묵호항선: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철도 노선 정보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영동선의 지선
|노선명 = 묵호항선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코레일}}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글자색 = white
|그림 =  
|그림 =  
|나라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나라 = {{국기그림|대한민국}} [[대한민국]]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종류 = [[일반철도]]([[지선철도|지선]])
|노선 =  
|번호 = 31303
|구간 =
|구간 = [[동해역|동해]] ~ [[묵호역]] <small>(5.9 km, 3개)</small>
|차량기지 =
|개통일 = [[1940년]] [[8월 1일]]
|개통일 =  
|폐지일 =  
|폐지일 =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소유자 =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
|운영자 = [[한국철도공사|한국철도공사 (KORAIL)]]
|궤간 = 1,435 mm ([[표준궤]])
|궤간 = 1,435 mm ([[표준궤]])
|선로 = 1
|선로 = 1
|전기 = 비전철
|전기 =  
|신호 = [[ATS]]
|신호 = [[ATS]]
|최고속도 =  
|최고속도 =  
|주석 = 독립된 문서에 있는 노선의 정보는 해당 문서 참조
|주석 =  
}}
 
이 문서에서는 [[영동선]]의 지선에 대해서 다룬다.
 
== 일반 지선 ==
화물선 등의 목적이 아니라, 노선으로서 성립할 정도로 충분한 규모인 지선.
 
* [[삼척선]]
 
== 화물선 ==
=== 묵호항선 ===
{{철도 노선 정보
|노선명 = 묵호항선
|배경색 = {{대한민국 철도 노선색|기업|KR}}
|글자색 = white
|그림 =
|번호 = 31303
|구간 = [[동해역|동해]] ~ [[묵호역]] <small>(5.9 km, 3개)</small>
|개통일 = [[1940년]] [[8월 1일]]
|폐지일 =  
}}
}}


[[강원도]] [[동해시]]의 [[동해역]]과 [[묵호항역]]을 연결하는 5.1 km의 단선철도. [[영동선]] [[묵호항역]]과 [[묵호역]]사이의 0.8 km연결선로가 있어 [[영동선]]의 [[동해역|동해]]-[[묵호역|묵호]]간 복선의 역할로 취급하기도 한다. 단, [[영동선]]은 전철화가 완료되어 있는 반면, 묵호항선은 비전철 구간이라 [[전기기관차]]가 들어갈 수 없어 실질적인 복선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묵호항선'''은 [[강원도]] [[동해시]]의 [[동해역]]과 [[묵호항역]]을 연결하는 5.1 km의 단선철도. [[영동선]] [[묵호항역]]과 [[묵호역]]사이의 0.8 km연결선로가 있어 [[영동선]]의 [[동해역|동해]]-[[묵호역|묵호]]간 복선의 역할로 취급하기도 한다. 단, [[영동선]]은 전철화가 완료되어 있는 반면, 묵호항선은 비전철 구간이라 [[전기기관차]]가 들어갈 수 없어 실질적인 복선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 묵호항선 역사 ====
== 역사 ==
[[1967년]] [[북평선]]을 통해 수송된 시멘트를 [[묵호항]]을 통하여 운송하기 위해 [[1968년]] [[1월 4일]]에 착공하여 영동선 옆에 추가로 더 건설하여 [[1968년]] [[12월 30일]]에 완공한 선로가 바로 이 묵호항선이다. 당시 북평선 종점인 [[삼화역]]에서 생산된 시멘트가 [[묵호항]]을 통하여 해상수송을 하였었는데 연간 130만톤이 넘어가는 어마무시한 규모여서 도저히 단선철도인 [[영동선]]만으로는 감당이 되지 않았던 것.
[[1967년]] [[북평선]]을 통해 수송된 시멘트를 [[묵호항]]을 통하여 운송하기 위해 [[1968년]] [[1월 4일]]에 착공하여 영동선 옆에 추가로 더 건설하여 [[1968년]] [[12월 30일]]에 완공한 선로가 바로 이 묵호항선이다. 당시 북평선 종점인 [[삼화역]]에서 생산된 시멘트가 [[묵호항]]을 통하여 해상수송을 하였었는데 연간 130만톤이 넘어가는 어마무시한 규모여서 도저히 단선철도인 [[영동선]]만으로는 감당이 되지 않았던 것.


* [[2019년]] [[4월 17일]] : 노선번호가 2133에서 31303으로 변경됨.<ref>[http://gwanbo.mois.go.kr/ezpdf/customLayout.jsp?contentId=00000000000000001555309930817000&tocId=00000000000000001555373583857000&isTocOrder=N&name=%25EA%25B5%25AD%25ED%2586%25A0%25EA%25B5%2590%25ED%2586%25B5%25EB%25B6%2580%25EA%25B3%25A0%25EC%258B%259C%25EC%25A0%259C2019-173%25ED%2598%25B8(%25EC%2582%25AC%25EC%2597%2585%25EC%259A%25A9%25EC%25B2%25A0%25EB%258F%2584%2520%25EB%2585%25B8%25EC%2584%25A0%25EB%25B2%2588%25ED%2598%25B8%2520%25EB%25B3%2580%25EA%25B2%25BD) 국토교통부 고시 제2019-173호]</ref>
* [[2019년]] [[4월 17일]]: 노선번호를 2133에서 31303으로 변경<ref>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ref>


==== 묵호항선 역 목록 ====
== 역 목록 ==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center; font-size: 90%;"
|-
|-
73번째 줄: 52번째 줄: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분류:영동선| ]]
[[분류:묵호항선| ]]

2021년 6월 17일 (목) 02:06 판

{{{이름}}}
나라 대한민국 대한민국
종류 일반철도(지선)
번호 31303
구간 동해 ~ 묵호역 (5.9 km, 3개)
소유자 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위탁)
운영자 한국철도공사 (KORAIL)
개통일 1940년 8월 1일
시설 정보
궤간 1,435 mm (표준궤)
선로 1
신호 ATS

묵호항선강원도 동해시동해역묵호항역을 연결하는 5.1 km의 단선철도. 영동선 묵호항역묵호역사이의 0.8 km연결선로가 있어 영동선동해-묵호간 복선의 역할로 취급하기도 한다. 단, 영동선은 전철화가 완료되어 있는 반면, 묵호항선은 비전철 구간이라 전기기관차가 들어갈 수 없어 실질적인 복선의 역할은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상태이다.

역사

1967년 북평선을 통해 수송된 시멘트를 묵호항을 통하여 운송하기 위해 1968년 1월 4일에 착공하여 영동선 옆에 추가로 더 건설하여 1968년 12월 30일에 완공한 선로가 바로 이 묵호항선이다. 당시 북평선 종점인 삼화역에서 생산된 시멘트가 묵호항을 통하여 해상수송을 하였었는데 연간 130만톤이 넘어가는 어마무시한 규모여서 도저히 단선철도인 영동선만으로는 감당이 되지 않았던 것.

역 목록

km 역명 연계 노선
0.0 동해 영동선, 삼척선, 북평선 (연결)
5.1 묵호항
5.9 묵호 영동선 (연결)

각주

  1. 국토교통부고시 제2019-173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