환율    = 2,844원/ر.ع<small> (2021.01.14 기준)</small><br />약 2,400 ~ 3,500원/ر.ع<small> (Range)</small>
|환율    = 2,844원/ر.ع<small> (2021.01.14 기준)</small><br />약 2,400 ~ 3,500원/ر.ع<small> (Range)</small>
|고정환율 = [[미국 달러|USD]]2.6008/OMR<small> (1973~)</small>
|고정환율 = [[미국 달러|USD]]2.6008/OMR<small> (1973~)</small>
|이전화폐 = [[사이드 리알]] [1 : 1]<ref>[[사우디 리얄]]과는 전혀 무관하며, 1971년에 오만 정권을 잡아낸 카부스 빈 사이드(قابوس بن سعيد‎) 술탄의 성씨에서 따온 것이다. <s>정작 물러난 아빠이름도 "사이드"라는 건 무시하자</s>. 더 이전에 존재하던 영국령 걸프 루피(=[[인도 루피]])와는 21루피 = 1리알 = '''1영국 파운드'''.</ref>
|이전화폐 = [[걸프 루피]] (21 : 1) <ref>당시 영국 파운드-루피 환율과 동일한데, 당초 오만 리알(출범 당시는 사이드 리알)을 영국 파운드에 페그시킨 형태로 도입했기 때문이다.</ref>
|이후화폐 =  
|이후화폐 =  
|비고    =  
|비고    =  
36번째 줄: 36번째 줄:
미국 달러 고정환인데다 나름대로의 중동 산유국 답게 금융 서비스도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이므로, 그냥 달러 들고 현지에 가서 환전해도 별로 어렵지 않으니, 수수료 여부만 잘 확인하여 환전하면 된다.
미국 달러 고정환인데다 나름대로의 중동 산유국 답게 금융 서비스도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이므로, 그냥 달러 들고 현지에 가서 환전해도 별로 어렵지 않으니, 수수료 여부만 잘 확인하여 환전하면 된다.


== 오만 리알 ==
== 현찰 시리즈 ==
지폐는 1972년 11월 18일에 등장했고, 동전은 1975년 초에 일괄적으로 계승이 이루어졌다. 중앙은행이 등장한 것은 1977년. 동시에 20리알과 50리알화(US$130)라는 당시로선 엄청난 고액권이 발행되었다. 1985년에는 ¼리알(250바이사)을 대신할 200바이사 지폐가 발행되었지만, 어느순간부터 발행이나 취급이 뜸해지더니 자연스레 사장되었다.
=== 하이삼 술탄 시대 ===
==== 동전 ====
2020년 5월 20일부로 100바이사, 200바이사, ¼리알, ½리알 동전의 유통이 정지되었다. 2010년 신권 등장 당시 소액권을 모두 동전으로 교체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그게 그리 잘 되지 않았던 모양. 그래선지 2021년 1월 11일 신 시리즈 등장시에는 소액권 지폐들이 도로 부활하었다.


=== 동전 ===
==== 지폐 ====
1975년에 계승된 이래, 1980년에 ¼리알 및 ½리알화가 새로 발행된 것을 마지막으로 이렇다 할 변화가 없었다. 다만 2바이사화의 경우는 계산하기가 귀찮았는지 사용 부진을 이유로 처음부터 계승되지 않았다.
 
2020년 5월 20일부로 100바이사, 200바이사, 쿼터리알, 하프리알 동전의 유통이 정지되었다. 2010년 신권 등장 당시 소액권을 모두 동전으로 교체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그게 그리 잘 되지 않았던 모양. 그래선지 2021년 1월 11일 신 시리즈 등장시에는 소액권 지폐들이 도로 부활하었다.
 
=== 하이삼 술탄 시대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3" | 오만 리알 2021년 시리즈 (건국 50주년)
! colspan="3" | 오만 리알 2021년 시리즈 (건국 50주년)
76번째 줄: 73번째 줄:
=== 카부스 술탄 시대 ===
=== 카부스 술탄 시대 ===
{{작성중}}
{{작성중}}
==== 동전 ====
동전은 1970년 5월 7일에 2, 5, 10, 25, 50, 100바이사의 6종으로 첫 발행, 1975년에 국호를 '오만'으로 확정한 뒤부터 '오만'으로 고쳐서 찍어내었다. (단, 2바이사 동전은 사용 부진을 이유로 발행하지 않았다.) 이후 1980년에 ¼리알 및 ½리알화가 추가되었다.
==== 후반기 지폐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style="text-align: center; width:4%;"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4%;" |  
146번째 줄: 147번째 줄: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OMR401.jpg]][[파일:OMR402.jpg]]<br />2015년 건국 45주년 기념 1ر.ع.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OMR401.jpg]][[파일:OMR402.jpg]]<br />2015년 건국 45주년 기념 1ر.ع.
|}
|}
* 앞면에는 공통적으로 모조리 카부스 빈 사이드 술탄의 얼굴이 들어가 있다.
* 앞면에는 공통적으로 모조리 카부스 빈 사이드(قابوس بن سعيد‎) 술탄의 얼굴이 들어가 있다.
* 1985년에 기존의 ¼리알(250바이사) 지폐를 대신할 200바이사 지폐가 발행되었으나, 어느 순간부터 발행 및 취급이 뜸해지더니 차츰 자취를 감추었다. 이후 쿼터(¼)리알이 동전으로 복각되었다.
* 1995년판의 경우, 고액권 4종에 한하여 2000년에 홀로그램 띠가 부착된 개정판이 나왔다.
* 1995년판의 경우, 고액권 4종에 한하여 2000년에 홀로그램 띠가 부착된 개정판이 나왔다.
* 2019년 7월 1일부로 중앙은행의 결정에 따라 1995/2000년판 구권의 고액면 유통이 중단되었다.
* 2019년 7월 1일부로 중앙은행의 결정에 따라 1995/2000년판 구권의 고액면 유통이 중단되었다.
{{폐기권}}
{{폐기권}}
==== 전반기 지폐 ====
1970년 5월 7일, 선대이자 아버지인 사이드 술탄을 왕좌에서 끌어내린 카부스 술탄은 8월 9일에 "무스카트 오만 술탄국 (줄여서 '오만 술탄국')"을 건국하고 기존의 걸프 루피를 대신할 통화로서 일단 '사이드 리알'이라는 단위로 처음 발행하였다. 가치는 영국 파운드 패리티(1:1)로 설정하였다.


=== 구권 (1970 ~ 80년대) ===
1972년 11월 18일<ref>카부스 술탄의 생일이기도 하며, 오만의 국경일로 지정되어 있다. UN 승인일은 1971년 10월 7일.</ref>에 정식으로 "오만 술탄국"을 선포하고 통화위원회(Currency Board)를 결성하여 '오만 리알'을 정식으로 도입하였다. 이때 가치값을 미국 달러 페그(US$2.895/리알)<ref>그 당시 파운드-달러 환율값을 반영한 것이다. 참고로 2020년대 기준으로 1.3 정도이며, 미국 달러의 위상이 빠르게 높아졌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s>영국 : 아아 옛날이여</s></ref>로 변경하였다.


== 사이디 리알 (전신) ==
1974년에 중앙은행을 설치하여 역할을 이관하고, 1977년에 본격적으로 중앙은행의 명의를 넣은 지폐를 발행하였다. 이때 새 고액권으로 카부스 술탄 자신의 얼굴을 처음 집어넣은 20리알 50리알화를 발행하는데, 당시로선 엄청나게 큰 돈(각각 US$57.90 / US$144.75)<ref>2020년 물가 수준으로 환산하면 각각 약 230달러 580달러에 달한다.</ref>이었다. 1986년에 페그 값을 9% 하향 조정(US$2.6008/리알)하였고, 그 값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1970년 5월 7일에 등장했다. 당시 발행명은 "오만 무스카트 술탄령"으로, 오만이라는 [[나라]]에서 발행했다고 보기에는 다소 애매한 구석이 있다. 동전은 2, 5, 10, 25, 50, 100바이사의 6종이고, 지폐는 100바이사 ¼(250바이사), ½(500바이사), 1, 5, 10리알화의 6종이 발행되었다. 이 구성은 차후 오만 리알로 그대로 계승되었다.


{{각주}}
{{각주}}

2023년 7월 20일 (목) 19:00 판

오만 리알
ريال عماني
CBOmanLogo.jpg
화폐 정보
사용국 오만
ISO OMR 카드
기호 ر.ع.
보조단위
1/1000 바이사 (بيسة)
지폐 100바이사, R.O.½, R.O.1, R.O.5, R.O.10, R.O.20, R.O.50
동전 5바이사, 10바이사, 25바이사, 50바이사
(유통 중단 : 100바이사, 200바이사, R.O.¼, R.O.½)
중앙은행 오만중앙은행 (البنك المركزي العماني)
환율 2,844원/ر.ع (2021.01.14 기준)
약 2,400 ~ 3,500원/ر.ع (Range)
고정환율 USD2.6008/OMR (1973~)
이전 화폐
걸프 루피 (21 : 1) [1]

Omani Rial (오마니 리알 Onami, Onani, 오마니)

개요

오만의 리알/리얄 계열 통화. 외국어 표기법의 문제로 리과 리이 혼재하고 있다. 국내의 경우, KEB하나은행에서는 로 표기하나 위키백과에서는 로 표기하고 있다. 본 문서는 통용 표기에 따라 '리알'로 기술한다. 단위통화값이 높은 통화 중 하나이다.

환전 및 사용

오만 리알은 2014년 1월부터 외환은행(現, 하나은행)에서 취급하기 시작했다. 중동권 대부분이 그러하듯, 수요는 극히 제한적이어서 일부러 수입해오지는 않고 사고 파는 분량에 의존하여 운영하고 있다. 때문에 거의 취급하지 않는 것에 가깝다.

미국 달러 고정환인데다 나름대로의 중동 산유국 답게 금융 서비스도 평균 이상의 수준을 보이므로, 그냥 달러 들고 현지에 가서 환전해도 별로 어렵지 않으니, 수수료 여부만 잘 확인하여 환전하면 된다.

현찰 시리즈

하이삼 술탄 시대

동전

2020년 5월 20일부로 100바이사, 200바이사, ¼리알, ½리알 동전의 유통이 정지되었다. 2010년 신권 등장 당시 소액권을 모두 동전으로 교체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그게 그리 잘 되지 않았던 모양. 그래선지 2021년 1월 11일 신 시리즈 등장시에는 소액권 지폐들이 도로 부활하었다.

지폐

오만 리알 2021년 시리즈 (건국 50주년)
OMR607.jpg
저액권(0.1~1ر.ع.) 앞면 : 오만 국장 고액권(5~20ر.ع.) 앞면 : 하이삼 빈 타리크 술탄 최고액권 50ر.ع. 앞면 : 카부스 빈 사이드 술탄
0.1리얄 = 100بيسة 0.5리얄 = ½ر.ع. 1ر.ع.
OMR602.jpg OMR604.jpg OMR606.jpg
OMR608.jpg OMR610.jpg OMR612.jpg
5ر.ع. 10ر.ع. 20ر.ع.
  • 50리알 권종은 건국 50주년 기념권으로 발행되었지만, 유통화로서도 기능한다.

카부스 술탄 시대

동전

동전은 1970년 5월 7일에 2, 5, 10, 25, 50, 100바이사의 6종으로 첫 발행, 1975년에 국호를 '오만'으로 확정한 뒤부터 '오만'으로 고쳐서 찍어내었다. (단, 2바이사 동전은 사용 부진을 이유로 발행하지 않았다.) 이후 1980년에 ¼리알 및 ½리알화가 추가되었다.

후반기 지폐

1995년판 2010년판 (건국 40주년) 2021년판
50ر.ع. 재정경제부 청사
산업자원부 및 내각부 청사
20ر.ع. 술탄 카부스 모스크
OMR407.jpg
왕립 무스카트 오페라 하우스
10ر.ع. 알 나다 탑
10 Omani Rial (Obverse).jpg
10 Omani Rial (Reverse).jpg
무트라 요새
5ر.ع. 5 Oman rial obverse.jpg 술탄 카부스 대학
OMR403.jpg
5 Oman rial reverse.jpg OMR404.jpg
니즈와
1ر.ع. 술탄 카부스 종합경기장
1 oman rial obverse.jpg
(미발행)
OMR308.jpg
오만 칸자르, 은제 팔찌, 다우선
½ر.ع. 바흘라 요새
Oman Half rial obverse.jpg
OMR306.jpg
알 하짐 성 & 낙칼 성
100بيسة 용수로
100 baisa obverse.jpg
OMR302.jpg
베로 이글(독수리), 흰 오릭스
Omani Rial Series (1995 ~ 현재)
기타 OMR303.jpgOMR304.jpg
1995년 통용권 200بيسة

2005년 건국 35주년 기념 1ر.ع.
OMR401.jpgOMR402.jpg
2015년 건국 45주년 기념 1ر.ع.
  • 앞면에는 공통적으로 모조리 카부스 빈 사이드(قابوس بن سعيد‎) 술탄의 얼굴이 들어가 있다.
  • 1985년에 기존의 ¼리알(250바이사) 지폐를 대신할 200바이사 지폐가 발행되었으나, 어느 순간부터 발행 및 취급이 뜸해지더니 차츰 자취를 감추었다. 이후 쿼터(¼)리알이 동전으로 복각되었다.
  • 1995년판의 경우, 고액권 4종에 한하여 2000년에 홀로그램 띠가 부착된 개정판이 나왔다.
  • 2019년 7월 1일부로 중앙은행의 결정에 따라 1995/2000년판 구권의 고액면 유통이 중단되었다.
 발권은행 정책에 따라 폐기되거나 시중에서 사용이 중단되어, 국내외 환전도 할 수 없는 통화입니다.
 해당 국가 방문시 현금거래 중 받지 않도록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전반기 지폐

1970년 5월 7일, 선대이자 아버지인 사이드 술탄을 왕좌에서 끌어내린 카부스 술탄은 8월 9일에 "무스카트 오만 술탄국 (줄여서 '오만 술탄국')"을 건국하고 기존의 걸프 루피를 대신할 통화로서 일단 '사이드 리알'이라는 단위로 처음 발행하였다. 가치는 영국 파운드 패리티(1:1)로 설정하였다.

1972년 11월 18일[2]에 정식으로 "오만 술탄국"을 선포하고 통화위원회(Currency Board)를 결성하여 '오만 리알'을 정식으로 도입하였다. 이때 가치값을 미국 달러 페그(US$2.895/리알)[3]로 변경하였다.

1974년에 중앙은행을 설치하여 역할을 이관하고, 1977년에 본격적으로 중앙은행의 명의를 넣은 지폐를 발행하였다. 이때 새 고액권으로 카부스 술탄 자신의 얼굴을 처음 집어넣은 20리알 및 50리알화를 발행하는데, 당시로선 엄청나게 큰 돈(각각 US$57.90 / US$144.75)[4]이었다. 1986년에 페그 값을 9% 하향 조정(US$2.6008/리알)하였고, 그 값이 현재까지 이어진다.

각주

  1. 당시 영국 파운드-루피 환율과 동일한데, 당초 오만 리알(출범 당시는 사이드 리알)을 영국 파운드에 페그시킨 형태로 도입했기 때문이다.
  2. 카부스 술탄의 생일이기도 하며, 오만의 국경일로 지정되어 있다. UN 승인일은 1971년 10월 7일.
  3. 그 당시 파운드-달러 환율값을 반영한 것이다. 참고로 2020년대 기준으로 1.3 정도이며, 미국 달러의 위상이 빠르게 높아졌음을 알 수 있는 부분이다. 영국 : 아아 옛날이여
  4. 2020년 물가 수준으로 환산하면 각각 약 230달러 및 580달러에 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