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르단 디나르: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봇: 자동으로 텍스트 교체 (-\[\[(:|)(F|f)(I|i)(L|l)(E|e): +[[\1파일:))
 
(사용자 4명의 중간 판 21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번째 줄: 1번째 줄:
{{외환}}
{{외환}}
دينار أردني ([[아랍어]])
{{화폐 정보
|화폐이름 = 요르단 디나르
|원어이름 = دينار أردني 디나르 우르두니윤<sup>[[아랍어|ar]]</sup>
|그림    = CBJordanLogos.jpg
|그림설명 =
|그림2    =
|그림2설명=
|사용국  = {{나라|요르단}}
|비공식  = {{나라|팔레스타인}} <small>([[웨스트 뱅크]])</small><ref>[[이스라엘 세켈]]과 같이 사용하고 있다.</ref>
|ISO      = JOD
|기호    = JD (비공식)
|보조단위 =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
|이름 = [[디르함]]
}}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0
|이름 = [[키르쉬]] [q]
}}
{{화폐 정보/보조단위
|비율 = 1/1000
|이름 = [[필스]]<ref>로마자 표기는 각각 Dirham, Qirsh (영어/불어로는 피아스트(piastre)), Fils. 여기서 "Fils"는 복수(-s)형태가 아닌 단수형태이다.</ref>
}}
|지폐    = JD 1, JD 5, JD 10, JD 20, JD 50<br /><small>(구권 : JD ½)</small>
|동전    = 5q, 10q, JD ¼, JD ½<br /><small>(드물게 통용 : ½q, 1q, 2½q, JD 1)</small>
|중앙은행 = 요르단 중앙은행 (البنك المركزي الاردني)
|인쇄처  =
|조폐국  =
|환율    = 1,680원/JD<small> (2019.12.06 기준)</small><br />(범위값 1,400 ~ 1,700)
|고정환율 = JD 0.709/USD<small> (1995.10.23 ~)</small>
|이전화폐 = [[팔레스타인 파운드]] (1:1) <small>(~1950.09.30)</small>
|이후화폐 =
|비고    =
}}
Jordanian Dinar <small>조데이니언 디나<sup>[[영어|en]]</sup></small>


== 소개 ==
== 소개 ==
[[요르단]]의 통화로, 비 공식적으론 [[팔레스타인]]의 [[웨스트 뱅크]] 지역에서도 사용한다.<ref>[[이스라엘 세켈]]과 동시에 사용하고 있다.</ref> [[ISO 4217]] 코드는 JOD, 기호는 별도로 정해놓지 않았지만 흔히 JD로 통용된다. 보조단위로 디르함(1/10), 키르쉬(=피아스트, 1/100), 필스(1/1000)<ref>각각 Dirham, Qirsh (영어로는 피아스트), Fils. 마지막 Fils는 복수가 아닌 단수형태이다.</ref>까지 세 가지 단위가 있는데 2014년 기준으로 필스 단위는 표기상으로 쓰이지 않으므로<ref>1992년까지 필스만 정식 표기하고 나머지는 비공식화 시킨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ref> 사실상 [[중국 위안]]과 함께 둘 뿐인 세 단위를 동시에 사용하는 통화가 된다.
[[요르단]]의 디나르 계열 통화이다.


인플레이션은 5.9%<ref>석유가 없어서 그런지 의외로 들쭉날쭉하다.</ref>, 환율은 1995년 10월 23일부로 SDR(IMF 특별인출권) 고정환율을 설정해 0.709 JD/달러(...), 2014년 5월 기준으로 약 1,550원/JD이다. 환전시 중앙은행에서는 미국 달러당 '''1필스 (1.55원)'''의 수수료를 추가징수하고 있다(...) <s>이런 구두쇠 같으니</s>
특이하게도 보조단위가 무려 세 가지 있는데, 2014년 기준으로 필스 단위는 표기상으로 쓰이지 않으므로<ref>1992년까지 필스만 정식 표기하고 나머지는 비공식화 시킨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ref> 사실상 [[중국 위안]]과 함께 둘 뿐인 세 단위를 동시에 사용하는 통화가 되었다. 하지만 2019년 기준으로는 중국에서 펀() 단위를 쓰지 않고, 요르단에서도 분수 표현이 불가능하다면 '필스' 단위를 우선적으로 언급하는데다, 디르함(디람) 단위는 거의 사멸 직전이다보니, 유명무실해진 개념에 가깝다.


요르단이 1946년 건국되고 3년이 지난 1949년에 처음 등장, 이전까지 위임통치하던 영국이 발행한 [[팔레스타인 파운드]]를 대체하는 통화이다. 교환비는 당시 1:1이었다. (1950년 9월 30일 교환 종료)
=== 환전 및 사용 ===
다른 아랍 국가처럼 요르단도 분수 단위를 즐겨 쓰는데, ½단위는 "누우스", ¼단위는 "루비아"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JD ½(=500f, 50q)는 "누우스 디나르"가 되고, JD ¾(=750f, 75q)는 "쌀라싸루비아 디나르"가 된다. 통상적으론 '디나르'라는 단위명을 생략하고 그냥 읽지만, 간혹 영어 약칭인 '제이디'라 붙여서 읽을 때도 있다. (ex : 누우스 제이디 = ½JD) ¼ 단위로 표기가 안 되는 경우에서야 필스(Fils) 단위를 사용한다.


참고로 다른 아랍 국가처럼 요르단도 분수 단위를 자주 쓰는데, ½단위는 누우스, ¼단위는 루비아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½디나르(=500필스)는 '''누우스 디나르'''. 그리고 이를 소수점으로 환산할 때에는 필스(Fils) 단위를 사용한다.
요르단 디나르는 [[SDR]](IMF 특별인출권)을 [[미국 달러]]로 표기한 값에 고정된 환율정책을 유지하고 있다.(0.709JD/USD) 용도를 불문하고 공식 절차로 환전을 거치게 되면, 별도로 중앙은행에서 1필스(JD 0.001)씩 추가로 징수하게 되어서, 구매시는 0.708JD/USD, 판매시는 0.710JD/USD가 된다. <s>이런 구두쇠 같으니</s>


=== 환전 및 사용 ===
{{-}}
== 중앙은행권 ==
=== 동전 ===
* 첫 발행은 1949년으로, 1, 5, 10, 20, 50, 100필스의 6종이 발행되었다.
** 이후 20필스(1965), 25필스(1968), ¼디나르(1970)가 추가되었다.
** 1986년에 1필스 동전이 발행 중단되었다.
* 90년대(1992 ~ 1999)에 이르러서는 ½, 1, 2½, 5, 10키르쉬 및 ¼, ½(2종), 1(2종)디나르까지 총 10종이나 발행되었다.
** 2000년부터 1, 5, 10키르쉬 및 ½디나르의 4종이 신형으로 교체되어 발행되었다.


== 현찰 시리즈 ==
=== 3~5차 발행 ===
=== 4차 (2002 ~ 2013) ===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colspan="4" style="text-align: center;" | Jordan Dinar 4th Series
! colspan="2" | 요르단 디나르 5차 발행분 (2022 ~ 현재)
| style="width:4%;" |
! colspan="2" | 요르단 디나르 4차 발행분 (2002 ~ 2021)
|-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 style="text-align: right; width:24%;" | 압둘라 이븐 후세인 2세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50 JD
| style="text-align: left; width:24%;" | (現 국왕 (2대))
| style="text-align: center; width:24%;" | 라가단 왕궁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 colspan="2" style="text-align: center;" | 액면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앞면
| style="text-align: right;" | 후세인 빈 탈랄
| style="text-align: center;" | 뒷면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20 JD
| style="text-align: left;" | (초대국왕)
| style="text-align: center;" | {{ruby|마스지드 쿱밧 아스사크라|바위의 돔}}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JD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샤리프 후세인 빈 알리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916년 아랍 반란 사건에서 튀르크를 상대로 승리함을 모티프로 한 그림
| style="text-align: center;" |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JD
| style="text-align: right;" | 탈랄 빈 압둘라
| style="text-align: center;" | 압둘라 이븐 알 후세인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0 JD
| style="text-align: left;" | 탈랄 빈 압둘라
| style="text-align: center;" | 첫 국회의사당 건물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JOD505s.jpg]]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right;" | 압둘라 이븐 알 후세인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5 JD
| style="text-align: left;" | 압둘라 이븐 알 후세인
| style="text-align: center;" | 마안 왕궁
| style="text-align: center;" | 마안 왕궁
|-
|-
| style="text-align: center;" | [[File:JOD505s.jpg|섬네일|centre]]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10JD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탈랄 빈 압둘라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첫 국회의사당 건물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페트라]]의 [[양진이]]
| style="text-align: right;" | 샤리프 후세인 빈 알리
| rowspan="2" style="text-align: center;" | 1 JD
| style="text-align: left;" | 샤리프 후세인 빈 알리
| style="text-align: center;" | 아랍 반란 사건 승전 삽화<ref>1916년, 튀르크(오스만)를 상대로 승리함을 모티프로 함</ref>
|-
| style="text-align: center;" | [[파일:JOD552.jpg]]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이 시기 동전은 6번째(2000~)로서 ¼디나르(2004)가 추가로 발행되었다.
 
{| class="wikitable"
! colspan="3" | 요르단 디나르 3차 발행분
|-
| style="text-align: center;" | ½ JD
| style="text-align: center;" | 1 JD
| style="text-align: center;" | 5 JD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 style="text-align: center;" | 10 JD
| style="text-align: center;" | 20 JD
| style="text-align: center;" | 50 JD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20JD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후세인 빈 탈랄 (초대국왕)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바위의 돔]]
|-
(마스지드 쿱밧 아스사크라)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앞면 (1992/1993년판)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앞면 (1994년판 이후)<ref>94년판부터 국명 및 중앙은행명에 "하셰미테(Hashemite, "하심 가문(家)"을 의미함.)"라는 용어가 추가로 붙는다. 뒷면에도 영문명으로 추가되었다.</ref>
| style="text-align: center; width:33%;" | 50 JD 앞면<ref>원래는 다른 액면과 동일한 후세인 빈 탈랄(후세인 2세)도안으로 할 예정이었으나, 시제품만 만들어보고는 취소하고, 압둘라 이븐 후세인(압둘라 2세)의 양복 차림으로 변경하였다.</ref>
|-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50JD
| style="text-align: center;" |  
| style="text-align: center;" | 압둘라 이븐 후세인 2세
| style="text-align: center;" |  
(現 국왕 (2대))
| style="text-align: center;" | 라가단 왕궁
|}
|}
* 세로 74mm 고정에 가로만 133mm에서 4mm씩 증가하는 형태이다.
* 세로 74mm 고정에 가로만 133mm에서 4mm씩 증가하는 형태이다.
* 같은 시기 동전은 6번째(2000~)로서 ¼디나르(2004)가 추가로 발행되었다.


=== 3차 (1992 ~ 2002) ===
=== 1 ~ 2차 발행 ===
* 2차 발행권의 20디나르화는 색상만 다른 2종류(갈색(), 청색())있다.
* 동전의 경우;
  * 5번째 시리즈 (1992 ~ 1999) : ½, 1, 2½, 5, 10키르쉬 및 ¼, ½(2종), 1(2종)디나르까지 총 10종이나 발행되었다.
  * 6번째 시리즈 (2000 ~ ) : 1, 5, 10키르쉬 및 ½디나르의 4종이 교체 발행되었다.
 
=== 2차 (1975 ~ 1992) ===
* 20디나르화의 경우 구형(갈색)과 신형(청색) 2종류가 있다. (색깔만 다르다.)
* 동전의 경우;
  * 1필스 동전이 1986년에 발행 중단되었다.


=== 1차 (1959 ~ 1974) ===
=== 1차 (1959 ~ 1974) ===
* 동전의 경우;
  * 20필스(1965), 25필스(1968), ¼디나르(1970)가 추가되었다.


=== 국가 발행권 (1949) ===
=== 국가 발행권 (1949) ===
1952년 개정판에는 지나치게 가치가 크던 50디나르화가 빠졌다.
* 1952년 개정판에는 지나치게 가치가 크던 50디나르화가 빠졌다.
* 동전의 경우;
  * 1번째 시리즈 (1949 ~ ?) : 1, 5, 10, 20, 50, 100필스의 6종이 발행되었다.  


{{각주}}
{{각주}}
{{아시아의 화폐}}
{{아시아의 화폐}}
[[분류:화폐]]

2023년 9월 8일 (금) 03:48 기준 최신판

요르단 디나르
دينار أردني 디나르 우르두니윤ar
CBJordanLogos.jpg
화폐 정보
사용국 요르단
비공식 사용국:
ISO JOD
기호 JD (비공식)
보조단위
1/10 디르함
1/100 키르쉬 [q]
1/1000 필스[2]
지폐 JD 1, JD 5, JD 10, JD 20, JD 50
(구권 : JD ½)
동전 5q, 10q, JD ¼, JD ½
(드물게 통용 : ½q, 1q, 2½q, JD 1)
중앙은행 요르단 중앙은행 (البنك المركزي الاردني)
환율 1,680원/JD (2019.12.06 기준)
(범위값 1,400 ~ 1,700)
고정환율 JD 0.709/USD (1995.10.23 ~)
이전 화폐
팔레스타인 파운드 (1:1) (~1950.09.30)

Jordanian Dinar 조데이니언 디나en

소개[편집 | 원본 편집]

요르단의 디나르 계열 통화이다.

특이하게도 보조단위가 무려 세 가지 있는데, 2014년 기준으로 필스 단위는 표기상으로 쓰이지 않으므로[3] 사실상 중국 위안과 함께 둘 뿐인 세 단위를 동시에 사용하는 통화가 되었다. 하지만 2019년 기준으로는 중국에서 펀(分) 단위를 쓰지 않고, 요르단에서도 분수 표현이 불가능하다면 '필스' 단위를 우선적으로 언급하는데다, 디르함(디람) 단위는 거의 사멸 직전이다보니, 유명무실해진 개념에 가깝다.

환전 및 사용[편집 | 원본 편집]

다른 아랍 국가처럼 요르단도 분수 단위를 즐겨 쓰는데, ½단위는 "누우스", ¼단위는 "루비아"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JD ½(=500f, 50q)는 "누우스 디나르"가 되고, JD ¾(=750f, 75q)는 "쌀라싸루비아 디나르"가 된다. 통상적으론 '디나르'라는 단위명을 생략하고 그냥 읽지만, 간혹 영어 약칭인 '제이디'라 붙여서 읽을 때도 있다. (ex : 누우스 제이디 = ½JD) ¼ 단위로 표기가 안 되는 경우에서야 필스(Fils) 단위를 사용한다.

요르단 디나르는 SDR(IMF 특별인출권)을 미국 달러로 표기한 값에 고정된 환율정책을 유지하고 있다.(0.709JD/USD) 용도를 불문하고 공식 절차로 환전을 거치게 되면, 별도로 중앙은행에서 1필스(JD 0.001)씩 추가로 징수하게 되어서, 구매시는 0.708JD/USD, 판매시는 0.710JD/USD가 된다. 이런 구두쇠 같으니

중앙은행권[편집 | 원본 편집]

동전[편집 | 원본 편집]

  • 첫 발행은 1949년으로, 1, 5, 10, 20, 50, 100필스의 6종이 발행되었다.
    • 이후 20필스(1965), 25필스(1968), ¼디나르(1970)가 추가되었다.
    • 1986년에 1필스 동전이 발행 중단되었다.
  • 90년대(1992 ~ 1999)에 이르러서는 ½, 1, 2½, 5, 10키르쉬 및 ¼, ½(2종), 1(2종)디나르까지 총 10종이나 발행되었다.
    • 2000년부터 1, 5, 10키르쉬 및 ½디나르의 4종이 신형으로 교체되어 발행되었다.

3~5차 발행[편집 | 원본 편집]

요르단 디나르 5차 발행분 (2022 ~ 현재) 요르단 디나르 4차 발행분 (2002 ~ 2021)
압둘라 이븐 후세인 2세 50 JD (現 국왕 (2대)) 라가단 왕궁
후세인 빈 탈랄 20 JD (초대국왕) 마스지드 쿱밧 아스사크라(바위의 돔)
탈랄 빈 압둘라 10 JD 탈랄 빈 압둘라 첫 국회의사당 건물
JOD505s.jpg
압둘라 이븐 알 후세인 5 JD 압둘라 이븐 알 후세인 마안 왕궁
페트라양진이 샤리프 후세인 빈 알리 1 JD 샤리프 후세인 빈 알리 아랍 반란 사건 승전 삽화[4]
JOD552.jpg
  • 이 시기 동전은 6번째(2000~)로서 ¼디나르(2004)가 추가로 발행되었다.
요르단 디나르 3차 발행분
½ JD 1 JD 5 JD
10 JD 20 JD 50 JD
앞면 (1992/1993년판) 앞면 (1994년판 이후)[5] 50 JD 앞면[6]
  • 세로 74mm 고정에 가로만 133mm에서 4mm씩 증가하는 형태이다.

1 ~ 2차 발행[편집 | 원본 편집]

  • 2차 발행권의 20디나르화는 색상만 다른 2종류(갈색(구), 청색(신))가 있다.

1차 (1959 ~ 1974)[편집 | 원본 편집]

국가 발행권 (1949)[편집 | 원본 편집]

1952년 개정판에는 지나치게 가치가 크던 50디나르화가 빠졌다.

각주

  1. 이스라엘 세켈과 같이 사용하고 있다.
  2. 로마자 표기는 각각 Dirham, Qirsh (영어/불어로는 피아스트(piastre)), Fils. 여기서 "Fils"는 복수(-s)형태가 아닌 단수형태이다.
  3. 1992년까지 필스만 정식 표기하고 나머지는 비공식화 시킨 것과는 매우 대조적이다.
  4. 1916년, 튀르크(오스만)를 상대로 승리함을 모티프로 함
  5. 94년판부터 국명 및 중앙은행명에 "하셰미테(Hashemite, "하심 가문(家)"을 의미함.)"라는 용어가 추가로 붙는다. 뒷면에도 영문명으로 추가되었다.
  6. 원래는 다른 액면과 동일한 후세인 빈 탈랄(후세인 2세)도안으로 할 예정이었으나, 시제품만 만들어보고는 취소하고, 압둘라 이븐 후세인(압둘라 2세)의 양복 차림으로 변경하였다.